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616B1 - 반사형 금속 단열재 - Google Patents

반사형 금속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616B1
KR101478616B1 KR20140047206A KR20140047206A KR101478616B1 KR 101478616 B1 KR101478616 B1 KR 101478616B1 KR 20140047206 A KR20140047206 A KR 20140047206A KR 20140047206 A KR20140047206 A KR 20140047206A KR 101478616 B1 KR101478616 B1 KR 10147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ngular
heat insulating
heat
insulating sheet
triangula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영
전현익
송기오
우종인
Original Assignee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4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616B1/ko
Priority to PCT/KR2014/013109 priority patent/WO201516356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형 금속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각각이 금속의 박판으로 만들어져 복수 개가 적층되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와, 단면 형상이 일자형인 직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삼각부와 제2 삼각부는 상기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열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열시트가 적층될 때 상기 제1 삼각부와 이웃한 다른 단열시트의 제2 삼각부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형상적인 특징으로 최적의 열 차폐효과를 가지며, 높은 단열 성능뿐만 아니라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 없어 구조적인 안정성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사형 금속 단열재{Reflection type metal insulator}
본 발명은 반사형 금속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물에 시공되어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로 열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다층구조의 반사형 금속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특정 시설물의 주요 기기의 단열을 위해 여러 형태의 단열재가 사용되며, 폴리스틸렌폼이나 우레탄폼, 유리면, 암면, 폴리에틸렌폼 등이 주로 사용된다.
폴리스틸렌폼은 흔히 스티로폼이라고 부르는 단열재로, 가공이 쉽고 부피의 98% 이상이 공기로 구성되어 있어 가볍기 때문에 수요가 가장 많은 단열재이다. 그러나 다른 단열재에 비해 내열 온도가 낮고, 화재 시 유해 가스가 발생하며, 방향족 탄화수소계의 유기용제에 쉽게 녹는 단점이 있다. 우레탄폼은 원하는 모양으로의 성형이 쉽고 단열 성능이 우수하나,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유리면이나 암면 등의 무기질 단열재는 열에 강하고 접합부의 시공성이 우수하나 기계적인 성질이 우수하지 못해 무거우며, 벽체에는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폴리에틸렌폼은 기계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내구성이 약하고 유기용제에 쉽게 용해되며, 가연성이 있어 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술한 기존의 단열재가 갖는 단점을 해소하고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6817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반사형 금속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반사 단열구조는 유연한 섬유층과, 제1 표면의 복사율이 낮고 제1 표면이 섬유층에 대향한 상태로 부착되는 유연한 금속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반사형 금속 단열재는 단열 성능이 우수하기는 하나 일반적인 건축물의 내장이나 외장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구조적 안정성 및 높은 단열 성능이 요구되는 원자로 냉각제 계통의 주요 기기나 배관의 단열에는 사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는 높은 단열 성능과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68178호(등록일 2007년 01월 0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도, 대류, 복사열에 의한 열 전달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반사형 금속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는, 각각이 금속의 박판으로 만들어져 복수 개가 적층되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와, 단면 형상이 일자형인 직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삼각부와 제2 삼각부는 상기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열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열시트가 적층될 때 상기 제1 삼각부와 이웃한 다른 단열시트의 제2 삼각부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삼각부와 제2 삼각부는 상기 직선부를 사이에 두고 한 개씩 교대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열시트는 상기 제1 삼각부 및 직선부가 한 개씩 교대로 복수 개 형성되고, 한 개의 상기 제2 삼각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삼각부 및 직선부, 상기 제2 삼각부의 배치가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삼각부와 제2 삼각부의 폭(A)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의 폭(A)과 상기 직선부의 폭(C)은 1:1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의 높이(B, B')가 3mm 일 때, 상기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의 폭(A)과 상기 직선부의 폭(C)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상적인 특징으로 최적의 열 차폐효과를 가지며, 높은 단열 성능뿐만 아니라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 없어 구조적인 안정성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시트의 열 유동 해석을 위한 단위 모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열의 이동은 복사, 대류, 전도에 의해 이루어지며, 단열 성능이 좋은 단열재는 세 가지 열의 이동을 모두 효과적으로 차폐하거나 열 전달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복사에 의한 열 전달의 차폐는 복사열의 흡수가 적은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금속과 같이 표면이 매끄럽고 빛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사열을 낮추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단열재의 재료는 보통 반사율이 좋은 금속 박판이 사용되며, 알루미늄 블랭킷(blanket), 표면을 금속박판으로 처리한 블랭킷, 알루미늄 박판으로 표면을 처리한 석고보드, 특수합금이나 열반사 코팅 처리한 철판 열반사 보온재 등이 있다.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은 단열재의 층간 간격을 정밀하게 설계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는데, 단열재의 층간 간격이 작을수록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최소화하기 좋다. 단열재의 층간 간격이 클수록 대류를 일으킬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이 급속히 증가해 단열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단열재의 층간 간격이 너무 작아지면 전도에 의한 열 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층간 간격을 갖는 단열재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에 의한 열 전달은 물체 간의 직접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며,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소재인 금속 자체가 열 전도율이 높으므로, 각 단열재 층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이거나 단열재 층의 단면적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단열재 층간의 접촉은 면접촉이나 선접촉 보다는 점접촉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복사, 대류, 전도에 의한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10)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10)는 복수 개가 적층되며 각각이 금속의 박판으로 만들어진 단열시트(200)와, 단열시트(200)를 수납하여 단열시트(200)를 지지하는 하우징(10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단열시트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판재 형태로,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단열시트(200)의 적층 형상에 대응하여 박스형으로 만들어지며, 설치면의 형상에 따라 반사형 금속 단열재(10)의 전체적인 형상은 판형 또는 원통형 등으로 달라진다.
