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084B1 -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084B1
KR101479084B1 KR20130066111A KR20130066111A KR101479084B1 KR 101479084 B1 KR101479084 B1 KR 101479084B1 KR 20130066111 A KR20130066111 A KR 20130066111A KR 20130066111 A KR20130066111 A KR 20130066111A KR 101479084 B1 KR101479084 B1 KR 10147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oil temperature
terminal
connection par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085A (ko
Inventor
신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3006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47Automatic trans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외면에 밸브 측으로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밸브커넥터가 구비된 메인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와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 연결부가 구비되며 그 외면에 프로텍터가 설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메인부와 연장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부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연성 재질로 형성된 케이블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HARNESS MODULE FOR AUTO TRANSMISSION OF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전기적 제어를 위해 필요한 하네스를 분할하여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이들을 연성 재질의 케이블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하네스가 동시에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속기는 변속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의 회전력을 변환시켜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도, 정차시 엔진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바퀴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후진을 가능케 한다.
이들 변속기 중에서 자동변속기의 경우에는 클러치 및 변속레버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 없으며, 기관의 출력에 알맞는 변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의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 사이에서 점차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에 결합되는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은, 외부로부터 신호와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 연결부(11)를 구비하고 일측에 스피드센서가 연결되는 스피드센서 연결부(12)가 구비되며 타측에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가 구비된 케이블부재(10)와, 케이블부재(10)의 단부에 별도로 결합되는 오일온도센서(20)로 이루어진다.
스피드센서 연결부(12)가 구비된 케이블부재(10)의 외면에는 별도의 프로텍터(14)가 구비되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가 구비된 케이블부재(10)의 외면에는 케이블부재(10)를 변속기 케이스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밸브커넥터(1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연결부(11)는 외부의 다른 기기와 케이블부재(10)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부연결커넥터(16)가 마련되어 있다.
오일온도센서(20)는 일정한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일측에 결합되며 하우징(21)과 결합시에 하우징(21)의 내부로 인입되는 단자(22)와, 케이블부재(10)와 단자(22)가 상호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케이블부재(10)를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2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은 일정한 외형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그 내부 일측에는 단자(22)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 양측에는 단자(22)와 케이블부재(10)가 상호 접속되도록 하는 판스프링(23)의 일부가 걸려서 하우징(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돌부(21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상면에는 판스프링(23)이 안착될 수 있는 평탄한 안착면이 구비되며, 안착면의 중앙 영역에는 판스프링(23)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판스프링(23)이 체결되어야 하는 위치를 정해주는 돌기(21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1)의 전면 일측에는 판스프링(23)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어 판스프링(23)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21d)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온도센서(20)는 그 내부에 오일이 충전되어 변속기에서 발생되는 열의 정도에 따라 형성되는 저항값을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오일온도센서(20)의 일측면에는 센싱한 저항값을 제어부(미도시)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케이블부재(10)와 접속되는 단자(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자(22)는 오일온도센서(10)가 하우징(21)과 결합시에 하우징(21)의 인입홈(21a)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판스프링(23)이 케이블부재(10)을 내측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케이블부재(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판스프링(23)은 하우징(21)의 안착면에 안착되며 양단부가 각각 케이블부재(10)와 접촉되어 케이블부재(10)를 내측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케이블부재(10)가 단자(22)와 접촉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판스프링(23)의 판면 일측에는 하우징(21)의 돌기(21c)가 삽입되며, 타측에는 하우징(21)의 걸림턱(21d)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부재(10)가 하우징(21)의 안착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하네스 모듈에 있어서는, 케이블부재(10)의 일측에 구비된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에 오일온도센서(20)를 판스프링(23)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하네스 모듈은 케이블부재(10)가 판스프링(23)에 의하여 내측으로 탄성지지 되면서 기울어져 오일온도센서(20)의 단자(22)와 접속되는 구조이므로 자동변속기의 하네스 모듈을 다른 커넥터와 연결시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접속 불량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전기적 제어를 위해 필요한 하네스를 분할하여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이들을 연성 재질의 케이블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하네스가 동시에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은, 외면에 밸브 측으로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밸브커넥터가 구비된 메인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와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 연결부가 구비되며 그 외면에 프로텍터가 설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메인부와 연장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부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연성 재질로 형성된 케이블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의 외면에는 상기 절곡부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제1차폐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터의 양단부는 각각 메인부와 절곡부를 향하여 굴곡지게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는 스피드센서가 연결되는 스피드센서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부의 일측에는 오일온도센서 연결부가 분기되고,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에는 오일온도센서가 솔더링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의 