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053B1 -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053B1
KR101476053B1 KR1020130112610A KR20130112610A KR101476053B1 KR 101476053 B1 KR101476053 B1 KR 101476053B1 KR 1020130112610 A KR1020130112610 A KR 1020130112610A KR 20130112610 A KR20130112610 A KR 20130112610A KR 101476053 B1 KR101476053 B1 KR 10147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servoir
pump
fil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288A (ko
Inventor
요시히코 혼다
Original Assignee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5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2Feeding by means of suction apparatus, e.g. by air flow through carburettors
    • F02M37/025Feeding by means of a liquid fuel-driven je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vapour 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3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by the filter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4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6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05Fuel tanks with supplementary interior tanks inside the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1Swirl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 B60K2015/03138Pumping means between th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3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filter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43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pump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43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pump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5Jet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in-tank reservoirs or baffle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fuel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5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air purg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4673Plural tanks or compartments with parallel flow
    • Y10T137/4824Tank within t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 Y10T137/6881Automo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35Combined with fluid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35Combined with fluid receiver
    • Y10T137/86043Reserve or surge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35Combined with fluid receiver
    • Y10T137/86067Fluid s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75And jet-aspiration type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131Plural
    • Y10T137/86139Serial
    • Y10T137/86147With single motive input
    • Y10T137/86155One pump driven by motive fluid from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과제) 연료 펌프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연료 공급 장치 (10) 는, 연료 탱크 (12) 내에 배치되고 또한 밀폐상으로 형성된 리저버 (16) 와, 리저버 (16) 내의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펌프 (18) 와, 연료 펌프 (18) 에 흡입되는 연료를 여과하는 흡입 필터 (20) 와,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를 리저버 (16) 내로 이송하는 제트 펌프 (26) 를 구비한다. 제트 펌프 (26) 는, 연료 펌프 (18) 로부터 토출된 연료이고 또한 엔진에 공급되지 않는 연료의 흐름을 이용하여 연료를 이송한다. 제트 펌프 (26) 에 의한 연료의 이송 압력을 이용하여 리저버 (16) 내의 연료를 가압한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차량의 엔진 (내연 기관) 에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 공급 장치의 종래예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의 것에서는, 연료 펌프를 내부 형성하고, 연료 탱크 내에서 연료를 저류하는 용기상의 리저버 컵과, 리저버 컵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리저버 덮개체와, 연료 펌프로부터 송출되는 연료를 연료 탱크 외로 보내는 연료 공급 배관과, 연료 공급 펌프에 접속된 전선과,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리저버 내로 이송하는 제트 펌프를 구비한다. 리저버 덮개체에는, 연료 공급 배관 및 전선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저버 컵과 리저버 덮개체를 총칭하여 리저버라고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71098호
상기 특허문헌 1 의 것에 의하면, 리저버 덮개체의 개구부 내에 연료 공급 배관 및 전선이 삽입통과된 상태에 있어서도, 리저버 덮개체와 연료 공급 배관 및 전선 사이의 개구 면적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리저버의 내압을 가압할 수 없다. 따라서, 리저버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연료 펌프의 흡인력만에 의해 흡입 필터 내로 흡인하고 있기 때문에, 흡입 필터 내의 부압이 증대되고, 연료 펌프의 부하가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료 펌프의 부하 증대는, 연료 펌프의 효율 및 수명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료 펌프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는, 이하의 각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발명은, 연료 탱크 내에 배치되고 또한 밀폐상으로 형성된 리저버와, 리저버 내의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펌프와, 연료 펌프에 흡입되는 연료를 여과하는 흡입 필터와,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리저버 내로 이송하는 연료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연료 공급 장치로서, 연료 이송 수단에 의한 연료의 이송 압력을 이용하여 리저버 내의 연료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료 이송 수단에 의한 연료의 이송 압력을 이용하여 리저버 내에서 연료가 가압됨으로써, 리저버 내의 연료가 흡입 필터 내로 압입되게 된다. 이 때문에, 흡입 필터 내의 부압을 저감시키고, 연료 펌프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연료 펌프의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연료 이송 수단에 의한 연료의 이송 유량에 비해, 리저버 내로부터 유출되는 연료의 유출 유량을 적게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료 이송 수단에 의한 연료의 이송 유량에 비해, 리저버 내로부터 유출되는 연료의 유출 유량을 적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리저버 내의 연료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리저버 내로부터 유출되는 연료로는,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 및 리저버 내로부터 연료 탱크 내로 유출되는 연료가 상당한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연료 이송 수단은,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된 연료이고 또한 엔진에 공급되지 않는 연료의 흐름을 이용하여 연료를 이송하는 제트 펌프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료 이송 수단으로서 제트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트 펌프는 기계적인 가동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리저버는, 상부를 개구하는 컵상의 리저버 컵과, 리저버 컵 