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31Y1 -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 - Google Patents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31Y1
KR200462731Y1 KR2020100002286U KR20100002286U KR200462731Y1 KR 200462731 Y1 KR200462731 Y1 KR 200462731Y1 KR 2020100002286 U KR2020100002286 U KR 2020100002286U KR 20100002286 U KR20100002286 U KR 20100002286U KR 200462731 Y1 KR200462731 Y1 KR 200462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oor
panel
edg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131U (ko
Inventor
전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포유
Priority to KR2020100002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3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강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바닥재에 있어서,
냉간압연강판 재질의 강판을 이용하여 프레스금형으로 다수의 오목 볼록한 계란판 형태 또는 타원의 돔모양중에서 어느 하나가 성형되어진 하판(102b)위에 열간압연강판을 재질로 하는 상판(102a)을 얹혀 하판(102b)의 상단부(102b')와 상판(102a)의 저면 및 하판(102b)과 상판(102a)의 테두리에 다중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한편, 상판(102a)과 하판(102b)의 내부에는 내강재(105)가 충진 되는 패널(1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Double flooring using access floor and oa floor}
본 고안은 바닥면과의 공명현상을 방지하고 내하중성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 시 휨 현상 및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내강재가 충진 된 것으로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에 적용될 수 있는 이중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무환경이 자동화되고, 정보화 사회로의 전개로 인하여, 컴퓨터실, 게임방, 전자도서관, 전산실, 교육시설, 연구소, 인텔리젼트 빌딩 및 병원 등 최첨단 장비를 사용하는 공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력, 전산 및 통신용 배선이 다량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전선 및 통신선의 무방비한 방치에 의한 안전사고 또는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 및 통신선은 첨단 장비가 사용되는 공간 곳곳에 배치되기 때문에 깔끔하게 배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선 및 통신선의 안전 및 미관을 위해서 배선 관리에 주의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건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면에 전력 및 전산, 통신용 배선 또는 공기 조화 설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띄워 올려 설치되는 다양한 이중바닥 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바닥재의 종류는 사용재료에 따라 크게 수지계이중바닥재, 목질계또는 무기질계 이중바닥재, 스틸계이중바닥재 등이 있으며, 수지계이중바닥재의 경우 무게가 가볍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어 설치 장소에 제한이 많으며 특히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짐으로 강도가 취약하며, 정전기가 발생하기도 하고, 화재 시 유독가스발생의 우려가 있어 제한적 공간에만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바닥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목질계나 무기질계 이중바닥재의 경우 수지계 이중바닥재에 비해서 시공환경에 따라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분이 파티클보드에 가해지는 경우 부풀음 현상으로 인해 변형이 생기며, 강도가 약해지고 평탄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수분으로 인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유지관리에 특히 주의해야 하며, 이를 보수하기위해서 재시공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스틸계이중바닥재의 경우 강도나 평탄도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중바닥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지만 내부공간이 비어있어 바닥재 내부의 공명 및 공진현상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거운 짐을 자주 옮기거나 건장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장소, 특히 군화를 신고 이동이 잦은 국방부, 군부대등 특수한 장소에 설치될 경우 강도가 일반 KS규격에서 정해놓은 규격으로 시공한 사례가 있었으나, 장기간 사용 시 철판의 휨이나 변형으로 인해 평탄도가 유지되지 않아 보행 시 잡음이 많이 발생하여, KS규격에 의해 제작된 이중바닥재라 할지라도 특수한 장소에서 요구하는 사양을 만족할 수 없어 KS규격보다 월등한 사양의 이중바닥재가 요구되었다.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일부 스틸계 이중바닥재 내에 콘크리트를 충진 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내부에 충진 된 콘크리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철판과의 이격이 발생하고, 내부 취약부위의 콘크리트가 깨짐으로 인하여 이 또한 보행 시 잡음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면과의 공명현상과 공진현상을 방지하고 내하중성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 시 휨 현상 및 내부 내강재와 상부철판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에 적용될 수 있는 이중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의 바닥재가 접합되는 상판 및 하판의 두께를 높이고, 내부에 특수 배합된 내강재를 충진 하도록 하는 바닥재와, 4면 모서리에 접합되는 프레임과 각각의 모서리에 연결되어 하부에서 지지를 하게 되는 다리로 구성된 이중바닥재에 있어서,
