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931B1 - 오버튜브 - Google Patents

오버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931B1
KR101474931B1 KR1020130029393A KR20130029393A KR101474931B1 KR 101474931 B1 KR101474931 B1 KR 101474931B1 KR 1020130029393 A KR1020130029393 A KR 1020130029393A KR 20130029393 A KR20130029393 A KR 20130029393A KR 101474931 B1 KR101474931 B1 KR 10147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ell
overtube
bending portion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699A (ko
Inventor
권동수
이제한
박용만
황민호
신원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2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93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버튜브의 일 실시예는,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의 전면에서 상기 제1모듈과 결합하고, 진료기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채널부; 및 상기 제1모듈의 후면에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2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버튜브{Over Tub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버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각 부품이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하는 오버튜브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오버튜브는 내시경 등의 의료장치가 진료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오버튜브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내부의 중공에는 내시경, 로봇수술장치 기타 의료장치가 구비되고, 오버튜브는 내부의 중공에 구비되는 내시경 등이 손상되지 않고 진료부위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오버튜브의 내부 중공에 암(arm)을 구비한 소형의 로봇수술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이러한 로봇수술장치는 소형이며 정교한 구조를 가지므로 충격에 약한 단점을 가지는데, 오버튜브는 이러한 로봇수술장치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하게 진료부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버튜브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만들어지고, 오버튜브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벤딩이 된다.
오버튜브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한 벤딩각도는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조절하게 된다. 가이드와이어 등에 의한 정밀한 각도조절에 의해 오버튜브는 내부에 구비되는 내시경, 로봇수술장치 등을 보호하며 진료부위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다.
오버튜브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오버튜브는 금속 등의 강성재질을 사용하거나, 폴리머 등의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체형 제작되는 경우, 오버튜브의 정밀한 각도조절을 위해 요구되는 오버튜브 자체의 복잡한 형상을 일체로 가공하는 것은 제작비용 측면에서 불리하고, 오버튜브의 축방향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으므로 진료의 대상,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 그때마다 새로운 오버튜브를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각 부품의 형상이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워 제작단가가 높은 사출성형을 하기도 하며, 조립이 어려워 한번 제작한 후에는 쉽게 오버튜브의 길이를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성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외부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오버튜브는 인간, 동물 등의 체내에 삽입시 신체에 상처를 줄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오버튜브가 체내에 삽입되어 진료부위까지 전진할 때 축방향으로 압축력을 받게 되므로, 축방향 길이가 원래의 길이보다 짧아질 수 있다. 이러한 오버튜브의 축방향 길이수축으로 인해 오버튜브를 진료부위로 정확하게 진입시키는 것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작,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각 부품이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하고, 각 부품의 개수가 적으며 부품의 형상이 간단한 오버튜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튜브의 일 실시예는,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의 전면에서 상기 제1모듈과 결합하고, 진료기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채널부; 및 상기 제1모듈의 후면에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2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제1모듈의 상기 벤딩되는 부위는, 상기 제1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슬롯이 형성된 전방제1벤딩부 및 상기 제1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며 슬롯이 형성된 후방제1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제1벤딩부와 상기 후방제1벤딩부는 상기 제1모듈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되도록 각각의 슬롯이 상기 제1모듈의 평면상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은, 전방부의 내주면에 상기 채널부의 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되는 제1모듈제1셀; 후방부의 내주면에 상기 제2모듈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되는 제1모듈제2셀; 및 상기 제1모듈제1셀과 제1모듈제2셀 사이에 위치하는 제1모듈제3셀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1모듈은 축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모듈제3셀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몰부에는 인장 또는 수축되지 않는 강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모듈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제1지지구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구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방제1벤딩부는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벤딩되며, 상기 후방제1벤딩부는 상기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나머지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모듈은, 상기 제1모듈 후방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모듈은, 