상부의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리저버 내외에 걸친 연락 부재를 삽입통과시키는 연락용 개구부를 갖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고, 폐색 부재와 연락 부재 사이의 개구 부분에 의해 리저버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하는 제 1 유출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저버의 리저버 컵 상부의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의 연락용 개구부와, 그 개구부에 삽입통과되는 연락 부재를 이용하여, 리저버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하는 제 1 유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연락 부재는, 리저버 내에 수용된 연료 펌프의 전기 커넥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료 펌프의 전기 커넥터를 연락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연료 펌프의 전기 커넥터, 및 그 전기 커텍터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에는, 리저버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시키고 또한 그 연료에 양 커넥터의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2 유출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저버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연료 펌프의 전기 커넥터 및 접속 커넥터에 형성된 제 2 유출로를 경유하여 유출시킬 수 있다. 즉, 제 2 유출로에 연료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 제 2 유출로를 흐르는 연료에 양 커넥터의 양 단자를 노출시킴으로써, 양 단자의 주변에 연료가 고이는 것에 의한 열화 연료의 생성을 방지함과 함께 양 단자 (70, 83) 의 전식 (電蝕 ; 電食) 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4 ∼ 제 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리저버의 폐색 부재에, 리저버의 내압을 소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밸브에 의해 리저버의 내압이 소정값으로 유지됨으로써, 리저버 내압의 과가압을 방지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4 ∼ 제 7 발명에 있어서, 리저버의 폐색 부재와 연료 펌프를 유지하는 펌프 케이스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저버의 폐색 부재와 펌프 케이스를 겸용함으로써,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4 ∼ 제 8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된 연료를 여과하는 고압 필터를 형성하고, 리저버의 폐색 부재와 고압 필터의 필터 케이스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저버의 폐색 부재와 고압 필터의 필터 케이스를 겸용함으로써,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 는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리저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리저버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 는 흡입 필터의 필터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은 연료 펌프의 전기 커넥터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리저버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9 는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은 리저버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 을 설명한다. 도 1 은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 는 마찬가지로 측단면도, 도 3 은 리저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는 마찬가지로 평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공급 장치 (10) 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연료 탱크 (12) 에 설치되고,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를 엔진 (내연 기관) 에 공급한다. 연료 탱크 (12) 의 상벽 (12a) 에는 개구공 (13)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 공급 장치 (10) 는, 세트 플레이트 (14), 리저버 (16), 연료 펌프 (18), 흡입 필터 (20), 고압 필터 (22),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제트 펌프 (26) 및 센더 게이지 (28) 를 구비하고 있다. 세트 플레이트 (14) 는, 상기 연료 탱크 (12) 의 개구공 (13) 을 막도록 상벽 (12a) 상에 장착되어 있다. 세트 플레이트 (14) 에는, 연료 토출관 (30) 및 외부 접속용 전기 커넥터 (31) 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 토출관 (30) 은, 도시되지 않은 연료 공급 배관을 개재하여 엔진 (상세하게는 인젝터) 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접속용 전기 커넥터 (31) 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 커넥터를 개재하여 외부 전원 및 전자 제어 회로 (「ECU」 라고 한다.)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트 플레이트 (14)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덮개 부재」에 상당한다.
상기 리저버 (16) 는, 상면을 개구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리저버 컵 (33) 과, 리저버 컵 (33) 의 상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수지제의 커버 부재 (35) 에 의해 밀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 (16) 내에는, 연료 펌프 (18) 및 흡입 필터 (20) 가 수용되어 있다. 리저버 (16) 는, 상기 연료 탱크 (12) 내에 개구공 (13) 으로부터 삽입되어 연료 탱크 (12) 의 바닥벽 (부호, 12b 를 붙인다) 상에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 (16) 의 바닥벽 (부호, 33b 를 붙인다) 은, 연료 탱크 (12) 의 바닥벽 (12b) 상에 면접촉상으로 맞닿아 있다.
상기 커버 부재 (35) 에는, 원판상으로 형성된 커버부 (36) 와, 커버부 (36) 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펌프 케이스부 (37) 와, 커버부 (36) 의 외주부에 편평한 중공 원환상으로 형성된 필터 케이스부 (38) 를 갖는다. 또, 필터 케이스부 (38) 는, 커버부 (36) 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 (35)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폐색 부재」에 상당한다. 또, 커버부 (36)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폐색부」에 상당한다. 또, 펌프 케이스부 (37)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펌프 케이스」에 상당한다. 또, 필터 케이스부 (38)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필터 케이스」에 상당한다.
상기 필터 케이스부 (38) 의 내주측에는, 연료를 유입하는 연료 도입구 (40)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필터 케이스부 (38) 의 상면측에는, 연료를 도출하는 연료 도출구 (4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 (35) 는, 별체로 형성된 커버부 (36) (필터 케이스부 (38) 를 포함한다) 와 펌프 케이스부 (37) 를 스냅피트,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해도 된다. 또, 커버 부재 (35) 는, 별체로 형성된 커버부 (36) (필터 케이스부 (38) 를 포함한다) 와 필터 케이스부 (38) 를 스냅피트,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해도 된다. 또, 별체로 형성된 커버부 (36) 와 필터 케이스부 (38) 를 스냅피트,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해도 된다.
상기 커버 부재 (35) 는, 상기 리저버 컵 (33) 에 그 상면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리저버 컵 (33) 의 상면 개구부는, 주로 상기 커버부 (36) (필터 케이스부 (38) 를 포함한다) 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리저버 컵 (33) 의 둘레벽 (부호, 33a 를 붙인다) 의 상단부에는 시일 부재 (43) 가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 (43) 는, 리저버 컵 (33) 의 둘레벽 (33a) 과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필터 케이스부 (38) 를 포함한다)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필터 케이스부 (38) 를 포함한다) 를, 리저버 컵 (33) 의 둘레벽 (33a) 내에 압입하거나, 리저버 컵 (33) 의 둘레벽 (33a) 상에 커버 부재 (35) 및 연료 펌프 (18) 등의 중량을 이용하여 밀착상으로 맞닿게 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일 부재 (43) 는 생략해도 된다.
