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535B1 -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535B1
KR100925535B1 KR1020090069531A KR20090069531A KR100925535B1 KR 100925535 B1 KR100925535 B1 KR 100925535B1 KR 1020090069531 A KR1020090069531 A KR 1020090069531A KR 20090069531 A KR20090069531 A KR 20090069531A KR 100925535 B1 KR100925535 B1 KR 10092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small
main
terminal group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욱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연결부를 갖는 주케이블부재, 이 주케이블부재에 형성되고 메인연결부에 연결되며 중소형차량의 차속센서와 접속되는 중소형차속단자군, 및 이 중소형차속단자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주케이블부재에 형성되고 메인연결부에 연결되며 대형차량의 차속센서와 접속되는 대형차속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분기케이블에 중소형차속단자군과 대형차속단자군을 동시에 형성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함으로써 분기케이블을 대형차량과 중소형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 작업시 호환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90069531
차량, 변속기, 분기케이블, 에프피씨, 호환

Description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BRANCH CABLE, WIRING DEVICE OF TRANSMISSION THEREWITH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케이블에 중소형차속단자군과 대형차속단자군을 동시에 형성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함으로써 분기케이블을 대형차량과 중소형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 작업시 호환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속기는 변속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의 회전력을 변환시켜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도, 정차시 엔진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바퀴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후진을 가능케 한다.
유성기어 세트를 이용한 자동변속기에는 토크 컨버터를 개재하여 엔진의 크 랭크축으로부터 토크를 전달받는 입력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입력축에는 복수조의 유성기어 세트를 비롯하여, 유성기어 세트의 요소들을 작동시켜 동력전달경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구성된 마찰계합요소가 장치되어 있다.
이들 마찰계합요소는 차량의 운전조건과 엔진의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ON/OFF)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계합됨으로써 엔진의 토크가 변화된다.
변화된 토크는 출력축을 통해 구동바퀴로 전달되고, 유압제어장치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변속시점을 결정하고 다판 클러치나 다판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클러치 및 변속레버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 없으며, 기관의 출력에 알맞는 변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의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 사이에서 점차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자동변속기용 분기케이블은 변속기 하우징의 크기에 따라 차속센서 검출 포트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차량 모델별로 다양하게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조립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기케이블에 중소형차속단자군과 대형차속단자군을 동시에 형성하여 이를 메인연결부 와 서로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함으로써 분기케이블을 대형차량과 중소형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 작업시 호환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케이블은: 외부로부터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연결부를 갖는 주케이블부재, 이 주케이블부재에 형성되고 메인연결부에 연결되며 중소형차량의 차속센서와 접속되는 중소형차속단자군, 및 이 중소형차속단자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주케이블부재에 형성되고 메인연결부에 연결되며 대형차량의 차속센서와 접속되는 대형차속단자군을 포함한다.
상기 중소형차속단자군과 상기 대형차속단자군은 가요성을 갖는 상기 주케이블부재의 동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케이블부재는 일측으로 중소형차속연결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중소형차속단자군은 상기 중소형차속연결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주케이블부재는 일측으로 대형차속연결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대형차속단자군은 상기 대형차속연결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연결부는 제 1,2,3,4메인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소형차속단자군은 상기 제 1,2,3,4메인포트 각각에 일대일 연결되는 제 1,2,3,4중소형차속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대형차속단자군은 상기 제 1,2,3,4메인포트 각각에 일대일 연결됨 과 동시에 상기 제 1,2,3,4중소형차속포트 각각에 일대일 연결되는 제 1,2,3,4대형차속포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는: 설정된 위치에 노출홀부를 형성한 프로텍터, 및 동일한 기능의 단자군들 중 차종에 따라 특정한 단자군을 상기 노출홀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프로텍터 내부에 형성되는 분기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노출홀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케이블의 일부를 안착하기 위해 양측으로 개방된 제 1안착홈을 갖는 제 1커버, 상기 제 1안착홈에 대응되게 제 2안착홈을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여 상기 분기케이블의 나머지를 안착 고정하도록 상기 제 1커버에 형성되는 제 2커버, 및 상기 제 1커버와 상기 제 2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2커버의 양측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내측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탄성걸림후크, 및 상기 제 1커버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후크 각각을 수용하여 걸리도록 하는 걸림후크홈을 포함한다.
