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015B1 - 대리석 슬라이서 - Google Patents

대리석 슬라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015B1
KR101475015B1 KR20130080931A KR20130080931A KR101475015B1 KR 101475015 B1 KR101475015 B1 KR 101475015B1 KR 20130080931 A KR20130080931 A KR 20130080931A KR 20130080931 A KR20130080931 A KR 20130080931A KR 101475015 B1 KR101475015 B1 KR 10147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ble
cutting
blade
cam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장원
맹평주
Original Assignee
맹장원
맹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장원, 맹평주 filed Critical 맹장원
Priority to KR2013008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reciprocating saw-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리석 슬라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대리석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대리석을 상기 절단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이 완료된 대리석을 외부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파이프와; 상기 절단날이 상기 대리석의 진행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대리석을 횡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날을 이송하는 절단날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리석 슬라이서{MARBLE SLICER}
본 발명은 대리석 슬라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대리석을 횡방향으로 일정두께로 정밀하게 절단가공할 수 있는 대리석 슬라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 외장재, 석재 가구, 선박 내장재, 싱크대 등에는 대리석이 많이 사용된다. 이에 대리석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내, 외장에 부착하게 된다.
종래 대리석의 절단에는 등록실용 제20-0305425호 "인조 대리석 절삭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 대리석 절삭 장치는 회전하는 커터가 대리석을 수직방향으로 절삭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대리석은 무게가 무거우므로 절삭을 위해 작업자가 대리석을 지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건축 내장재의 경우 대리석을 얇은 판상으로 가공해야 하는데 커터 자체의 두께와 구동부재 등의 부피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얇은 두께로 가공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리석을 눕혀서 이송하면서 가로방향으로 얇은 두께로 절삭가공할 수 있는 대리석 슬라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리석의 횡방향 절단시 절단날의 좌우 이송을 캠축의 캠프로파일 형상에 의해 구현하여 가공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대리석 슬라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리석 슬라이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리석 슬라이서는, 대리석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대리석을 상기 절단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이 완료된 대리석을 외부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파이프와; 상기 절단날이 상기 대리석의 진행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대리석을 횡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날을 이송하는 절단날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날은, 절삭팁이 결합된 날본체와; 상기 날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판면에 캠수용공이 형성된 날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날이송부는, 상기 캠수용공에 수용되며 장축과 단축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캠프로파일을 갖는 캠과; 상기 캠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캠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캠수용공은 상기 장축에 대응되는 가로축과 상기 장축 보다 큰 세로축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이 상기 캠수용공 내부를 회전하는 위상각에 따라 상기 절단날이 좌우로 직선운동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날은, 일정 두께를 갖는 절단날본체와; 상기 절단날본체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절삭팁과; 상기 절단날본체에 이웃하는 절삭팁 사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대리석의 절삭시 발생되는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날의 좌우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파이프를 통해 이송된 대리석을 상기 절단날을 향해 강제로 이송시키는 대리석이송롤러와; 상기 절단날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는 대리석을 눕혀서 대리석이송부로 이송하며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절단날에 의해 횡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특히,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절단날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절삭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절삭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리석을 대리석이송부와 대리석이송롤러에 의해 이송하므로 작업자의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의 절단날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의 절단날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의 절단날이송부의 동작과정을 캠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를 통해 절단되는 대리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1)는 지지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대리석(M)을 이송하는 대리석이송부(200)와, 대리석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된 대리석(M)을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날(350)이 구비된 절단부(300)와, 절단날(350)을 좌우로 왕복이동시켜 대리석(M)이 절단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절단날이송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1)는 천연 대리석, 인조대리석은 물론 화강암과 같은 석재 등을 횡방향으로 절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대리석(M)이 이송되며 절단날(350)에서 안정적으로 절단과정이 진행되도록 각 구성들을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00)은 무게가 무거운 대리석(M)의 이송과 절단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00)은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레그(120)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로 일정높이 형성되어 대리석이송부(2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봉(130)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0)은 내구성과 강도의 향상을 위해 추가적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격자 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가운데 영역에 절단부(300)를 지지하는 절단부테이블(140)이 구비되고, 절단부테이블(140)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리석이송부(200)가 구비된다.
대리석이송부(200)는 절단부(300)를 향해 대리석(M)을 이송하고, 절단이 완료된 절단대리석(M)을 절단부(300)에서 외부로 이송한다. 대리석이송부(200)는 지지봉(130)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과,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파이프(22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이송파이프(220)는 아이들회전가능하게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이송파이프(220)의 상면에 대리석(M)이 적재되고, 작업자가 대리석(M)에 외력을 인가하면 이송파이프(220)가 회전되면서 대리석(M)이 절단부(300)를 향해 이동되게 된다.
