KR101479197B1 -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197B1
KR101479197B1 KR20130038809A KR20130038809A KR101479197B1 KR 101479197 B1 KR101479197 B1 KR 101479197B1 KR 20130038809 A KR20130038809 A KR 20130038809A KR 20130038809 A KR20130038809 A KR 20130038809A KR 101479197 B1 KR101479197 B1 KR 101479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kateboard
caster
front boar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120A (ko
Inventor
한병찬
Original Assignee
한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찬 filed Critical 한병찬
Priority to KR2013003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1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folding,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보드의 삽입관통홀과 후방보드의 삽입관통홀에 보드회전축이 삽입되어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이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펴지거나 굽어지도록 보드회전축에 코일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전방보드를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펴지면서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skate board}
본 발명은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보드의 삽입관통홀과 후방보드의 삽입관통홀에 보드회전축이 삽입되어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이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펴지거나 굽어지도록 보드회전축에 코일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전방보드를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펴지면서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보드는 널판지의 보드 저면 전후로 각각 바퀴를 장착하고 보드의 상면에 두발을 얹힌 상태에서 지면을 치면서 달리도록 된 운동기구로서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스케이트보드를 이용할 경우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한발을 보드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발을 이용하여 지면에 접촉시켰다 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즉,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발을 계속하여 지면을 지쳐야만 지속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을 지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다른 발로 무게중심을 잡아야 하므로 중심 균형이 깨지기 쉬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지면을 지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한발을 상하이동시키면서 밀어주어야 하므로 쉽게 피로하게 되는 등의 많은 불편이 있다.
종래 스케이트보드는 하나의 보드 하면에 전,후의 바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이트보드 회전시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되어 회전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단점과 급회전이 용이치 않다는 단점도 있다.
이의 개선을 위해 폭발적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다양한 형태의 스케이트보드, 예컨대 공개특허 2002-42572(2002.6.5 공개), 등록특허 제394848호(2003.8.4 등록), 등록실용 제371541호(2004.12.21 등록), 등록실용 제377945호(2005.2.28 등록)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들 개시된 기술들은 대부분 회전반경의 제약을 해결하여 안전한 사용을 위한 개선에 주력하였기 때문에 추진력을 얻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언급 자체가 없었거나 간혹 있다손 치더라도 스케이트보드를 두개로 분리한 후 그중 앞판을 흔드는 것에 의해 스케이트보드의 추진력을 얻도록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구동속도의 저하에 따른 유희성의 급감, 사용자의 피로감 증대 등의 단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즉, 사용자의 피로감을 해소시키면서 안전하고 상당한 속도감을 갖추어 보다 재미있는 운동기구로서의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사용자의 두 발을 모두 보드에 올려놓은 상태에서도 추진력을 얻고 충분한 주행속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전하고 사용상의 피로감을 급격히 줄여 어린이들에게 적당하며 그 본연의 유희성을 극대화시킨 그러한 형태의 밀어서 나아가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방보드의 삽입관통홀과 후방보드의 삽입관통홀에 보드회전축이 삽입되어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이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펴지거나 굽어지도록 보드회전축에 코일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전방보드를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펴지면서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방향전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면을 지치면서 구름판의 추진력을 획득할 필요없이 단순히 작동보드를 밀치는 것에 의해 쉽게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어 피로감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의 전후방의 캐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에서 후방캐스터를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은 앞쪽판(12)보다 뒷쪽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뒷쪽판(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드회전축(30)이 삽입 관통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뒷쪽 하부 측면 양단에 회전축 삽입관통홀(16, 16')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보드(10); 보드회전축(30)이 삽입 관통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드의 앞쪽 선단에 회전축 삽입관통홀(26)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보드(20); 전방보드(10)의 삽입관통홀(16, 16')과 후방보드(20)의 삽입관통홀(26)에 보드회전축(30)이 삽입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40)이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펴지거나 굽어지도록 보드회전축(30)에 삽입된 코일스프링(30); 전방보드(10)의 앞쪽 하부 선단에 연결바(54)로 결합된 전방캐스터(50); 및 후방보드(20)의 뒤쪽 하부 선단에 연결바(64)로 결합된 캐스터의 내부에 래치기어(70)가 내장된 후방캐스터(60)로 이루어진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방보드(10)는 앞쪽판(12)보다 뒷쪽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뒷쪽판(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드회전축(30)이 삽입 관통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뒷쪽 하부 측면 양단에 회전축 삽입관통홀(16, 16')이 형성되어 있어 전방보드(10)를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펴지면서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서 후방보드(20)는 보드회전축(30)이 삽입 관통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드의 앞쪽 선단에 회전축 삽입관통홀(26)이 형성되어 있어 전방보드(10)를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펴지면서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전방보드(10)의 삽입관통홀(16, 16')과 후방보드(20)의 삽입관통홀(26)에 보드회전축(30)이 삽입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40)이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펴지거나 굽어지도록 보드회전축(30)에 코일스프링(30)이 장착되어 있어 전방보드(10)를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펴지면서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전방보드(10)의 앞쪽 하부 선단에 연결바(54)로 결합된 전방캐스터(50)가 부착되어 있고, 후방보드(20)의 뒤쪽 하부 선단에 연결바(64)로 결합된 캐스터의 내부에 래치기어(70)가 내장된 후방캐스터(60)가 부착되어 있어 전방보드(10)를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펴지면서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의 캐스터의 내부에 래치기어(70)가 내장된 후방캐스터(60)을 형성하여 전방방향으로 회전되고 후반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앞으로 전진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후방캐스터(60)의 내부에 래치기어(70)가 내장되어 있으며 래치기어(70)는 후방캐스터(60)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것으로 후방캐스터(60)가 전방, 즉 스케이트보드를 향하는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이며, 이를 위해 래치기어(70)에 걸림되는 연결바(64)가 구비된다.
10: 전방보드 20: 후방보드
30: 보드회전축 40: 코일스프링
50: 전방캐스터 60: 후방캐스터
62: 캐스터회전축 64: 연결바
70: 래치기어 71: 관통홀
72: 기어날 74: 코일스프링
76: 기어날 회전축