상기 노출홀부는 커넥터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블록은 노출되는 단자군 각각에 접속되는 커넥터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방법은: 중소형차속단자군을 갖는 중소형차속연결부와 대형차속단자군을 갖는 대형차속연결부를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주케이블부재를 성형하는 주케이블 성형단계, 차종에 따라 준비되는 프로텍터에 맞도록 상기 중소형차속연결부 또는 상기 대형차속연결부를 접는 주케이블 접는단계, 최초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대형차속연결부 또는 상기 중소형차속연결부 를 해당되는 노출홀부에 대응되도록 분리된 프로텍터 내측에 안착하는 주케이블 안착단계, 및 분리된 상기 프로텍터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주케이블부재를 보호하는 프로텍터 조립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은 분기케이블에 중소형차속단자군과 대형차속단자군을 동시에 형성하여 이를 메인연결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함으로써 분기케이블을 대형차량과 중소형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 작업시 호환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에서 프로텍터를 분리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에서 주케이블부재와 커넥터핀을 분리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에서 프로텍터에 주케이블부재의 불필요한 부위를 접은 상태로 안착한 상태를 보인 조립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케이블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케이블부재에 인쇄된 회로패턴의 배열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는 프로텍터(100)와 분기케이블(200)을 포함한다.
프로텍터(100)는 분기케이블(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분기케이블(200)은 프로텍터(100)의 내측에 위치한다. 특히, 프로텍터(100)는 분기케이블(200)을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해 최소한 2조각으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프로텍터(100)는 설정된 위치에서 내외측으로 연통된 노출홀부(112)를 통공 형성한다.
특히, 노출홀부(112)는 대형차량이나 중소형차량과 같은 차량에 따라 프로텍터(100)에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그리고, 이 노출홀부(112)는 내부에 위치한 분기케이블(200)에 차속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접속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로텍터(100)는 제 1커버(110), 제 2커버(12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분기케이블(200)은 프로텍터(100)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 1커버(110)는 노출홀부(112)를 형성하고, 제 1안착홈(114)을 형성한다.
제 1안착홈(114)은 프로텍터(100) 내부에 설치되는 분기케이블(200)의 일부를 안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프로텍터(100)는 분기케이블(200)의 일부를 감싸서 보호하기 때문에 제 1안착홈(114)은 분기케이블(200)의 축방향에 대해 양측을 개방 형성하게 된다.
물론, 제 1커버(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 2커버(120)는 제 2안착홈(124)을 함몰 형성한다.
제 2안착홈(124)은 프로텍터(100) 내부에 설치되는 분기케이블(200)의 나머지를 안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2안착홈(124)은 제 1커버(110)의 제 1안착홈(114)과 대향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프로텍터(100)는 분기케이블(200)의 나머지를 감싸서 보호하기 때문 에 제 2안착홈(124)은 분기케이블(200)의 축방향에 대해 양측을 개방 형성하게 된다.
물론, 제 1안착홈(114)과 제 2안착홈(12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결합부(130)는 제 1커버(110)와 제 2커버(12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나뉘어진 제 1커버(110)와 제 2커버(120)를 충분히 결합하여 분기케이블(200)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 1커버(110)와 제 2커버(120)를 분리함으로써 호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써, 결합부(130)는 탄성걸림후크(132) 및 걸림후크홈(134)을 포함한다.
탄성걸림후크(132)는 제 2커버(120)의 양측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내측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고, 걸림후크홈(134)은 제 1커버(110)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어 탄성걸림후크(132) 각각을 수용하여 걸리는 역할을 한다.
