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060B1 -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060B1
KR101476060B1 KR1020130140326A KR20130140326A KR101476060B1 KR 101476060 B1 KR101476060 B1 KR 101476060B1 KR 1020130140326 A KR1020130140326 A KR 1020130140326A KR 20130140326 A KR20130140326 A KR 20130140326A KR 101476060 B1 KR101476060 B1 KR 10147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vable core
elbow pipe
mol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정
김선우
이정무
이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4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060B1/ko
Priority to CN201420415775.0U priority patent/CN204278378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29C45/2614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for manufacturing bent tubular articles using an undercut forming mould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29D23/003Pipe joints, e.g. straight joints
    • B29D23/006Elb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 B29L2031/243Elbows

Abstract

엘보 파이프의 내부유로의 코너부분을 라운드지게 성형할 수 있으며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는 일측 직선부, 굽힘부 및 타측 직선부를 구비하며 굽힘부의 내측에 언더컷부가 형성되는 엘보 파이프를 성형제조하기 위한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엘보 파이프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금형부; 엘보 파이프의 일측 직선부 및 굽힘부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일측에 인출입되는 슬라이딩 코어;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타측에 인출입되는 제1 가동코어; 상기 제1 가동코어와 합형되어 엘보 파이프의 타측 직선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성하며,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입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타측에 인출입되는 제2 가동코어; 상기 제2 가동코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전단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엘보 파이프의 언더컷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는 회전코어; 및 상기 제1 가동코어와 상기 회전코어 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입 동작에 의한 힘을 상기 회전코어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코어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MOLDING APPARATUS FOR PRODUCING ELBOW PIPE}
본 발명은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보 파이프의 내부유로의 코너부분을 라운드지게 성형할 수 있으며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금형장치의 금형(10), 제1 슬라이딩 코어(20) 및 제2 슬라이딩 코어(30)가 합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의 (b)는 제1 슬라이딩 코어(20) 및 제2 슬라이딩 코어(30)가 금형(10)에서 인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보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엘보 파이프(P) 제조용 금형장치는 엘보 파이프(P)의 외형을 형성시키기 위한 캐비티(cavity)를 구비하는 금형(10)과, 엘보 파이프(P)의 내부 유로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금형(10)의 캐비티에 인출입되는 슬라이딩 코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코어(20, 30)는 금형(10)의 캐비티의 일측에서 인출입되는 제1 슬라이딩 코어(20)와, 금형(10)의 캐비티의 타측에서 인출입되는 제2 슬라이딩 코어(30)로 구성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0), 제1 슬라이딩 코어(20) 및 제2 슬라이딩 코어(30)가 합형된 후 금형(10)과 제1 및 제2 슬라이딩 코어(30) 사이의 간격에 사출재료가 주입되어 엘보 파이프(P)가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엘보 파이프(P) 제조용 금형장치는, 제1 슬라이딩 코어(20) 및 제2 슬라이딩 코어(30)가 캐비티에서 인출입되기 용이하도록 단순한 원통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엘보 파이프(P) 제조용 금형장치로 만들어진 엘보 파이프(P)는 내부 유로의 코너부분이 직각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직각형태의 구조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과 내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엘보 파이프(P) 내부 유로의 코너부분을 라운드지게 형성하기 위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코어(20) 및 제2 슬라이딩 코어(30) 각각의 전단을 엘보 파이프(P)의 내측 코너부분의 라운드진 형상에 대응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제1 슬라이딩 코어(20) 및 제2 슬라이딩 코어(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에서 인출될 때 제1 슬라이딩 코어(20) 및 제2 슬라이딩 코어(30) 전단의 구부러진 부분에 성형품의 몸체가 간섭되는 언더컷(Under Cut)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엘보 파이프의 내부유로의 코너부분을 라운드지게 성형할 수 있고 동시에,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 직선부, 굽힘부 및 타측 직선부를 구비하며 굽힘부의 내측에 언더컷부가 형성되는 엘보 파이프를 성형제조하기 위한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엘보 파이프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금형부; 엘보 파이프의 일측 직선부 및 굽힘부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일측에 인출입되는 슬라이딩 코어;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타측에 인출입되는 제1 가동코어; 상기 제1 가동코어와 합형되어 엘보 파이프의 타측 직선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성하며,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입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타측에 인출입되는 제2 가동코어; 상기 제2 가동코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전단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엘보 파이프의 언더컷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는 회전코어; 및 상기 제1 가동코어와 상기 회전코어 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입 동작에 의한 힘을 상기 