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541B1 -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541B1
KR101478541B1 KR20130030095A KR20130030095A KR101478541B1 KR 101478541 B1 KR101478541 B1 KR 101478541B1 KR 20130030095 A KR20130030095 A KR 20130030095A KR 20130030095 A KR20130030095 A KR 20130030095A KR 101478541 B1 KR101478541 B1 KR 10147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gent
liquid penetration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532A (ko
Inventor
강용석
Original Assignee
아진레이어 주식회사
강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진레이어 주식회사, 강용석 filed Critical 아진레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54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7Non-superficial impregnation or infiltration of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계면 활성제 25~35중량부, 친환경 초산 비닐 에멀젼 5~12중량부, 트레거 캔스(tragacanth) 고무 2~6중량부를 용해 분산 시킨 후, 스테아린산 아연 10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소포제 3~5중량부, 증점제 5~8중량부를 첨가하고 소듐 실리케이트 2~8중량부와 수분산 SBR 라텍스를 1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렌딩하여 제조되는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트레거 캔스(tragacanth) 고무를 사용하는 특징에 의하여 무기질계의 무독성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모세 공극에 깊숙히 침투해서 구조체 수밀성 확보가 가능하고, 직·간접 수압을 받는 콘크리트의 방수 / 방습이 가능하며, 습윤면 및 협소공간 시공이 용이하고 접착성, 침투성, 내투수 저항성 등에서 고기능 효과를 발휘하는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WaterProof Agent}
본 발명은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계면 활성제 25~35중량부, 친환경 초산 비닐 에멀젼 5~12중량부, 트레거 캔스(tragacanth) 고무 2~6중량부를 용해 분산 시킨 후, 스테아린산 아연 10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소포제 3~5중량부, 증점제 5~8중량부를 첨가하고 소듐 실리케이트 2~8중량부와 수분산 SBR 라텍스를 1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렌딩하여 제조되는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에서의 방수는 아스팔트방수, 시트방수, 액체방수, 도막방수 등 여러 가지가 있고, 이는 방수목적 및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단독 또는 이들을 복합적으로 시공한다.
그 중 액체방수는 욕실, 베란다, 발코니, 다용도실, 지하실 등 주로 시공되는 것으로, 지방산염, 지방산, 파라핀 에멀젼, 수지 에멀젼, 수용성 수지 등의 유기질계 재료를 시멘트, 물, 모래와 함께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들어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탕면에 발라 방수층을 형성한다.
종래의 액체방수공법을 일례로 살펴보면, 하기 특허문헌 1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515호(기계식 분사를 이용한 건축용 콘크리트면의 시공방법)는 콘크리트면의 표층부를 습윤처리(wetting)하는 단계(S1단계); 상기 콘크리트면의 표층부에 1:45 내지 1:50 중량비율의 침투재와 물로 이루어진 제1혼합물을 상기 표층부로부터 35 내지 45㎝ 이격시켜 50 내지 60bar로 침투시키는 단계(S2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표층부에 시멘트 40 내지 60 중량부, 규사 10 내지 20 중량부, 무기 충진재 5 내지 10 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0.1 내지 5 중량부, 무수석고 0.1 내지 5 중량부, 천연화이바(fiber) 0.1 내지 0.3 중량부, 활성점토 0.1 내지 2 중량부, 고유동화제 0.2 내지 0.7 중량부, 소포제 0.15 내지 0.5 중량부, 경화촉진제 0.1 내지 0.2 중량부, 경화지연제 0.1 내지 0.2 중량부, 무기안료 0.1 내지 5 중량부, 수축저감재 0.1 내지 0.5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을 포함하는 제2혼합물을 0.3 내지 0.5㎜ 두께로도포하여 접착강화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3단계); 상기 접착강화층에 방수재, 시멘트 및 물로 이루어진 제3혼합물을 15 내지 30 bar로 1 내지 1.3㎜ 두께로 도포하여 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4단계); 및 상기 후막방수층에 시멘트 및 모래로 이루어진 제4혼합물을 5 내지 6㎜ 두께로 방수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S5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공법에서와 같이 종래의 액체방수공법에서는 바탕면과 시멘트 모르터 사이에 표면박리현상으로, 수밀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접착강화층을 별도로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탕면과 