물론, 탄성걸림후크(132)는 제 2커버(120)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탄성걸림후크(132)와 걸림후크홈(134)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탄성걸림후크(132)가 제 1커버(110)에 형성되고, 걸림후크홈(134)이 제 2커버(1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커버(110)와 제 2커버(120)는 일측을 힌지 연결하고, 타측에 결합부(1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노출홀부(112)를 통해 노출되는 분기케이블(200)의 중소형차속단자 군(220) 또는 대형차속단자군(230)은 차속센서에 쉽게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2 및 도 3에서처럼, 노출홀부(112)는 내측에 커넥터블록(142)을 형성한다.
이 커넥터블록(142)은 노출홀부(112) 내측에 억지 끼움될 수도 있고, 후크 결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노출홀부(112) 내측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커넥터블록(142)은 해당되는 중소형차속단자군(220) 각각 또는 대형차속단자군(230) 각각에 연결되는 커넥터핀(144)을 형성한다.
이 커넥터핀(144)은 중소형차속단자군(220)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 또는 대형차속단자군(230)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다.
즉, 커넥터핀(144)이 해당되는 차속센서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쉽게 접속되며, 분해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특히,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의 각 단자 개수는 대형차속단자군(230)의 각 단자 개수와 동일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넥터핀(144)은 일측을 중소형차속단자군(220) 각각 또는 대형차속단자군(230) 각각에 납땜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고, 타측을 차속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커넥터핀(144)은 커넥터블록(142)에 억지 삽입되거나 이중 사출 성형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커넥터블록(142)의 내측에 고정 형성된다.
물론, 커넥터블록(142)과 커넥터핀(144)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프로텍터(100)의 노출홀부(112)에는 커넥터핀(144)이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그래서, 중소형차속단자군(220) 또는 대형차속단자군(230)은 노출부(112)를 통해 간접적으로 노출된다.
한편, 분기케이블(200)은 프로텍터(100) 내부에 고정 형성되고, 노출홀부(112)를 통해 차속센서와 연결되는 부위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때, 분기케이블(200) 중 프로텍터(100)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기능 특히, 동일한 신호나 전원을 송수신하는 다수 개의 단자군들 중 대형차종이나 중소형과 같은 차종에 따라 특정한 단자군이 노출홀부(112)로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더욱 상세히, 분기케이블(200)은 주케이블부재(210), 중소형차속단자군(220) 및 대형차속단자군(230)을 포함한다.
주케이블부재(210)는 신호와 전원을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대형차속단자군(230)에 동시에 일대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주케이블부재(210)는 가요성을 갖는다. 물론, 이 주케이블부재(2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주케이블부재(210)는 메인연결부(211)와 솔레노이드밸브연결부(217) 및 유온센서연결부(218) 등을 형성한다.
여기서, 메인연결부(211)는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대형차속단자군(230)에 동시에 일대일로 외부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인연결부(211)는 메인커넥터하우징(212)과 연결되고, 이 메인커넥터 하우징(212)은 차량의 제어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신호와 전원을 직접적으로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메인연결부(211)는 제 1메인포트(213), 제 2메인포트(214), 제 3메인포트(215) 및 제 4메인포트(216)를 포함한다.
이 제 1메인포트(213), 제 2메인포트(214), 제 3메인포트(215) 및 제 4메인포트(216)는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차속센서와 시그널 신호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동시에, 대형차속단자군(230)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차속센서와 시그널 신호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메인연결부(211)에는 솔레노이드밸브연결부(217) 및 유온센서연결부(218) 각각에 일대일로 시그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포트들이 더 형성된다.
