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008B1 - Rice powder boiling machine - Google Patents
Rice powder boil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5008B1 KR101475008B1 KR20140079040A KR20140079040A KR101475008B1 KR 101475008 B1 KR101475008 B1 KR 101475008B1 KR 20140079040 A KR20140079040 A KR 20140079040A KR 20140079040 A KR20140079040 A KR 20140079040A KR 101475008 B1 KR101475008 B1 KR 1014750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cylinder
- steamer
- silo
- fee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title 1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360 m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60 sil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증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찜통이 설치된 테이블의 상측에 쌀가루가 담긴 수개의 시루를 적층시킨 상태로 증숙하는 증숙장치부와, 증숙장치부에서 증숙된 떡이 담긴 시루를 후방으로 이송시켜 제병기에 쏟은 뒤에 빈 시루를 전방의 시루투입대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와, 시루투입대에 얹힌 상태에서 쌀가루가 담긴 시루를 승하강시키면서 증숙장치부의 찜통 상부로 투입하는 승하강장치부로 떡증숙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시루의 이동이 승하강과 전후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리프트바가 180도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것에 따라 시루가 180도로 큰 회전궤적을 그리며 회전식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찜통(1)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수개의 시루(3)에 담긴 쌀가루를 증숙하는 증숙장치부(100)와, 증숙장치부(100)에서 증숙된 떡이 담긴 시루(3)를 후방으로 이송시켜 제병기에 쏟은 뒤에 빈 시루(3)를 전방의 시루투입대(30)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200)와, 시루투입대(30)에 얹힌 상태에서 쌀가루가 담긴 시루(3)를 승하강시키면서 증숙장치부(100)의 찜통(1) 상부로 투입하는 승하강장치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cake steam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am cake steaming machine having a steam cooker, a steam cooker, a steam cooker,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waste silk to the front of the steam boiler while feeding the empty silv to the front of the steam boiler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silo containing the rice flour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silo feeding bar; By constructing the loaf cake steaming device, the movement of the loom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and the lift bar, which is conventionally install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rotates in a circle of 180 degrees so that the loom moves in a rotary mann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fu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ooker having a steam cooker for cooking rice flour contained in several silos stacked in multiple stages at an upper portion of a steamer, A feeding device 200 for feeding the empty silo 3 to the forward feeding hopper 30 after being poured into the hopper and rearward of the feeding hopper 30 and a silo containing the rice flour 3) for feeding the steam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er 1 of the steam cooker unit 100 while moving up and down.
Description
본 발명은 떡증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찜통이 설치된 테이블의 상측에 쌀가루가 담긴 수개의 시루를 적층시킨 상태로 증숙하는 증숙장치부와, 증숙장치부에서 증숙된 떡이 담긴 시루를 후방으로 이송시켜 제병기에 쏟은 뒤에 빈 시루를 전방의 시루투입대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와, 시루투입대에 얹힌 상태에서 쌀가루가 담긴 시루를 승하강시키면서 증숙장치부의 찜통 상부로 투입하는 승하강장치부로 떡증숙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시루의 이동이 승하강과 전후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리프트바가 180도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것에 따라 시루가 180도로 큰 회전궤적을 그리며 회전식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cake steam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am cake steaming machine having a steam cooker, a steam cooker, a steam cooker,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waste silk to the front of the steam boiler while feeding the empty silv to the front of the steam boiler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silo containing the rice flour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silo feeding bar; By constructing the loaf cake steaming device, the movement of the loom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and the lift bar, which is conventionally install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rotates in a circle of 180 degrees so that the loom moves in a rotary mann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future.
본 발명의 출원인은 떡증숙장치에 대하여 실용신안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가 있으며, 그 실용신안권은 실용신안등록 제20-359263호로 알려지고 있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iled and registered a utility model for the rice cake steaming device, and the utility model right is known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59263.
상기 종래고안은 본체후레임 상에 시루를 제병기와 쌀가루공급대로 운반하는 리프트장치와, 시루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시루를 스팀통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로 구성되어 있다.The above conventional design is composed of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silk on the frame of the main body,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ilk, and a feeding device for feeding the silk to the steam cistern.
상기 리프트장치에 포함되는 리프트바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측 단부가 본체후레임에 힌지 설치되고, 리프트바의 자유단부에는 시루를 홀딩하는 리프트암이 설치되어 있다.The lifting bar included in the lifting device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The inner end of the lifting bar is hinged to the main frame, and the free end of the lifting bar is provided with a lift arm for holding the sling.
그리고, 중앙의 본체후레임에 적층된 시루 내의 쌀가루가 증숙되어 떡이 된 뒤에는 그 시루를 리프트바의 자유단부에 설치된 리프트암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본체후레임 좌측의 제병기로 90도 회전하여 이동시킨 뒤에 떡을 쏟고, 그 다음에는 빈 시루를 제병기측에서 본체후레임의 우측에 설치된 쌀가루공급대 측으로 180도로 커다란 원을 그리며 이동시켜서 그 빈시루에 쌀가루를 담게 된다.Then, after the rice flour in the silk laminated in the central body frame is matured and the rice cake is made, the silk is held by the lift arm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ift bar, rotated by 90 degrees to the left arm machine The rice cake is poured, and then the bin shiru is moved 180 degrees to the side of the rice flour feeder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frame from the side of the machine, and the rice flour is placed in the bin shiru.