반사형 금속 단열재(10)가 평평한 설치면에 설치되는 경우, 하우징(100)은 박스형태를 갖게 되며, 반사형 금속 단열재(10)는 두께가 있는 판형이 된다. 하우징(100)은 적층된 단열시트(200)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단열시트(200)의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면과, 적층된 단열시트(200)의 전후좌우 면에 각각 접촉되는 면으로 이루어진다. 반사형 금속 단열재(10)가 파이프 등과 같은 원통형의 설치면에 부착되는 경우, 단열시트(200)는 적층되어 하우징(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원통형으로 성형되므로 반사형 금속 단열재(10)는 곡면을 원통형으로 둘러싸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에 단열시트(200)가 적층된 상태로 수납됨으로써 단열시트(200)의 층간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나 용접 등의 과정 없이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은 단열시트(200)의 적층된 높이 및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시트(200)는 박판 형태로 만들어지며,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단열시트(200)의 두께는 단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으므로 생산성이나 무게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0.06mm 내외에서 1mm 이하 정도의 두께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단열시트(200)는 복수 개가 서로 점 접촉되도록 적층되며, 이러한 구조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시트(200)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삼각부(210)와, 단면이 삼각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삼각부(230)와, 제1 삼각부(210) 및 제2 삼각부(230)의 사이를 연결하며 단면이 일자형인 직선부(214)로 구성된다.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는 직선부(250)를 사이에 두고 한 개씩 교대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직선부(25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제1 삼각부(210)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후, 다시 직선부(250)가 형성되고 제2 삼각부(230) 한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삼각부(210)와 한 개의 제2 삼각부(230)가 배치된 형태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가 한 개씩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삼각부(230)가 제1 삼각부(210)의 사이에 비연속적이고 불규칙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가 한 개씩 형성된 후 직선부(250)가 형성되고, 이러한 패턴이 반복될 수도 있다.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는 복수의 단열시트(200)가 서로 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배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단열시트(200)를 적층할 때, 위에서 보았을 때 이웃한 단열시트(200)간의 접촉이 서로 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시트(200)를 위에서 보면,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의 꼭지점 부분이 하나의 직선으로 보이는데, 단열시트(200) 한 장을 놓고 다른 단열시트(200)를 적층할 때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의 직선 부분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교차하도록 적층함으로써 이웃한 단열시트(200)가 서로 점 접촉하도록 적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한 단열시트(200) 간의 각도는 30도, 60도, 90도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이웃한 단열시트(200)가 서로 직각을 이루며 적층된 것을 예로 하였다(이웃한 단열시트 간 접촉이 점 접촉을 유지한다면 적층 각도에 제한되지 않음).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가 직선부(250)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하나씩 배치된 단열시트(200)의 경우, 맨 위에 적층된 단열시트(200)의 제2 삼각부(230)는 바로 아래 두번째에 배치된 단열시트(200)의 제1 삼각부(210)에 점 접촉된다. 두번째 단열시트(200)의 제2 삼각부(230)는 그 아래 세번째 단열시트(200)의 제2 삼각부(230)에만 점 접촉된다. 반대로 맨 아래에 적층된 단열시트(200)의 제1 삼각부(210)는 바로 위에 적층되는 단열시트(200)의 제2 삼각부(230)에만 접촉되며, 바로 위 적층된 단열시트(200)의 제1 삼각부(210) 역시 그 위에 적층되는 단열시트(200)의 제2 삼각부(230)에만 접촉된다. 이와 같이, 단열시트(200)간의 접촉이 점 접촉이 되므로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도에 의한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열시트(200)가 삼각형의 단면과 일자형의 단면을 교대로 갖는 것은, 반구형이나 사인형의 파형에 비해 삼각파형이 압축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크기 때문에 다른 형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열시트(200)의 구조를 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열시트(200)가 삼각형의 단면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단열시트(200)의 면적이 증가하여 전도와 대류, 복사에 의한 열 전달이 모두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단열시트(200)가 일자형의 단면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단열시트(200)간 결합을 위해 별도의 고정장치 또는 고정이 필요해 추가 공정 및 제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면서도 적절한 단열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삼각형의 단면과 일자형의 단면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1 삼각부(210) 또는 제2 삼각부(230)의 꼭지점부터 직선부(250)를 잇는 가상의 중심선까지의 수직 높이(이하 삼각부의 높이로 정의하기로 함, B, B')는 3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삼각부(210)의 높이(B)와 제2 삼각부(230)의 높이(B')를 더한 단열시트(200)의 높이(B+B')는 6mm 이내가 된다. 또한, 단열시트(200)의 높이는 서로 점접촉하는 단열시트(200)간의 간격이 된다.