아울러,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은 주케이블부재(210)에 형성되어 메인연결부(211)에 일대일 대응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중소형차량에 설치된 차속센서의 시그널신호를 송수신하게 되고,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중소형차량일 경우, 이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은 프로텍터(100)의 노출홀부(112)로 노출되어 해당 차속센서와 접속 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은 메인연결부(211)의 제 1메인포트(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중소형차속포트(222), 제 2메인포트(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중소형차속포트(224), 제 3메인포트(215)와 전기적으로 연 결되는 제 3중소형차속포트(226) 및 제 4메인포트(2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4중소형차속포트(228)를 구성한다.
즉, 제 1메인포트(213), 제 2메인포트(214), 제 3메인포트(215) 및 제 4메인포트(216) 각각은 일대일로 제 1중소형차속포트(222), 제 2중소형차속포트(224), 제 3중소형차속포트(226) 및 제 4중소형차속포트(2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해당신호가 일대일로 송수신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은 신호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함께 구비한다.
한편, 대형차속단자군(230)은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주케이블부재(210)에 형성되고, 메인연결부(211)에 연결되며, 대형차량에 설치된 차속센서의 시그널신호를 송수신하게 되고,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대형차량일 경우, 이 대형차속단자군(230)은 프로텍터(100)의 노출홀부(112)로 노출되어 해당 차속센서와 접속 가능하게 된다.
이때, 프로텍터(100)는 중소형차량과 대형차량에 적용되는 모델에 따라 노출홀부(112)의 위치가 달라진다.
또한, 대형차속단자군(230)은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메인연결부(211)에 동시에 일대일로 연결됨으로써 분기케이블(200)은 차종에 따라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대형차속단자군(230)은 메인연결부(211)의 제 1메인포트(213)와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의 제 1중소형차속포트(222)에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 는 제 1대형차속포트(232), 메인연결부(211)의 제 2메인포트(214)와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의 제 2중소형차속포트(224)에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대형차속포트(234), 메인연결부(211)의 제 3메인포트(215)와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의 제 3중소형차속포트(226)에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대형차속포트(236) 및 메인연결부(211)의 제 4메인포트(216)와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의 제 4중소형차속포트(228)에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4대형차속포트(238)를 구성한다.
즉, 대형차속단자군(230)의 제 1대형차속포트(232), 제 2대형차속포트(234), 제 3대형차속포트(236) 및 제 4대형차속포트(238)는 제 1메인포트(213), 제 2메인포트(214), 제 3메인포트(215) 및 제 4메인포트(216) 각각에 일대일 연결됨과 동시에 제 1중소형차속포트(222), 제 2중소형차속포트(224), 제 3중소형차속포트(226) 및 제 4중소형차속포트(228) 각각에 일대일 연결된다.
그래서, 메인연결부(211)의 신호 및 전원은 일대일로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대형차속단자군(230)에 동시에 송수신된다.
따라서, 대형차속단자군(230)은 신호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함께 구비하고,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의 각 단자와 일대일로 연결된다.
한편,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대형차속단자군(230)은 성형 작업의 편의성 및 차속센서와 접속 용이함을 위해 주케이블부재(210)의 동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대형차속단자군(230)은 차종에 따라 소정 유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중소형차속단자군(220) 또는 대형차속단자군(230)은 프로텍터(100) 내측에 정위치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케이블부재(210)는 일측으로 중소형차속연결부(240)를 돌출 형성하고,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은 중소형차속연결부(240)에 형성된다.
그리고, 주케이블부재(210)는 일측으로 대형차속연결부(250)를 돌출 형성하고, 대형차속단자군(230)은 대형차속연결부(250)에 형성된다.
여기서, 중소형차속연결부(240)와 대형차속연결부(250)는 주케이블부재(210)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즉, 중소형차속연결부(240) 또는 대형차속연결부(250)는 프로텍터(100) 내측에 고정되도록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케이블부재(210)는 동시에 중소형차속연결부(240)와 대형차속연결부(250)를 형성하는데, 프로텍터(100)의 노출홀부(112)는 중소형차속연결부(240)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또는 대형차속연결부(250)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된다.
