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550B1 -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550B1
KR101477550B1 KR1020130058612A KR20130058612A KR101477550B1 KR 101477550 B1 KR101477550 B1 KR 101477550B1 KR 1020130058612 A KR1020130058612 A KR 1020130058612A KR 20130058612 A KR20130058612 A KR 20130058612A KR 101477550 B1 KR101477550 B1 KR 10147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ssembly
substrate
transparent resin
view
view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744A (ko
Inventor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13005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55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뷰 패드 조립체(300)는, 진동 전달에 의한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제어하기 위해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R) 처리되어 형성되고 두께가 주어진 사각형 형상의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층상으로 형합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공부(210)가 타공 되고 그 타공된 개공부(210)의 간격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을 갖는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리브(220)를 포함하는 보강 스크린 기판(200), 보강 스크린 기판(200) 위에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이 층상으로 증착된다. 이에 따라 얇고 투명도가 높으면서도 굽힘 강도가 강화되고 경량화를 통해 취급이 용이한 이중마루용 보강 뷰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CONSTRUCTION VIEW PANEL STRUCTURE OF ACCESS FLOOR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고 투명도가 높으면서도 강화된 굽힘 강도와 경량화로 취급이 용이한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마루 시스템은 전산실, 기계실, 반도체 장비실 및 일반 사무실 등에서 별도의 배관 또는 전선 트레이를 설치하지 않고 패널을 통하여 전선 및 통신선의 배선과 주요 장비의 집중공조가 가능하도록 기초 바닥에서 떨어뜨려 높이 공간을 형성하는 건축 내부 바닥 설치 구조물이다.
이중마루 시스템에서 새로 설치되는 바닥재는 통상 직사각형의 패널로 마무리 되어 지며, 소재로는 철판, 목재, 알루미늄, 주물재 등이 주로 사용되어 진다.
이중마루가 설치된 상부공간에서 바닥의 패널을 들어내지 않고 패널 하부에 설치된 각종 장비 또는 배관의 게이지나 밸브류 등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패널을 들어내고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투명한 수지 소재로 제작된 뷰 패널(view panel)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뷰 패널의 소재로 사용되는 수지는 사출이나 압연으로 제조된 것이 아니고 수지를 유리 금형 사이에 넣어 중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강도 보강을 목적으로 패널의 두께를 증가시켜 제조하는 경우 중합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중합시 발생 되는 발열반응에 의해 불량률이 높아지며 제조도 어려워진다. 아울러 제조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도 있다. 두께를 증가시켜 두껍게 제조한 수지 소재라 하더라도 중량물에 의한 부분적인 파손이 일어나면 그 영향에 의해 일시에 깨져 바닥으로 낙하 되는 위험을 초래하므로 장비의 운반과 이동시 주의하지 않으면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보행시에도 마찬가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마류용 뷰 패널은 기기의 반송 및 보행에 의한 마찰 등에 의해서 발생한 정전기가 대전하기 쉽기 때문에 각종 정전기 방지기술, 또는 대전 방지기술들이 보조적으로 제공되어 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조도 어려웠으며, 투명도가 낮았고 두께가 두꺼워 다루기 힘들다(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1091호, '마루패널의 대전방지장치' 참조). 또한 굽힘 강도가 낮아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었으며,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109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도가 높은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께가 얇으면서도 투명도와 굽힘강도가 높은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화를 통해 취급이 용이한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마루용 뷰 패널은, 진동 전달에 의한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제어하기 위해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어 형성되고 두께가 주어진 사각형 형상의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을 층상으로 형합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공부가 타공 되고 그 타공된 개공부의 간격 사이들에 형성되어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을 갖는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보강 스크린 기판; 상기 보강 스크린 기판 위에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이 층상 구조로 증착된 뷰 패널 조립체; 및, 상기 뷰 패널 조립체를 인서트 매입형으로 조립하는 케이싱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싱 패널은, 상기 뷰 패널 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뷰 패널 조립체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받침대가 포함된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의 받침대는 상기 뷰 패널 조립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의 표면과 나란한 평면에 이를 수 있도록 뷰 패널 조립체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프레임 내벽에 위치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이 갖는 네 개의 변들 중 서로 대응하는 어느 한쪽의 양변 또는 서로 대응하는 각 방향 양변을 따라 손으로 잡거나 도구를 끼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산화물이 포함된 자외선 경화도료 또는 전도성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혼용하여 표면을 코팅함으로서 대전방지 성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공부는 보강 스크린 기판이 정사각형 기판인 조건에서 그 배열 형식이 하기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보강 