친화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핵심과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액체방수제는 시공 후 바탕면의 침투깊이가 낮아 방수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515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기질계의 무독성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콘크리트 모세 공극에 깊숙히 침투해서 구조체 수밀성 확보가 가능하고, 직·간접 수압을 받는 콘크리트의 방수 / 방습이 가능하며, 습윤면 및 협소공간 시공이 용이하고 접착성, 침투성, 내투수 저항성 등에서 고기능 효과를 발휘하는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체 침투 방수제는, 계면 활성제 25~35중량부, 친환경 초산 비닐 에멀젼 5~12중량부, 트레거 캔스(tragacanth) 고무 2~6중량부를 용해 분산 시킨 후, 스테아린산 아연 10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소포제 3~5중량부, 증점제 5~8중량부를 첨가하고 소듐 실리케이트 2~8중량부와 수분산 SBR 라텍스를 1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렌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면 활성제는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옥탄올, 클로헥산올, 고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소비탄지방산에스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체 침투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전처리 단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누수부위를 지수제를 시공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지수제 처리 단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액체 침투 방수제를 도포하여 1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층 위에 시멘트 40중량%,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 40 중량 % 및 물 20 중량%를 배합 후 도포 시공하여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 위에 액체 침투 방수제를 도포하여 2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 위에 시멘트 65중량%,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 15 중량 % 및 물 20 중량%를 배합 후 도포 시공하여 2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2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 위에 보호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트레거 캔스(tragacanth) 고무를 사용하는 특징에 의하여 무기질계의 무독성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모세 공극에 깊숙히 침투해서 구조체 수밀성 확보가 가능하고, 직·간접 수압을 받는 콘크리트의 방수 / 방습이 가능하며, 습윤면 및 협소공간 시공이 용이하고 접착성, 침투성, 내투수 저항성 등에서 고기능 효과를 발휘하는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체 침투 방수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체 침투 방수제는 계면 활성제 25~35중량부, 친환경 초산 비닐 에멀젼 5~12중량부, 트레거 캔스(tragacanth) 고무 2~6중량부를 용해 분산 시킨 후, 스테아린산 아연 10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소포제 3~5중량부, 증점제 5~8중량부를 첨가하고 소듐 실리케이트 2~8중량부와 수분산 SBR 라텍스를 1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렌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폴리옥시에티렌에 노닐페놀이 에테르결합한 것인데 막가용화에 이용되는 것 외에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의 용제로서도 사용한다. 제품으로는 에멀전계계면활성제 트리톤N-101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친환경 초산 비닐 에멀젼은 접착제로 작용하며, 초산 비닐(polyvinyl acetate) 아세틸렌(acetylen)과 초산으로 부터 생성되는 초산 비닐을 촉매재료로 사용하여 부가중합(附加重合)시켜 얻는 에멀젼 상태의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색, 무미, 무취, 무해이고 감온성이 커서 0℃에서 부서지며 40℃에서 접착성이 생기며 연화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트레거 캔스(tragacanth) 고무는 트래건스고무 또는 트래거캔스라고도 한다. 소아시아·이란 등지에 나는 콩과나무의 줄기에서 채취되는 고무 모양의 분비물이 공기 속에서 굳은 것이다. 시판품은 흰색·노란색을 띤 가루 또는 각상(角狀) 물질이다. 주성분은 천연고무와 같은 탄화수소가 아니라 자일로스·갈락투론산계의 탄수화물(다당류)이며, 이 밖에 녹말·셀룰로스·무기물질을 함유한다. 흡수성이지만 대부분은 물에 분산할 뿐 완전히 녹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증점제(增粘劑), 에멀션의 안정제, 보호점활제(保護粘滑劑)로서 크림·리니먼멘트제·아이스크림 등의 식료품에 사용되고, 또 일부는 의약의 수렴제로 사용되며, 무독성이며 친환경적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스테아린산 아연은 활성이 우수하고 독성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며 무독성 활제, 살포제 또는 분산제로 작용한다.