전방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모듈의 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되는 제2모듈제1셀; 후방부의 내주면에 별개의 상기 제2모듈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되는 제2모듈제2셀; 상기 제2모듈제1셀과 제2모듈제2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모듈제3셀; 벤딩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2모듈제1셀과 상기 제2모듈제3셀을 연결하는 전방제2벤딩부; 및 벤딩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2모듈제2셀과 제2모듈제3셀을 연결하는 후방제2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방제2벤딩부와 상기 후방제2벤딩부는,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모듈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되도록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모듈은 축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모듈 후면과 상기 제2모듈 전면 사이 또는, 상호 결합하는 각각의 상기 제2모듈 중 하나의 상기 제2모듈 후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제2모듈의 전면 사이에는, 인장 또는 수축되지 않는 강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오버튜브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제2지지구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지지구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방제2벤딩부는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벤딩되며, 상기 후방제2벤딩부는 상기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나머지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채널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버튜브의 일 실시예는, 상기 채널부의 전면에 결합하고,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후방부가 상기 채널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모듈의 전방부의 내주면 사이에 고정 결합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원활한 전진이 가능하도록, 전방부가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캡의 후방부, 상기 채널부의 후방부 및 상기 제1모듈의 전방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제1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캡, 상기 채널부 및 상기 제1모듈이 고정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버튜브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 외측부에 각각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정렬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의 벤딩각도 및 벤딩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의 후방부와 상기 제2모듈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제2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1모듈과 상기 제2모듈 또는, 인접하는 각각의 상기 제2모듈이 상호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튜브의 제2실시예는,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의 전면에서 상기 제1모듈과 결합하고, 진료기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채널부; 상기 제1모듈의 후면에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2모듈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함몰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모듈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제1지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튜브의 제2실시예는,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의 전면에서 상기 제1모듈과 결합하고, 진료기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채널부; 상기 제1모듈의 후면에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1모듈 후면과 상기 제2모듈 사이 또는, 상호 결합하는 각각의 상기 제2모듈 중 하나의 상기 제2모듈 후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제2모듈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듈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제2지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오버튜브는, 제작,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각 부품이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하고, 각 부품의 개수가 적으며 부품의 형상이 간단하므로 오버튜브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오버튜브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가 포함하는 제1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가 포함하는 제2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가 포함하는 제1모듈(1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가 포함하는 제2모듈(3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오버튜브는 제1모듈(10), 채널부(20), 제2모듈(30) 및 캡(40)을 포함한다.
제1모듈(10)은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모듈(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제1셀(110), 제1모듈제2셀(120), 제1모듈제3셀(130), 전방제1벤딩부(140) 및 후방제1벤딩부(150)를 포함한다.
제1모듈제1셀(110)은, 전방부의 내주면에 채널부(20)의 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채널부(20)는 제1모듈제1셀(110)에 형성된 단차에 안착하고, 채널부(20)와 제1모듈(10)은 고정 결합한다. 제1모듈제2셀(120)은, 후방부의 내주면에 제2모듈(30)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모듈(30)은 제1모듈제2셀(120)에 형성된 단차에 안착하고, 제1모듈(10)과 제2모듈(30)은 고정 결합한다. 제1모듈제3셀(130)은, 제1모듈제1셀(110)과 제1모듈제2셀(120) 사이에 위치하고, 전방제1벤딩부(140)와 후방제1벤딩부(150)에 의해 각각 제1모듈제1셀(110) 및 제1모듈제2셀(120)과 연결된다.
전방제1벤딩부(140)는, 벤딩되는 부위이고 제1모듈제1셀(110)과 상기 제1모듈제3셀(130)을 연결한다. 후방제1벤딩부(150)는, 벤딩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1모듈제2셀(120)과 제1모듈제3셀(130)을 연결한다. 따라서, 전방제1벤딩부(140)와 후방제1벤딩부(150)에 의해 제1모듈(10)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되어 축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면서 진료부위로 전진이 가능하다.