스크린 기판의 대각선을 가상 축으로 그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위치에 적어도 2 개 이상 타공 되어 정렬된 제1 개공부들; 상기 제1 개공부들의 외곽 주변 또는 간격 사이에 형성되어 대각선들과 평행한 양변을 가지며 대각선을 중심으로 측변은 원호를 갖는 변으로 타공된 제2 개공부들; 및 상기 제2 개공부들의 외곽 방향에 형성된 제3 개공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보강 스크린 기판은 금속재료 중에서 선택된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을 일체로 결합 체결하는 나사 체결부와 나사머리 수용부가 각 변들을 따라 근접하는 중심부 근처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머리 수용부는 보강 스크린 기판의 이면부에 확장형으로 형성된 이중마루 뷰 패널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뷰 패널 조립체의 사각형 전체 표면적이 케이싱 패널의 면적에 비해 좁은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 패널은, 상기 뷰 패널 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뷰 패널 조립체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다수의 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단차턱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차턱은 상기 뷰 패널 조립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표면과 나란한 평면에 이를 수 있도록 상기 뷰 패널 조립체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프레임 내벽에 위치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제조 방법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oly styrene resin), 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resi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혼합 성형하여 두께와 표면을 가지는 패널 상의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과 형합 가능한 두께와 표면을 가지도록 정사각형 패널 또는 직사각형 패널 상으로 제작하는 동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개구공을 대각선을 가상축으로 하여 형성하는 보강 스크린 기판 제조 단계; 상기 보강 스크린 기판 위에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을 올려놓고 보강 스크린 기판 상에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을 증착하는 증착 단계;를 포함하는 뷰 패널 조립체 제조 단계; 및 상기 뷰 패널 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의 내벽을 따라 상기 뷰 패널 조립체를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받침대가 포함된 서포터를 통해 상기 뷰 패널 조립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표면과 나란한 평면에 이를 수 있도록 뷰 패널 조립체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프레임 내벽에 위치 결정하여 상기 뷰 패널 조립체를 인서트 매입형으로 조립하는 케이싱 패널 조립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제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증착단계에서는 보강 스크린 기판 위에 투명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거나 제조 완료된 투명완충패드를 증착하여 지지층을 형성하는 이재질 투명층 증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두께가 얇고 투명도가 높으면서도 굽힘 강도를 강화하고 경량화를 통해 취급이 용이한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가 내진 및 완충재로서 작용하여 다기능화된 뷰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의 제조에서 비교적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다양한 이용 목적과 사양에 부합하는 최적화된 뷰 패널 조립체를 경제적으로 제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설치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수지 마스크 패널로서 (a)는 사시도, (b)는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스크린 패널로서 (a)는 사시도, (b)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스크린 패널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 패널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 패널 조립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뷰 패널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a)는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포함하는 조립체, (b)는 투명완충패드를 삽입한 지지층을 포함하는 조립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패널로서 (a)는 사시도, (b)는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패널로서 (a)는 사시도, (b)는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패널이 적용된 뷰 패널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패널이 적용된 뷰 패널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3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전달에 의한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제어하기 위해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R) 처리되어 형성되고 두께가 주어진 사각형 형상의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이 구성된다.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의 구체적인 형상의 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투명수지로 분류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S: poly styrene resi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polycarbonate resin), 염화비닐 수지(PVC: polyvinyl chloride resin)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투명수지를 원료로 패널형상의 마스크 기판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층상으로 형합하여 하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공부(210)를 타공 하고 그 타공된 개공부(210)의 간격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하중, 즉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을 통해 전달되는 종하중을 지지하는 내력을 갖는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리브(220)를 포함하는 보강 스크린 기판(200)이 구성된다.