상기 연료 펌프 (18) 는, 전동식의 모터부와 임펠러식의 펌프부를 상하에 병설한 모터 일체형 펌프이다. 펌프부는,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됨으로써, 연료를 흡입하고 또한 가압하여 토출한다. 연료 펌프 (18) 의 하단부 (18b) 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연료 흡입구 (45)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연료 펌프 (18) 의 상단부 (18a) 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료 토출구 (46) 및 전기 커넥터 (47) 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 펌프 (18) 는, 상기 커버 부재 (35) 의 펌프 케이스부 (37) 내에 세로 형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연료 흡입구 (45) 는, 펌프 케이스부 (37) 의 바닥판 (37a) 에 형성된 끼워맞춤공 (49) 에 끼워맞춰져 있다. 또한,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의 주변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 필터 (20) 는, 필터재 (51) 와 프레임 (52) 과 접속관 (53) 을 구비하고 있다. 필터재 (51) 는, 평면에서 볼 때 C 자 모양을 이루는 C 형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재 (51) 는, 내주측 필터부 (51a) 와 외주측 필터부 (51b) 를 갖는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 (52) 은, 필터재 (51) 의 내주측 필터부 (51a) 와 외주측 필터부 (51b)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고, 양 필터부 (51a, 51b) 상호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또, 접속관 (53) 은, 필터재 (51) 의 내주측 필터부 (51a) 및 프레임 (52) 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필터재 (51) 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접속관 (53) 은, 내주측 필터부 (51a) 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흡입 필터 (20) 는, 상기 리저버 (16) 의 리저버 컵 (33) 내에 대하여, 상기 커버 부재 (35) 의 필터 케이스부 (38) 의 하측에 있어서 상기 펌프 케이스부 (37) 를 둘러싸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 컵 (33) 의 둘레벽 (33a) 과 필터재 (51) 의 외주측 필터부 (51b)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또, 필터재 (51) 의 내주측 필터부 (51a) 와 펌프 케이스부 (37)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또, 접속관 (53) 의 선단부는, 상기 연료 펌프 (18) 의 연료 흡입구 (45) 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필터재 (51) 는, 펌프 케이스부 (37) 의 전체 또는 거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해도 되고, 필터재 (51) 의 하단 개구부를 폐쇄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이 있는 모양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리저버 컵 (33) 의 둘레벽 (33a) 중, 상기 흡입 필터 (20) 의 필터재 (51) 가 대응하지 않는 벽 부분은, 평판상의 벽부 (33c)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리저버 컵 (33) 의 평판상의 벽부 (33c) 를 포함하는 둘레벽 (33a) 은, 평면에서 볼 때 D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평판상의 벽부 (33c) 는, 펌프 케이스부 (37) 에 근접되어 있다.
상기 필터재 (51) 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흡입 필터의 필터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재 (51) 는, 복수 층 (본 실시형태에서는 5 층)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상류측 (외층측) 에 눈이 성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 (55a), 하류측 (내층측) 에 눈이 촘촘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 (55b), 양 필터층 (55a, 55b) 사이에 중간 눈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 (55c)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의 필터층 (55a) 의 상류측에는, 메시직 (織) 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층 (55d) 이 배치되어 있다. 커버층 (55d) 은, 필터층 (55a) 의 개구보다 큰 개구를 갖고, 필터층 (55a) 인 부직포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눈이 촘촘한 필터층 (55b) 의 하류측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커버층 (55e) 이 배치되어 있다. 커버층 (55e) 은, 주로 필터층 (55b) 인 부직포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커버층 (55e) 은, 부직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과 기능을 겸하는 경우도 있다.