이때, 전방제1벤딩부(140)와 후방제1벤딩부(150)는, 제1모듈(10)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벤딩되기 위해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전방제1벤딩부(140)는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벤딩되며, 후방제1벤딩부(150)는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나머지 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모듈(10)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이 되도록 하기 위해 유연한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대해 충분한 내구력을 가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탄성재질은 예를 들어, PEEK(poly ether ether ketone) 등이 있다. 단, 탄성재질을 사용할 경우 제1모듈(10)은 축방향으로 수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버튜브가 진료부위로 정확하게 접근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오버튜브의 원활하고 정밀한 작동을 위해 제1모듈(10)의 축방향 수축량을 줄일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제1모듈(10)에는 함몰부(160)와 제1지지구(170)가 구비된다.
함몰부(160)는 제1모듈제3셀(1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고, 함몰부(160)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구(170)가 끼워진다. 제1지지구(170)는 수축되거나 인장되지 않는 강성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제1모듈(10)은 진료부위로 전진시 압축력을 받는다. 압축력에 의해 제1모듈(10)의 각 셀들(110, 120, 130)은 제1모듈(10)의 지름방향을 중심으로 휘어지고, 이로 인해 각 셀들(110, 120, 130) 사이의 각 공간은 휘어진 각 셀들(110, 120, 130)에 의해 채워진다. 따라서, 제1모듈(10)의 각 셀들(110, 120, 130)사이의 공간만큼 제1모듈은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이때, 제1지지구(170)은 제1모듈제3셀(130)에 장착되면 압축력에 의한 제1모듈(10)의 각 셀들(110, 120, 130)이 제1모듈(10)의 지름방향을 중심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1모듈(10)의 축방향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모듈(30)에 끼워지는 제1지지구(170)도 제2모듈(30)의 각 셀들(210, 220, 230)이 제2모듈(30)의 축방향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구(170)는 제1모듈(10)과 제2모듈(30)이 결합되는 오버튜브의 축방향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채널부(20)는, 제1모듈(10)의 전면에서 제1모듈(10)과 결합하고, 진료기구가 삽입되는 관통홀(21)이 형성된다. 관통홀(21)은 흡입관, 주입관, 로봇수술장치, 내시경 등 진료에 사용되는 의료장치들이 통과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고 각 의료장치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지름과 개수로 채널부(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모듈(30)은 제1모듈(10)의 후면에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듈제1셀(210), 제2모듈제2셀(220), 제2모듈제3셀(230), 전방제2벤딩부(240) 및 후방제2벤딩부(250)를 포함한다.
제2모듈제1셀(210)은, 전방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모듈(10)의 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모듈(10)은 제2모듈제1셀(210)에 형성된 단차에 안착하고, 제1모듈(10)과 제2모듈(30)은 고정 결합한다. 제2모듈제2셀(220)은, 후방부의 내주면에 별개의 제2모듈(30)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별개의 제2모듈(30)은 제2모듈제2셀(220)에 형성된 단차에 안착하고, 각각의 제2모듈(30)은 상호 고정결합한다. 제2모듈제3셀(230)은, 제2모듈제1셀(210)과 제2모듈제2셀(220) 사이에 위치하고, 전방제2벤딩부(240)와 후방제2벤딩부(250)에 의해 각각 제2모듈제2셀(220) 및 제1모듈제2셀(120)과 연결된다.
전방제2벤딩부(240)는, 벤딩되는 부위이고, 제2모듈제1셀(210)과 제2모듈제3셀(230)을 연결한다. 후방제2벤딩부(250)는, 벤딩되는 부위이고, 제2모듈제2셀(220)과 제2모듈제3셀(230)을 연결한다. 따라서, 전방제2벤딩부(240)와 후방제2벤딩부(250)에 의해 제2모듈(30)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되어 축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면서 진료부위로 전진이 가능하다.
