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683B1 - 디지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683B1
KR101475683B1 KR1020070125184A KR20070125184A KR101475683B1 KR 101475683 B1 KR101475683 B1 KR 101475683B1 KR 1020070125184 A KR1020070125184 A KR 1020070125184A KR 20070125184 A KR20070125184 A KR 20070125184A KR 101475683 B1 KR101475683 B1 KR 101475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main printed
photographing apparatu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418A (ko
Inventor
문홍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683B1/ko
Priority to US12/290,183 priority patent/US8223246B2/en
Priority to CN2008101794775A priority patent/CN101452102B/zh
Publication of KR2009005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단순화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부품 및 촬상소자가 직접 부착된 메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단순화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경통부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에 입사함으로써 촬상소자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 및 경통부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 특히 촬상소자 어셈블리 및 경통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촬상소자 어셈블리는 촬상소자용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과,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에 부착된 촬상소자(2)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과 촬상소자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촬상소자 플레이트(3)를 구비한다. 이러한 촬상소자용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은 그 일측에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1a)를 가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제어를 총괄하는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이 부착된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촬상소자(2)는 단자부(2a)를 구비하며, 이 단자부(2a)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을 관통하여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의 배면에서 납땜(4)에 의해 고정된다. 경통부(5)는 경통부(5)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2)에 입사할 수 있도록 촬상소자 어셈블리와 정렬된 후 촬상소자 어셈블리와 체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촬상소자 어셈블리 및 경통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고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율이 낮고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증가하며 제품 완성 후에도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단순화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부품 및 촬상소자가 직접 부착된 메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촬상소자의 배면이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면에 접하도록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경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통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상기 경통부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체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경통부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체결하는 제1체결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프레임과,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는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대응 부품이 부착된 상부 인쇄회로기판(top PCB)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프레임을 체결하는 제2체결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프레임을 체결하는 제3체결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은 제1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제2커넥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각각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프레임에의 체결 및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프레임에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상호 맞물리게 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단순화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경통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경통부가 체결된 메인 인쇄회로기판 경통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을 구비하는데,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부품(52) 및 촬상소자(54)가 이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즉,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는 촬상소자용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과, 촬상소자용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개재된 촬상소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촬상소자 어셈블리를 제조한 후 이 촬상소자 어셈블리가 커넥터를 통해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서는 촬상소자(54)가 직접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부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촬상소자용 인쇄회로기판(1)과, 촬상소자 플레이트(3)와, 촬상소자용 인쇄회로기판(1)과 메인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미도시)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추가적인 별도의 구성요소의 증가 없이도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비해 그 총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며, 이에 따라 구성이 단순해짐으로써 제조가 용이해지고 추후 불량 발생율이 낮아지며 대량생산에 있어서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종래의 디지 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2)가 단자부(2a)를 구비하며, 이 단자부(2a)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을 관통하여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의 배면에서 납땜(4)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과 촬상소자(2) 사이의 공간에는 촬상소자 플레이트(3)가 개재된다. 촬상소자 플레이트(3)가 개재되는 것은, 촬상소자 어셈블리를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한 후 촬상소자 어셈블리의 위치를 고정할 때까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이 플렉서블하기 때문에 찰상소자가 손상될 수도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촬상소자(2)를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에 납땜으로 고정할 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이 플렉서블하기에 촬상소자(2)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거나 납땜 공정에서의 핸들링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는 촬상소자 플레이트(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체결요소로 촬상소자 플레이트(3)와 메인 인쇄회로기판을 체결함으로써 촬상소자 어셈블리를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상소자(54)가 플렉서블하지 않은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직접 부착되기에, 별도의 촬상소자 플레이트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하지 않은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의 면에 촬상소자(54)의 배면이 접하도록 촬상소자(54)가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부착되므로, 그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물론 촬상소자(54)가 부착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은 플렉서블하지 않기에, 촬상소자(54)의 단자부(54a) 등을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납땜(56) 등으로 고정하는 과정에서의 핸들링 역시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 조리개 등을 포함하는 경통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통부(6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직접 체결된다. 이를 통해 경통부(60)를 통과한 광이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부착된 촬상소자(54)에 입사하게 된다. 이때, 경통부(60)와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은 스크류 등과 같은 제1체결요소(74)를 통해 체결될 수 있는데, 예컨대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배면을 통해 촬상소자(54) 주변부에서 제1체결요소(74)에 의해 경통부(60)와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이 체결될 수 있다. 경통부(60)를 통과한 광이 정확하게 촬상소자(54)에 입사해야 하기 때문에 경통부(60)와 촬상소자(54) 사이의 얼라인이 매우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촬상소자(54)가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직접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경통부(60)를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결착함에 있어서 경통부(60)와 촬상소자(54) 사이의 얼라인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프레임, 프레임에 체결된 상부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메인 인쇄회로기판 경통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메인 인쇄회로기판 경통 어셈블 리가 상부 인쇄회로기판이 체결된 프레임에 체결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프레임(10)과 상부 인쇄회로기판(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인쇄회로기판(30)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는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대응 부품이 부착된 것으로,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인쇄회로 기판(30)은 스크류와 같은 제2체결요소(72)에 의해 프레임(1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플래쉬 램프를 포함하는 플래쉬 모듈(20)이 상부 인쇄회로기판(30)에 결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은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데, 메인 인쇄회로기판(50) 역시 프레임(10)에 스크류 등과 같은 제3체결요소(73)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인쇄회로기판(30)은 제1커넥터(393)를 구비하고,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은 제2커넥터(594)를 구비하며, 제1커넥터(393)와 제2커넥터(594)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부 인쇄회로기판(30)과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인쇄회로기판(30)이 프레임(10)의 상부에 체결되고 메인 인쇄회로기판(50)이 프레임(10)의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제1커넥터(393)와 제2커넥터(594)가 자동으로 상호 맞물리게 함으로써 별도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Board to Board connection).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플래쉬 모듈 내의 플래쉬 램프가 별도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를 통해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으나,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플래쉬 모듈(20)이 상부 인쇄회로기판(30)을 통해 메인 인쇄회로기판(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그 구성요소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제조수율을 높이고 추후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며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 어셈블리와 경통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경통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경통부가 체결된 메인 인쇄회로기판 경통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레임, 프레임에 체결된 상부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메인 인쇄회로기판 경통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메인 인쇄회로기판 경통 어셈블 리가 상부 인쇄회로기판이 체결된 프레임에 체결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20: 플래쉬 모듈
30: 상부 인쇄회로기판 50: 메인 인쇄회로기판
54: 촬상소자 60: 경통부