회전코어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코어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코어는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입시, 일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곡면부가 엘보 파이프의 언더컷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시, 타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곡면부가 엘보 파이프의 언더컷부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동코어의 내측에 삽입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입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가동코어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는 제3 가동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전코어의 회전축의 일 측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 가동코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동코어는 외부구동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시에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 동작에 의한 힘을 상기 제2 가동코어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 상기 제1 가동코어, 상기 제2 가동코어 및 상기 회전코어가 합형된 조립체는 엘보 파이프의 내부 유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코어가 인출입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코어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 제조단계에서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고, 내부유로의 코너부분이 라운드진 엘보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금형장치에 포함되는 코어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코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에 도시된 금형장치에 포함되는 코어들의 인출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3에 도시된 금형장치에 포함되는 코어들의 인입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가 성형할 수 있는 일 형태의 엘보 파이프의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금형장치에 포함되는 코어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코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일 형태와 같은 엘보 파이프(P)를 성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엘보 파이프(P)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직선부(P1), 타측 직선부(P2) 및 굽힘부(P3)로 구분하고, 굽힘부(P3)의 내측의 라운드진 코너부분을 언더컷부(U)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는 금형부(110), 슬라이딩 코어(120), 제1 가동코어(130), 제2 가동코어(140), 회전코어(150), 링크부재(170) 및 제3 가동코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형부(110)는 엘보 파이프(P)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공간(112)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금형부(110)는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이 합형되어 상기 내부공간(112)을 조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코어(120)는 엘보 파이프(P)의 일측 직선부(P1) 및 굽힘부(P3)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코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직선부(P1)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도록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단은 굽힘부(P3)의 일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코어(120)는 몸체에 돌출된 부분이 없는 형태로 구성되어 엘보 파이프(P)의 일측 직선부(P1)의 내부에서 엘보 파이프(P)의 몸체와 간섭되는 부분 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 코어(120)는 실린더와 같이 대상물에 직선운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외부구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의 일측에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동코어(130)는 금형부(110) 내부공간(112)의 타측 즉, 엘보 파이프(P)의 타측 직선부(P2)에 대응하는 부분에 인출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동코어(130)는 후술할 제3 가동코어(160), 회전코어(150) 및 링크부재(170)가 설치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동코어(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코어(130)와 합형되어 엘보 파이프(P)의 타측 직선부(P2) 및 굽힘부(P3)의 일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동코어(140)는 제1 가동코어(130)의 인출입 동작에 연동하여 금형부(110) 내부공간(112)의 타측에 인출입될 수 있다.
즉, 제2 가동코어(140)는 제1 가동코어(130)에 직접 또는 가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 가동코어(130)가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에서 전진 및 후퇴되는 인출입 동작에 따라 전진 및 후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구동장치를 통해 제1 가동코어(130)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 가동코어(140)는 후술할 회전코어(150)가 결합되는 지지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동코어(140)의 지지부(14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코어(130)의 내측 공간으로 연장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142)의 끝단에는 회전코어(1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코어(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 파이프(P)의 언더컷부(U)에 대응하는 곡면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코어(150)는 제2 가동코어(140)의 지지부(142) 끝단에 결합되어 제1 가동코어(130) 및 제2 가동코어(140)의 전단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엘보 파이프(P)의 언더컷부(U)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3에서 언더컷부(U)의 상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코어(150)는 곡면부(152)가 제1 가동코어(130)의 인입시에 일반으로 회전되어 엘보 파이프(P)의 언더컷부(U) 측에 배치되고, 제1 가동코어(130)의 인출시에는 타방으로 회전되어 곡면부(152)가 엘보 파이프(P)의 언더컷부(U)에서 이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회전코어(150)는 