이때, 전방제2벤딩부(240)와 후방제2벤딩부(250)는, 제2모듈(30)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벤딩되기 위해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전방제2벤딩부(240)는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벤딩되며, 후방제2벤딩부(250)는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나머지 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모듈(30)은 제1모듈(10) 후방에 삽입되고, 제2모듈(30)은 상호 결합하여 오버튜브가 진료부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제공하며, 제2모듈(30)의 개수를 조절하여 오버튜브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모듈(30)은, 제1모듈(10)과 마찬가지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이 되도록 하기 위해 유연한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대해 충분한 내구력을 가진 PEEK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모듈(10)과 제2모듈(30)은 축방향으로 받는 압축력에 의해 축방향 수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제1지지구(170)와 함께 제2지지구(270)를 사용하여 제1모듈(10)과 제2모듈(30)을 포함하는 오버튜브의 축방향 수축량을 줄일 수 있다.
제2지지구(270)는, 제1모듈(10) 후면과 제2모듈(30) 전면 사이 또는, 상호 결합하는 각각의 제2모듈(30) 중 하나의 제2모듈(30) 후면과 다른 하나의 제2모듈(30)의 전면 사이에 결합하고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2지지구(270)는, 제1지지구(170)와 마찬가지로, 수축되거나 인장되지 않는 강성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제2지지구(270)는 제1지지구(170)와 함께 오버튜브의 각 셀들(110, 120, 130, 210, 220, 230)이 오버튜브의 지름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여, 오버튜브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캡(40)은, 채널부(20)의 전면에 결합하고,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후방부가 채널부(20)의 외주면과 제1모듈(10)의 전방부의 내주면 사이에 고정 결합한다. 캡(40)은 오버튜브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체내의 각종 장기, 근육 등을 통과하여 진료부위에 도달한다. 즉, 오버튜브가 체내로 들어가서 진료부위에 도달할 경우, 오버튜브의 진입경로는 캡(40)이 만들기 때문에, 오버튜브가 체내에 진입시 가장 많은 항력을 받는 부위는 캡(40)이다. 따라서, 오버튜브가 체내에서 진료부위로 원활하게 전진하기 위해 캡전방부(410)는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로써 오버튜브가 전진시 장애물로부터 받는 저항을 다소 줄일 수 있다.
한편, 캡(40)의 후방부, 채널부(20)의 후방부 및 제1모듈(10)의 전방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제1핀홀(51)이 형성되고, 고정핀(60)은 캡(40), 채널부(20) 및 제1모듈(10)에 형성되는 각각의 제1핀홀(51)에 관통 삽입되어 캡(40), 채널부(20) 및 제1모듈(10)을 상호 고정 결합한다. 또한, 제1모듈(10)의 후방부와 제2모듈(3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제2핀홀(52)이 형성된다. 고정핀(60)은 제1모듈(10)과 제2모듈(30)에 형성되는 각각의 제2핀홀(52)에 관통 삽입되어 제1모듈(10)과 제2모듈(30) 또는, 인접하는 각각의 제2모듈(30)이 상호 고정 결합한다.
한편, 오버튜브의 벤딩각도의 조절은 가이드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이드와이어는 가이드홀(70)에 설치되고, 가이드홀(70)은 제1모듈(10) 및 제2모듈(30) 외측부에 각각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정렬한다. 이때, 가이드홀(70)의 개수는 오버튜브의 재질상의 특성, 요구되는 벤딩각도 조절의 정밀성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제1모듈(10)의 가이드홀(70)과 제2모듈(30)의 가이드홀(70)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가이드와이어는 가이드홀(70)에 삽입되어 제1모듈(10)과 복수개의 제2모듈(30) 각각의 벤딩각도를 조절하여 오버튜브 전체의 벤딩각도와 벤딩되는 형상을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튜브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오버튜브를 구성하는 캡(40), 채널부(20), 제1모듈(10), 제2모듈(30)은 고정핀(60)에 의해 결합되어 조립된 오버튜브를 구성한다. 오버튜브의 벤딩각도와 벤딩형상은 가이드홀(70)에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조절된다.