또, 필터재 (51) 의 각 필터층 (55a ∼ 55c) 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이물질의 통과 입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연료를 단계적으로 여과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여과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필터층 (55a ∼ 55c) 은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여과층」에 상당한다. 또, 여과층으로는, 부직포 외에, 여과지, 섬유질 성형체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커버층 (55d, 55e) 에 사용하는 소재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필터재 (51) 의 층수 (장수) 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 (35) 의 필터 케이스부 (38) 내에 원환판상의 필터재 (57) 가 수평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압 필터 (22) 가 구성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부 (38) 는, 상하로 2 분할된 분할 부재의 상호 간에 필터재 (57) 를 끼우고나서 분할 부재를 서로 용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필터 케이스부 (38) 의 연료 도입구 (40) 는, 상기 연료 펌프 (18) 의 연료 토출구 (46) 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측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필터 케이스부 (38) 의 연료 도출구 (41) 는, 상기 세트 플레이트 (14) 의 연료 토출관 (30) 에 접속 배관 (59)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재 (57) 는, 상기 흡입 필터 (20) 의 필터재 (51) (도 5 참조) 와 동일한 필터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필터재 (57) 상류측의 커버층 (55d) (도 5 참조) 이 하측을 향하고, 하류측의 커버층 (55e) (도 5 참조) 이 상측을 향하고 있다. 흡입 필터 (20) 의 필터재 (51) 및 고압 필터 (22) 의 필터재 (57) 는, 예를 들어, 인젝터의 스트레이너가 포착하는 40 ㎛ 이상의 이물질을 90 % 이상 포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흡입 필터 (20) 의 필터재 (51) 는, 고압 필터 (22) 의 필터재 (57) 의 이물질의 포착 입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작은 포착 입경의 이물질을 포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필터재 (51) 의 여과 면적에 비해, 작은 여과 면적의 필터재 (57) 의 눈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재 (51) 는, 필터재 (57) 의 이물질의 포착 입경보다 큰 포착 입경의 이물질을 포착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 필터재 (57) 는, 필터재 (51) 와 동일한 필터재가 아니어도 된다. 또, 필터재 (57) 의 층수 (장수) 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흡입 필터 (20) 의 필터재 (51) 가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고압 필터 (22) 의 필터 케이스부 (38) 가 편평상으로 형성되고, 흡입 필터 (20) 의 상측에 고압 필터 (22)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리저버 (16) 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흡입 필터 (20) 의 필터재 (51) 의 여과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는, 상기 커버 부재 (35) 의 필터 케이스부 (38)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부 (38) 의 상벽에 형성되고 또한 상측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접속구 (61) (도 2 참조) 에,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의 연료 도입구 (도시 생략) 가 접속되어 있다.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는, 필터 케이스부 (38) 내의 압력을 조정하고, 잉여가 된 잉여 연료를 배출한다.
상기 제트 펌프 (26) 는, 상기 리저버 (16) 의 바닥부의 하면측에 형성된 오목부 (16a) 에 배치되어 있다. 제트 펌프 (26) 의 구동 연료 유입구 (26a) 와 상기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상세하게는 잉여 연료의 배출구 (도시 생략)) 는, 리턴 배관 (63)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트 펌프 (26) 의 이송 연료 도입구 (26b) 는, 연료 탱크 (12) 내 (리저버 (16) 외) 에 개구되어 있다. 제트 펌프 (26) 의 연료 토출구 (26c) 는, 상기 리저버 (16) 의 리저버 컵 (33) 내에 접속되어 있다. 제트 펌프 (26) 는,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로부터 배출 (토출) 되는 잉여 연료를 구동 연료로서 이용하여 연료 탱크 (12) 내 (리저버 (16) 외) 의 연료를 리저버 (16) 내로 이송 즉 압송한다. 이 때문에, 리저버 (16) 내가 연료로 채워진다. 또, 리저버 (16) 내로부터 유출되는 연료로는, 연료 펌프 (18) 로부터 토출되어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 및 리저버 (16) 내로부터 연료 탱크 (12) 내로 유출되는 연료 (후술한다) 가 상당한다. 또한, 제트 펌프 (26)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료 이송 수단」, 「제 1 연료 이송 수단」, 「제 1 제트 펌프」에 상당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센더 게이지 (28) 는, 상기 리저버 (16) 의 리저버 컵 (33) 둘레벽 (33a) 의 평판상의 벽부 (33c) 의 외측면에 장착된 게이지 본체 (65) 와, 그 게이지 본체 (65) 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아암 (66) 과, 그 아암 (66) 의 자유 단부에 장착되고 또한 연료 탱크 (12) 내의 액면에 부유 가능한 플로트 (67) 를 구비하고 있다. 센더 게이지 (28) 는, 상기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 잔량 즉 액면을 전기 저항값으로부터 검지하는 액면계로, 검출 신호를 상기 ECU 에 출력한다. 또한, 센더 게이지 (28) 에 관련된 배선 (도시 생략) 은, 상기 세트 플레이트 (14) 의 외부 접속용 전기 커넥터 (31) 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주변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연료 펌프의 전기 커넥터 주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는, 연료 펌프 (18) 의 상단부 (18a) 상으로 돌출되는 2 개의 웅형 단자 (70) 와, 양 웅형 단자 (70) 를 둘러싸도록 상단부 (18a) 상에 형성된 직사각형 통상의 커넥터 하우징 (71) 을 갖는다 (도 3 참조). 커넥터 하우징 (71) 의 기부 (基部) 에는 연통공 (73) 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 (73) 의 하단면은, 상단부 (18a) 의 상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의 중앙부에는, 직사각형상의 커넥터 삽입통과공 (75) 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삽입통과공 (75) 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71) 이 소정 간격 (S1) 을 두고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 커버부 (36) 와 상단부 (18a) 사이에는, 소정 간극 (S2) 이 설정되어 있다. 또, 간극 (S1) 과 간극 (S2) 에 의해, 상기 리저버 (16)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제 1 유출로 (S1, S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락 부재」에 상당한다. 또, 커넥터 삽입통과공 (75) 은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락용 개구부」에 상당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세트 플레이트 (14) 의 외부 접속용 전기 커넥터 (31) 와 상기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는 하니스 (80) 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하니스 (80) 는, 2 개 (도 6 에서는 1 개를 나타낸다) 의 전선 (81) 과, 전선 (81) 의 양 단부에 형성된 1 쌍 (도 6 에서는 일방을 나타낸다) 의 접속 커넥터 (82) 를 갖는다. 일방의 접속 커넥터 (82) 는,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에 끼워맞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타방의 접속 커넥터 (도시 생략) 는, 세트 플레이트 (14) 의 외부 접속용 전기 커넥터 (31) 에 끼워맞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일방의 접속 커넥터 (82) 는, 전선 (81) 에 접속된 자형 단자 (83) 와, 자형 단자 (83) 를 둘러싸도록 전선 (81) 의 단말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통상의 커넥터 하우징 (84) 을 갖는다. 자형 단자 (83) 와 커넥터 하우징 (84)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 (S3) 이 설정되어 있다. 또, 자형 단자 (83) 는, 상기 전기 커넥터 (47) 의 웅형 단자 (70) 에 끼워맞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 (84) 은, 전기 커넥터 (47) 의 커넥터 하우징 (71) 내에 소정의 간극 (S4) 을 두고 끼워맞춰져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 (84) 과 연료 펌프 (18) 의 상단부 (18a)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 (S5) 이 설정되어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 (84) 은 좌우 1 쌍의 중공부를 갖고 있고, 그 각 중공부에 자형 단자 (83) 가 각각 걸어 붙임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도 3 참조).