이렇게 종래고안에서는 시루를 180도 만큼 커다란 회전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게 됨에 따라 큰 작동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커다란 시루가 180도 만큼 큰 회전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design, a large working space is ensured by moving the shaft in a large rotational path as much as 180 degrees. In addition, not only a large shaft is moved in a rotational trajectory as large as 180 degrees, There is a problem.
또한, 크고 무거운 시루를 외팔보형태로 설치된 리프트바의 자유단부에 설치된 리프트암에서 홀딩함에 따라 리프트바의 힌지부에 커다란 부하가 걸리게 되어 리프트바와, 리프트바를 회전식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리프트바에 연결 설치되는 3개의 링크형 레버가 쉽게 고장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hinge portion of the lift bar by holding the large and heavy shear in a lift arm installed at the free end of the lift bar install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so that the lift bar and the lift bar are connected to the lift bar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two link-type levers are easily broken.
그리고, 상기 시루가 180도로 회전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할 때, 리프트바에 연결 설치되는 3개의 링크형 레버는 작두의 상하측 칼날이 교차되는 것과 같은 작용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주변 물체나 사람의 신체가 그 사이로 유입되게 되면 절단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매우 위험한 안전상의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When the sill moves while rotating the rotary trajectory at 180 degrees, the three link-type levers connected to the lift bar continuously operate as if the upper and lower blades interse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rrounding objects and the human body There was a very dangerous safety problem in which a cutting accident would occur if it was introduced therebetwee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루의 이동이 승하강과 전후방향과 같이 곡선이동이 아닌 직선이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리프트바가 180도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것에 따라 시루가 180도로 큰 회전궤적을 그리며 회전식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 bar which is formed by cantilever moving in a cantilever- The technical problem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shiru moves in a rotary manner by drawing a rotation trajectory having a large angle of 180 degre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찜통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수개의 시루에 담긴 쌀가루를 증숙하는 증숙장치부와, 증숙장치부에서 증숙된 떡이 담긴 시루를 후방으로 이송시켜 제병기에 쏟은 뒤에 빈 시루를 전방의 시루투입대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와, 시루투입대에 얹힌 상태에서 쌀가루가 담긴 시루를 승하강시키면서 증숙장치부의 찜통 상부로 투입하는 승하강장치부로 떡증숙장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am cooker comprising: a steam cooker which mixes rice flour contained in several silos stacked in multiple stages in an upper portion of a steamer; and a silo containing rice cakes cooked in the steam cooker, A feeder unit for feeding the empty seaweed to the front of the steamer while feeding the empty seawater to the front of the steamer unit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silage containing the rice flour while being placed on the feeder barrel,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떡증숙장치는, 시루의 이동이 승하강과 전후방향과 같이 곡선이동이 아닌 직선이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리프트바가 180도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것에 따라 시루가 180도로 큰 회전궤적을 그리며 회전식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ice cake stea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movement of the silk is made by linear movement instead of curved movement lik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s, and the lift bar, which is conventionally installed in a cantilever shape, And thu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shiru moves in a rotary manner by drawing a rotation trajectory having a large angle of 180 degre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증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증숙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떡증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떡증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C"부를 확대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도 5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시루투입대를 나타내는 평면구조도.