상기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구체적인 형상의 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부 하중에 대한 내력을 갖는 다양한 소재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철판 등의 금속계열소재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료를 기판으로 성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스크린 기판(200) 위에 층상으로 증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보강 뷰 패널 조립체(300)는, 도 8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스크린 기판(200) 위에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층상으로 증착하여 구성되고,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과 보강 스크린 기판(200) 사이에 투명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B) 또는 투명완충패드를 삽입한 지지층(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재질 투명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착층(B)을 형성하는 투명접착제로는 아크릴산 수지 접착제(acrylic resin adhesive), 라텍스 접착제, 폴리머 실런트, 실리콘 실런트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지층(C)을 형성하는 투명완충패드로는 투명 고무판(rubber pad), 고무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두께는 대략 0.5 ~ 1.5mm 두께가 적당하다. 두꺼우면 전체 두께가 증가하여 슬림화에 불리하다. 얇으면 슬립 차단 및 완충재로서의 성능이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두께 범위가 바람직한 두께로 선택된다.
어느 것이나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과 보강 스크린 기판(200) 사이 접촉면에 증착되어 횡방향으로 전달되는 미끄럼 하중에 대하여 면 슬립을 줄여주고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에 전달되는 종방향 하중에 대하여 물성적으로 완충재(buffer material)로 기능함으로서 기판(100)이 깨지거나 부서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보완하는 보조제로 기능 한다.
이러한 접착층(B)은 투명접착제를 보강 스크린 기판(200)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층(C)은 별도의 투명완충패드를 제조 또는 상용화된 것을 선택한 후 보강 스크린 기판(200)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증착하고 체결 나사(130)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방법으로 증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도 증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300)의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이 갖는 네 개의 변들 중 서로 대응하는 어느 한쪽의 양변 또는 서로 대응하는 각 방향 양변을 따라 손으로 잡거나 도구를 끼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 관통 구멍(110)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110)은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상대측이 되는 보강 스크린 기판(200)과 조합하거나 해체 그리고 교체하는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110)의 홀 사이즈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크기가 적당하다. 이곳을 통해 손가락을 넣어서 기판을 들어올리거나 도구를 이용하여 들어올리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산화물이 포함된 자외선 경화도료, 또는 전도성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혼용하여 표면을 코팅 처리함으로써 뷰 패널 조립체(300)가 대전방지 성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 소재로 선택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oly styrene resi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resin), 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resin) 들은 경화 상태에서 전도성 고분자, 금속산화물이 포함된 자외선 경화도료, 또는 전도성 필름을 표면에 증착 코팅할 때 비교적 안정적으로 코팅층을 형성한다.이에 따라 뷰 패널 표면 마찰 등에 의해서 발생한 정전기 및 대전을 구조적으로 단순화된 간단한 코팅층 형성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조도 단순화된다.
또한, 보강 스크린 기판(200)에 형성하는 개공부(21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스크린 기판(200)이 정사각형 기판인 조건에서 그 배열 형식은,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대각선(D1)(D2)을 가상 축으로 그 대각선(D1)(D2)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 타공 되어 정렬된 제1 개공부(211)들을 형성하고, 제1 개공부(211)들의 외곽 주변 또는 간격 사이에 형성되어 대각선(D1)(D2)들과 평행한 양변을 가지며 대각선(D1)(D2)을 중심으로 측변은 원호를 갖는 변으로 타공된 제2 개공부(212)들을 형성하며, 제2 개공부(212)들의 외곽 방향에 형성된 제3 개공부(213)들을 두는 배열 형식일 수 있다.
