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699B1 - 피난 사다리 - Google Patents

피난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699B1
KR101473699B1 KR1020120112497A KR20120112497A KR101473699B1 KR 101473699 B1 KR101473699 B1 KR 101473699B1 KR 1020120112497 A KR1020120112497 A KR 1020120112497A KR 20120112497 A KR20120112497 A KR 20120112497A KR 101473699 B1 KR101473699 B1 KR 101473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haft
brake
lin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254A (ko
Inventor
정성오
Original Assignee
(주) 신진도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진도아스 filed Critical (주) 신진도아스
Priority to KR102012011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6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06C1/08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 E06C1/12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extensible, e.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층간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로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는 윈치부; 및 상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펼쳐져 길어지거나 겹쳐져 짧아지도록 종축 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한 쌍의 지주대 사이를 횡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축대를 포함하는 사다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주대 각각에는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에 포함된 파이프 각각을 인접한 파이프와 연결시키는 제2 와이어가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펼쳐져 길어지는 경우 각 파이프가 인접한 파이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피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란다 등의 바닥면 내부에 수납 가능하고 사다리 부재의 길이가 아래층으로 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피난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난 사다리{EMERGENCY LADDER}
본 발명은 피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란다 등의 바닥면 내부에 수납 가능하고 사다리 부재의 길이가 아래층으로 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피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 등을 포함하는 고충 건물에서는 화재 또는 기타의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대피할 수 있는 비상탈출수단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예컨대, 아파트 등의 고충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로 인한 단전 내지 화염 또는 유독가스로 인하여 엘리베이터나 비상구를 이용한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 베란다의 난간 등을 통하여 아래 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즉, 바닥면을 통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난 사다리의 설치가 요구된다.
바닥면을 통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피난 사다리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29859호는 발코니 등을 통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사다리를 이용한 비상탈출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외부에 사다리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야만 하고,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노약자들의 경우 이동 시간이 지연되거나 추락 등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다리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서 주거 공간이 협소해지고 또한 외관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와 윈치부의 동작에 따라 위층과 아래층 사이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로 수납되거나 또는 바닥면 아래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의 사다리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베란다 등의 바닥면 내부에 수납 가능한 피난 사다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치부의 동작에 따라 사다리 부재가 아래층으로 길어지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 번째 피난자, 예컨대 노약자가 피단 사다리에 올라타는 동작만으로 사다리 부재가 아래층으로 길어져 안전하고 신속하게 노약자 등이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 사다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층간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로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는 윈치부; 및 상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펼쳐져 길어지거나 겹쳐져 짧아지도록 종축 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한 쌍의 지주대 사이를 횡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축대를 포함하는 사다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되는 두 파이프 중 외측의 파이프 하단부 내주면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내측의 파이프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에 걸리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원판 형태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면과의 마찰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포함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일측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 결합된 라이닝 결합축;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라이닝 결합축에 결합되되,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 밀착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절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층간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로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는 윈치부; 및 상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펼쳐져 길어지거나 겹쳐져 짧아지도록 종축 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한 쌍의 지주대 사이를 횡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축대를 포함하는 사다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외측으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되는 두 파이프 중 내측에 배치된 파이프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배치된 파이프 상단부 내주면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에 걸리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원판 형태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면과의 마찰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포함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일측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 결합된 라이닝 결합축;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라이닝 결합축에 결합되되,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 밀착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절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고 외주에 돌기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된 클램프 기어;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부와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와 걸림돌기가 맞물린 경우 상기 클램프 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와 걸림돌기가 분리된 경우 상기 클램프 기어가 회전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개구부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판 형태의 상측 덮개와 하측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덮개와 하측 덮개 각각은 상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상측과 하측으로 연동되며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베란다 등의 바닥면 내부에 수납 가능한 피난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첫 번째 피난자, 예컨대 노약자가 피단 사다리에 올라타는 동작만으로 사다리 부재가 아래층으로 길어져 안전하고 신속하게 노약자 등이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난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가 구비되는 바닥면 및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가 개구부에 설치되어 수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에 의해 사다리 부재가 아래층으로 길어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사다리 부재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사다리 부재가 펼쳐져 길어진 상태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9는 사다리 부재의 지주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중간 파이프)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사다리 부재의 지주대를 구성하는 파이프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관계도이다.