냉간압연강판을 재질로 하는 오목 볼록한 계란판 형태의 다수의 돔 모양의 프레스금형으로 성형되어진 하판위에 열간압연강판을 재질로 하는 상판을 얹혀 하판의 상단부와 상판의 저면 및 하판과 상판의 테두리에 다중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한편, 상판과 하판의 내부에는 특수 배합된 내강재가 충진 되는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에 적용될 수 있는 이중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오목 볼록한 계란판 형태의 돔형 모양으로 성형된 하판위에 열간압연강판으로 된 상판을 얹혀 하판의 상단부와 상판의 저면 및 테두리의 다중용접을 통해 내하중성 및 바닥면과의 공명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에 질석, 후로아콘,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는 내강재를 충진 하여 내하중성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 시 휨현상 및 내부 내강재와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바닥재에 대한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ACCESS FLOOR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b, 도 2c, 도 2d는 본 고안 ACCESS FLOOR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고안의 OA FLOOR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b,도 3c, 도3d는 본 고안 OA FLOOR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은
도 2a는 본 고안의 ACCESS FLOOR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 도 2c, 도 2d는 본 고안 ACCESS FLOOR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는 본 고안의 OA FLOOR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 도 3c, 도 3d는 본 고안 OA FLOOR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내강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도 2a에 도시된 ACCESS FLOOR와 도 3a에 도시된 OA FLOOR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ACCESS FLOOR에 적용되는 도면으로 상부에 두께 3T의 전도성타일(101)이 마감재로 접합되는 상판(102a) 및 하판(102b)과 바닥재와 상판 및 하판의 모서리에 접합되는 테두리캡(103)과 상기 이중바닥재의 하부에서 지지를 하게 되는 스트링거(106), 스트링거(106)와 연결되어 바닥재를 지지할 수 있는 페데스탈(PEDESTAL)구조물(104)로 구성된 이중바닥재를 그 기본 구조로 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OA FLOOR에 적용되는 도면으로 상부에 두께 5T의 OA타일(101)이 접합되는 상판(102a) 및 하판(102b)과 하부에서 지지를 하게 되는 페데스탈구조물(104)로 구성된 이중바닥재를 그 기본 구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2a, 도 3a에 도시된바 와같이, 하판(102b)의 구성은 ACCESS FLOOR, OA FLOOR모두 두께 1.2T 냉간압연강판 재질로 프레스금형으로 다수의 오목 볼록한 계란판 형태 또는 타원의 돔 모양이 성형되고, 하판(102b) 위에 열간압연강판을 재질로 ACCESS FLOOR는 두께 2.0T, OA FLOOR는 두께 1.4T로 구성된 상판(102a)을 얹혀 하판(102b)의 상단부(102b')와 상판(102a)의 저면 및 하판(102b)과 상판(102a)의 테두리에 다중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한편, 상판(102a)과 하판(102b)의 내부에는 도 5,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내강재(105)가 충진되는패널로 마감재로 ACCESS FLOOR의 경우 제작 시 두께 3T의 전도성타일을 접착하고, OA FLOOR는 시공 후 두께 5T의 OA타일로 마감하는 구조로된 패널(102)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패널(102)중에서 하판(102b)의 저면에 다수의 오목 볼록한 계란판 형태 또는 타원형의 돔모양이 성형되어 있어, 바닥면과의 공명현상을 방지하고 내하중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강재(105)는 질석, 후로아콘, 시멘트가 적절한 비율로 물과 혼합되어 충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판(102a)과 하판(102b)이 다중용접을 통해 접합된 내부에 질석, 후로아콘,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는 내강재가 충진 됨으로써 내 하중성 및 강도가 향상되고 장시간 사용 시 휨현상 및 내부 내강재(105)와 패널(102)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강재(105) 중에서 질석은 팽창성을 가지고 있어 무게를 가볍게 하는 동시에 건조 시 수축되는 현상을 잡아주며, 내강재(105)의 비중을 높여 상.하판 패널(102)이 접합되어진 철판 사이를 빈틈없이 채워줌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여도 패널(102)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후로아콘은 경도를 향상시켜 본 이중바닥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시멘트는 내강재(105)의 주원료로써 질석과 후로아콘을 적절히 혼합하여 이상적인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질석의 양을 많이 사용하면 경도가 낮아지게 되고, 후로아콘을 많이 사용면 경도는 향상되나 강도가 약해 내강재가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질석, 후로아콘, 시멘트를 적절히 혼합하여 이상적인 강도를 맞추기 위해 적절한 비율로 혼합해 주는 것이 본 고안의 핵심 기술이다.