외면에는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제2차폐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차폐커버와 제2차폐커버는 메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온도센서는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의 판면을 관통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단부와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의 판면에 구비되어 납땜에 의하여 상기 단자부와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를 상호 접합시키는 솔더링부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자부의 단부는 상기 단자부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 공간에도 상기 솔더링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단자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비전도성 재질인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오일온도센서의 외면에는 상기 단자부의 단부 및 솔더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캡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의 하면은 상기 오일온도센서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부재를 상기 오일온도센서의 상면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전기적 제어를 위해 필요한 하네스를 분할하여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이들을 연성 재질의 케이블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하네스가 동시에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전기적 제어를 위해 필요한 하네스와 센서를 연성 재질의 케이블부재를 이용하여 솔더링 결합함으로써 일체화시켜 순간 단락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솔더링 영역의 납 젖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솔더링 영역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에 결합되는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에 구비된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이 차량의 일측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에 구비된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이 차량의 일측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은, 외면에 밸브 측으로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밸브커넥터(132)가 구비되어 제1마운팅부에 결합되는 메인부(130)와;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와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 연결부(110)가 구비되며 그 외면에 프로텍터(122)가 설치되어 제2마운팅부에 결합되는 연장부(120)와, 메인부(130)와 연장부(120)를 연결하도록 메인부(130)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12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절곡부(140)로 이루어지며, 연성재질로 형성된 케이블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부재(100)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띠 형상의 부재로서 외부로부터 신호와 전원을 공급받아 공급받은 신호와 전원을 변속기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변속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블부재(100)는 케이블부재(100)를 변속기 케이스의 일측에 체결시에 그 형상을 변속기 케이스의 형상에 맞도록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블부재(100)는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가 구비된 메인부(130)와, 메인부(130)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절곡부(140)와, 절곡부(140)의 단부에서 메인부(130)와 꼬인 위치에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고 일측에 스피드센서 연결부(121)가 구비되며 단부에 커넥터 연결부(110)가 구비된 연장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부(130)의 일측에는 오일온도센서(200)가 연결되는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가 분기되어 일정한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부(130)의 외면에는 밸브커넥터(132)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전원을 밸브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밸브커넥터(132)의 복수의 개소에는 밸브커넥터(132)를 제1마운팅부인 밸브 바디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부재(13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32a)는 밸브커넥터(132)의 일측면에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2개가 구비되며, 밸브커넥터(132)의 타측면에는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부재(132a)와 고정부재(132a) 사이의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밸브 바디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외면에는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를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그 외면에 권취되는 제2차폐커버(133)가 구비되는데, 이는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가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차폐커버(133)는 신호와 전원을 공급시에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에서 발생하게 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어 오일온도센서(200)와 결합되는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일측 판면에는 단자부(210)와 접촉되는 접속공(131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타측 판면에는 후술할 오일온도센서(200)에 구비된 돌부(240)가 삽입되는 관통공(131b)이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140)는 메인부(130)와 수직을 이루도록 메인부(13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그 외면에는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와 마찬가지로 절곡부(140)를 외부와 차폐시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차폐커버(141)가 구비되어 있다.
제1차폐커버(141)는 외부로 노출되는 절곡부(14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절곡부(140)에 크랙이 발생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차폐커버(141)는 신호와 전원을 공급시에 절곡부(140)에서 발생하게 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함은 ECU 등과 같은 차량의 전기전자 제어장치가 절곡부(14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장부(120)는 절곡부(140)의 단부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부재로서, 밸브 바디에 밸브커넥터(132)가 체결시에 연장부(120)의 단부와 결합된 외부연결커넥터(150)가 변속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부(120)는 메인부(130)와 꼬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20)와 메인부(130)가 상호 꼬인 위치에 배치됨은 차량에 발생하는 특정 방향의 진동에 대하여 연장부(120)와 메인부(130)가 동시에 유동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세로방향을 따라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메인부(130)에 진동이 전달되어 유동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연장부(120)에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가로방향을 따라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연장부(120)에 진동이 전달되어 유동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메인부(130)에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120)의 일측에는 스피드센서 연결부(121)가 구비되는데, 스피드센서 연결부(121)는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이 적용되는 차량이 대형일 경우와 중소형일 경우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20)의 외면에는 프로텍터(122)가 구비되어 연장부(120)는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프로텍터(122)에 의하여 스피드센서 연결부(121)도 연장부(121)와 마찬가지로 외부와 차폐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보호된다.