도 8은 도 2의 "B"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2의 "A"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rice cake stea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showing a rice cake stea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rice cake stea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rice cake stea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Fig. 7 is a planar structural view showing a feeding inle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떡증숙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rice cake ta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본 발명에 따른 떡증숙장치(4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찜통(1)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수개의 시루(3)에 담긴 쌀가루를 증숙하는 증숙장치부(100)와, 증숙장치부(100)에서 증숙된 떡이 담긴 시루(3)를 후방으로 이송시켜 제병기에 쏟은 뒤에 빈 시루(3)를 전방의 시루투입대(30)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200)와, 시루투입대(30)에 얹힌 상태에서 쌀가루가 담긴 시루(3)를 승하강시키면서 증숙장치부(100)의 찜통(1) 상부로 투입하는 승하강장치부(300)로 이루어진다.1, the rice cake steaming
상기 증숙장치부(1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찜통(1)이 설치된 테이블(10)의 찜통(1) 양측에 시루승강대(20)가 실린더(21)에 의해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이 시루승강대(20)는 상측 케이스(25)에 상면은 평탄하고 하면이 경사지며 후방에 각봉(24a)이 형성된 출몰걸림구(24)의 선단부가 시루(3)를 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9, the
그리고, 케이스(25)의 하방에 하향 설치되는 가이드봉(26)은 테이블(10)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공(26a)에 승하강 안내되게 하향 설치되고, 가이드봉(26)의 하단부에 승강대받침(27)이 연결 설치되는데, 이 승강대받침(27)은 사각테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대받침(27)이 승하강할 때 내측 공간부에 찜통(1) 하측의 스팀공급관(2)이 걸리지 않게 된다.The
또한, 상기 양측 시루승강대(20) 내측의 테이블(10) 상면에는 시루(3)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롤러대(29)가 설치되며, 진입롤러대(29)의 하부에는 상승하는 승강대받침(27)에 밀려서 상승하고 스프링의 탄력과 진입롤러대(29)에 얹히는 시루(3)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는 롤러대승하강대(28)가 설치되어 있다.An
그리고, 상기 시루승강대(20)는 상면이 평탄한 걸림부(23)와 하면에 경사진 경사부(22)가 형성되며 후방에 각봉(24a)이 형성된 출몰걸림구(24)가 상측 케이스(25)에 수평 설치되는데, 걸림부(23)와 경사부(22)를 형성한 출몰걸림구(24)의 선단부가 시루(3)를 향하게 되고, 케이스(25) 내측의 각봉(24a)에는 스프링(24b)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케이스(25)에는 시루(3)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끼움돌기(4,4a)가 걸리지 않게 끼움돌기(4,4a)의 대응위치에 끼움돌기 통과홈(25a)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The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부(200)는 테이블(10)의 양측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수직기둥(40)의 상부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부안내대(41)가 수평 설치되고, 양측 상부안내대(41)에는 모터(42)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체인(44)이 각각 설치되며, 이들 체인(44)에는 시루(3)를 홀딩하여 이송시키게 하는 시루이송기(50)가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상기 양측 상부안내대(41) 사이에는 양측단에 스프라켓(42a)이 설치된 회전축(43)이 수평 설치되며, 일측 스프라켓(42a)의 외측의 회전축(43)에는 모터(42)의 동력을 벨트로부터 전달받는 벨트풀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상부안내대(41)의 내측에 설치되는 체인(44)은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설치되는 것이다.A rotating
그리고, 체인(44)의 양단이 연결 설치되며 시루이송기(50)의 하방에 설치되는 체인설치대(51)의 하부에는 안내롤러(46)가 설치되고, 상부안내대(41)의 내측 바닥면에는 안내롤러(46)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레일(45)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A
상기 시루이송기(50)는 하부에 체인(44)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체인설치대(51)가 설치되며, 체인설치대(51)의 상부에는 시루(3)의 양측에 외향 돌출된 끼움돌기(4,4a)를 끼움식으로 홀딩하고 회전시키는 홀딩 및 회전수단이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 시루이송기(50)의 홀딩 및 회전수단은 도 1, 2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인설치대(51)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스(52)에 시루(3)의 끼움돌기(4,4a)와 삽탈식으로 끼워지는 소켓(54)을 설치하되, 이 소켓(54)의 후방에 설치되는 스플라인축(55)의 단부는 케이스(52)의 외측에 내향 설치되는 실린더(53)의 로드와 공회전부재(53a)에 의해 공회전되게 연결되며, 상기 스플라인축(55)의 외주연에는 피니언(58)이 스플라인 결합되고 이 피니언(58)의 외측에는 실린더(56)에 의해 전후이동하는 래크(57)가 맞물리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2, and 8, the holding and rotating means of the
이때, 상기 시루(3)에 설치되는 끼움돌기(4,4a)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의 끼움돌기(4)는 단면이 각형으로 형성되고, 반대편의 끼움돌기(4a)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끼움돌기(4,4a)의 외측에 끼워지는 각각의 소켓(54)은 일측의 것이 각형홈으로 형성되고, 타측의 소켓(54)은 홈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성은 종래고안(실용신안등록 제20-359263호)의 구성에 포함되어 있다.2, the
상기 승하강장치부(300)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10)의 전방 바닥에 설치되는 전방프레임(5)의 양측에 2개의 안내바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내측승강안내바(60)가 수직 설치된다, 이때, 양측 내측승강안내바(60)의 하단부는 전방프레임(5)에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부안내대(41)에 연결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o 7, the ascending / descending
그리고, 양측 내측승강안내바(60)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전후방향으로 사이를 두고 수직 설치되는 2개의 안내바 외측에 수평연결대(62)가 설치되며, 이 수평연결대(62)와 상부안내대(41)의 사이에 한 쌍의 외측승강안내바(61)가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된다.A
또한, 상기 2개의 안내바 사이의 전방프레임(5) 상부에는 롤러대실린더(65)가 상향 설치되며, 이 롤러대실린더(65)의 로드 상단부에는 양측에 외측승강안내바(61)에 안내되며 와이어(66)가 안내되게 걸쳐지는 상부롤러(64)가 구비된 상부롤러대(63)가 설치되어 있다.A roller-to-