Claims (9)

  1.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부품 및 촬상소자가 직접 부착된 메인 인쇄회로기판;
    프레임; 및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는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대응 부품이 부착된 상부 인쇄회로기판(top PCB);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은 제1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제2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촬상소자의 배면이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면에 접하도록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경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통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상기 경통부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부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체결하는 제1체결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프레임을 체결하는 제2체결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프레임을 체결하는 제3체결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각각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프레임에의 체결 및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프레임에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상호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70125184A 2007-12-04 2007-12-04 디지털 촬영장치 KR101475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184A KR101475683B1 (ko) 2007-12-04 2007-12-04 디지털 촬영장치
US12/290,183 US8223246B2 (en) 2007-12-04 2008-10-28 Reduced-component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CN2008101794775A CN101452102B (zh) 2007-12-04 2008-11-28 组件减少的数字图像拍摄设备及其装配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184A KR101475683B1 (ko) 2007-12-04 2007-12-04 디지털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418A KR20090058418A (ko) 2009-06-09
KR101475683B1 true KR101475683B1 (ko) 2014-12-23

Family

ID=4067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184A KR101475683B1 (ko) 2007-12-04 2007-12-04 디지털 촬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23246B2 (ko)
KR (1) KR101475683B1 (ko)
CN (1) CN1014521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419A (ko) * 2007-12-04 2009-06-09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CN111641767B (zh) 2013-03-15 2021-11-05 株式会社尼康 拍摄装置
US9769361B2 (en) * 2015-08-31 2017-09-19 Adlink Technology Inc. Assembly structure for industrial cameras
USD914071S1 (en) 2018-11-02 2021-03-23 Esab Ab Welding device enclos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78A (ko) * 1992-08-18 1994-03-15 김주용 자동 카메라용 릴리즈 버튼 작동 구조
KR20010036029A (ko)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씨씨티브이 카메라의 초점거리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534A (ko) 1994-12-28 1996-07-22 김금천 자동차 후방투시용 c.c.d 카메라 설치구조
JPH1169208A (ja) * 1997-08-21 1999-03-09 Kanagawa Chikudenchi Kk ピンホールビデオカメラ
KR20020032027A (ko) 2000-10-25 2002-05-03 듀흐 마리 에스. Ccd 이미징 칩용 패키징 구조
JP2003270705A (ja) * 2002-03-14 2003-09-2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CN2645238Y (zh) * 2003-09-05 2004-09-29 英新达股份有限公司 数字图像拍摄模块的封装结构及制程
CN1983536A (zh) * 2005-12-12 2007-06-20 嘉田科技股份有限公司 改善影像感测晶片组构于电路板的封装方法
CN100417196C (zh) * 2005-12-15 2008-09-03 普立尔科技股份有限公司 数码相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78A (ko) * 1992-08-18 1994-03-15 김주용 자동 카메라용 릴리즈 버튼 작동 구조
KR20010036029A (ko)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씨씨티브이 카메라의 초점거리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2102B (zh) 2013-04-10
US8223246B2 (en) 2012-07-17
KR20090058418A (ko) 2009-06-09
US20090141158A1 (en) 2009-06-04
CN101452102A (zh)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819B1 (ko) 카메라 모듈
US11218623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a housing with an adhesion surface
US8130315B2 (en) Solid image captur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same
US20080142917A1 (en) Image sensor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A2654422A1 (en) Camera module with premolded lens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475683B1 (ko) 디지털 촬영장치
EP2712173B1 (en) Camera module
CN101452182B (zh) 部件减少的闪光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数字图像拍摄设备
US20120044591A1 (en) Camera module
KR100769725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645837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090147128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00094046A (ko) 카메라 모듈 불량 측정용 지그
KR101036427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385960B1 (ko) 디지털 촬영장치
JP2007212775A (ja) 携帯機器
JP3911963B2 (ja) 光電気的器材
US737925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100939759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편심 측정 지그 및 그를 이용한 편심측정 방법
KR101032198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70304A (ko) 카메라 모듈
JP2011130347A (ja) 電子機器
KR20090009040A (ko)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용 하우징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KR20100108764A (ko) 카메라 모듈
KR20110020665A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