프로텍터(122)의 양단부는 각각 커넥터 연결부(110)와 절곡부(140)를 향하여 굴곡지게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장부(120)의 양단부와 커넥터 연결부(110) 및 절곡부(140)의 이음 부위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프로텍터(122)는 제2마운팅부인 변속기 케이스(400)의 외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밸브커넥터(132)는 밸브바디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이들의 내부에는 각각 연장부(120)와 메인부(130)가 내재되며 연장부(120)와 메인부(130)는 연성재질의 절곡부(140)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와 일체로 구비되는 오일온도센서(200)는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판면을 관통하는 단자부(210)와, 상기 단자부(210)의 단부와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판면에 납땜에 의하여 상기 단자부(210)와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를 상호 접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솔더링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오일온도센서(200)에는 단자부(2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수용공간의 상면이 개구 형성되어 단자부(210)는 개구 형성된 수용공간의 상면을 통하여 오일온도센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오일온도센서(200)의 양측면에는 후술할 캡부재(300)의 체결공(330)에 삽입되어 캡부재(300)가 오일온도센서(2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돌부(20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부(201)의 외면은 오일온도센서(20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오일온도센서(200)에 체결되는 캡부재(300)의 체결공(330)에 체결돌부(201)가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돌부(201)의 양측에는 캡부재(300)를 오일온도센서(200)에 체결시에 캡부재(3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캡부재(300)에 형성된 가이드공(340)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2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일온도센서(200)의 판면 일측에는 오일온도센서(200)의 상면에 케이블부재(130)의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를 안착시에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도록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에 형성된 관통공(131b)에 삽입되는 돌부(240)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오일온도센서(200)는 그 내부에 오일이 충전되어 변속기에서 발생되는 열의 정도에 따라 형성되는 저항값을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오일온도센서(200)의 상면에는 센싱한 저항값을 제어부(미도시)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와 접속되는 단자부(2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부(210)의 단부는 다른 영역보다 작은 폭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21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 공간에도 솔더링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솔더링부(220)는 단자부(210)의 단부가 돌출되는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상면뿐만 아니라 단차면(211)과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하측 판면 사이에도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전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이들 사이의 접속이 불량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오일온도센서(200)의 단자부(2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에는 단자부(2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전재(212)가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재(212)는 비전도성 재질인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액상으로 충전된 후에 고화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온도센서(200)와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접속이 완료된 후에 오일온도센서(200)의 외면에는 단자부(210)의 단부 및 솔더링부(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캡부재(300)가 체결될 수 있다.