이때, 상기 상부롤러(64)는 외측승강안내바(61)에 안내되는 "V"홈의 내측에 와이어(66)가 감겨져 안내되는 와이어홈(66a)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양측 내측승강안내바(60)의 사이에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러대실린더(65)에 의해 승하강하는 시루투입대(30)가 설치된다.Between the inner side elevating and lowering
이 시루투입대(30)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탁자형 투입대본체(30a)의 양측면에 내측승강안내바(60)에 안내되는 하부롤러(31)와, 상부롤러(64)에 감기게 걸쳐지는 와이어(66)의 일측단부가 설치되는 내측와이어고정구(32)가 설치되며, 전방프레임(5) 바닥면 또는 내측승강안내바(60)의 하측 소정위치에는 와이어(66)의 타측단부가 설치되는 외측와이어고정구(33)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o 7, the
그리고, 이 투입대본체(30a)의 양측 상부에는 시루(3)가 얹혀져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전방롤러대(34)가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투입대본체(30a)의 상면에는 투입대본체(30a)의 상면에 얹힌 시루(3)를 찜통(1)의 상측으로 밀어주는 푸싱수단이 설치되어 있다.A
상기 푸싱수단은 투입대본체(30a)의 저면에 설치되는 힌지브래킷(35)에 푸시실린더(36)의 후방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푸시실린더(36)의 로드 선단부는 투입대본체(30a)의 상면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힌지핀(37)에 힌지부가 고정 설치되는 회전레버(38)의 자유단부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투입대본체(30a)의 상면판 상측으로 돌출되는 힌지핀(37)에는 푸시레버(39a)의 힌지부가 고정 설치되며, 이 푸시레버(39a)의 자유단부에 시루를 전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시롤러(39)가 설치되어 있다.The pushing means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본 발명에 의한 떡증숙장치(4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증숙장치부(100)의 찜통(1) 상측의 테이블(10) 상에 4개의 시루(3)를 적층한 상태에서 하측의 스팀공급관(2)으로부터 찜통(1)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게 되면, 찜통(1)의 상측에 4단으로 적층된 시루(3)의 내측에 담겨진 쌀가루가 증숙되어 떡이 만들어지게 된다.1 and 2, the rice cake steaming
이렇게 증숙장치부(100)에서 쌀가루가 증숙되어 떡이 만들어진 뒤에는 새로운 쌀가루가 담겨진 시루(3)를 증숙장치부(100)의 찜통(1) 상측에 적층하고 증숙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데, 새로운 시루(3)를 찜통(1)의 상측으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떡이 담겨진 시루(3)를 시루이송기(50)로 홀딩하여 도 1의 도면 상 좌측에 배치되는 제병기(도시생략)측으로 이동한 뒤에, 그 시루(3)에 담긴 떡을 제병기측으로 쏟아두고 전방측의 승하강장치부(300) 측으로 이동하며, 승하강장치부(300)의 시루투입대(30) 상에 빈 시루(3)를 내려놓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After the rice flour is matured in the
위와 같이 시루이송기(50)로써 떡이 담겨진 시루(3)를 홀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2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10)의 양측에 수직 설치된 실린더(21)를 상승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의 상단부에 브래킷(21a)으로 연결된 시루승강대(20)가 상승하게 되고, 이 시루승강대(20)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 시루승강대(20)의 하방에 연결 설치된 가이드봉(26)과 승강대받침(27)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When the
위와 같이 상승하는 시루승강대(20)에는 도 9와 같이 출몰걸림구(24)가 내향 돌출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출몰걸림구(24)의 상측 걸림부(23)에 시루(3)의 돌출턱(3a)이 얹혀 있음에 따라 시루승강대(20)가 상승하는 만큼 시루(3)가 상승하게 되고, 4개의 시루(3) 중에서 맨 아래쪽의 시루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그 들린 높이 공간으로 또 다른 시루(3)를 수평방향으로 투입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lifting and lowering
그리고, 4개의 시루(3)가 상측으로 올라갈 때 가장 위쪽에 얹혀있던 시루(3)는 시루이송기(50)의 높이만큼 올라가 있게 된다.When the four
이 상태에서 도 1, 2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시루이송기(50)에서 소켓(54)을 양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가게 실린더(53)를 동작시키면, 각각의 소켓(54)이 내측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시루(3)의 양측에 외향 돌출되게 설치된 각각의 끼움돌기(4,4a)의 외측에 끼워지게 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1, 2 and 8, when the
이때, 끼움돌기(4,4a) 중에서 일측의 끼움돌기(4)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의 끼움돌기(4a)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들의 끼움돌기(4,4a)에 끼움되는 소켓(54)도 그에 맞게 각형홈과 원형홈으로 각각 형성되어서 서로의 형상에 맞게 끼워져서 가장 위쪽의 시루(3)를 양측 시루이송기(50)로 홀딩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mong the
이렇게 가장 위쪽의 시루(3)를 양측 시루이송기(50)로 홀딩시킨 뒤에는, 4개의 시루(3)가 상측으로 들려져 올라가서 아래쪽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새로운 시루(3)를 투입시켜야 한다.After the
상기와 같이 아래쪽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새로운 시루(3)를 투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하강장치부(300)의 시루투입대(30)에 얹힌 새로운 시루(3)를 시루투입대(30)에 설치된 푸시롤러(39)를 이용하여 위의 빈 공간으로 투입시키게 되는데, 이때는 시루투입대(30)에 얹힌 빈 시루(3)에 쌀가루를 담은 상태에서 시루투입대(30)를 승하강시키면서 시루투입대(30)의 상면 높이와 테이블(10)의 상면 높이가 일치되게 한 뒤에 푸시롤러(39)로써 시루투입대(30)에 얹힌 시루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그 시루(3)가 찜통(1) 상측의 빈 공간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When a
그런데, 상기 시루(3)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상자형으로 형성되면서 외측 상하부에 2개의 돌출턱(3a)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하부 돌출턱(3a)의 하부에 또 다른 시루(3)의 상측으로 끼워져 들어가게 하는 하부 끼움부(3b)가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다.The upper and
따라서 위에서 4개의 시루(3)가 상측으로 들려올라갈 때, 그들 시루가 상승되는 높이는 1개의 시루가 여유있게 들어갈 수 있도록 1개의 시루높이보다는 높아야 한다.Therefore, when the top four sills (3) are lifted upwards, the height at which they are raised should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one sill to accommodate one sill.