한편, 본 고안의 패널(102)과 페데스탈구조물(104)의 체결구조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 2a 및 도 3a에서와 같이 패널(102)을 페데스탈구조물(104)에 거치시키는 체결구조 외에도 볼트로 체결할 수도 있게 된다. 도 2b 및 도 3b에서와 같이 하판(102b)의 저면에 형성되는 돔모양을 반원형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100 : 이중바닥재 101 : 마감재
102 : 패널 102a : 상판
102b : 하판 102b' : 상단부
103 : 테두리캡 104 : 페데스탈구조물
105 : 내강재 106 : 스트링거

Claims (4)

  1. 이중바닥재에 있어서,
    냉간압연강판 재질의 강판을 이용하여 프레스금형으로 다수의 오목 볼록한 계란판 형태 또는 타원의 돔모양이 성형되어진 하판(102b)위에 열간압연강판을 재질로 하는 상판(102a)을 얹혀 하판(102b)의 상단부(102b')와 상판(102a)의 저면 및 하판(102b)과 상판(102a)의 테두리에 다중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한편, 상판(102a)과 하판(102b)의 내부에는 내강재(105)가 충진되는 패널(102)로 구성되고;
    ACCESS FLOOR에 적용되는 내강재(105)가 충진된 이중바닥재는, 제작 시 상부에 접착되는 전도성타일의 마감재(101)가 일체형으로 접착되며, 두께 2.0T의 열간압연강판을 재질로 하는 상판(102a)과 두께 1.2T 냉간압연강판을 프레스금형으로 다수의 오목 볼록한 계란판 형태 또는 타원의 돔 모양이 성형되는 하판(102b)을 다중용접을 통해 접합되어진 패널(102)로써, 패널(102) 내부에 질석, 후로아콘, 시멘트를 포함하는 내강재(105)가 충진되며, 테두리 4면에 접합되는 테두리캡(103)과 상기 이중바닥재의 하부테두리 4면에서 지지를 하게 되는 스트링거(106), 스트링거(106)와 연결되어 이중바닥재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는 페데스탈구조물(104)로 구성되며, (가로×세로)의 크기가 (600±10)×(600±10)mm이며;
    OA FLOOR에 적용되는 이중바닥재는, 두께 1.4T의 열간압연강판을 재질로 하는 상판과 두께 1.2T 냉각압연강판을 프레스 금형으로 다수의 오목 볼록한 계란판 형태 또는 타원의 돔 모양이 성형되는 하판을 다중용접을 통해 접합되어진 패널(102)로써, 패널(102) 내부에 질석, 후로아콘, 시멘트를 포함하는 내강재(105)가 충진되며, 패널(102)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는 페데스탈구조물로 구성되어 시공 시 마감재(101)로 OA타일을 사용하며, (가로×세로)의 크기가 (500±10)×(500±10)mm이며;
    상기 이중바닥재의 모서리 또는 패널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는 페데스탈구조물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에 적용될 수 있는 이중바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00002286U 2010-03-05 2010-03-05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 KR200462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286U KR200462731Y1 (ko) 2010-03-05 2010-03-05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286U KR200462731Y1 (ko) 2010-03-05 2010-03-05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31U KR20100010131U (ko) 2010-10-15
KR200462731Y1 true KR200462731Y1 (ko) 2012-09-26

Family

ID=4420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286U KR200462731Y1 (ko) 2010-03-05 2010-03-05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67B1 (ko) * 2010-12-03 2012-04-26 (주) 에스아이지 시스템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658B1 (ko) 2005-03-04 2005-07-26 주식회사 이엔에프월드 스틸스톤 플로어 시공방법 및 구조
KR100921373B1 (ko) 2009-01-30 2009-10-14 (주)현대정밀 조립성이 개선된 악세스 플로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658B1 (ko) 2005-03-04 2005-07-26 주식회사 이엔에프월드 스틸스톤 플로어 시공방법 및 구조
KR100921373B1 (ko) 2009-01-30 2009-10-14 (주)현대정밀 조립성이 개선된 악세스 플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31U (ko)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964B1 (ko) 단열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WO2012068800A1 (en) Transportable modular accommodation unit and assembled transportable modular accommodation unit
KR1015489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CN107806176A (zh) 钢结构装配式建筑及其基于bim的施工方法
JP2017515029A (ja) 建築物の床施工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衝撃吸収ユニット、並びにこれを含む建築物の床施工構造
CA1279968C (en) Flooring system
KR100810656B1 (ko) 악세스플로어 지지어셈블리
TWM441686U (en) Inter-connectably assembled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N107002404A (zh) 建筑材料
KR200462731Y1 (ko)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access floor와 oa floor 에 적용될 수 있는 내강재가 충진 된 이중바닥재
KR200437324Y1 (ko) 발포성형의 단열바닥판을 이용한 이중바닥구조
KR101250357B1 (ko)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CN203008328U (zh) 一种地板安装结构
CN202202580U (zh) 可交叠组合之预制式模块建筑
KR101001590B1 (ko)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926382Y (zh) 全钢网络地板
CN208777630U (zh) 一种采用石材作为面层的架空地板结构
KR100506698B1 (ko) 공동주택 바닥 슬래브 층간 소음 방지 구조
CN2905950Y (zh) 带有线槽的网络地板
KR101745295B1 (ko)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법 및 건물구조
CN201679205U (zh) 高效节能轻质下送风架空组合地板
CN205382646U (zh) 一种钢筋混凝土楼梯隔震结构与连接构造
CN203121617U (zh) 一种防潮耐火环保组合橱柜
JP7249849B2 (ja) 建物
KR200438177Y1 (ko) 층간 소음 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