다량의 대리석(M)의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복수개의 이송파이프(220)들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컨베이어벨트의 형태로 자동으로 대리석(M)이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절단부(300)는 절단부테이블(140) 상에 적재되어 대리석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대리석(M)이 절단날(350)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다. 절단부(300)는 절단부테이블(140)의 상부에 안착된 구동박스(310)와, 구동박스(310)의 상면에 일정높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절단날(35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320)와, 구동박스(310)와 상부커버(32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대리석(M)을 강제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대리석이송롤러(330,340)와, 구동박스(310)와 상부커버(320)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절단날이송부(400)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며 대리석(M)을 절단하는 절단날(350)을 포함한다.
구동박스(310)는 절단부테이블(140)의 상면에 안착되고, 내부에 대리석이송롤러(330,340)를 구동시키는 롤러구동부(미도시)가 수용된다. 롤러구동부(미도시)는 서브모터(미도시)와, 서브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복수개의 대리석이송롤러(330,340)로 전달하는 전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박스(310)의 상면은 대리석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된 대리석(M)이 절단날(350)로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면(311)을 형성한다. 안내면(311)을 따라 대리석(M)이 진입되고 안내면(311)의 양측, 즉 구동박스(310)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대리석이송롤러(330,340)의 회전에 의해 대리석(M)이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커버(320)는 구동박스(310)와 일정높이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때, 상부커버(320)와 구동박스(310) 사이의 높이는 가공되는 대리석(M)의 높이 보다 일정높이 크게 형성된다. 상부커버(320)는 절단날(35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리석이송롤러(330,340)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대리석이송롤러(330,340)는 구동박스(310)의 양측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대리석(M)이 절단날(350)로 가압되며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인가한다. 대리석이송롤러(330,340)는 롤러이송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된다. 대리석이송롤러(330,340)는 상부커버(320)와 구동박스(31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대리석이송롤러(330,340)는 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좌우 대리석이송롤러(330,340) 사이의 간격은 가공할 대리석(M)의 가로폭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대리석(M)이 좌우 한 쌍의 대리석이송롤러(330,340)에 접촉되며 맞물려서 대리석이송롤러(330,340)의 회전시에 절단날(350)로 이동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대리석 슬라이서(1)의 절단날(350)과 절단날이송부(4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절단날(350)은 일정길이를 갖는 날본체(351)와, 날본체(351)의 전단에 결합되어 대리석(M)을 절단하는 복수개의 절삭팁(353)과, 날본체(351)를 절단날이송부(4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날거치대(357)를 포함한다.
날본체(351)는 일정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날본체(351)는 일정두께(d1)를 갖도록 형성된다. 날본체(351)의 양단은 거치대연결부(355)를 통해 날거치대(357)와 결합된다. 절삭팁(353)은 날본체(351)에 결합된다. 절삭팁(353)은 날본체(351)의 선단에 결합된다. 날본체(351)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날본체(351)에 고정결합된다. 이에 의해 대리석 이송시 날본체(351)가 먼저 접촉되며 절삭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절삭에 의해 발생되는 슬러지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절삭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절삭팁(353)은 다이아몬드와 같이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이웃하는 절삭팁(353) 사이에는 절삭시 발생되는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공(354)이 날본체(351)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날본체(351)의 두께와 절삭팁(353)의 두께는 동일한 높이로 구비된다. 날본체(351)와 절삭팁(351)의 두께는 가공할 대리석(M)의 두께와 절삭대리석(M)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날거치대(357)는 절단날(350)을 절단날이송부(400)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날거치대(357)의 선단에는 거치대연결부(355)가 구비되고, 거치대연결부(355)는 체결부재(356)에 의해 날본체(351)의 단부와 고정된다. 이에 의해 날거치대(357)가 절단날이송부(400)에 의해 좌우 이동되는 것이 절단날(350)로 전달되어 날본체(351)도 좌우로 왕복이동하며 대리석(M)을 절단하게 된다. 날거치대(357)의 판면에는 절단날이송부(400)의 캠(421)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캠수용공(357a)이 구비된다. 여기서, 날거치대(357)와 거치대연결부(35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날거치대(357)와 대향되는 방향에는 피동날거치대(358)가 구비된다. 피동날거치대(358)는 날본체(351)의 타단에 결합되며 날거치대(357)가 절단날이송부(40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피동날거치대(358)도 좌우로 이동되게 된다.
피동날거치대(358)의 판면에는 캠프로파일(421a)의 형상에 의해 날본체(351)가 좌우로 이동되는 최대변위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축수용공(358a)이 관통형성된다. 축수용공(358a)에는 절단날지지케이싱(440)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날지지축(359)이 결합된다.