내시경, 로봇수술장치, 흡입관 등은 제1모듈(10)과 제2모듈(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을 통해 오버튜브에 내장되고, 채널부(20)를 통해 각 단부가 오버튜브로부터 돌출하여 진료부위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채널부(20)는 내시경 등의 진료장치의 크기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진 복수개의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오버튜브 첨단에 설치되는 캡(40)은 체내의 각종 장기와 근육 등을 관통하여 진료부위에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캡전방부(410)는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버튜브의 전진시 받는 저항을 줄임으로써, 오버튜브는 진료부위로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다.
오버튜브의 축방향으로 교대로 정렬하는 제1지지구(170)와 제2지지구(270)는 강성재질로 형성되어 그 축방향 두께에 해당하는 오버튜브의 축방향 길이만큼은 압축력에 의해 수축되지 않으므로, 오버튜브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오버튜브의 원활하고 정밀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1모듈(10)과 제2모듈(30)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이 있고 유연하며 내구력이 강한 PEEK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유연성과 내구성을 가진 재료라면 PEEK 재질에 국한하지 않고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제1모듈 20: 채널부
21: 관통홀 30: 제2모듈
40: 캡 51: 제1핀홀
52: 제2핀홀 60: 고정핀
70: 가이드홀 110: 제1모듈제1셀
120: 제1모듈제2셀 130: 제1모듈제3셀
140: 전방제1벤딩부 150: 후방제1벤딩부
160: 함몰부 170: 제1지지구
210: 제2모듈제1셀 220: 제2모듈제2셀
230: 제2모듈제3셀 240: 전방제2벤딩부
250: 후방제2벤딩부 270: 제2지지구
410: 캡전방부

Claims (20)

  1.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의 전면에서 상기 제1모듈과 결합하고, 진료기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채널부; 및
    상기 제1모듈의 후면에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2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듈의 상기 벤딩되는 부위는, 상기 제1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슬롯이 형성된 전방제1벤딩부 및 상기 제1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며 슬롯이 형성된 후방제1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제1벤딩부와 상기 후방제1벤딩부는 상기 제1모듈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되도록 각각의 슬롯이 상기 제1모듈의 평면상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전방부의 내주면에 상기 채널부의 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되는 제1모듈제1셀;
    후방부의 내주면에 상기 제2모듈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되는 제1모듈제2셀; 및
    상기 제1모듈제1셀과 제1모듈제2셀 사이에 위치하는 제1모듈제3셀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제1벤딩부는 상기 제1모듈제1셀과 상기 제1모듈제3셀을 연결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제1벤딩부는 상기 제1모듈제2셀과 제1모듈제3셀을 연결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축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모듈제3셀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몰부에는 인장 또는 수축되지 않는 강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모듈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제1지지구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구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제1벤딩부는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벤딩되며, 상기 후방제1벤딩부는 상기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나머지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은,
    상기 제1모듈 후방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은,
    전방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모듈의 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되는 제2모듈제1셀;
    후방부의 내주면에 별개의 상기 제2모듈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하는 부위인 단차가 형성되는 제2모듈제2셀;
    상기 제2모듈제1셀과 제2모듈제2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모듈제3셀;
    벤딩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2모듈제1셀과 상기 제2모듈제3셀을 연결하는 전방제2벤딩부; 및
    벤딩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2모듈제2셀과 제2모듈제3셀을 연결하는 후방제2벤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제2벤딩부와 상기 후방제2벤딩부는,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모듈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되도록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은 축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모듈 후면과 상기 제2모듈 전면 사이 또는, 상호 결합하는 각각의 상기 제2모듈 중 하나의 상기 제2모듈 후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제2모듈의 전면 사이에는, 인장 또는 수축되지 않는 강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오버튜브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제2지지구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구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제2벤딩부는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벤딩되며, 상기 후방제2벤딩부는 상기 상하 및 좌우 방향 중 나머지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채널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의 전면에 결합하고,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후방부가 상기 채널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모듈의 전방부의 내주면 사이에 고정 결합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오버튜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원활한 전진이 가능하도록, 전방부가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후방부, 상기 채널부의 후방부 및 상기 제1모듈의 전방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제1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캡, 상기 채널부 및 상기 제1모듈이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 외측부에 각각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정렬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의 벤딩각도 및 벤딩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와이어