그리고, 정해진 면적의 보강 스크린 기판(200) 상에 배열되는 개공부(213)의 구멍 사이즈, 배열 위치 및 갯 수, 조밀도 등은 전체 보강 스크린 기판(200)에 작용 되는 부하 하중에 대한 내력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와 동시에 투명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구멍이 작고 조밀도가 높을수록 낮은 투과도를 보여 와이드 한 시계 확보는 불가능하지만 적절한 내력이 주어진다. 구멍이 크고 조밀도가 높으면 시계 확보에 유리하지만 강도, 즉 내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기판 두께, 면적, 구멍 사이즈, 배열 위치 및 갯 수, 조밀도 등은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대각선(D1)(D2) 방향을 따라 양편 방향 대칭구조로 하여 전면적이 균일한 힘의 분포를 갖도록 결정한다.
여기서, 바람직한 구멍의 크기는 전체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면적을 100으로 할 때, 그 개공부(213)들의 총합 면적이 전체 보강 스크린 기판 면적에 대하여 50~60%를 점유하도록 하는 범위이다.
상기와 같은 개공부(210)들의 배열의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가상의 대각선(D1)(D2)을 따라 제1 개공부(211), 제2 개공부(212), 제3 개공부(213)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모든 개공부(210)들의 형상은 진동 전달에 의한 크랙 방지를 위해 각변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드(R1) 곡선으로 형성되었고, 모서리 부분도 마찬가지로 라운드(R) 형상으로 처리된다.
개공부(210)들의 형상은 제1 개공부(211)가 라운드 형상의 정삼각형이고, 제2 개공부(212)는 한쪽에 타원형이 복합된 형상이며, 제3 개공부(213)는 정삼각형이면서 제1 개공부(211)에 대응하는 역삼각형의 형상이 개공부(210)의 바람직한 배열 형상으로 선택되었다.
또한, 보강 스크린 기판(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중에서 선택된 소재 중 값이 싼 흔히 쓰여 지는 철판을 모재로 사용할 수 있다.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료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일체로 결합 체결하는 나사 체결부(214)와 나사머리 수용부(215)가 각 변들을 따라 근접하는 중심부 근처에 형성되고 나사머리 수용부(215)는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이면부에 확장형으로 형성되어 체결 나사(130)를 결합하면, 나사머리 수용부(215)에 안착되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대 구조물, 예를 들면 케이싱 패널(400)에 안착하는 경우 체결 나사(130)의 나사머리 돌출 길이에 의한 들뜸 없이 평면적으로 균일하면서도 정밀하게 결합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3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 패널 조립체(300)를 인서트 매입형으로 조립하는 케이싱 패널(4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뷰 패널 조립체(300)의 사각형 전체 표면적이 케이싱 패널(400)의 면적에 비해 좁도록 구성되어 뷰 패널 조립체(300)는 케이싱 패널(400)의 수용공간(410)에 안착 된다.