몸체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제2 가동코어(140)의 지지부(1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암(154)과, 상기 회전암(154)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며 후술할 링크부재(170)가 연결되는 링크연결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코어(150)가 회전암(154)의 끝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때 엘보 파이프(P)의 언더컷부(U)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링크연결부(156)는 제2 가동코어(14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170)는 제1 가동코어(130)와 회전코어(150) 간에 연결되어, 제1 가동코어(130)의 인출입 동작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을 회전코어(150)에 전달하여 회전코어(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링크부재(170)는 제1 가동코어(130)의 직선운동을 회전코어(15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크부재(170)는 일단이 회전코어(150)의 회전축의 일 측방 즉, 상기 링크연결부(156)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후술할 제3 가동코어(16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가동코어(160)는 제1 가동코어(130)의 내측에 삽입 구비되며, 제1 가동코어(130)의 인출입 동작에 연동하여 제1 가동코어(130)의 내측에서 제1 가동코어(130)의 인출입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가동코어(160)는 제1 가동코어(130)가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에 인입되기 위해 전진하는 동작 중에 제1 가동코어(130)에 의해 전진되어 링크부재(170)를 밀어서 회전코어(150)를 일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가동코어(160)는 제1 가동코어(130)가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에서 인출되기 위해 후퇴하는 동작 중에 제1 가동코어(130)에 의해 후퇴되어 링크부재(170)를 당김으로써 회전코어(150)를 타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3 가동코어(160)는 인출단턱(162)과 인입단턱(16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출단턱(162)은 제1 가동코어(130)의 후단 걸림부(132)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퇴하는 제1 가동코어(130)의 운동력을 제3 가동코어(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단턱(164)은 제1 가동코어(13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된 돌기(미도시)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진하는 제1 가동코어(130)의 운동력을 제3 가동코어(1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부재(170)는 제1 가동코어(130)의 인출 동작시에 제1 가동코어(130)의 인출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제2 가동코어(14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2 가동코어(140)의 지지부(142)에는 링크부재(170)의 몸체가 걸리는 걸림돌기(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80)는 제3 가동코어(160)의 후퇴동작에 따라 제2 가동코어(140) 방향으로 상승되는 링크부재(170)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제3 가동코어(160), 회전코어(150) 및 제2 가동코어(140)의 거동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18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의 동작 설명부분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의 작동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d는 금형장치(100)에 포함되는 코어들의 인출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금형장치(100)에 포함되는 코어들의 인입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우선,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코어들의 인출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엘보 파이프(P)의 사출성형 공정이 종료된 후, 슬라이딩 코어(120)가 엘보 파이프(P)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코어(130)가 외부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후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하는 제1 가동코어(130)의 후단 걸림부(132)가 제3 가동코어(160)의 인출단턱(162)에 걸리면 제3 가동코어(160)가 후퇴되게 된다.
이때, 제3 가동코어(160)에 연결된 링크부재(170)는 회전코어(150)의 링크연결부(156)를 당기게 되고, 링크연결부(156)가 당겨진 회전코어(150)는 제2 가동코어(140)의 지지부(142)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3 가동코어(160)의 후퇴동작에 따라 회전된 회전코어(15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부(152)가 언더컷부(U)에서 이격되게 된다.
이후,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70)가 제2 가동코어(140)의 지지부(142)에 구비된 걸림돌기(180)에 걸리면 회전코어(150)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이때, 후퇴동작하는 제1 가동코어(130)가 당기는 힘은 링크부재(170)와 회전코어(150)를 통해 제2 가동코어(140)에 전달되게 된다.
이를 통해, 제2 가동코어(140)도 후퇴하게 되어,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에서 제1 가동코어(130), 제2 가동코어(140), 제3 가동코어(160) 및 회전코어(150)가 모두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는 언더컷부(U)를 성형하기 위한 회전코어(150)가 제1 가동코어(130)의 인출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된 후 인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는 제1 가동코어(130)를 구동시키는 하나의 외부구동장치를 통해 다단으로 구성된 복수의 코어들을 모두 인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코어들의 인입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코어(130), 제2 가동코어(140), 회전코어(150) 및 제3 가동코어(16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1 가동코어(130)는 외부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전진될 수 있다.
제1 가동코어(130)가 전진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코어(130)에 연동하여 제3 가동코어(160)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제3 가동코어(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입단턱(164)에 제1 가동코어(13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된 돌기(미도시)가 걸려서 제1 가동코어(130)에 의해 전진되게 된다.