도 11은 사다리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제1 타입에서의 파이프간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14의 a와 b는 각각 제1 타입과 제2 타입에 의한 파이프간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윈치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표시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윈치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7은 윈치부가 브라켓에 결합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이다.
도 18의 (a) 내지 (c)는 각각 윈치부를 구성하는 샤프트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윈치부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구성도이다.
도 20은 브라켓과 윈치부 각 구성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피난 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피난 사다리가 구비되는 바닥면 및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난 사다리가 개구부에 설치되어 수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난 사다리에 의해 사다리 부재가 아래층으로 펼쳐져 길어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사다리 부재의 측면도와 정면도이고, 도 8의 (a) 및 (b)는 각각 사다리 부재가 펼쳐져 길어진 상태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9는 사다리 부재의 지주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중간 파이프)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사다리 부재의 지주대를 구성하는 파이프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관계도이고, 도 11은 사다리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와 도 13은 제1 타입에서의 파이프간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투시도이고, 도 14의 a와 b는 각각 제1 타입과 제2 타입에 의한 파이프간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윈치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표시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6은 윈치부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17은 윈치부가 브라켓에 결합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이다.
도 18의 (a) 내지 (c)는 각각 윈치부를 구성하는 샤프트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19는 윈치부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구성도이며, 도 20은 브라켓과 윈치부 각 구성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사다리는 건물의 층간 바닥면(1)에 형성된 개구부(2)를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개구부(2)를 형성하는 바닥면(1)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210)과, 와이어(231)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31)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 드럼(230)을 포함하는 윈치부(200), 및 상단은 상기 브라켓(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와이어(231)의 타단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펼쳐져 길어지거나 겹쳐져 짧아지도록 종축 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지주대(310)와 상기 한 쌍의 지주대(310) 사이를 횡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축대(320)를 포함하는 사다리 부재(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텔레스코프픽 타입은, 상단이 상기 브라켓(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와이어(231)의 타단에 연결되며, 종축인 한 쌍의 지주대(310) 각각은 순차적으로 겹쳐질 수 있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파이프(311, 313, 315)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와이어(231)가 상기 와이어 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개구부(2) 내측으로 회동되며 길이가 짧아지거나 상기 바닥면(1)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회동되며 길이가 길어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들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직경이 감소하며 내측으로 연결되는 제1 타입(도 14의 a 참조)와, 그 반대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직경이 증가하며 외측으로 연결되는 제2 타입(도 14의 b 참조)이 있다.
상기 제1 타입의 경우, 즉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연결되는 경우, 서로 연결되는 두 파이프 중 외측에 배치된 파이프 하단부 내주면에는 제1 돌출부(316)가 형성되고 내측에 배치된 파이프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316)와 걸리도록 형성된 제2 돌출부(317)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펼쳐져 길어지는 경우 각 파이프가 인접한 파이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타입의 경우, 즉 상기 지주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외측으로 연결되경우, 서로 연결되는 두 파이프 중 외측에 배치된 파이프 상단부 내주면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배치된 파이프 하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와 걸리도록 형성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펼쳐져 길어지는 경우 각 파이프가 인접한 파이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제1 돌출부(316)와 제2 돌출부(317)의 구분은, 상기 제1 타입과 제2 타입에서 공통적으로, 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우를 제1 돌출부(316)로 외주면에 형성된 경우를 제2 돌출부(317)로 명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는 브라켓(bracket, 210), 윈치(winch)부(200) 및 사다리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210)은 상기 바닥면(1)의 개구부(2)를 형성하는 절단면인 개구부(2)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10)은 윈치부(200)와 사다리 부재(300)가 결합되는 고정틀로서, 윈치부(200)와 사다리 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1 개 또는 2개 이상의 부재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윈치부(200)는 와이어(231)를 감거나 풀며 사다리 부재(300)를 상기 개구부(2)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2) 아래로, 즉 바닥면(1)의 수직 아래 방향인 아래 층으로 사다리 부재(300)가 향하도록 사다리 부재(300)의 회동 및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상기 윈치부(200)는 와이어(231)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31)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드럼(230)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드럼(230)은 상기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와이어 드럼(230)은 회전에 의해 와이어(231)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사다리 부재(300)는 상기 브라켓(21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230)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231)의 타단에 연결된다.