상기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에 상기 하니스 (80) 의 접속 커넥터 (82) 를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간극 (S2), 전기 커넥터 (47) 의 커넥터 하우징 (71) 의 연통공 (73), 상기 간극 (S3), 및 상기 간극 (S5) 에 의해, 리저버 (16)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시키고 또한 그 연료에 양 커넥터 (47, 82) 의 단자 (83, 87) 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2 유출로 (S2, 73, S3, S5)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웅형 단자 (70) 의 기단부는, 상기 간극 (S5) 에 노출되어 있다. 또, 웅형 단자 (70) 및 자형 단자 (83) 는, 그 단자 부근에 연료가 고이지 않도록 상기 간극 (S5, S3) 에 노출되어 있다. 또, 상기 간극 (S2), 전기 커넥터 (47) 의 커넥터 하우징 (71) 의 연통공 (73), 및 상기 간극 (S4) 에 의해, 리저버 (16)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한 제 3 유출로 (S2, 73, S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저버 (16) 내의 연료는, 제 1 유출로 (S1, S2), 제 2 유출로 (S2, 73, S3, S5), 및 제 3 유출로 (S2, 73, S4) 를 경유함으로써, 연료 탱크 (12) 내로 유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 중 화살표 참조). 또한, 제 1 유출로, 제 2 유출로 및 제 3 유출로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료 유출용 개구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연료 유출용 개구부의 개구 면적 즉 제 1 유출로 (S1, S2) 의 개구 면적, 제 2 유출로 (S2, 73, S3, S5) 의 개구 면적, 및 제 3 유출로 (S2, 73, S4) 의 개구 면적의 합계 면적은, 리저버 (16) 내로부터 유출되는 연료 유출 유량을, 상기 제트 펌프 (26) 에 의한 연료의 이송 유량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로부터의 잉여 연료량 (구동 연료량) 을 포함한다) 에 비해 적게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유출로, 제 2 유출로 및 제 3 유출로는, 통기공으로도 기능하는 것이며, 리저버 (16) 내의 공기를 유출시킴과 함께, 리저버 (16) 내의 연료 액면이 저하될 때에는 리저버 (16) 외의 공기를 리저버 (16) 내로 유입시킨다.
상기한 연료 공급 장치 (1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료 펌프 (18) 가 구동되면, 리저버 (16) 내의 연료가 흡입 필터 (20) 의 필터재 (51) 를 개재하여 여과된 후, 접속관 (53) 을 통과하여 연료 펌프 (18) 내에 흡입된다. 연료는, 연료 펌프 (18) 에 의해 승압되어 연료 토출구 (46) 로부터 고압 필터 (22) 에 토출된다. 그 연료는, 고압 필터 (22) 의 필터재 (57) 를 개재하여 여과된 후,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에 의해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른 압력으로 조압됨과 함께, 접속 배관 (59), 세트 플레이트 (14) 의 연료 토출관 (30), 및 도시되지 않은 연료 공급 배관을 통하여 엔진으로 공급된다.
또,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로부터 토출된 잉여 연료는, 제트 펌프 (26) 를 통하여 리저버 (16) 내로 되돌려진다. 또, 연료 탱크 (12) 내 (리저버 (16) 외) 의 연료는, 제트 펌프 (26) 에 의해 리저버 (16) 내로 이송 즉 압송된다. 또, 제트 펌프 (26) 에 의한 연료의 이송 유량 (구동 연료량을 포함한다) 에 비해, 리저버 (16) 내로부터 제 1 유출로, 제 2 유출로 및 제 3 유출로를 경유하여 유출되는 연료의 유출 유량이 적다. 이 때문에, 리저버 (16) 내에서 연료가 가압된다.
상기한 연료 공급 장치 (10) 에 의하면, 제트 펌프 (26) 에 의한 연료의 이송 압력을 이용하여 리저버 (16) 내에서 연료가 가압됨으로써, 리저버 (16) 내의 연료가 흡입 필터 (20) 내로 압입되게 된다. 이 때문에, 흡입 필터 (20) 내의 부압을 저감시키고, 연료 펌프 (18) 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연료 펌프 (18) 의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입 필터 (20) 의 필터재 (51) 가 부분적으로 눈막힘되더라도, 필터재 (51) 내의 부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트 펌프 (26) 에 의한 연료의 이송 유량 (구동 연료량을 포함한다) 에 비해, 리저버 (16) 내로부터 유출되는 연료의 유출 유량을 적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리저버 (16) 내의 연료를 가압할 수 있다.