그래서, 주케이블부재(210)는 장착되는 차종에 따라 중소형차속연결부(240)를 접거나 대형차속연결부(250)를 접은 상태로 프로텍터(100)의 내측에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도 4에서는 대형차속연결부(250)가 주케이블부재(210)와 대향하게 접혀진 상태로 주케이블부재(210)를 프로텍터(100)에 장착하는 것이 도시된다.
물론, 프로텍터(100)의 노출홀부(112)가 중소형차속연결부(240)에 대응되는 위치와 대형차속연결부(250)에 대응되는 위치 각각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대형차속연결부(250) 또는 중소형차속연결부(240)가 접혀지지 않아도 된다.
아울러, 중소형차속연결부(240)와 대형차속연결부(2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처럼, 주케이블부재(210)는 메인연결부(211)와 중소형차속단자군(220) 및 대형차속단자군(230)을 일대일 대응되게 회로로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주케이블부재(210)는 회로의 겹침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측면에 회로를 인쇄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메인연결부(211)의 제 1메인포트(213)는 주케이블부재(210)의 하측면을 따라 제 1하측회로패턴(261)을 통해 제 1중소형차속포트(222)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2메인포트(214)는 주케이블부재(210)의 상측면을 따라 제 2상측회로패턴(262)을 통해 제 2대형차속포트(234)와 연결된다.
또한, 제 3메인포트(215)는 주케이블부재(210)의 상측면을 따라 제 3상측회로패턴(263)을 통해 제 3대형차속포트(236)와 연결된다.
아울러, 제 4메인포트(216)는 주케이블부재(210)의 하측면을 따라 제 4하측회로패턴(264)을 통해 제 4대형차속포트(238)와 연결된다.
또한, 제 1대형차속포트(232)는 주케이블부재(210)의 상측면을 따라 제 1상측회로패턴(265)을 통해 제 1하측회로패턴(261)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1상측회로패턴(265)과 제 1하측회로패턴(261)은 주케이블부재(210) 에 형성된 제 1비아(27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2중소형차속포트(224)는 주케이블부재(210)의 하측면을 따라 제 2하측회로패턴(266)을 통해 제 2상측회로패턴(262)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상측회로패턴(262)과 제 2하측회로패턴(266)은 주케이블부재(210)에 형성된 제 2비아(27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 3중소형차속포트(226)는 주케이블부재(210)의 하측면을 따라 제 3하측회로패턴(267)을 통해 제 3상측회로패턴(263)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3상측회로패턴(263)과 제 3하측회로패턴(267)은 주케이블부재(210)에 형성된 제 3비아(276)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4중소형차속포트(228)는 주케이블부재(210)의 하측면을 따라 제 4하측분기회로패턴(268)을 통해 제 4하측회로패턴(264)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 1비아(272)가 제 1상측회로패턴(265)과 제 1하측회로패턴(26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 제 2비아(274)가 제 2상측회로패턴(262)과 제 2하측회로패턴(26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 및 제 3비아(276)가 제 3상측회로패턴(263)과 제 3하측회로패턴(267)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것으로 한다.
물론, 메인연결부(211)와 중소형차속단자군(220) 및 대형차속단자군(230)이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도 8에서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방법은 주케이블 성형단계(S10), 주케이블 접는단계(S20), 주케이블 안착단계(S30) 및 프로텍터 조립단계(S40)를 포함한다.
주케이블 성형단계(S10)는 중소형차속단자군(220)을 갖는 중소형차속연결부(240)와 대형차속단자군(230)을 갖는 대형차속연결부(250)를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주케이블부재(210)를 성형하는 공정이다.