즉, 상기 와이어 드럼(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231)가 풀리게 되는 경우 상기 사다리 부재(300)는 상기 브라켓(210)에 힌지 결합된 상단을 기준으로 중력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다리 부재(300)는 일반적인 사다리와 마찬가지로 사다리를 구성하는 종축(세로축)인 한 쌍의 지주대(310)와 상기 지주대(310) 사이를 연결하는 횡축인 가로축대(320)을 포함한다(도 7 내지 도 14 참조).
다만, 상기 지주대(310)는 그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주대(310)는 복수 개의 파이프(311, 313, 315)가 순차적으로 겹쳐지며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포개져 끼워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주대(310)는 복수 개의 파이프들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대(310)의 텔레스코픽 타입 구조를 위해, 상기 지주대(310)는 복수 개의 파이프 각각이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삽입되며 겹쳐져 길이기 짧아지거나 또는 복수 개의 파이프 각각이 내측으로 겹쳐지는 부분이 짧아지도록 돌출되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텔레스코픽 타입 구조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주대(31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파이프 각각이 순차적으로 내측으로(상기 제1 타입) 또는 외측으로(상기 제2 타입)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직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또는 커지는 복수 개의 파이프들을 서로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겹쳐질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상기 제1 타입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타입, 즉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감소하며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210)에 힌지 결합된 최상측 파이프(311)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16)가 형성되고, 상기 최상측 파이프(311)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연결된 중간 파이프(315)(이하, '제 중간 파이프'라 한다)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316)에 걸려 상기 제1 중간 파이프가 최상측 파이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2 돌출부(3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중간 파이프에는 상기 제1 중간 파이프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중간파이프(이하 '제2 중간 파이프'라 한다)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중간파이프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16)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파이프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중간 파이프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316)에 걸려 상기 제2 중간 파이프가 제1 중간 파이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2 돌출부(317)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중간 파이프 하측으로 연결되는 중간 파이프들의 연결도 같은 원리에 의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중간 파이프(315) 중 최하측 중간 파이프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최하측 중간 파이프에 연결된 최하측 파이프(313)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최하측 중간 파이프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에 걸려 상기 최하측 파이프(313)가 상기 최하측 중간 파이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최상측 파이프(311)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제2 돌출부가 생략될 수 있고, 상기 최하측 파이프(313)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제1 돌출부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타입은 상술한 제1 타입의 경우와 반대 원리에 의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이에 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가로축대(320)는 상기 한 쌍의 지주대 사이를 횡축 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가로축대(320)는 지주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 각각에 연결되되, 인접한 두 파이프가 겹쳐지는 부분의 외측 파이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지주대(310)에서 서로 대응되는 높이의 두 파이프마다 하나의 가로축대(32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가로축대(320)는 각 지주대를 구성하는 각 파이프의 하단(제1 타입의 경우) 또는 상단에(제2 타입의 경우) 연결된다. 즉, 상기 가로축대(320)는 각 파이프들이 최대한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대(310)의 길이가 최대한 길어진 상태에서 각 파이프들이 겹쳐지는 부분에 연결된다.