상기 소포제(消泡劑:antifoaming agent)는 혼합 과정 또는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한 기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소포제로는 일반적으로 휘발성이 적고 확산력이 큰 기름상의 물질, 또는 수용성의 계면활성제가 이용된다.소포작용에는 거품을 깨는 작용과 거품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예를 들면, 에탄올은 전자의 작용이 있어 생성된 거품을 없앨 수 있으나 거품발생을 방지할 수는 없다. 또 실리콘유는 후자의 작용이 있어 거품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도 생성된 거품을 없앨 수는 없다. 소포제로는 일반적으로 휘발성이 적고 확산력이 큰 기름상의 물질, 또는 수용성의 계면활성제가 이용된다. 전자에는 옥탄올·시클로헥산올·기타 고급알코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후자에는 소비탄지방산에스터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기타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그 밖에 실리콘 소포제는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용도가 매우 넓다.
상기 증점제(增粘劑: thickener)는 콜로이드 용액, 고분자 용액 등에 가하여 이들의 것의 점도를 증진시켜,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 접착제, 시멘트, 라텍스, 도료, 화장품 등에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액체 침투 방수제의 점도를 조절하여 취급 및 사용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실리카(SiO2 : 60.08) 28.0~38.0% 및 산화나트륨(Na2O : 61.98) 9.0~19.0%를 함유하는 성분으로 부식방지제, 완충화제 및 pH 조정제로 작용한다.
상기 수분산 스티렌ㆍ브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Latex)는 대표적인 신소재 합성 고무의 일종으로, 스티렌과 브타디엔을 1대 3의 비율로 유화제(乳化劑)를 사용하여 공중합(共重合)한 것이다. 상기 수분산 스티렌ㆍ브타디엔 라텍스는 천연 고무(NR)에 비해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고 내열성, 내노화성(耐老化性),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상기한 과정 및 구성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액체 침투 방수제는 친환경, 고성능, 무독성의 수용성 혼합물로서 시멘트 성분 중 유리석회 및 수화 전 시멘트 성분과 반응하여 불용성 겔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적 겔을 구성하는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는 콘크리트의 공극과 균열을 봉합하여 콘크리트로 침투하는 습기와 수분을 제한하며, 모체의 미세공극에 강력히 침투하여 수밀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신축콘크리트는 물론 기존 콘크리트 내부의 유리 수화물과 반응하여 콘크리트를 수밀하게 하고 강도, 표면강도 및 내구성 향상시켜 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체 침투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체 침투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공법은 크게 전처리 단계, 지수제 처리단계, 액체 침투 방수제층을 도포하는 단계,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 2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을 도포하는 단계, 2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 보호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전처리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처리 단계는 시공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로, 바탕면에 부착된 먼지, 레이턴스, 거푸집 박리제, 기름, 페인트 등 방수층이 박리될 수 있는 이물질은 완전히 제거한다. 또한, 돌출부위는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평탄하게 제거하고, 패인부위나, 약한 부위, 들뜬 부위 등은 사전에 철저히 체크하여 폭과 깊이가 최소한 2㎝ 이상이 되도록 파취하여 표면을 깨끗이 손질하고, 보수몰탈제로 씰링 및 보수하여 평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처리 단계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강도보강으로 방수 도막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구조물의 내구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포장된 부실한 몰탈층과, 이에 흡착된 이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표면의 허니컴(Honey Comb), 균열(Crack), 콜드 죠인트(Cold Joint), 폼타이 구멍(Form Tie Hole), 목심, 번선 등은 철저히 체크하여 폭과 깊이가 최소한 2㎝이상 되도록 치핑(chipping), 파취 및 보수하여 표면을 완벽히 정리 정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지수제 처리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수제 처리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누수부위를 지수제를 시공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지수제 처리단계는 일반적으로 국부적인 누수 부위가 있으면 실시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누수가 되는 부위를 깊이와 폭을 2㎝이상, V나 U형으로 컷팅하고, 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하여 지수 준비를 충분히 실시한다. 이 후, 지수제를 필요한 양(量) 만큼 용기에 넣고, 예를 들면 V 컷한 홈의 규격이 2㎝ x 2㎝ x 1m인 경우 0.6~0.7 Kg을 용기에 넣고, 깨끗한 물을 용적비율로 약 30% 첨가하여 반죽하며, 발열 건조가 시작될 때 컷팅 된 표면에 채우면서 손이나 도구로 눌러서 지수제 처리한다.