Claims (2)

  1. 앞쪽판(12)보다 뒷쪽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뒷쪽판(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드회전축(30)이 삽입 관통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뒷쪽 하부 측면 양단에 회전축 삽입관통홀(16, 16')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보드(10);
    보드회전축(30)이 삽입 관통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드의 앞쪽 선단에 회전축 삽입관통홀(26)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보드(20);
    전방보드(10)의 삽입관통홀(16, 16')과 후방보드(20)의 삽입관통홀(26)에 보드회전축(30)이 삽입되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40)이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펴지거나 굽어지도록 보드회전축(30)에 삽입된 코일스프링(30);
    전방보드(10)의 앞쪽 하부 선단에 연결바(54)로 결합된 전방캐스터(50); 및 후방보드(20)의 뒤쪽 하부 선단에 연결바(64)로 결합된 캐스터의 내부에 래치기어(70)가 내장된 후방캐스터(60);
    상기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의 캐스터의 내부에 래치기어(70)가 내장된 후방캐스터(60)을 형성하여 전방방향으로 회전되고 후반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앞으로 전진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2. 삭제
KR20130038809A 2013-04-09 2013-04-09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KR10147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809A KR101479197B1 (ko) 2013-04-09 2013-04-09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809A KR101479197B1 (ko) 2013-04-09 2013-04-09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20A KR20140122120A (ko) 2014-10-17
KR101479197B1 true KR101479197B1 (ko) 2015-01-08

Family

ID=5199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809A KR101479197B1 (ko) 2013-04-09 2013-04-09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53B1 (ko) 2015-10-30 2016-02-03 강인태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312A1 (ko) * 2016-06-23 2017-12-28 이강문 스케이트로 사용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KR101837432B1 (ko) * 2017-10-25 2018-03-12 이강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KR101837429B1 (ko) * 2017-10-25 2018-03-12 이강문 트랜스포머블 스케이팅 레저스포츠 용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238A (ko) * 2005-03-25 2005-04-15 권오흥 스프링 & 서핑보드
KR200406022Y1 (ko) 2005-11-03 2006-01-11 박영길 모터 보드용 데크
KR20120006782U (ko) * 2011-03-24 2012-10-05 이원용 핸들이 없는 본체 접이식 킥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238A (ko) * 2005-03-25 2005-04-15 권오흥 스프링 & 서핑보드
KR200406022Y1 (ko) 2005-11-03 2006-01-11 박영길 모터 보드용 데크
KR20120006782U (ko) * 2011-03-24 2012-10-05 이원용 핸들이 없는 본체 접이식 킥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53B1 (ko) 2015-10-30 2016-02-03 강인태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US9868048B2 (en) 2015-10-30 2018-01-16 In Tae Kang Skateboard capable of providing self-propulsive 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20A (ko) 201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197B1 (ko)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JP5449538B2 (ja) 前部台車アセンブリの動作の自由度が大きいスケートボード
US8636288B2 (en) Street board
KR20020042572A (ko) 흔들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JP6706782B2 (ja) 自体推進力の提供が可能なスケートボード
KR100818786B1 (ko) 스케이트보드
US9079096B2 (en) Inline roller skate
KR100800570B1 (ko) 스텝보드
US8857840B2 (en) Drive system with contoured cavity
KR20120134707A (ko) 유희용 운동기구
KR20100080755A (ko) 킥보드 구동장치
KR101532475B1 (ko) 트라이크
US20150087200A1 (en) Spinning Vehicle Apparatus and Assembly
KR100810577B1 (ko) 자체추진 스케이트보드
KR101005428B1 (ko) 이중캐스터 추진장치
KR20120013809A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CN217139167U (zh) 滑板结构
KR101190144B1 (ko) 스케이트 보드
KR101407919B1 (ko) 방향전환과 가속을 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
KR101420675B1 (ko) 트라이크
KR20170001517U (ko) 구조변경이 가능한 다기능 완구
KR20100111938A (ko) 인라인 보드
KR200419034Y1 (ko) 스케이트보드
KR101530769B1 (ko) 트라이크
KR100696291B1 (ko) 폴대가 달린 핸드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