이때, 주케이블부재(210)는 메인연결부(211)를 형성하고, 이 메인연결부(211)와 중소형차속단자군(220)과 대형차속단자군(230)은 일대일로 대응되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주케이블 접는단계(S20)는 차종에 따라 준비되는 프로텍터(100)에 맞도록 중소형차속연결부(240) 또는 대형차속연결부(250)를 접는 공정이다.
즉, 대형차량에 장착할 경우, 중소형차속연결부(240)가 분기케이블(200)에 접하거나 접할 정도로 접혀진다.
반대로, 중소형차량에 장착할 경우, 대형차속연결부(250)가 분기케이블(200)에 접하거나 접할 정도로 접혀진다.
또한, 주케이블 안착단계(S30)는 최초 상태를 유지하는 즉, 접혀지지 않은 대형차속연결부(250) 또는 중소형차속연결부(240)를 해당되는 노출홀부(112)에 대응되도록 분리된 프로텍터(100) 내측에 안착하는 공정이다.
이때, 대형차속연결부(250) 또는 중소형차속연결부(240)는 커넥터핀(144)을 갖는 커넥터블록(142)을 형성하고, 이 커넥터블록(142)이 노출홀부(112)에 끼워진다.
물론, 커넥터핀(144)을 갖는 커넥터블록(142)이 노출홀부(112)에 형성된 상 태로, 대형차속연결부(250) 또는 중소형차속연결부(240)가 이 커넥터블록(142)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프로텍터 조립단계(S40)는 분리된 프로텍터(100)를 서로 결합하여 주케이블부재(210)를 보호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에서 프로텍터를 분리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에서 주케이블부재와 커넥터핀을 분리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에서 프로텍터에 주케이블부재의 불필요한 부위를 접은 상태로 안착한 상태를 보인 조립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케이블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케이블부재에 인쇄된 회로패턴의 배열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케이블을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로텍터 110,120: 제 1,2커버
130: 결합부 142: 커넥터블록
144: 커넥터핀 200: 분기케이블
210: 주케이블부재 211: 메인연결부
213~216: 제 1~4메인포트 220: 중소형차속단자군
222,224,226,228: 제 1~4중소형차속포트
230: 대형차속단자군 232,234,236,238: 제 1~4대형차속포트
240: 중소형차속연결부 250: 대형차속연결부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연결부를 갖는 주케이블부재;
    상기 주케이블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연결부에 연결되며, 중소형차량의 차속센서와 접속되는 중소형차속단자군; 및
    상기 중소형차속단자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주케이블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연결부에 연결되며, 대형차량의 차속센서와 접속되는 대형차속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소형차속단자군과 상기 대형차속단자군은 가요성을 갖는 상기 주케이블부재의 동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케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케이블부재는 일측으로 중소형차속연결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중소형차속단자군은 상기 중소형차속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케이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케이블부재는 일측으로 대형차속연결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대형차속단자군은 상기 대형차속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케이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연결부는 제 1,2,3,4메인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소형차속단자군은 상기 제 1,2,3,4메인포트 각각에 일대일 연결되는 제 1,2,3,4중소형차속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대형차속단자군은 상기 제 1,2,3,4메인포트 각각에 일대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 1,2,3,4중소형차속포트 각각에 일대일 연결되는 제 1,2,3,4대형차속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케이블.
