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324B1 -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324B1
KR102355324B1 KR1020210070747A KR20210070747A KR102355324B1 KR 102355324 B1 KR102355324 B1 KR 102355324B1 KR 1020210070747 A KR1020210070747 A KR 1020210070747A KR 20210070747 A KR20210070747 A KR 20210070747A KR 102355324 B1 KR102355324 B1 KR 10235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ded
vinylpyridine
magnesia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영
이선구
남원우
박민재
정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향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향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향알앤디
Priority to KR102021007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09D1/0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08K2003/34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가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아크릴아마이드 70~90중량부, 규사 60~80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50~70중량부, 2-비닐피리딘 40~60중량부, 4-비닐피리딘 30~5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40중량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10~30중량부, 이소뷰틸렌 5~15중량부 및 1,3-뷰타디엔 3~5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Silica-based waterproof ag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aterproof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시아 시멘트에 아크릴아마이드, 규사, 비닐아세테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이소뷰틸렌 및 1,3-뷰타디엔을 혼합하여 압축강도와 접착력이 증대되고 흡수비 및 투수비가 우수해지는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이나 기타 토목 구조물에서는 습기가 침투하거나 수압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그 콘크리트 표면의 방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같은 종래의 방수재로는 무기질 도포형 시멘트 방수재, 침투형 방수재, 규질산계 방수재, 분말형 방수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수재 중 무기질계 침투성 방수재는, 등록특허 10-09524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방수 작업을 위한 사용시 시멘트와 물에 의해 경화된 후 시멘트의 수화시 칼슘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염이 발생되며, 또한 실리카 성분이 시멘트 수화시 발생한 염과 반응하여 Cao·Sio3 와 같은 불용성 결정체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불용성 결정물이 시멘트 공극 사이를 채우게 되어 수밀성이 제공되어 방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기질계 침투성 방수재는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수압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적인 상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우수한 방수성이 제공되지만 수압이 강하게 작용하는 지하실과 같은 구조물의 형성시에는 그 방수 공사시 접착력이 약하고 물 흡수비와 투수비가 높아 수압에 견디지 못하므로 누수가 발생되고 박리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시멘트계 분말형 방수재는, 지하 구조물 등 수압의 영향을 받는 부위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하 3층 이상, 즉 3kgf/cm2 이상의 압력을 받는 곳에서는 들뜸 현상과 같이 모체인 지하 구조물로부터 방수층이 형성되기 전에 생기는 수압의 영향으로 방수층 박리현상의 발생 및 방수층의 취약 부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멘트계 분말형 방수재는, 판유리 분말의 점도가 높아 시멘트 중의 칼슘과 급속히 반응하게 되고 이에, 단시간에 시멘트와 함께 겔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극의 표면에만 침투가 된 상태에서 결정이 형성되어 용탈, 내구성저하, 차수성능저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네시아 시멘트에 아크릴아마이드, 규사, 비닐아세테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이소뷰틸렌 및 1,3-뷰타디엔을 혼합하여 접착력이 증대되고 흡수비가 감소되며 부착강도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는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가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아크릴아마이드 70~90중량부, 규사 60~80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50~70중량부, 2-비닐피리딘 40~60중량부, 4-비닐피리딘 30~5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40중량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10~30중량부, 이소뷰틸렌 5~15중량부 및 1,3-뷰타디엔 3~5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표면이 청소되는 단계와; 상기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물 또는 아크릴에멀전과 혼합된 후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되어 방수 시공이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시아 시멘트에 아크릴아마이드, 규사, 비닐아세테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이소뷰틸렌 및 1,3-뷰타디엔을 혼합하여 접착력이 증대되고 흡수비가 감소되며 부착강도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는, 마그네시아 시멘트에 아크릴아마이드, 규사, 비닐아세테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이소뷰틸렌 및 1,3-뷰타디엔이 첨가 및 혼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는,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아크릴아마이드 70~90중량부, 규사 60~80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50~70중량부, 2-비닐피리딘 40~60중량부, 4-비닐피리딘 30~5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40중량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10~30중량부, 이소뷰틸렌 5~15중량부 및 1,3-뷰타디엔 3~5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은,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가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아크릴아마이드 70~90중량부, 규사 60~80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50~70중량부, 2-비닐피리딘 40~60중량부, 4-비닐피리딘 30~5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40중량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10~30중량부, 이소뷰틸렌 5~15중량부 및 1,3-뷰타디엔 3~5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그네시아 시멘트는, 물과의 혼합시 수화반응에 의한 겔을 형성하고 강도 등 물리성능을 확보하며 공극에 침투하고 분리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한 경화제로서, 산화 마그네슘을 염화 마그네슘 용액에 섞어 만든 시멘트이다.
여기서, 마그네시아 시멘트는, 상기 첨가되는 조성물들에 대하여 100중량부를 가지는데, 100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물리성능이 부족하게 되고, 10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물과 혼합되는 중에 경화가 발생되어 이송이나 주입 또는 도포를 위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부피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아마이드는, 방수층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 중합체 계열에 속하는 수지성, 섬유성, 탄력성 물질이다.