    를 더 포함하는 오버튜브.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의 후방부와 상기 제2모듈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제2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1모듈과 상기 제2모듈 또는, 인접하는 각각의 상기 제2모듈이 상호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19.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의 전면에서 상기 제1모듈과 결합하고, 진료기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채널부;
    상기 제1모듈의 후면에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2모듈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함몰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모듈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제1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듈의 상기 벤딩되는 부위는, 상기 제1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슬롯이 형성된 전방제1벤딩부 및 상기 제1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며 슬롯이 형성된 후방제1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제1벤딩부와 상기 후방제1벤딩부는 상기 제1모듈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되도록 각각의 슬롯이 상기 제1모듈의 평면상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20.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의 전면에서 상기 제1모듈과 결합하고, 진료기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채널부;
    상기 제1모듈의 후면에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1모듈 후면과 상기 제2모듈 사이 또는, 상호 결합하는 각각의 상기 제2모듈 중 하나의 상기 제2모듈 후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제2모듈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듈의 축방향 수축량을 감소시키는 제2지지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듈의 상기 벤딩되는 부위는, 상기 제1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슬롯이 형성된 전방제1벤딩부 및 상기 제1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며 슬롯이 형성된 후방제1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제1벤딩부와 상기 후방제1벤딩부는 상기 제1모듈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벤딩되도록 각각의 슬롯이 상기 제1모듈의 평면상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튜브.
KR1020130029393A 2013-03-19 2013-03-19 오버튜브 KR10147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393A KR101474931B1 (ko) 2013-03-19 2013-03-19 오버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393A KR101474931B1 (ko) 2013-03-19 2013-03-19 오버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699A KR20140114699A (ko) 2014-09-29
KR101474931B1 true KR101474931B1 (ko) 2014-12-19

Family

ID=5175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393A KR101474931B1 (ko) 2013-03-19 2013-03-19 오버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9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975B1 (ko) 2010-01-06 2011-09-15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시블 튜브의 형상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975B1 (ko) 2010-01-06 2011-09-15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시블 튜브의 형상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699A (ko)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4044B2 (en) Sinus balloon catheter with adjustable bending angle and balloon position
JP7202370B2 (ja) 内視鏡挿入チューブの製造方法および挿入チューブを備える内視鏡
JP2008519654A5 (ko)
EP2158836A3 (en) Medical manipulator and treatment system
KR101117524B1 (ko)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JP6043027B2 (ja) 内視鏡
JP2012005713A (ja) 内視鏡の可撓管部と、この可撓管部を有する内視鏡
US9901712B2 (en) Cathe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WO2014162608A1 (ja) 長尺部材
KR101474931B1 (ko) 오버튜브
JP6913243B2 (ja) 先端カバー装置、及び、内視鏡
KR101509625B1 (ko) 조향 성능이 향상된 카테터
EP1992300A3 (en) A catheter sheath
US11015642B2 (en) Bent tubular shaf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6340878A (ja) 可撓性内視鏡の挿入部
KR101746000B1 (ko) 굽힘 강성 제어가 가능한 조향 바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바늘 시스템
JP4925182B2 (ja) 伸縮式竿
KR101503840B1 (ko) 힌지형 굴절부를 구비하는 굴곡 내시경
ES2773902T3 (es) Conjunto de mango modular para un catéter orientable
KR101642059B1 (ko) 캐뉼라 고정 장치
JP5186246B2 (ja) 内視鏡用ディスポーザブル処置具の操作部
JP2013192717A (ja) 医療機器
KR20160056726A (ko) 내시경용 튜브
NL1034386C1 (nl) Katheter alsmed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atheter.
CN102300600B (zh) 微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