또, 연료 이송 수단으로서 제트 펌프 (26) 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트 펌프 (26) 는 기계적인 가동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리저버 (16) 의 리저버 컵 (33) 상부의 개구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 (35) 의 커넥터 삽입통과공 (75) 과, 그 커넥터 삽입통과공 (75) 에 삽입통과되는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를 이용하여, 리저버 (16)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하는 제 1 유출로 (S1, S2)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리저버 (16)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및 접속 커넥터 (82) 에 형성된 제 2 유출로 (S2, 73, S3, S5) 및 제 3 유출로 (S2, 73, S4) 를 경유하여 유출시킬 수 있다. 즉, 제 2 유출로 (S2, 73, S3, S5) 및 제 3 유출로 (S2, 73, S4) 에 연료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 제 2 유출로 (S2, 73, S3, S5) 를 흐르는 연료에 양 커넥터 (47, 82) 의 양 단자 (70, 83) 를 노출시킴으로써, 양 단자 (70, 83) 의 주변에 연료가 잘 고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료의 굄에 의한 열화 연료의 생성을 방지함과 함께 양 단자 (70, 83) 의 전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리저버 (16) 의 커버 부재 (35) 와, 연료 펌프 (18) 를 유지하는 펌프 케이스 (펌프 케이스부 (37)) 와, 고압 필터 (22) 의 필터 케이스 (필터 케이스부 (38)) 를 겸용함으로써,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 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및 이후의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 에 변경을 가한 것이기 때문에, 그 변경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은 리저버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 (10) (도 1 및 도 2 참조) 를, 메인 탱크부와 서브 탱크부를 갖는 안장형의 연료 탱크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 참조) 에 적용하는 것이다. 리저버 (16) 는, 메인 탱크부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트 펌프 (26) 를 「제 1 제트 펌프 (26)」라고 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리저버 (16) 의 커버 부재 (35) 상에는, 제 2 제트 펌프 (90) 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제트 펌프 (90) 는, 제 1 제트 펌프 (26) 와 동일한 제트 펌프이다. 제 2 제트 펌프 (90) 의 구동 연료 유입구 (도시 생략) 와 상기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의 잉여 연료의 배출구 (도시 생략) 는, 제 1 리턴 배관 (91)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2 제트 펌프 (90) 의 연료 토출구와 제 1 제트 펌프 (26) (도 1 참조) 의 구동 연료 유입구 (26a) 는, 제 2 리턴 배관 (93)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제트 펌프 (90) 의 이송 연료 도입구 (도시 생략) 와 서브 탱크부 (도시 생략) 의 바닥부 내는 이송 배관 (92)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제트 펌프 (90) 의 배치에 수반하여 연료 도출구 (41) 가 위치 변경되어 있다.
상기 제 2 제트 펌프 (90) 는,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로부터 배출 (토출) 되는 잉여 연료를 구동 연료로서 이용하여 서브 탱크부 내의 연료를 이송 배관 (92) 을 통과하여 끌어올린다. 또, 제 1 제트 펌프 (26) 는,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로부터의 잉여 연료, 및 서브 탱크부로부터 끌어올린 연료를 구동 연료로서 이용하여, 연료 탱크 (12) 의 메인 탱크부 내의 연료를 리저버 (16) 내로 이송 (압송) 한다. 또한, 제 2 제트 펌프 (90)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제트 펌프」, 「제 2 연료 이송 수단」에 상당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 을 설명한다. 도 8 은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9 는 마찬가지로 측단면도, 도 10 은 리저버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 (도 1 및 도 2 참조) 에 있어서의 고압 필터 (22) 의 필터재 (57) 를 상하 반대로 배치한 것이다. 또, 커버 부재 (35) 의 필터 케이스부 (38) 의 내주측 상부에, 상측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연료 도입구 (95) 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 도입구 (95) 는, 상기 연료 펌프 (18) 의 연료 토출구 (46) 에 접속되어 있다. 또, 필터 케이스부 (38) 의 연료 도출구 (도시 생략) 는, 하측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는, 커버 부재 (35) 의 필터 케이스부 (38) 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트 펌프 (26) 는, 상기 리저버 (16) 의 바닥부 내에 있어서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의 거의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0 참조). 제트 펌프 (26) 의 구동 연료 유입구와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의 잉여 연료의 배출구는, 직관 (直管) 상의 리턴 배관 (98)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트 펌프 (26) 의 이송 연료 도입구는, 리저버 (16) 의 리저버 컵 (33) 을 개재하여 연료 탱크 (12) 내에 개구되어 있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저버 (16) 의 리저버 컵 (33) 은, 그 컵 (33) 내에 커버 부재 (35) 의 상면까지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 컵 (33) 둘레벽 (33a) 의 상단부는, 커버 부재 (35) 가 들어가도록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둘레벽 (33a) 의 상단부에는, 리저버 컵 (33) 과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필터 케이스부 (38) 를 포함한다)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 (99) 가 장착되어 있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 를 설명한다. 도 11 은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 (도 2 참조) 에 있어서의 리저버 (16) 의 리저버 컵 (33) 을, 그 컵 (33) 내에 커버 부재 (35) 가 그 상면까지 들어가도록 형성한 것이다. 