다음으로, 액체 침투 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본 발명의 액체 침투 방수제를 도포하여 1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의 도포는 스프레이 건, 롤러, 붓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일 실시예로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를 스프레이 건(Spray Gun)으로 0.1 ~ 0.3ℓ/㎡의 사용량으로 분사하여 0.03 ~ 0.1mm이하의 시공두께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 위에 시멘트 40중량%,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 20 중량 % 및 물 40 중량%를 배합 후 도포 시공하여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고성능, 무독성의 수용성 혼합물인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 배합물을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시멘트 성분 중 유리석회 및 수화 전 시멘트 성분과 반응하여 불용성 방수 겔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적 겔을 구성하는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는 콘크리트의 공극과 균열을 봉합하여 콘크리트로 침투하는 습기와 수분을 제한하며, 모체의 미세공극에 강력히 침투하여 수밀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신축콘크리트는 물론 기존 콘크리트 내부의 유리 수화물과 반응하여 콘크리트를 수밀하게 하고 강도, 표면강도 및 내구성 향상시켜 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게 된다.
그 후, 상기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 위에 2차로 액체 침투 방수제를 도포하여 2차 액상 침투성 방수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 위에 시멘트 65중량%,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 20 중량 % 및 물 15 중량%를 배합 후 도포 시공하여 2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2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 위에 보호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보호 몰탈은 상기 2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 위에 스프레이 건(Spray Gun)을 사용하여 시멘트 1 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3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변체의 경우 6~9㎜, 바닥의 경우 10~20㎜의 두께로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정을 거치는 액체 침투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공법은 친환경적이며 무독성이라는 재질의 특성상 건축 분야에 있어서는 지하층 바닥, 벽체, 전기실, 기계실 내부, 화장실, 발코니, 수영장, 물탱크, 정화조, 공동구 핏트등에 사용이 가능하며, 토목 분야에서는 배수지, 하수, 페수처리장, 토목공동구, 전력구, 통신구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계면 활성제 25~35중량부, 친환경 초산 비닐 에멀젼 5~12중량부, 트레거 캔스(tragacanth) 고무 2~6중량부를 용해 분산 시킨 후,
    스테아린산 아연 10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소포제 3~5중량부, 증점제 5~8중량부를 첨가하고 소듐 실리케이트 2~8중량부와 수분산 스티렌브타디엔 라텍스를 15~30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렌딩하여 제조되는 액체 침투 방수제.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침투 방수제.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옥탄올, 클로헥산올, 고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소비탄지방산에스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침투 방수제.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포제는 옥탄올, 클로헥산올, 고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소비탄지방산에스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침투 방수제.