케이싱 패널(400)은, 도 9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 패널 조립체(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10)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420), 프레임(420)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뷰 패널 조립체(300)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41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받침대(440)가 포함된 서포터(430)를 포함한다. 받침대(440)는 "ㄱ"자형 앵글을 프레임(420) 내벽을 따라 장착하여 위에서 수용공간(410)을 따라 인서트 되는 뷰 패널 조립체(300)를 아래에서 받쳐주면서 지지한다. 도면에는 프레임(420)의 내벽 형상을 따라 4개의 서포터(430)를 장착한 예가 나타나 있다. 서포터(430)의 받침대(440)는 뷰 패널 조립체(300)가 수용공간(410)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프레임(420) 표면과 나란한 평면에 이를 수 있도록 뷰 패널 조립체(300)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프레임(420) 내벽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패널(4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 패널 조립체(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10)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420), 프레임(420)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뷰 패널 조립체(300)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4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다수의 리브(460)가 일체로 형성된 단차턱(450)을 구성하여 뷰 패널 조립체(300)를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차턱(450)은 뷰 패널 조립체(300)가 수용공간(410)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프레임(420) 표면과 나란한 평면에 이를 수 있도록 뷰 패널 조립체(300)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프레임(420) 내벽에 위치결정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차턱(450) 그리고 리브(460)를 포함하는 케이싱 패널(400)의 서포터(43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금형 공정을 통해 별도의 부착 공정을 생략하여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서포터(430)로서 받침대(440)를 케이싱 패널(400)의 프레임(420) 내벽에 장착하여 뷰 패널 조립체(300)를 안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저면 사시도 이다. 도 12는 서포터(430)로서 단차턱(450)과 리브(460)를 케이싱 패널(400)의 프레임(420) 내벽에 일체로 형성하여 뷰 패널 조립체(300)를 안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저면 사시도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마루 뷰 패널 조립체(3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명수지를 사용하여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제조한다. 사용하는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의 소재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oly styrene resi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resin), 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resin)계 중에서 선택하거나 이와 유사 계열 군들의 수지 중에서 선택한다. 투과율 그리고 내구성, 내충격성, 난연성, 표면강도, 성형성, 기계적 성질 등이 우수한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은 경화된 투명수지 물성의 참고 예이고, 표 2는 재료의 장단점을 비교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물성적으로 재료 성능이 다르고 각 소재들은 장단점들을 공유함을 알 수 있다.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 소재로 안정적인 것은 PMMA가 가장 안정적인 이고 투명성, 내구성의 장점을 가지지만 내습성과 성형성이 불충분하다.
삭제
투명수지(플라스틱) 물성의 예
투명수지재료 투과율(%) 선팽창계수 rockwell경도(M) 열변형온도(℃) 굴곡강도
PMMA 90 ~ 94 6 ~ 8 80 ~ 110 75 ~ 110 910 ~ 1120
PS 85 ~ 88 5 ~ 7 70 ~ 75 65 ~ 105 550 ~ 950
PC 80 ~ 85 5 70 ~ 75 130 ~ 140 950 ~ 1100
PVC 76 ~ 80 5 68 ~ 70 80 ~ 105 900
투명수지(플라스틱) 물성적 장단점
투과율 순위 장 점 단 점
PMMA 1 투명성, 내구성 내습성, 성형성
PS 2 내열성, 내충격성 성형성, 표면강도
PC 3 내습성, 난연성 성형성, 내열성
PVC 4 성형성, 내습성 복굴절, 기계적 성질
표 1의 재료들은 모두 투명수지들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으로 사용 가능한 재료들이다.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제조는,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과 형합 가능한 두께와 표면을 가지도록 정사각형 패널 또는 직사각형 패널 상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2개 이상의 개구공(210)을 대각선(D1)(D2)을 가상축으로 형성하는 보강 스크린 기판을 제조한다.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재료로는 값이 싼 금속 철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철판을 사용하는 경우 프레스 가공을 통해 개구공(210)을 별도의 처리 없이 단일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금형을 통해 마찬가지로 개구공(210)을 단일 성형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다.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 그리고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강 스크린 기판(200) 위에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올려놓고 보강 스크린 기판(200) 상에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증착한다.