커버 부재 (35) 가 들어가는 리저버 컵 (33) 둘레벽 (33a) 의 상단부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 컵 (33) 의 상단부에는, 리저버 컵 (33) 과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필터 케이스부 (38) 를 포함한다) 의 상면측의 외주부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 (101) 가 장착되어 있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5 를 설명한다. 도 12 는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 (도 1 참조) 에 있어서의 리저버 (16) 의 커버 부재 (35) 로부터 고압 필터 (22) (필터 케이스부 (38) 및 필터재 (57)) 를 생략한 것이다. 이로써, 커버 부재 (35) 는, 커버 부재 (35) 와 펌프 케이스 (펌프 케이스부 (37)) 를 겸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에는, 연료 펌프 (18) 의 연료 토출구 (46) 와 접속 배관 (59) 을 접속하기 위한 연통로 (10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의 연료 도입구 (도시 생략) 는, 연통로 (103) 상벽에 형성되고 또한 연통로 (103) 에 연통되는 접속구 (104) 에 접속되어 있다. 또,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하면의 외주부에 고리형의 끼워맞춤홈 (105) 이 형성되어 있고, 그 끼워맞춤홈 (105) 이 리저버 컵 (33) 둘레벽 (33a) 의 상단부에 끼워맞춰져 있다. 이로써, 시일 부재 (43) (도 1 참조) 가 생략되어 있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6 을 설명한다. 도 13 은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필터 케이스부 (38) 를 포함한다) 에, 리저버 (16) 의 내압을 소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 (106) 를 장착한 것이다. 릴리프 밸브 (106) 는, 커버 부재 (35) 의 커버부 (36) 에 있어서, 필터 케이스부 (38) 와 커넥터 삽입통과공 (75) (도 3 참조)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 (106) 는, 통상시에는 밸브를 닫고, 리저버 (16) 의 내압이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 밸브를 열어, 리저버 (16) 내의 연료나 공기를 리저버 (16) 외로 내보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 (106) 에 의해 리저버 (16) 의 내압이 소정값으로 유지됨으로써, 리저버 (16) 내압의 과가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료 이송 수단으로는, 제트 펌프 (26) 이외의 펌프를 사용해도 된다. 또, 제트 펌프 (26) 는, 프레셔 레귤레이터 (24) 로부터 배출 (토출) 되는 잉여 연료를 구동 연료로서 이용했지만, 연료 펌프 (18) 의 베이퍼 제트로부터 토출된 연료를 구동 연료로서 이용해도 되고, 연료 펌프 (18) 의 토출 연료로부터 분류된 연료를 구동 연료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 연락용 개구부에 삽입통과되는 연락 부재로는, 연료 펌프 (18) 의 전기 커넥터 (47) 외에, 배관류, 전선류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커버 부재 (35) 에는, 리저버 (16)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하는 전용 유출로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유출로 (S1, S2) 및/또는 제 2 유출로 (S2, 73, S3, S5) 는 생략할 수도 있다.
10 : 연료 공급 장치
12 : 연료 탱크
16 : 리저버
18 : 연료 펌프
20 : 흡입 필터
22 : 고압 필터
26 : 제트 펌프 (연료 이송 수단, 제 1 연료 이송 수단, 제 1 제트 펌프)
33 : 리저버 컵
35 : 커버 부재 (폐색 부재)
37 : 펌프 케이스부 (펌프 케이스)
38 : 필터 케이스부 (필터 케이스)
47 : 전기 커넥터 (연락 부재)
75 : 커넥터 삽입통과공 (연락용 개구부)
77 : 제 1 유출로
87 : 제 2 유출로
90 : 제 2 제트 펌프 (연료 이송 수단, 제 2 연료 이송 수단, 제트 펌프)
106 : 릴리프 밸브

Claims (9)

  1. 연료 탱크 내에 배치되고 또한 밀폐상으로 형성된 리저버와,
    상기 리저버 내의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펌프와,
    상기 연료 펌프에 흡입되는 연료를 여과하는 흡입 필터와,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 내로 이송하는 연료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연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연료 이송 수단에 의한 연료의 이송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리저버 내의 연료를 가압하고,
    상기 연료 이송 수단에 의한 연료의 이송 유량에 비해, 상기 리저버 내로부터 유출되는 연료의 유출 유량을 적게하고,
    상기 리저버는, 상부를 개구하는 컵상의 리저버 컵과, 리저버 컵 상부의 개구를 폐색하고 또한 리저버 내외에 걸친 연락 부재를 삽입통과시키는 연락용 개구부를 갖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색 부재와 상기 연락 부재 사이의 개구 부분에 의해 상기 리저버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하는 제 1 유출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이송 수단은, 상기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된 연료이고 또한 상기 엔진에 공급되지 않는 연료의 흐름을 이용하여 연료를 이송하는 제트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 부재는, 상기 리저버 내에 수용된 상기 연료 펌프의 전기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의 전기 커넥터, 및 그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에는, 상기 리저버 내의 연료 및 공기를 유출시키고 또한 그 연료에 양 커넥터의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2 유출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의 폐색 부재에, 상기 리저버의 내압을 소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의 폐색 부재와 상기 연료 펌프를 유지하는 펌프 케이스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된 연료를 여과하는 고압 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리저버의 폐색 부재와 상기 고압 필터의 필터 케이스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KR1020130112610A 2012-12-27 2013-09-23 연료 공급 장치 KR101476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4746 2012-12-27
JP2012284746A JP6005507B2 (ja) 2012-12-27 2012-12-27 燃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288A KR20140085288A (ko) 2014-07-07