절단날이송부(400)는 캠(421)의 캠프로파일(421a) 형상에 의해 캠구동부(430)의 회전운동을 절단날(350)의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절단날이송부(400)는 절단날(350)의 양단에 배치되는 캠케이싱(410)과, 캠케이싱(410)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회전캠(420)과, 캠케이싱(41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캠(420)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캠구동부(430)를 포함한다.
캠케이싱(410)은 내부에 날거치대(357)와 회전캠(420)을 수용한다. 이에 의해 회전캠(420)이 캠수용공(357a) 내부에서 회전될 때 이물질이 회전캠(420)과 캠수용공(357a)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회전캠(420)은 캠수용공(357a) 내부에서 회전되는 캠(421)과, 캠(421)이 회전될 수 있도록 캠구동부(4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캠축(423)을 포함한다. 캠축(423)은 캠(421)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구동벨트(433)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캠(421)은 캠수용공(357a) 내부에서 회전되며 절단날(350)이 좌우로 직선이동되도록 한다. 도 4는 캠(421)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단계별도 도시한 예시도이다.
캠(421)은 세로축의 길이(ℓ4)가 가로축의 길이(ℓ3) 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캠프로파일(421a)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일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된다. 이 때, 캠수용공(357a)은 세로축의 길이(ℓ1)가 캠(421)의 세로축의 길이(ℓ4) 보다 길게 형성되고, 가로축의 길이(ℓ2)는 세로축의 길이(ℓ1) 보다 짧고 캠(421)의 세로축의 길이(ℓ4)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캠(421)의 가로축의 길이(ℓ3) 보다 크게 형성된다.
(s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프로파일(421a)이 12시 방향을 향한 경우를 절단날(350)의 초기위치로 설정할 때, (s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프로파일(421a)이 3시 방향을 향하도록 캠(421)이 회전되면 캠축(423)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캠프로파일(421a)이 캠수용공(357a)을 가압하여 d1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날본체(351)가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s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프로파일(421a)이 6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캠(421)의 가로축의 길이(ℓ3) 보다 캠수용공(357a)의 가로축의 길이(ℓ2)가 크므로 캠수용공(357a)은 다시 초기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s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프로파일(421a)이 9시 방향을 향하게 회전하면 캠프로파일(421a)이 캠수용공(357a)을 다시 가압하여 날거치대(357)와 날본체(351)가 왼쪽 방향으로 d4만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캠프로파일(421a)이 다시 12시 방향을 향하게 되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캠(421)이 1회전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날본체(351)는 d1과 d3를 합한 거리만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d1의 거리는 캠프로파일(421a)의 가로축과 세로축 사이의 길이차이에 대응된다. 캠축(423)이 연속하여 이동하면 절단날(350)은 좌우로 왕복이동하게 되고, 대리석을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1)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 또는 이송부재(미도시)에 의해 절단할 대리석(M)을 대리석이송부(200) 상에 적재한다. 그리고, 대리석(M)을 가압하면, 복수개의 이송파이프(220)가 아이들 회전하며 대리석(M)이 절단부(300) 측으로 이동된다.
복수개의 대리석이송롤러(330,340)가 회전하고, 대리석(M)의 선단부 양측이 대리석이송롤러(330,340)에 접촉되면 대리석이송롤러(330,340)의 회전에 의해 대리석(M)이 절단날(350)로 이동된다.
절단날(350)로 이동되는 대리석(M)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본체(351)와 절삭팁(353)과 접촉된다. 그리고, 캠축(423)의 회전에 의해 캠(421)이 캠수용공(357a) 내부에서 회전하고, 캠(421)의 회전시 위상각도에 따라 캠프로파일(421a)의 일방향으로의 돌출형상에 의해 캠(421)이 캠수용공(357a)을 가압하여 날거치대(357)와 이에 연결된 날본체(351)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절단날(350)은 캠(421)의 세로축과 가로축의 길이차이의 2배에 해당되는 거리를 좌우로 이동하며 대리석(M)을 절단하게 된다.