증착 방법은 체결 나사(130)를 통해 기판(100)(200)들을 대면 접촉 상태에서 떨어지지 않게 결합하는 방법(도 7 참조)과, 투명 접착제를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표면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하여 접착층(B)을 형성하는 방법(도 8(a) 참조)과, 사전 제조된 투명완충패드를 투명수지 스크린 기판(100)과 보강 스크린 기판(200) 사이에 증착하여 지지층(C)인 이재질 투명층을 증착하는 방법(도 8의 (b) 참조)들 중 어느 하나를 뷰 패널 조립체(300)의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필요로 하는 최적화된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300)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300)는 공통적으로 두께가 얇고 투명도가 높으면서도 굽힘 강도가 강화되고 경량화를 통해 취급이 용이한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이다. 그리고 종하중과 횡하중에 대한 투명수지 스크린 기판(100)의 전단과 파손 그리고 충격에 의한 깨짐 등을 완충재로 제어할 수 있는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B: 투명접착제 C: 투명완충패드
100: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 110: 관통 구멍
120: 나사 체결부 130: 체결나사
200: 보강 스크린 기판 210: 개공부
211: 제1 개공부 212: 제2 개공부
213: 제3 개공부 214: 나사 체결부
215: 나사머리 수용부 220: 리브
300: 뷰 패널 조립체 400: 케이싱 패널
410: 수용공간 420: 프레임
430: 서포터 440: 받침대
450: 단차턱 460: 리브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진동 전달에 의한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제어하기 위해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R) 처리되어 형성되고 두께가 주어진 사각형 형상의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층상으로 형합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공부(210)가 타공 되고 그 타공된 개공부(210)의 간격 사이들에 형성되어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을 갖는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리브(220)를 포함하는 보강 스크린 기판(200); 상기 보강 스크린 기판(200) 위에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이 층상 구조로 증착된 뷰 패널 조립체(300); 및,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를 인서트 매입형으로 조립하는 케이싱 패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싱 패널(400)은,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10)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420); 상기 프레임(420)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41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받침대(440)가 포함된 서포터(430);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430)의 받침대(440)는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가 상기 수용공간(410)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420) 표면과 나란한 평면에 이를 수 있도록 뷰 패널 조립체(300)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프레임(420) 내벽에 위치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이 갖는 네 개의 변들 중 서로 대응하는 어느 한쪽의 양변 또는 서로 대응하는 각 방향 양변을 따라 손으로 잡거나 도구를 끼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 구멍(110);을 형성한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은 전도성 고분자 또는 금속산화물이 포함된 자외선 경화도료 또는 전도성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혼용하여 표면을 코팅하여 대전방지 성능을 갖도록 한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부(210)는 보강 스크린 기판(200)이 정사각형 기판인 조건에서 그 배열 형식이 하기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대각선(D1)(D2)을 가상 축으로 그 대각선(D1)(D2)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위치에 적어도 2 개 이상 타공 되어 정렬된 제1 개공부(211)들; 상기 제1 개공부(211)들의 외곽 주변 또는 간격 사이에 형성되어 대각선(D1)(D2)들과 평행한 양변을 가지며 대각선(D1)(D2)을 중심으로 측변은 원호를 갖는 변으로 타공된 제2 개공부(212)들; 및 상기 제2 개공부(212)들의 외곽 방향에 형성된 제3 개공부(213)들;을 포함하는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크린 기판(200)은 금속재료 중에서 선택된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일체로 결합 체결하는 나사 체결부(214)와 나사머리 수용부(215)가 각 변들을 따라 근접하는 중심부 근처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머리 수용부(215)는 보강 스크린 기판(200)의 이면부에 확장형으로 형성된 이중마루 뷰 패널 조립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의 사각형 전체 표면적이 케이싱 패널(400)의 면적에 비해 좁은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9. 삭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패널(400)은,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10)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420); 상기 프레임(420)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4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다수의 리브(460)가 일체로 형성된 단차턱(450)을 포함하는 서포터(430);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턱(450)은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가 상기 수용공간(410)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420) 표면과 나란한 평면에 이를 수 있도록 뷰 패널 조립체(300)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프레임(420) 내벽에 위치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1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폴리스티렌 수지(poly styrene resin), 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resi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혼합 성형하여 두께와 표면을 가지는 패널 상의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과 형합 가능한 두께와 표면을 가지도록 정사각형 패널 또는 직사각형 패널 상으로 제작하는 동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개구공(210)을 대각선(D1)(D2)을 가상축으로 하여 형성하는 보강 스크린 기판 제조 단계; 상기 보강 스크린 기판(200) 위에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올려놓고 보강 스크린 기판(200) 상에 투명수지 마스크 기판(100)을 증착하는 증착 단계;를 포함하는 뷰 패널 조립체(300) 제조 단계; 및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10)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420)의 내벽을 따라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를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41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받침대(440)가 포함된 서포터(430)를 통해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가 상기 수용공간(410)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420) 표면과 나란한 평면에 이를 수 있도록 뷰 패널 조립체(300)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프레임(420) 내벽에 위치 결정하여 상기 뷰 패널 조립체(300)를 인서트 매입형으로 조립하는 케이싱 패널(400) 조립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단계에서 보강 스크린 기판(200) 위에 투명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B)을 형성하거나 제조 완료된 투명완충패드를 증착하여 지지층(C)을 형성하는 이재질 투명층 증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제조 방법.