캡부재(300)는 오일온도센서(200)의 단자부(210)와 솔더링부(220)가 외력에 의하여 파손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하여 접속 불량이 발생됨을 예방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캡부재(300)에는 오일온도센서(200)의 상면에 안착된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를 오일온도센서(200)의 상면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상면과 접촉되는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부재(300)의 내부에는 오일온도센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단자부(210)가 캡부재(5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홈(310)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캡부재(300)의 양측면에는 체결돌부(201)가 체결되는 체결공(330)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공(330) 전방의 캡부재(300) 판면에는 가이드부재(23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공(340)이 절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은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전기적 제어를 위해 필요한 하네스와 센서를 연성 재질의 케이블부재를 이용하여 솔더링 결합함으로써 일체화시켜 순간 단락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솔더링 영역의 납 젖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솔더링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케이블부재 110 : 커넥터연결부
120 : 연장부 121 : 스피트센서 연결부
130 : 메인부 131 : 오일온도센서 연결부
132 : 밸브커넥터 133 : 제2차폐커버
140 : 절곡부 150 : 외부연결 커넥터
200 : 오일온도센서 210 : 단자부
220 : 솔더링부 300 : 캡부재

Claims (14)

  1. 외면에 밸브 측으로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밸브커넥터(132)가 구비되어 제1마운팅부에 결합되는 메인부(130)와;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와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 연결부(110)가 구비되며 그 외면에 프로텍터(122)가 설치되어 제2마운팅부에 결합되는 연장부(120)와;
    상기 메인부(130)와 연장부(120)를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부(130)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12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절곡부(140)로 이루어지며, 연성 재질로 형성된 케이블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140)의 외면에는 상기 절곡부(140)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제1차폐커버(14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부(130)의 일측에는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가 분기되며,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에는 오일온도센서(200)가 솔더링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오일온도센서(200)는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판면을 관통하는 단자부(210)와, 상기 단자부(210)의 단부와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판면에 구비되어 납땜에 의하여 상기 단자부(210)와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를 상호 접합시키는 솔더링부(220)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부(210)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단자부(2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전재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122)의 양단부는 각각 메인부(130)와 절곡부(140)를 향하여 굴곡지게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의 일측에는 스피드센서가 연결되는 스피드센서 연결부(1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제1마운팅부는 밸브 바디이며, 제2마운팅부는 변속기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의 외면에는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제2차폐커버(1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커버(141)와 제2차폐커버(133)는 메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210)의 단부는 상기 단자부(210)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온도센서 연결부(131)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 공간에도 상기 솔더링부(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비전도성 재질인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온도센서(200)의 외면에는 상기 단자부(210)의 단부 및 솔더링부(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캡부재(300)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300)의 하면은 상기 오일온도센서(20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부재(100)를 상기 오일온도센서(200)의 상면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KR20130066111A 2013-06-10 2013-06-10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KR10147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111A KR101479084B1 (ko) 2013-06-10 2013-06-10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111A KR101479084B1 (ko) 2013-06-10 2013-06-10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85A KR20140144085A (ko) 2014-12-18
KR101479084B1 true KR101479084B1 (ko) 2015-01-07

Family

ID=5258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111A KR101479084B1 (ko) 2013-06-10 2013-06-10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35B1 (ko) * 2009-07-29 2009-11-05 경신공업 주식회사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JP2011227000A (ja) 2010-04-22 2011-11-10 Yazaki Corp 配線材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35B1 (ko) * 2009-07-29 2009-11-05 경신공업 주식회사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JP2011227000A (ja) 2010-04-22 2011-11-10 Yazaki Corp 配線材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85A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1038B2 (ja) 車両のオンボード診断機能接続用コネクタ
CN103392113A (zh) 用于车辆的传感器单元
US8873242B2 (en) Automotive control unit
KR101575265B1 (ko) 고정 부재를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045106A1 (en) Wiring harness
KR101395521B1 (ko) 방수형 하우징 실링을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96847A (ko)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US20050179557A1 (en) Sensor device
JP2008516404A (ja) フレキシブルな導体路におけるケーブルの接触接続
EP3588034B1 (en) Oil temperature sensor
KR20110089279A (ko) 전기 부품이 제공된 거울 조정 유닛
CN105391230A (zh) 线束固定结构
JP3980292B2 (ja) 自動変速機の車速センサ取付構造
KR10147908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US20110050249A1 (en) Electric current measuring device with increased mechanical strength for installation
US9769945B2 (en) Covering device for a contacting portion of a printed circuit board, control system for a mechatronic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 system
JP4789637B2 (ja) 電気接続箱
KR100948024B1 (ko) 자동차용 거리측정센서의 설치부재와 이를 이용한 설치구조
KR20110095462A (ko) 연료탱크 내부 장착형 드라이버 구비 연료펌프 모듈
CN215735362U (zh) 一种线材连接结构及无线充电设备
CN103988589B (zh) 用于机动车的控制器
JP6508014B2 (ja) 電子制御装置
KR20080004985U (ko) 와이어커버
JP4161369B2 (ja) 車両用駆動力配分制御装置
JP7212209B1 (ja) 温度センサ、組付体、回転電機、および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