전진되는 제3 가동코어(160)는 링크부재(170)를 통해 회전코어(150)의 링크연결부(156)를 전방으로 밀어서 회전코어(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가동코어(140)는 지지부(142)의 후단이 제3 가동코어(160)의 전단에 닿아 밀려서 전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가동코어(130)의 전진에 의해 전진되는 제2 가동코어(140), 회전코어(150) 및 제3 가동코어(16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에 인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코어(130), 제2 가동코어(140), 회전코어(150) 및 제3 가동코어(160) 조립체가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에 인입되어 정위친 된 후, 슬라이딩 코어(120)가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으로 인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코어(120), 제1 가동코어(130), 제2 가동코어(140), 회전코어(150) 및 제3 가동코어(160)가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에 정위치된 후, 슬라이딩 코어(120), 제1 가동코어(130), 제2 가동코어(140) 및 회전코어(150)의 곡면부(152)와 금형부(110) 사이의 간격에는 사출재료가 주입되어, 엘보 파이프(P)가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는 엘보 파이프(P)의 언더컷부(U) 즉, 굽힘부(P3)의 내측 코너부분을 라운드지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는 제1 가동코어(130)를 동작시키는 하나의 외부구동장치를 통해, 제2 가동코어(140)와 회전코어(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가동코어(160)는 제1 가동코어(130)에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가동코어(160)는 별도의 외부구동장치에 의해 제1 가동코어(130)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3 가동코어(160)가 별도의 외부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는 회전코어(150)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언더컷부(U)를 더 작은 곡률로 즉, 언더컷부(U)를 더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 내지 도 8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0)는 제1 가동코어(130)가 전진되면 회전코어(150)도 자동으로 회전되므로 곡면부(152)의 일부가 제1 가동코어(130)의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는데, 곡면부(152)가 완만하고 길게 형성되어 제1 가동코어(130)의 둘레방향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길면, 제1 가동코어(130), 제2 가동코어(140) 및 회전코어(150)가 합형된 조립체의 폭이 금형부(110)의 내부공간(112)의 폭보다 길어서, 코어의 인입 동작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가동코어(160)가 제1 가동코어(130)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면, 코어 인입시에 회전코어(15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곡면부(152)가 제1 가동코어(130)의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P : 엘보 파이프 P1 : 일측 직선부
P2 : 타측 직선부 P3 : 굽힘부
U : 언더컷부
100 : 금형장치 110 : 금형부
112 : 내부공간 120 : 슬라이딩 코어
130 : 제1 가동코어 132 : 걸림부
140 : 제2 가동코어 142 : 지지부
150 : 회전코어 152 : 곡면부
154 : 회전암 156 : 링크연결부
160 : 제3 가동코어 162 : 인출단턱
164 : 인입단턱 170 : 링크부재
180 : 걸림돌기

Claims (6)

  1. 일측 직선부, 굽힘부 및 타측 직선부를 구비하며 굽힘부의 내측에 언더컷부가 형성되는 엘보 파이프를 성형제조하기 위한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엘보 파이프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금형부;
    엘보 파이프의 일측 직선부 및 굽힘부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일측에 인출입되는 슬라이딩 코어;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타측에 인출입되는 제1 가동코어;
    상기 제1 가동코어와 합형되어 엘보 파이프의 타측 직선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성하며,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입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금형부 내부공간의 타측에 인출입되는 제2 가동코어;
    상기 제2 가동코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전단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엘보 파이프의 언더컷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는 회전코어; 및
    상기 제1 가동코어와 상기 회전코어 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입 동작에 의한 힘을 상기 회전코어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코어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코어는,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입시, 일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곡면부가 엘보 파이프의 언더컷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시, 타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곡면부가 엘보 파이프의 언더컷부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코어의 내측에 삽입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입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가동코어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는 제3 가동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전코어의 회전축의 일 측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 가동코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코어는 외부구동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시에 상기 제1 가동코어의 인출 동작에 의한 힘을 상기 제2 가동코어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 상기 제1 가동코어, 상기 제2 가동코어 및 상기 회전코어가 합형된 조립체는 엘보 파이프의 내부 유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KR1020130140326A 2013-11-19 2013-11-19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KR10147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326A KR101476060B1 (ko) 2013-11-19 2013-11-19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CN201420415775.0U CN204278378U (zh) 2013-11-19 2014-07-25 用于制造弯管配件的模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326A KR101476060B1 (ko) 2013-11-19 2013-11-19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060B1 true KR101476060B1 (ko) 2014-12-23