여기서, 아크릴아마이드는,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70~9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70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발수성이 저하되고, 9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접착력과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사는, 방수 공사시 방수층의 고형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실리카 샌드 인 것이 좋다.
여기서, 규사는,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60~8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60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전체 고형분 함량이 적어 방수층의 시공시 두께 확보가 어렵고, 8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물과의 혼합시 전체적으로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물리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아세테이트는, 내열성, 강인성, 내염성, 내약품성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강도, 고강성 및 내열성 기능을 통하여 방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비닐아세테이트는,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7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0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강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7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탄성도가 저하되어 외부 충격에 쉽게 방수층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비닐피리딘은, 조성물들의 흡착 및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들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에 조성물들의 반응을 종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2-비닐피리딘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40~6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40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조성물들의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져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6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조성물들의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져 교반성과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4-비닐피리딘은, 2-비닐피리딘과 함께 방수성과 내마모성을 제공하여 투수비와 흡수비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서, 과산화물, 빛, 열 등에 의해 쉽게 중합을 일으키고 중합사슬 사이의 다리 걸침을 일으켜 혼합물의 결합 및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4-비닐피리딘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30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투수비와 흡수비가 저하되고, 5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높은 점도로 인하여 교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로니트릴은, 방수층의 향상된 내충격 강도를 제공하고 내열성, 내습성 및 기계적 물성을 제공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여기서, 아클릴로니트릴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4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0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내충격 강도가 저하되고, 4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 교반성이 저하되고 오히려 딱딱하게 굳어져 접착력이 저하되고 이에 콘크리트 표면과 분리가 쉽게 일어나 방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로니트릴은, 내구성,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후성과 부식 억제 기능을 제공하고 콘크리트의 표면에 침투되어 부착강도와 인성을 개선시킨다.
여기서, 메타아클릴로니트릴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10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부착강도가 저하되고, 3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점도가 증가되어 침투성 저하 및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뷰틸렌은, 방수층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물질이다.
여기서, 이소뷰틸렌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15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점도가 낮아져 접착력이 저하되고 제조 안정성도 저하되며, 15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져 분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3-뷰타디엔은, 방수층의 인장강도와 탄성 등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1,3-뷰타디엔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가 첨가되는데, 3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교반성이 작어지고 제조 안정성이 저하되며, 5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유기 용매와의 교반성이 커지게 되어 점도 유지가 어렵고 오히려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가 준비된 후,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아크릴아마이드 60중량부, 규사 50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40중량부, 2-비닐피리딘 70중량부, 4-비닐피리딘 6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50중량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40중량부, 이소뷰틸렌 20중량부 및 1,3-뷰타디엔 10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어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제조된다.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가 준비된 후,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아크릴아마이드 80중량부, 규사 70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60중량부, 2-비닐피리딘 50중량부, 4-비닐피리딘 4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0중량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20중량부, 이소뷰틸렌 10중량부 및 1,3-뷰타디엔 5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어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제조된다.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가 준비된 후,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아크릴아마이드 100중량부, 규사 90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80중량부, 2-비닐피리딘 30중량부, 4-비닐피리딘 2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0중량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5중량부, 이소뷰틸렌 3중량부 및 1,3-뷰타디엔 1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어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의 방수 성능 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와 물(또는 아크릴에멀전)이 1 : 0.5 내지 1의 비율로 혼합 제조되어 도포된 뒤 24시간이 경과되도록 한 후 3일, 7일 28일간 양생한 뒤,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흡수시험 등이 실시되었고, 이를 시제품 '중앙방수기업(주)' 제품, '한양방수(주)' 제품 및 '삼호특수(주)' 제품과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그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63206048-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부착강도와 압축강도는 일반 시중의 제품에 비해 향상되었고 흡수량은 일반 시중의 제품에 비해 감소됨을 알 수 있는 바, 이는 시공후, 정적 및 동적 하중에 의해서도 방수층이 박리될 가능성이 전혀 없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결국 방수성능의 현저한 향상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옥상이나 기타 토목 구조물에 있어 습기가 침투할 수 있거나 수압의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물을 차단할 수 있는 바, 이는 콘크리트 표면과의 통기성이 우수하며 접착성, 탄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흡수성 및 투수성 등의 방수 성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는, 도포 층의 경화 시간이 단축되므로 기존의 방수층에서 침투성분의 충분한 침투시까지 모체가 견디어야 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기존방수재 보다 안정화되었으며, 통기성이 확보되어 일부 아크릴 에멀젼 첨가 제품의 불통기성으로 인한 방수층 형성 후 침투성분의 불침투성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시공되기 위한 콘크리트 표면이 청소 및 처리된다.