  6. 설정된 위치에 노출홀부를 형성한 프로텍터; 및
    동일한 기능의 단자군들 중 차종에 따라 특정한 단자군을 상기 노출홀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프로텍터 내부에 형성되는 분기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케이블은,
    외부로부터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연결부를 갖는 주케이블부재;
    상기 주케이블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연결부에 연결되며, 중소형차량의 차속센서와 접속되고, 상기 노출홀부에 일치될 경우 상기 프로텍터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소형차속단자군; 및
    상기 중소형차속단자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주케이블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연결부에 연결되며, 대형차량의 차속센서와 접속되고, 상기 노출홀부에 일치될 경우 상기 프로텍터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대형차속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노출홀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케이블의 일부를 안착하기 위해 양측으로 개방된 제 1안착홈을 갖는 제 1커버;
    상기 제 1안착홈에 대응되게 제 2안착홈을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여 상기 분기케이블의 나머지를 안착 고정하도록 상기 제 1커버에 형성되는 제 2커버; 및
    상기 제 1커버와 상기 제 2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2커버의 양측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내측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탄성걸림후크; 및
    상기 제 1커버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후크 각각을 수용하여 걸리도록 하는 걸림후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홀부는 커넥터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블록은 노출되는 단자군 각각에 접속되는 커넥터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10. 삭제
  11. 중소형차속단자군을 갖는 중소형차속연결부와 대형차속단자군을 갖는 대형차속연결부를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주케이블부재를 성형하는 주케이블 성형단계;
    차종에 따라 준비되는 프로텍터에 맞도록 상기 중소형차속연결부 또는 상기 대형차속연결부를 접는 주케이블 접는단계;
    최초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대형차속연결부 또는 상기 중소형차속연결부를 해당되는 노출홀부에 대응되도록 분리된 프로텍터 내측에 안착하는 주케이블 안착단계; 및
    분리된 상기 프로텍터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주케이블부재를 보호하는 프로텍터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방법.
KR1020090069531A 2009-07-29 2009-07-29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KR10092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531A KR100925535B1 (ko) 2009-07-29 2009-07-29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531A KR100925535B1 (ko) 2009-07-29 2009-07-29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535B1 true KR100925535B1 (ko) 2009-11-05

Family

ID=4156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531A KR100925535B1 (ko) 2009-07-29 2009-07-29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5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31B1 (ko) * 2013-06-26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KR101430132B1 (ko) 2013-06-26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변속기용 에프피씨타입의 배선장치
KR101479084B1 (ko) * 2013-06-10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185A (ja) 2002-06-25 2004-01-29 Yazaki Corp 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200423113Y1 (ko) * 2006-05-26 2006-08-02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분기케이블
KR200441805Y1 (ko) * 2007-08-20 2008-09-08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185A (ja) 2002-06-25 2004-01-29 Yazaki Corp 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200423113Y1 (ko) * 2006-05-26 2006-08-02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분기케이블
KR200441805Y1 (ko) * 2007-08-20 2008-09-08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84B1 (ko) * 2013-06-10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자동변속기 하네스 모듈
KR101430131B1 (ko) * 2013-06-26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KR101430132B1 (ko) 2013-06-26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변속기용 에프피씨타입의 배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3236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US7594452B2 (en)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0925535B1 (ko) 분기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및 그 방법
US6189396B1 (en) Control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electrohydraulically controlled transmission
KR101380571B1 (ko) 자동 변속기 제어용 연성회로기판
US5941137A (en) Controller for a motor vehicle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US6544138B2 (en) Electro-hydraulic module for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KR101214606B1 (ko)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US8210975B2 (en) Automatic transmission
JPH07103930B2 (ja)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のフェールセーフ制御装置
JP5071648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6656075B2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CA2410239A1 (en) Oil pressure control mechanism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1430131B1 (ko) 차량의 변속기용 배선장치
KR101430132B1 (ko) 차량의 변속기용 에프피씨타입의 배선장치
CN206723431U (zh) 车辆、自动变速器及其连接组件和电子控制系统
CN103791078A (zh) 变速箱后副箱保护系统、变速箱后副箱保护方法及变速箱
KR200423113Y1 (ko) 분기케이블
KR20070008021A (ko) 차량용 더블 클러치 엑츄에이터
US5505284A (en) Device for selective actuation of electric solenoid in a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by a vehicle electronic control module
JP5071649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967689B1 (ko) 자동변속기의 전기배선구조
KR100510972B1 (ko) 자동변속기의 커넥터 구조
US20020086758A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630251B1 (ko) 농업용 주행작업 차량의 전자식 핸드 클러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