h의 높이를 갖는 대리석(M)은 날본체(351)와 상하 한 쌍의 절삭팁(353)의 두께가 더해진 두께(h2)가 절삭시 슬러지로 제거되고, h1의 두께를 갖는 두 개의 절삭 대리석(M1)으로 절삭되어 대리석이송부(200) 후단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 슬라이서는 대리석을 눕혀서 대리석이송부로 이송하며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절단날에 의해 횡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특히,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절단날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절삭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절삭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리석을 대리석이송부와 대리석이송롤러에 의해 이송하므로 작업자의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대리석 슬라이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대리석 슬라이서 100 : 지지프레임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지지레그
130 : 지지봉 140 : 절단부테이블
200 : 대리석이송부 210 : 이송프레임
220 : 이송파이프 300 : 절단부
310 : 구동박스 311 : 안내면
320 : 상부커버 330,340 : 대리석이송롤러
350 : 절단날 351 : 날본체
353 : 절삭팁 354 : 슬러지배출공
355 : 거치대연결부 357 : 날거치대
357a : 캠수용공 358 : 피동날거치대
358a : 축수용공 359 : 날지지축
400 : 절단날이송부 410 : 캠케이싱
420 : 회전캠 421 : 캠
421a : 캠프로파일 423 : 캠축
423 : 벨트풀리 430 : 캠구동부
431 : 캠구동모터 433 : 구동벨트
440 : 절단날지지케이싱

Claims (4)

  1. 삭제
  2. 대리석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대리석을 상기 절단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이 완료된 대리석을 외부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파이프와;
    상기 절단날이 상기 대리석의 진행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대리석을 횡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날을 이송하는 절단날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날은,
    절삭팁이 결합된 날본체와;
    상기 날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판면에 캠수용공이 형성된 날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날이송부는,
    상기 캠수용공에 수용되며 장축과 단축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캠프로파일을 갖는 캠과;
    상기 캠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캠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캠수용공은 상기 장축에 대응되는 가로축과 상기 장축 보다 큰 세로축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이 상기 캠수용공 내부를 회전하는 위상각에 따라 상기 절단날이 좌우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슬라이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상기 날본체에 이웃하는 절삭팁 사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대리석의 절삭시 발생되는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날본체는,
    일정 두께를 갖으며, 전단에 복수개의 절삭팁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슬라이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단날의 좌우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파이프를 통해 이송된 대리석을 상기 절단날을 향해 강제로 이송시키는 대리석이송롤러와;
    상기 절단날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 슬라이서.
KR20130080931A 2013-07-10 2013-07-10 대리석 슬라이서 KR10147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931A KR101475015B1 (ko) 2013-07-10 2013-07-10 대리석 슬라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931A KR101475015B1 (ko) 2013-07-10 2013-07-10 대리석 슬라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015B1 true KR101475015B1 (ko) 2014-12-22

Family

ID=5267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931A KR101475015B1 (ko) 2013-07-10 2013-07-10 대리석 슬라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160A (zh) * 2020-10-21 2021-01-26 周兵霞 一种制备大理石擀面杖用切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426A (ja) * 1991-10-14 1994-04-12 C Bataria Gino 石のスラブの厚さを低減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その方法
KR20010094012A (ko) * 2000-04-03 2001-10-31 배상섭 석재절단장치용 톱날장착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426A (ja) * 1991-10-14 1994-04-12 C Bataria Gino 石のスラブの厚さを低減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その方法
KR20010094012A (ko) * 2000-04-03 2001-10-31 배상섭 석재절단장치용 톱날장착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160A (zh) * 2020-10-21 2021-01-26 周兵霞 一种制备大理石擀面杖用切断装置
CN112265160B (zh) * 2020-10-21 2022-08-19 周兵霞 一种制备大理石擀面杖用切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358B1 (ko) 대형 파이프 고속 절단기
KR100915076B1 (ko) 모따기 장치
KR102117229B1 (ko) 단열재 다층 수평컷팅기
KR101475015B1 (ko) 대리석 슬라이서
KR100876415B1 (ko) 고기류 절단기
KR20190121946A (ko)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커팅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 냉동 겸용 육류 슬라이스 절단기
JP4190016B2 (ja) 丸刃を使用する食肉スライサー
KR100694790B1 (ko) 자동식 석재용 라운딩 연삭장치
CN214393479U (zh) 一种连续作业的机械切割设备
US6899003B1 (en) Rotary cutting machine for corrugated cardboard plate
JP2017052091A (ja) 長尺状の被切断物のスライス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長尺パイプ材のv溝スライス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可搬式スライス切断機
US4409875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tegral wooden angle bar
CN216607436U (zh) 一种钢管连续切割装置
KR101605182B1 (ko) 연골 육 다짐장치
CN204546306U (zh) 喷丸处理装置
KR200172787Y1 (ko) 채낚기 어업용 미끼세절장치
KR100625344B1 (ko) 고무판 이송장치
KR100771845B1 (ko) 곡면 형성기
JP2016074509A (ja) 搬送装置
CN218639790U (zh) 纸箱纸板定位裁切设备
JP6114895B1 (ja) アール合板倣い切断機、及び、切断装置
CN207100362U (zh) 一种可持续清洗的鱼类产品开片装置
US3799329A (en) Harpoon-type conveyor
CN213380475U (zh) 一种便于定距输送的棒材管材机械加工平台
CN212634500U (zh) 一种大型剪板机的板材推进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