위에서 4개의 시루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실린더(21)에 의해 시루승강대(20)를 비롯한 승강대받침(27)이 상승하면서 승강대받침(27)의 상면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입롤러대(29)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롤러대승하강대(28)의 하단부를 상측으로 함께 들어 올려서 롤러대승하강대(28)가 시루 하측의 하부돌출부(3b) 만큼 더 들어 올린 상태가 된다.When the
이렇게 하부돌출부(3b) 만큼 진입롤러대(29)가 더 들어 올린 상태가 되고, 위에서 언급한 시루투입대(30)에 얹힌 시루를 찜통(1)의 상측으로 밀어 넣는 시루투입대(30)의 높이를 진입롤러대(29)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만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쌀가루가 담긴 시루(3)를 시루투입대(30)에서 시루승강대(20)의 상측으로 밀어 넣어야 한다.The
위와 같이 하부돌출부(3b) 높이 만큼 더 들어 올린 상태의 진입롤러대(29)에 시루를 밀어 넣을 때, 양측 진입롤러대(29)의 상면에는 시루(3) 하측 돌출턱(3a)이 안내되면서 찜통(1)의 상부로 진입하게 되고, 실린더(21)를 하강시키게 되면, 최상측의 시루(3)는 양측 시루이송기(50)에 홀딩된 상태이므로 최상측의 시루(3)를 제외한 그 하측의 2개의 시루가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그 2개의 시루 중의 하측의 시루가 새로이 진입시킨 시루의 상측에 적층되면서 최하측의 시루를 포함한 3개의 시루가 하강하게 된다.The
이렇게 3개의 시루와 시루승강대(20)가 하강하면서 제일 아래쪽의 시루 하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돌출부(3b)가 찜통(1)의 상부측으로 끼워맞춤식으로 들어가면서 하부측 돌출턱(3a)이 찜통(1)의 상측 테이블(10) 상에 얹혀져 걸리게 되고, 진입롤러대(29)도 하측으로 눌리면서 하강하게 된다.The
이처럼 3개의 시루(3)가 찜통(1)의 상측에 적층되게 되면, 최상측에서 시루이송기(50)에 홀딩되어 있는 시루(3)의 하부돌출부(3b)도 2번째 높은 곳에 있던 시루(3)의 상측 개구부에서 이탈한 상태가 된다.When the three
이 상태에서 도 1 및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상부안내대(41)의 상측에 설치된 모터(42)가 구동되면서 그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43)이 회전하고 양측 상부안내대(41)에 설치된 각각의 체인(44)이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이동하는 체인(44)에 시루이송기(50) 하측의 체인설치대(51)가 설치되어서 떡이 담겨진 시루(3)를 홀딩하고 있는 양측 시루이송기(50)는 도 1의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1, 3 and 4, the
시루이송기(50)가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고 난 뒤에는 도 1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루이송기(50)의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56)를 구동시키게 되면, 실린더(56)의 선단부에 설치된 래크(57)가 수평 이동하게 되며, 이 래크(57)에는 소켓(54) 후방의 스플라인축(55)에 스플라인 결합된 피니언(58)의 외주 기어부와 맞물린 상태이므로 피니언(58)을 비롯한 스플라인축(55), 그리고 소켓(54)이 회전하게 된다.1 and 8, when the
위의 소켓(54) 중에 일측의 소켓(54)이 각형으로 홈이 형성되고, 그 각형홈으로 끼워진 일측 끼움돌기(4)가 각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떡이 담겨진 시루(3)가 공중에서 180도만큼 회전하여 상측의 개구부가 아래를 향하게 되어 그 시루에 담겨있던 떡이 하측으로 쏟아져 내리게 된다.Since the
이렇게 하측으로 쏟아져 내린 떡은 제병기(미도시)에서 필요로 하는 모양으로 떡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The rice poured downward in this way will make rice cakes in the shape required in my stage (in the city).
위와 같이 180도 회전하여 떡은 쏟은 빈 시루(3)는 다시 시루이송기(50) 내측의 래크(57)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부분이 상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다시 모터(42)의 동력으로 전방 승하강장치부(300)까지 수평 이동시키고, 승하강장치부(300)의 시루투입대(30)를 상측으로 상승시켜서 빈 시루의 하단부가 시루투입대(30)의 상면에 얹히도록 한다.The
이 상태에서 시루이송기(50)의 실린더(53)를 후퇴시켜서 시루의 끼움돌기(4,4a)에서 소켓(54)이 빠져나오게 되면, 양측 시루이송기(50)에서 빈 시루(3)에 대한 홀딩이 해제되게 되며, 이렇게 빈 시루에 대한 홀딩상태를 해제한 양측 시루이송기(50)는 다음 작업을 위하여 증숙장치부(100) 상측으로 모터(42)의 동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위와 같이 승하강장치부(300)의 상측으로 상승한 시루투입대(30)의 상측에 위치하던 시루(3)에서 시루이송기(50)가 분리됨에 따라 빈 시루(3)는 시루투입대(30) 위에 얹혀진 상태가 되며, 이상태의 시루투입대(30)를 하강시켜서 아래로 내려온 빈 시루(3)에 쌀가루를 담고 다음 작업을 준비한다.As the
이렇게 시루투입대(30)를 승하강시키는 동작은 도 1 및 도 4,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5)에 수직 설치된 롤러대실린더(65)의 실린더로드를 상승시키게 되면, 그 실린더로드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롤러대(63)가 상승하게 되고 이 상부롤러대(63)의 양측에는 외측승강안내바(61)에 안내되고 와이어(66)가 감겨진 상부롤러(64)가 설치되어서, 이 상부롤러(64)가 외측승강안내바(61)를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와이어(66)를 끌고 올라가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4, 5 and 6, when the cylinder rod of the roller-to-
이때, 와이어(66)의 일측 단부는 시루투입대(30)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내측와이어고정구(32)에 설치되고, 와이어(66)의 타측 단부는 전방프레임(5)이나 또는 내측승강안내바(6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부롤러(64)가 상승하는 만큼 시루투입대(30)에 설치된 내측와이어고정구(32)가 끌려올라가게 되는데, 이렇게 끌려 올라가는 내측와이어고정구(32)는 시루투입대(30)에 고정설치된 것임에 따라 시루투입대(30)가 상측으로 끌려올라가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루투입대(30)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내측승강안내바(60)에 안내되는 하부롤러(31)가 설치되어서 시루투입대(30)가 내측승강안내바(60)에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이 시루투입대(30)를 하강시킬 때는 롤러대실린더(65)를 하강시키면 시루투입대(3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a
이렇게 시루투입대(30)를 필요로 하는 높이로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다음의 작업을 위하여 시루투입대(30)의 상면 높이와 진입롤러대(29)의 높이를 일치시킨 뒤에는 그 빈 시루(3)에 쌀가루를 투입하고 쌀가루가 담겨진 시루(3)를 푸시롤러(39)를 이용하여 찜통(1)의 상측으로 밀어넣는다.After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위와 같이 푸시롤러(39)로써 시루(3)를 찜통(1) 측으로 밀어넣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루투입대(30)에 포함되는 투입대본체(30a)의 상면판 저면에 설치된 푸시실린더(36)를 동작시키게 되면, 푸시실린더(36)의 실린더로드가 회전레버(38)를 회전식으로 밀게 되어 회전레버(38)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4 and 7, when the