Family

ID=5267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326A KR101476060B1 (ko) 2013-11-19 2013-11-19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6060B1 (ko)
CN (1) CN204278378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133B1 (ko) 2017-06-07 2017-10-31 주식회사 고리 일체형 봉수트랩 제조방법 및 장치
CN110125337A (zh) * 2019-05-31 2019-08-16 得莱格精密机械(昆山)有限公司 双排式弯头接插件的浇铸模具
CN110802776A (zh) * 2019-03-14 2020-02-1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塑料的制造设备
EP3835026A1 (de) * 2019-12-13 2021-06-16 MHT Mold & Hotrunner Technology AG Mehrteiliger kerneinsatz
KR102417562B1 (ko) * 2022-03-31 2022-07-07 혹스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발포보냉관 제조시스템
KR20220169376A (ko)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엘보 파이프용 가공장치
KR20230084853A (ko) 2021-12-06 2023-06-13 (주)광주금형 곡관 사출성형용 인서트 코어와 이를 이용한 곡관 성형방법
CN110125337B (zh) * 2019-05-31 2024-05-17 得莱格精密机械(昆山)有限公司 双排式弯头接插件的浇铸模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3016B (zh) * 2015-11-27 2019-05-28 成都工业学院 一种便于抽芯的型芯装置
CN108099107B (zh) * 2017-12-06 2020-05-19 台州市黄岩炜大塑料机械有限公司 成型90°弯管件的脱模机构
DE102021124552A1 (de) * 2021-09-22 2023-03-23 Norma Germany Gmbh Strömungsoptimierter Leitungsverbinder und Leitungsverbinderanord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758A (ja) * 1994-04-27 1995-11-10 Higashio Mec Kk 管継手
JPH08326981A (ja) * 1995-05-30 1996-12-10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
JP2000210977A (ja) * 1999-01-20 2000-08-02 Sekisui Chem Co Ltd 消音性受口付き管継手の製造方法
KR100723004B1 (ko) * 2007-03-05 2007-05-29 (주)건화티알에프 엘보 이음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758A (ja) * 1994-04-27 1995-11-10 Higashio Mec Kk 管継手
JPH08326981A (ja) * 1995-05-30 1996-12-10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
JP2000210977A (ja) * 1999-01-20 2000-08-02 Sekisui Chem Co Ltd 消音性受口付き管継手の製造方法
KR100723004B1 (ko) * 2007-03-05 2007-05-29 (주)건화티알에프 엘보 이음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133B1 (ko) 2017-06-07 2017-10-31 주식회사 고리 일체형 봉수트랩 제조방법 및 장치
CN110802776A (zh) * 2019-03-14 2020-02-1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塑料的制造设备
CN110802779A (zh) * 2019-03-14 2020-02-1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塑料的制造设备
CN110125337A (zh) * 2019-05-31 2019-08-16 得莱格精密机械(昆山)有限公司 双排式弯头接插件的浇铸模具
CN110125337B (zh) * 2019-05-31 2024-05-17 得莱格精密机械(昆山)有限公司 双排式弯头接插件的浇铸模具
EP3835026A1 (de) * 2019-12-13 2021-06-16 MHT Mold & Hotrunner Technology AG Mehrteiliger kerneinsatz
KR20220169376A (ko)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엘보 파이프용 가공장치
KR20230084853A (ko) 2021-12-06 2023-06-13 (주)광주금형 곡관 사출성형용 인서트 코어와 이를 이용한 곡관 성형방법
KR102417562B1 (ko) * 2022-03-31 2022-07-07 혹스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발포보냉관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278378U (zh)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060B1 (ko) 엘보 파이프 제조용 금형장치
JP5632645B2 (ja) 引込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引込本体
US7381051B2 (en) Core-pulling mechanism and injection mold with the same
WO2014046063A1 (ja) 曲管構造及び曲管成形用金型
KR101369145B1 (ko) 레버식 커넥터
US20110020490A1 (en) De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part with undercut
JP2009160885A (ja) 成形用金型の円弧スライド構造及び成形用金型を用いた円弧形状部の成形方法
JP4492703B2 (ja) 成形装置
CN204851888U (zh) 一种伸缩杆、相机自拍杆和三脚架
JP2007307713A (ja) 円弧筒状部を有する成形品の成形型、及び該成形品を成形型から抜取る方法
CA2627685A1 (en) Machine for compression molding closure shells
CN105144499A (zh) 断开杆和制造方法
CN102957044B (zh) 弹射机构及使用该弹射机构的电连接器
CN103203841B (zh) 旋转脱模式模具结构
CN205291477U (zh) 立体角式模穴形成装置
CN104985768A (zh) 一种双联动型花蓬头弯管抽芯机构
CN211247958U (zh) 一种分水器拉伸模具
CN202029343U (zh) 模具圆弧抽芯装置
KR101510739B1 (ko) 사출기의 나사성형장치
KR101979702B1 (ko) 내연기관용 피스톤의 주조장치 및 주조장치의 개방 또는 폐쇄 방법
CN214082587U (zh) 注塑模具
CN108724626A (zh) 用于制造模制制品的包括其管状部分的顶出装置的模具
JP5934592B2 (ja) 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5894507B2 (ja) 連結装置
EP2327530B1 (en) De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part with underc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