여기서, 콘크리트 표면의 청소는, 콘크리트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 오염물, 또는 오일을 제거하고 시공될 표면의 돌출부가 매끄럽게 처리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물 또는 공지의 아크릴에멀전과 함께 1 : 0.5 내지 1의 비율로 혼합된 후,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되어 방수 시공이 실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시아 시멘트에 아크릴아마이드, 규사, 비닐아세테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이소뷰틸렌 및 1,3-뷰타디엔을 혼합하여 접착력이 증대되고 흡수비가 감소되며 부착강도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

  1.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가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에 상기 마그네시아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아크릴아마이드 70~90중량부, 규사 60~80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50~70중량부, 2-비닐피리딘 40~60중량부, 4-비닐피리딘 30~5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40중량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10~30중량부, 이소뷰틸렌 10중량부 및 1,3-뷰타디엔 3~5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2. 콘크리트 표면이 청소되는 단계와;
    제1항에 따른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가 물 또는 아크릴에멀전과 혼합된 후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되어 방수 시공이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10070747A 2021-06-01 2021-06-01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5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47A KR102355324B1 (ko) 2021-06-01 2021-06-01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47A KR102355324B1 (ko) 2021-06-01 2021-06-01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324B1 true KR102355324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747A KR102355324B1 (ko) 2021-06-01 2021-06-01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3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759B1 (ko) * 2022-03-15 2022-04-25 권도훈 콘크리트 구조물 하자보수 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90756B1 (ko) * 2022-03-15 2022-04-25 권도훈 초속경 도로보수 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90753B1 (ko) * 2022-01-27 2022-04-25 권영재 차수 시공용 아크릴계 주입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수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613A (ko) * 2002-11-21 2004-05-31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규산질계 침투성 방수재와 단열 및 결로 방지 도료를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2014141364A (ja) * 2013-01-23 2014-08-07 Bekku Kk 表面処理材
KR101470344B1 (ko) * 2014-07-04 2014-12-09 최종윤 방수 및 발수 기능 있는 고유동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2030105B1 (ko) * 2018-12-17 2019-10-08 티알피건설(주) 분말형 무기질 도포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078845B1 (ko) * 2019-03-13 2020-02-18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분말형 무기질 도포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228695B1 (ko) * 2020-10-21 2021-03-16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탄성 몰탈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613A (ko) * 2002-11-21 2004-05-31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규산질계 침투성 방수재와 단열 및 결로 방지 도료를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2014141364A (ja) * 2013-01-23 2014-08-07 Bekku Kk 表面処理材
KR101470344B1 (ko) * 2014-07-04 2014-12-09 최종윤 방수 및 발수 기능 있는 고유동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2030105B1 (ko) * 2018-12-17 2019-10-08 티알피건설(주) 분말형 무기질 도포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078845B1 (ko) * 2019-03-13 2020-02-18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분말형 무기질 도포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228695B1 (ko) * 2020-10-21 2021-03-16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탄성 몰탈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753B1 (ko) * 2022-01-27 2022-04-25 권영재 차수 시공용 아크릴계 주입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수공법
KR102390759B1 (ko) * 2022-03-15 2022-04-25 권도훈 콘크리트 구조물 하자보수 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90756B1 (ko) * 2022-03-15 2022-04-25 권도훈 초속경 도로보수 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324B1 (ko)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630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공법
KR1010422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제 조성물
KR1010627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방식 기능을 가지고 있는 침투형 보호코팅제 및 그 시공방법
KR102043857B1 (ko) 탄성 무기질 도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발수 공법
KR101711910B1 (ko) 무기질과 아크릴이 포함된 친환경 수용성 방수재 겸 도장재용 도료를 이용한 방수 방오 컬러 도장공법
KR20060102384A (ko) 침투 발수 기능과 방수성을 가지는 실리콘 레진 에멀젼피막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174153A (zh) 多功能防水增强涂料及其制备方法、施工方法
KR100797597B1 (ko) 아크릴 연질수지로 보호 피막이 형성된 수용성 에폭시를함유한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보수 및중성화 및 염해방지용 처리제 제조방법 및 그 보수공법
KR100956956B1 (ko)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방수제의 시공방법
KR102341122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16248C (zh) 包含防水层的混凝土结构及形成该结构的方法
KR100599586B1 (ko) 구조물의 균열보수제 및 이의 적용방법
KR102078845B1 (ko) 분말형 무기질 도포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9980075891A (ko) 노출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제
KR100882840B1 (ko) 방수페인트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방수페인트조성물
KR101916821B1 (ko) 수용성 우레탄 고분자를 포함하는 sbr 변성 아크릴-우레탄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5268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중성화 방지를 위한 표면보호제의 제조및 이를 이용한 신규 건축구조물과 보수 건축구조물의중성화 방지 공법
KR101478541B1 (ko) 액체 침투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032800B1 (ko) 복합단열패널
KR10215811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배면차수 및 균열보수보강 동시시공 난연주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배면차수 및 균열보수보강 동시시공공법
KR102160724B1 (ko) 다목적 실리콘 균열 보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공법
KR102030105B1 (ko) 분말형 무기질 도포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719486B1 (ko) 방수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