이렇게 회전레버(38)가 회전할 때, 회전레버(38)의 힌지부가 고정설치된 힌지핀(37)도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면판의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핀(37)에는 푸시레버(39a)의 힌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푸시레버(39a)도 회전레버(38)가 회전하는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When the rotation lever 38 rotates, the
이렇게 회전하는 푸시레버(39a)의 자유단부에는 시루(3)의 전방을 후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시롤러(39)가 설치되어서 시루(3)를 테이블(10) 상측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
한편, 도 9에 도시된 도면은 시루의 상측 돌출턱(3a)의 하단부에 출몰걸림구(24)의 평평한 상면에 형성된 걸림부(23)가 걸린 상태이며, 쌀가루에 대한 증숙이 이루어져서 다단으로 적층된 시루(3)를 시루승강대(20)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게 되며, 다단(4단)으로 적층된 시루(3)를 한 단 높이만큼 상승시키고 하측의 빈공간으로 새로운 시루(3)를 밀어 넣고 시루승강대(20)를 하강시킬 때, 출몰걸림구(24)의 하측 경사부(22)가 돌출턱(3a)의 상측 모서리부에 접촉하게 된다.9 shows a state in which a latching
이때, 출몰걸림구(24)의 선단부측 하부에 경사부(22)가 형성되고, 출몰걸림구(24)가 후방측으로 탄력적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서 하강하는 출몰걸림구(24)의 하측 경사부(22)에 접촉할 때 출몰걸림구(24)가 후방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며, 돌출턱(3a)을 넘어선 출몰걸림구(24)의 상측 평평한 걸림부(23)가 돌출턱(3a)의 하부에 걸려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n
그리고, 상기 출몰걸림구(24) 후방의 각봉(24a)은 원형이 아니고 각지게 형성되어서 출몰걸림구(24)가 내외측으로 출몰할 때 회전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The
위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찜통(1)의 위에 얹히는 시루(3)의 수량을 4개로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작한 시작품에 4개의 시루가 얹히도록 설계한 것임을 밝혀둔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it is explained that the number of the
1 : 찜통 2 : 스팀공급관 3 : 시루
4 : 끼움돌기 5 : 전방프레임 10 : 테이블
20 : 시루승강대 21 : 실린더 22 : 경사부
23 : 걸림부 24 : 출몰걸림구 25 : 케이스
26 : 가이드봉 27 : 승강대받침 28 : 롤러대승하강대
29 : 진입롤러대 30 : 시루투입대 31 : 하부롤러
32 : 내측와이어고정구 33 : 외측와이어고정구 34 : 전방롤러대
35 : 힌지브래킷 36 : 푸시실린더 37 : 힌지핀
38 : 회전레버 39 : 푸시롤러 40 : 수직기둥
41 : 상부안내대 42 : 모터 43 : 회전축
44 : 체인 45 : 안내레일 46 : 안내롤러
50 : 시루이송기 51 : 체인설치대 52 : 케이스
53 : 실린더 54 : 소켓 55 : 스플라인축
56 : 실린더 57 : 래크 58 : 피니언
60 : 내측승강안내바 61 : 외측승강안내바 62 : 수평연결대
63 : 상부롤러대 64 : 상부롤러 65 : 롤러대실린더
66 : 와이어 100 : 증숙장치부 200 : 이송장치부
300 : 승하강장치부 400 : 떡증숙장치1: steamer 2: steam supply tube 3: siru
4: insertion projection 5: front frame 10: table
20: a slope elevating platform 21: a cylinder 22: an inclined portion
23: latching part 24: protruding and retreating latching part 25: case
26: guide rod 27: platform base 28: roller lifting base
29: Entry roller 30: Sheet input 31: Lower roller
32: inner wire fixing hole 33: outer wire fixing hole 34:
35: hinge bracket 36: push cylinder 37: hinge pin
38: rotation lever 39: push roller 40: vertical column
41: Upper guide block 42: Motor 43:
44: chain 45: guide rail 46: guide roller
50: Shirai Airplane 51: Chain mounting stand 52: Case
53: Cylinder 54: Socket 55: Spline shaft
56: cylinder 57: rack 58: pinion
60: inner lift guide bar 61: outer lift guide bar 62: horizontal guide bar
63: upper roller stand 64: upper roller 65: roller-to-cylinder
66: wire 100: steaming apparatus unit 200: feeding unit
300: Riding-and-tearing machine 400: Rice cooker
Claims (3)
상기 증숙장치부(100)는 상부에 찜통(1)이 설치된 테이블(10)의 찜통(1) 양측에 시루승강대(20)가 실린더(21)에 의해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이 시루승강대(20)는 상측 케이스(25)에 상면은 평탄하고 하면이 경사지며 후방에 각봉이 형성된 출몰걸림구(24)의 선단부가 시루(3)를 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케이스(25)의 하방에 하향 설치되는 가이드봉(26)은 테이블(10)에 안내되게 하향 설치되며 가이드봉(26)의 하단부에 승강대받침(27)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양측 시루승강대(20) 내측의 테이블(10) 상면에는 시루(3)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롤러대(29)가 설치되고, 진입롤러대(29)의 하부에는 상승하는 승강대받침(27)에 밀려서 상승하고 스프링에 의해 하강하는 롤러대승하강대(28)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장치부(200)는 테이블(10)의 양측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수직기둥(40)의 상부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부안내대(41)가 수평 설치되고, 양측 상부안내대(41)에는 모터(42)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체인(44)이 각각 설치되며, 이들 체인(44)에는 시루(3)를 홀딩하여 이송시키게 하는 시루이송기(50)가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루이송기(50)는 하부에 체인(44)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체인설치대(51)가 설치되며, 체인설치대(51)의 상부에는 시루(3)의 양측에 외향 돌출된 끼움돌기(4,4a)를 끼움식으로 홀딩하고 회전시키는 홀딩 및 회전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장치부(300)는 테이블(10)의 전방 바닥에 설치되는 전방프레임(5)의 양측에 2개의 안내바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내측승강안내바(60)가 수직 설치되며, 양측 내측승강안내바(60)의 외측에는 한 쌍의 외측승강안내바(61)가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고, 2개의 안내바 사이의 전방프레임(5) 상부에는 롤러대실린더(65)가 상향 설치되며, 이 롤러대실린더(65)의 로드 상단부에는 양측에 외측승강안내바(61)에 안내되며 와이어(66)가 안내되게 걸쳐지는 상부롤러(64)가 구비된 상부롤러대(63)가 설치되고,