단열시트(200)간 간격이 6mm 보다 작을 때에는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나, 간격이 6mm 보다 커지면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대류에 의한 열 전달량이 급속히 증가한다. 따라서 단열시트(200)간 간격은 6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의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이하 제1 삼각부 또는 제2 삼각부의 폭이라고 정의함, A)은 서로 동일하며, 이들과 직선부(250)의 폭은(C) 1:1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삼각부(210)와 제2 삼각부(230), 직선부(250)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삼각부(210)의 폭(A)이 10mm라고 하면, 제2 삼각부(230)의 폭(A) 및 직선부(250)의 폭(C) 역시 10mm가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시트의 열 유동 해석을 위한 단위 모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제1 삼각부(210) 또는 제2 삼각부(230)의 폭(A)에 따른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위 형상을 만들어 열 유동을 수치해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값이 도출되었다(이때,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의 높이(하기 표에서 'pitch'로 표시함)는 3mm로 고정하고, 폭은 5mm, 10mm, 15mm로 가변하였으며, 열원의 온도는 76.85도(350K)로 설정하고, 박판의 두께는 0.7mm로 설정하였음.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의 형상이 단위 형상의 열 유동 수치해석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로 판재를 구성했을 뿐, 이는 전술한 하우징 역할을 하지 않음).
Pitch 5mm Pitch 10mm Pitch 15mm
열 전달 요소 상부 판재 온도(℃)
전도 38.48 38.32 38.22
전도+대류 38.48 38.32 38.22
전도+복사 40.09 39.82 39.86
전도+대류+복사 40.09 39.82 39.86
Pitch 5mm Pitch 10mm Pitch 15mm
열 전달 요소 총 열 유속(W/㎡)
전도 58.19 57.37 56.83
전도+대류 58.19 57.38 56.85
전도+복사 66.21 64.86 65.04
전도+대류+복사 66.22 64.87 65.07
표 1은 단위 형상의 열 유동 수치해석 결과에 따른 제1 삼각부(210) 및 제2 삼각부(230)의 폭에 따른 상부 판재의 온도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열 전달 요소에 따른 총 열 유속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의하면 제1 삼각부(210) 및 제2 삼각부(230)의 높이가 3mm일 때, 제1 삼각부(210) 및 제2 삼각부(230)의 폭이 10mm 일 때가 상부 판재의 온도가 가장 낮아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 전달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표 2에 의하면, 전도나 대류 어느 하나의 요소에 의한 열 전달 측면에서는 제1 삼각부(210) 및 제2 삼각부(230)의 폭이 15mm 인 경우가 유리하다. 그러나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총체적인 열 전달 측면에서는 제1 삼각부(210) 및 제2 삼각부(230)의 폭이 5mm 또는 15mm인 경우 열 전달량이 증가하므로 제1 삼각부(210) 및 제2 삼각부(230)의 폭이 10mm일 때보다 불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제1 삼각부(210) 및 제2 삼각부(230)의 폭이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형상을 갖는 단열시트(200)는 복수 개가 적층되고 하우징(100)와 결합되어 반사형 금속 단열재(1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단열시트(200)는 형상적으로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치로 설계되므로 적층 개수가 늘어나더라도 대류에 의한 열 전달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단열시트(200)는 최소 10장 이상 적층되는 것이 전도에 따른 열 전달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며, 15장 이상 적층될 수 있다. 적층되는 단열시트(200)의 수가 많아지면 전도에 따른 열 전달은 좀더 증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열시트(200)가 점 접촉하도록 적층되므로 전도에 의한 열 전달에 적게 영향을 준다. 대신 적층되는 단열시트(200)의 수가 많아지면 복사열에 대한 저항이 높아진다. 즉, 복사에 의한 열 전달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단열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단열시트(20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지는 경우, 열 복사가 적게 일어나므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는 단열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 등과 같은 특수 시설물뿐만 아니라 주거용이나 상업용 건축물이나 산업용 건축물과 같은 일반 시설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반사형 금속 단열재 100: 하우징