KR101476053B1 true KR101476053B1 (ko) 2014-12-23

Family

ID=5092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610A KR101476053B1 (ko) 2012-12-27 2013-09-23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70192B2 (ko)
JP (1) JP6005507B2 (ko)
KR (1) KR101476053B1 (ko)
CN (1) CN103899456B (ko)
DE (1) DE102013022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7650B2 (ja) * 2013-10-21 2017-05-31 ヒョンダム インダストリア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コントローラを装着した車両用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JP6215155B2 (ja) * 2014-08-26 2017-10-18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DE102014225309A1 (de) * 2014-12-09 2016-06-09 Robert Bosch Gmbh Kraftstoffpumpenanordnung
EP3259187A4 (en) * 2015-02-19 2018-11-21 Orbital Australia PTY Ltd. Uav fuel and lubrication system
JP6695707B2 (ja) * 2016-02-19 2020-05-2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696356B2 (ja) * 2016-08-26 2020-05-20 株式会社デンソー フィルタ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US10408175B2 (en) 2017-06-30 2019-09-10 Vmp Tuning, Inc. System for housing a fuel pump and a fuel filter
JP7019515B2 (ja) * 2018-06-06 2022-02-15 愛三工業株式会社 流体制御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679A (ja) * 2002-08-05 2004-03-04 Denso Corp ポンプモジュール
JP2006112398A (ja) * 2004-10-18 2006-04-27 Nissan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の内部構造
KR20060049593A (ko) * 2004-06-14 2006-05-19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리턴리스 시스템용 연료 공급 장치
JP2009144542A (ja) * 2007-12-12 2009-07-02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1957A (en) 1994-09-27 1996-04-30 Walbro Corporation High capacity fuel pump and filter combination
JP3591665B2 (ja) * 1995-03-23 2004-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
JP3389743B2 (ja) * 1995-07-10 2003-03-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
FR2753658B1 (fr) * 1996-09-26 1998-12-11 Dispositif de puisage de carburant pour reservoir de vehicules automobiles
JP3748103B2 (ja) * 2001-12-28 2006-02-2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2005201214A (ja) * 2004-01-19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供給装置
JP4410183B2 (ja) 2005-01-27 2010-02-03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2008248736A (ja) * 2007-03-29 2008-10-16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2008255872A (ja) * 2007-04-04 2008-10-23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JP4782093B2 (ja) * 2007-10-19 2011-09-28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2009127514A (ja) 2007-11-22 2009-06-11 Nifco Inc リザーバカップ
JP2010071098A (ja) * 2008-09-16 2010-04-02 Hond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の燃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679A (ja) * 2002-08-05 2004-03-04 Denso Corp ポンプモジュール
KR20060049593A (ko) * 2004-06-14 2006-05-19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리턴리스 시스템용 연료 공급 장치
JP2006112398A (ja) * 2004-10-18 2006-04-27 Nissan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の内部構造
JP2009144542A (ja) * 2007-12-12 2009-07-02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2710A1 (en) 2014-07-03
KR20140085288A (ko) 2014-07-07
JP2014126010A (ja) 2014-07-07
CN103899456B (zh) 2017-01-11
DE102013022081A1 (de) 2014-07-03
JP6005507B2 (ja) 2016-10-12
US9470192B2 (en) 2016-10-18
CN103899456A (zh)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053B1 (ko) 연료 공급 장치
JP5394733B2 (ja) 燃料ポンプ、ジェットポンプ及び燃料フィルタを直接連結した燃料システム
JP6162078B2 (ja) 燃料供給装置
US5649514A (en) Fuel supply apparatus
EP0959241B1 (en) Fuel feeder for vehicles
US10907593B2 (en) Fuel supply device
WO1996023966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carburant
KR101869837B1 (ko) 연료 공급 장치
US6915787B2 (en) Fuel supply apparatus and fuel pressure regulator
US9915234B2 (en) Valve structure and fuel supply device
JPH11101166A (ja) 燃料供給装置
US6156201A (en) Fuel filter with return path for reducing electrical charge buildup
JPH09310648A (ja) 燃料フィルタ
JP2010071098A (ja) 燃料タンクの燃料供給装置
CN104395596A (zh) 燃料供应系统
US8096780B2 (en) Single piece dual jet pump and fuel system using it
CN1200202C (zh) 用于汽车内燃机的燃油供给装置
KR101476052B1 (ko) 연료 공급 장치
JP2011185112A (ja) 燃料フィルタ装置
JP4370528B2 (ja) 燃料供給装置
KR101104932B1 (ko) 연료펌프모듈용 인탱크 필터
JP2006220081A (ja) 燃料供給装置
JP2008082263A (ja) 燃料供給装置
JP5554055B2 (ja) 燃料供給装置
JP2005320884A (ja) 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