양측 내측승강안내바(60)의 사이에 롤러대실린더(65)에 의해 승하강하는 시루투입대(30)를 설치하되, 이 시루투입대(30)는 탁자형 투입대본체(30a)의 양측면에 내측승강안내바(60)에 안내되는 하부롤러(31)와, 상부롤러(64)에 감기게 걸쳐지는 와이어(66)의 일측단부가 설치되는 내측와이어고정구(32)가 설치되며, 전방프레임(5) 바닥면 또는 내측승강안내바(60)의 하측 소정위치에는 와이어(66)의 타측단부가 설치되는 외측와이어고정구(33)가 설치되고, 이 투입대본체(30a)의 양측 상부에는 시루(3)가 얹혀져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전방롤러대(34)가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투입대본체(30a)의 상면에는 투입대본체(30a)의 상면에 얹힌 시루(3)를 찜통(1)의 상측으로 밀어주는 푸싱수단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증숙장치.A steam cooker (100) for steaming rice flour contained in several silos (3) stacked in multiple stages in an upper portion of an steamer (1), and a silk (3) containing rice cakes cooked in a steam cooker A feeder unit 200 for feeding the empty silo 3 to the forward feeding hopper 30 after being poured into the machine stage and a silo 3 containing the rice flour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feeding hopper 30 Descending the steamer unit 1 of the vending machine unit 100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steamer unit 100,
The steam cooking apparatus unit 1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eamer 1 of the table 10 provided with the steamer 1 at the upper part so that the silo platform 2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cylinder 21, Is provided on the upper case 25 so as to be elastic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25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opening 24 is flat and the lower side is inclined, The guide rods 26 are guided downwardly on the table 10 and the platform rods 27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guide rods 2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 on the inside of the both side roof rails 20, And an ascending roller base 29 for guiding the entrance of the sheet 3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scending roller stand 29. The roller ascender descender 28 ) Is installed,
The conveyor unit 200 includes upper and lower guide posts 41 horizontally installed on upper portions of vertical columns 40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10, A chain 44 for driving and receiving the power of the motor 42 is installed in the chain 44. The chain conveyor 50 for holding and conveying the silk 3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chain support unit 51 is connected to the chain 44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horizontally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n support unit 51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Holding and rotating means for holding and rotating the projections 4, 4a by fitting are provided,
The vertical lifting guide bar (300) has vertical guide rails (60)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front frame (5) installed on the front floor of the table (10) with two guide bars spaced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pair of outside elevating and lowering guide bars 61 ar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both side inner elevating and lowering guide bars 60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and a roller to cylinder 65 is upwardly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frame 5 between the two guide bars And an upper roller stand 63 having an upper roller 64 guided by the outer elevating guide bar 61 on both sides and guided by the wire 66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rod of the roller to cylinder 65 Installed,
The sheet input tray 30 is provided between the both side inner lift guide bars 60 by means of a roller and a cylinder 65. The sheet input tray 3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A lower roller 31 guided by the inner lift guide bar 60 and an inner wire fixing hole 32 provided with one side end of the wire 66 wound around the upper roller 64 are provided, An outer wire fixing hole 33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bottom surface or the inner elevating and lowering guide bar 6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66 is attached. A front roller base 34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base main body 30a so as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30a to the steamer 1 And a pushing means for pushing the rice cake to the upper side of the rice cake cooking device.