  5. 청구항 제 1항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액체 침투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전처리 단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누수부위를 지수제를 시공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지수제 처리 단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액체 침투 방수제를 도포하여 1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층 위에 시멘트 40중량%,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 40 중량 % 및 물 20 중량%를 배합 후 도포 시공하여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1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 위에 액체 침투 방수제를 도포하여 2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액체 침투 방수제층 위에 시멘트 65중량%, 상기 액체 침투 방수제 15 중량 % 및 물 20 중량%를 배합 후 도포 시공하여 2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2차 액체 침투 방수제 페이스트층 위에 보호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침투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130030095A 2013-03-21 2013-03-21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47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095A KR101478541B1 (ko) 2013-03-21 2013-03-21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095A KR101478541B1 (ko) 2013-03-21 2013-03-21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532A KR20140115532A (ko) 2014-10-01
KR101478541B1 true KR101478541B1 (ko) 2015-01-05

Family

ID=5198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0095A KR101478541B1 (ko) 2013-03-21 2013-03-21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781B1 (ko) 2015-06-19 2017-11-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액체 방수제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8059390B (zh) * 2017-12-11 2020-06-12 北京奇想达新材料有限公司 砂基透气控水防渗颗粒及其制备方法
KR102477423B1 (ko) * 2022-01-12 2022-12-13 안상로 친환경 방수 공법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방수 시공 방법
CN116477864B (zh) * 2023-03-23 2024-02-23 万舟伟业(北京)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抗裂防水密实剂、制备方法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468A (ja) 1998-07-16 2002-07-09 ラファルジュ ビチューメンエマルション、ビチューメンエマルションを得る方法およびビチューメンエマルションを含む組成物
KR20060081715A (ko) * 2003-09-18 2006-07-13 암콜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수분-침투성 코팅을 포함하는 수분-불침투 수팽창성 점토함유 방수 부재
KR100871318B1 (ko) 2007-05-29 2008-12-01 이봉규 콘크리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합성라텍스의 제조방법
KR100971910B1 (ko) 2009-12-07 2010-07-26 (주) 수향방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방수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468A (ja) 1998-07-16 2002-07-09 ラファルジュ ビチューメンエマルション、ビチューメンエマルションを得る方法およびビチューメンエマルションを含む組成物
KR20060081715A (ko) * 2003-09-18 2006-07-13 암콜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수분-침투성 코팅을 포함하는 수분-불침투 수팽창성 점토함유 방수 부재
KR100871318B1 (ko) 2007-05-29 2008-12-01 이봉규 콘크리트 개질제용 카르복실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합성라텍스의 제조방법
KR100971910B1 (ko) 2009-12-07 2010-07-26 (주) 수향방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방수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532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94830B (zh) 一种聚合物水泥防水涂料
KR1018930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325879B1 (ko) 방수용 화이버 몰탈 시멘트 조성물
KR101478541B1 (ko)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400065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를 사용하는 방수공법
KR101311699B1 (ko) 내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2195453B1 (ko) 방수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용 균열 보수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KR102355324B1 (ko)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1348348A (zh) 高保水混凝土养护剂
CN113174153A (zh) 多功能防水增强涂料及其制备方法、施工方法
KR20000070336A (ko) 침투성 방수제, 방수재,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누수 방지 방법
CN106673485A (zh) 一种防水剂、防水抗裂砂浆及自防水建筑结构
KR101796069B1 (ko) Opf를 포함하는 폭렬 방지용 내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공법
JP201721081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保全工法および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塗布材
CN102898066B (zh) 抗根穿刺自粘防水卷材用环保型水性粘接剂及其制备方法
KR100230689B1 (ko)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KR101719486B1 (ko) 방수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
KR101311703B1 (ko) 불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마감용 뿜칠 시공방법
KR20020058948A (ko) 침투성 물 흡수 방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KR101804307B1 (ko) 침투형 콘크리트 방수제
KR101687186B1 (ko) 바닥 시멘트 모르타르의 폴리싱이 가능한 보습성 피막 양생제 조성물
KR20010016764A (ko) 복합 방수구조를 갖는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EP1015520B1 (en) High concentration silane emulsions for rendering absorbent substrates water repellent
CN106318048B (zh) 一种免砸砖隐形修复液
KR101112579B1 (ko) 비노출 친환경 다기능 복합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