200: 단열시트 210: 제1 삼각부
230: 제2 삼각부 250: 직선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각각이 금속의 박판으로 만들어져 복수 개가 적층되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와, 단면 형상이 일자형인 직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삼각부와 제2 삼각부는 상기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열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열시트가 적층될 때 상기 제1 삼각부와 이웃한 다른 단열시트의 제2 삼각부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되며,
    상기 제1 삼각부와 제2 삼각부의 폭(A)은 동일하며,
    상기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의 폭(A)과 상기 직선부의 폭(C)은 1:1 비율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의 높이(B, B')가 3mm 일 때, 상기 제1 삼각부 및 제2 삼각부의 폭(A)과 상기 직선부의 폭(C)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KR20140047206A 2014-04-21 2014-04-21 반사형 금속 단열재 KR10147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7206A KR101478616B1 (ko) 2014-04-21 2014-04-21 반사형 금속 단열재
PCT/KR2014/013109 WO2015163560A1 (ko) 2014-04-21 2014-12-31 반사형 금속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7206A KR101478616B1 (ko) 2014-04-21 2014-04-21 반사형 금속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616B1 true KR101478616B1 (ko) 2015-01-15

Family

ID=5258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7206A KR101478616B1 (ko) 2014-04-21 2014-04-21 반사형 금속 단열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8616B1 (ko)
WO (1) WO201516356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543B2 (ko) * 1981-07-27 1991-07-11 Texas Instruments Inc
JPH0893988A (ja) * 1994-09-28 1996-04-12 Nichias Corp 金属断熱装置
JP3045543B2 (ja) 1990-06-12 2000-05-29 デービット ケイ. ベンソン 改良されたコンパクトな真空断熱材
JP2001138043A (ja) 1999-11-08 2001-05-22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サンドイッ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543B2 (ko) * 1981-07-27 1991-07-11 Texas Instruments Inc
JP3045543B2 (ja) 1990-06-12 2000-05-29 デービット ケイ. ベンソン 改良されたコンパクトな真空断熱材
JPH0893988A (ja) * 1994-09-28 1996-04-12 Nichias Corp 金属断熱装置
JP2001138043A (ja) 1999-11-08 2001-05-22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サンドイ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3560A1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951B1 (ko) 유리용 안테나 유닛, 안테나 구비 유리판, 및 유리용 안테나 유닛의 제조 방법
KR100741951B1 (ko)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US20050042416A1 (en) Insulation system having vacuum encased honeycomb offset panels
CN103971761A (zh) 核电站可实现辐射屏蔽的金属反射型保温板
CN105736902B (zh) 用于金属反射绝缘材料的内部热绝缘材料
CN105065859A (zh) 一种核级设备及管道用金属反射型保温层
KR101478616B1 (ko) 반사형 금속 단열재
KR200487623Y1 (ko) 열 반사 복합 단열재
JP2014005872A (ja) 真空断熱体
KR100731302B1 (ko) 난방판넬
CN204986234U (zh) 一种核级设备及管道用金属反射型保温层
KR101628192B1 (ko) 반사형 금속 단열재
KR101927987B1 (ko) 철골 조립식 중공벽 패널구조
JP2018021423A (ja) 耐火木質部材
KR200415012Y1 (ko)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20220158839A (ko) 단열 콘크리트 샌드위치 벽 패널용 불연성 에지
KR20140124581A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패널과 이의 배치구조
KR20060102949A (ko) 일방향 차열구조물 및 이를 적용한 판넬형 가열히터
JP7075103B1 (ja) 耐火パネルの嵌合構造
CN109616228B (zh) 一种中间填屏蔽材料的复合功能金属保温层
JP7387955B2 (ja) 断熱床構造
JPS6334824B2 (ko)
JPS63130998A (ja) 複層断熱材
KR20120097909A (ko) 건축용 단열 패널
CN221221755U (zh) 复合风管及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