상기 푸싱수단은 투입대본체(30a)의 저면에 설치되는 힌지브래킷(35)에 푸시실린더(36)의 후방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푸시실린더(36)의 로드 선단부는 투입대본체(30a)의 상면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힌지핀(37)에 힌지부가 고정 설치되는 회전레버(38)의 자유단부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투입대본체(30a)의 상면판 상측으로 돌출되는 힌지핀(37)에는 푸시레버(39a)의 힌지부가 고정 설치되며, 이 푸시레버(39a)의 자유단부에 시루(3)를 전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시롤러(39)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증숙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ing and rotating means of the silifier apparatus (50) comprises a case (52)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chain mounting base (51) The end of the spline shaft 55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ocket 54 is connected to the rod of the cylinder 53 installed inward of the case 52 and the idle member 53a A pinion 58 is splin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line shaft 55 and a rack 57 which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a cylinder 56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pinion 58,
The pushing means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push cylinder 36 on a hinge bracket 35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put rod body 30a and the rod distal end portion of the push cylinder 36 is connected to the input rod body 30a, The hinge pin 37 is hin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30a so as to be hinged to the free end of the rotation lever 38, 37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hinge portion of a push lever 39a is fixedly provided and a push roller 39 for pushing the silhuer 3 forward is attached to the free end portion of the push lever 39a Rice cake steaming mach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79040A KR101475008B1 (en) | 2014-06-26 | 2014-06-26 | Rice powder boil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79040A KR101475008B1 (en) | 2014-06-26 | 2014-06-26 | Rice powder boiling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5008B1 true KR101475008B1 (en) | 2014-12-22 |
Family
ID=5267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79040A KR101475008B1 (en) | 2014-06-26 | 2014-06-26 | Rice powder boil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500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7248B1 (en) * | 2015-11-09 | 2017-06-14 | 대한민국 | Rice cake manufacturing device |
CN108477483A (en) * | 2017-11-27 | 2018-09-04 | 青岛大学 | A kind of double driven type steaming-roasting devices of multi-flavor fresh corn |
KR102292118B1 (en) * | 2021-04-13 | 2021-08-19 | 김남호 | Steam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9263Y1 (en) * | 2004-05-24 | 2004-08-16 | 창 구 이 | Steaming for rice cake |
-
2014
- 2014-06-26 KR KR20140079040A patent/KR10147500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9263Y1 (en) * | 2004-05-24 | 2004-08-16 | 창 구 이 | Steaming for rice cak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7248B1 (en) * | 2015-11-09 | 2017-06-14 | 대한민국 | Rice cake manufacturing device |
CN108477483A (en) * | 2017-11-27 | 2018-09-04 | 青岛大学 | A kind of double driven type steaming-roasting devices of multi-flavor fresh corn |
CN108477483B (en) * | 2017-11-27 | 2024-03-05 | 青岛大学 | Multi-flavor fresh corn double-drive steaming and baking device |
KR102292118B1 (en) * | 2021-04-13 | 2021-08-19 | 김남호 | Steam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5008B1 (en) | Rice powder boiling machine | |
CN106429367A (en) | Automatic feeding tray device | |
KR200449076Y1 (en) | Gold cutting device | |
CN103754683B (en) | A kind of wood-based plate processing means of cooling and stacking integrated | |
CN217160916U (en) | Automatic discharging device for frying rice crust | |
CN106965971B (en) |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knife, fork and spoon | |
CN210312032U (en) | Tray recovery device | |
CN210676787U (en) | Multi-station heating automatic feeding device | |
CN110902028B (en) |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 |
CN108158414B (en) | Material conveying device cooking utensil | |
KR101917795B1 (en) | Lift car for carrying rice cooker | |
US2368094A (en) | Elevator for sheet feeders | |
CN212630605U (en) | Cooking device | |
CN217295855U (en) | Multifunctional fluent goods shelf | |
CN215247939U (en) | Pneumatic material arranging operation table for porridge cup material frame | |
KR100809908B1 (en) | Surface feeder of automatic cooker | |
CN214568845U (en) | Feeding device and production line | |
CN109516219A (en) | Full-automatic wood material conveyer | |
CN212394587U (en) | Automatic pour boiling food device of food | |
CN203881142U (en) | Stand type thermal treatment furnace and material grabbing and discharging mechanism thereof | |
CN211643654U (en) | Stack plate feeding device | |
CN207090260U (en) | A kind of logistics management intelligence storage frame | |
KR20130114882A (en) | Lift car for carrying rice cooker | |
JP6793757B2 (en) | Equipment for heat treatment of food including input trolley | |
CN220148623U (en) | Workbin promotes upset feed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7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