KR1020130058612A 2013-05-23 2013-05-23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12A KR101477550B1 (ko) 2013-05-23 2013-05-23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12A KR101477550B1 (ko) 2013-05-23 2013-05-23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744A KR20140137744A (ko) 2014-12-03
KR101477550B1 true KR101477550B1 (ko) 2014-12-30

Family

ID=5245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612A KR101477550B1 (ko) 2013-05-23 2013-05-23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082A (ko) 2017-05-28 2018-12-06 장성철 보호대상물 고정 기능을 구비한 이중마루 패널
KR20180136590A (ko) 2017-05-28 2018-12-26 장성철 설치대상물의 하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한 이중마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6621A (zh) * 2017-09-29 2018-02-16 镇江泽枫霖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抗震性能好的板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078U (ja) * 1991-12-18 1993-07-09 ナカ工業株式会社 二重床のフロアパネル
JP2005171663A (ja) * 2003-12-12 2005-06-30 Asahi Glass Co Ltd 建築用パネル材
JP4312332B2 (ja) * 2000-02-03 2009-08-12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導電性床タイル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3014930A (ja) * 2011-07-04 2013-01-24 Komine Dengyo Kk システムフロ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078U (ja) * 1991-12-18 1993-07-09 ナカ工業株式会社 二重床のフロアパネル
JP4312332B2 (ja) * 2000-02-03 2009-08-12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導電性床タイル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5171663A (ja) * 2003-12-12 2005-06-30 Asahi Glass Co Ltd 建築用パネル材
JP2013014930A (ja) * 2011-07-04 2013-01-24 Komine Dengyo Kk システムフロ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082A (ko) 2017-05-28 2018-12-06 장성철 보호대상물 고정 기능을 구비한 이중마루 패널
KR20180136590A (ko) 2017-05-28 2018-12-26 장성철 설치대상물의 하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한 이중마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744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550B1 (ko) 이중마루용 뷰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EP190354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9187899B2 (en) Composite panel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94037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window
EP2680317A1 (en) Solar cell module
US20070048502A1 (en) Structural sandwich plate members with forms
US9662861B2 (en)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composite board, and housing
US20140178636A1 (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140079521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216553A (zh) 复合式触控覆盖板
KR20140142564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734931B1 (ko) 공동주택 바닥 충격음 차단재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813887A (zh) 複合式棧板結構
WO2017086530A1 (ko) 차량용 트렁크 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4478B1 (ko) 하이브리드 인발 복합재료
CN101137554A (zh) 用于家用器具的保护垫
JP3485157B2 (ja) 化粧板
CN113022065A (zh) 复合板材
CN217261352U (zh) 一种板材放置架
JP5894390B2 (ja) 防振床構造および防振材
CN205206030U (zh) 建筑构件
KR100986446B1 (ko) 상부 표면보호층이 구비된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CN101365307A (zh) 板件强化结构
CN205983422U (zh) 防摔屏幕结构
CN211195216U (zh) 一种亚克力装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