즉, 가로축대(320)가 최상측 파이프(311)에서 최하측 파이프(313)까지 각 파이프마다 연결되어,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최대로 겹쳐져 지주대의 길이가 가장 많이 짧아진 상태에서는 인접한 두 가로축대(320)간 거리가 최소로 짧아지고,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최대로 펼쳐져 지주대의 길이가 가장 많이 길어진 상태에서는 인접한 두 가로축대(320)간 거리가 최대로 길어지게 된다.
상기 제1 돌출부(316) 및 제2 돌출부(317)에 의해 인접한 두 파이프가 이탈되지 않고 펼쳐져 길어지거나 겹쳐져 짧아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의 사다리 부재(100)를 구현한다.
상기 브라켓(210)에 힌지 결합되는 지주대(310)의 상단, 즉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파이프들 중 최상측 파이프(311)의 상단에는 제1 회전 결합부(312)가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210)에는 상기 제1 회전 결합부(312)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213)가 결합된다.
즉, 상기 최상측 파이프(311)의 상단에는 제1 회전 결합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결합부(312)는 상기 (메인) 브라켓(210)의 힌지 결합부(213)과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231)의 타단은 사다리 부재(300)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파이프들 중 최하측 파이프(313)에 연결된 마지막 가로축대(3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231)의 타단은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 중 최하측 파이프(313)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와이어 드럼(230)의 회전에 상기 와이어(231)의 타단과 연결된 사다리 부재(300)의 하단의 위치가 변경된다.
즉, 상기 와이어 드럼(230)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231)를 풀어주는 경우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와이어(231)의 타단에 연결된 사다리 부재(230)의 하단이 중력에 의해 상기 바닥면(1)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회동되어 내려간다.
이때,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들 역시 중력에 의해 내측으로 겹쳐지는 면적이 적어지도록 각각의 하단부 밖으로 돌출되며 지주대(31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230)을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231)를 감는 경우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와이어(231)의 타단에 연결된 사다리 부재(230)의 하단이 상기 개구부(2) 내측으로, 즉 상기 바닥면(1)과 수평 방향이 되도록 회동되어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 역시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겹쳐지게 되어 상기 지주대(31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개구부(2) 내부에 상기 사다리 부재(300) 전체가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윈치부(200)는 샤프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220)는 상기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230)이 상기 샤프트(220)를 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20)의 회전에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샤프트(220)가 상기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230)은 상기 샤프트(220)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20)와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윈치부(200)는, 상기 샤프트(220)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20)와 함께 회전되고 외주에 돌기 형태의 걸림부(241)가 형성된 클램프 기어(240)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21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부(241)와 맞물리는 걸림돌기(251)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41)와 걸림돌기(251)가 맞물린 경우 상기 클램프 기어(240)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241)와 걸림돌기(251)가 분리된 경우 상기 클램프 기어(240)가 회전되도록 설치된 스토퍼(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윈치부(200)는 클램프 기어(240)와 스토퍼(25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 기어(240)는 상기 와이어 드럼(2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샤프트(220)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2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 기어(240)의 외주면에는 돌기 형태의 걸림부(2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41)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토퍼(250)의 걸림돌기(251)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클램프 기어(240)는 상기 와이어 드럼(230)과 함께 상기 샤프트(220)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 기어(240)와 와이어 드럼(230) 및 샤프트(220)가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250)는 일단은 상기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클램프 기어(240)의 걸림부(241)에 맞물려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스토퍼(250)는 상기 클램프 기어(240)를 고정시켜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클램프 기어(2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기어를 해제시키는 수단이다. 즉 상기 스토퍼(250)는 상기 걸림부(241)에 상기 걸림돌기(251)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클램프 기어(240)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걸림부(241)와 상기 걸림돌기(251)가 분리되어 상기 클램프 기어(2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퍼(250)의 걸림돌기(251)가 상기 클램프 기어(240)의 걸림부(241)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클램프 기어(240)와 와이어 드럼(230) 및 샤프트(220)는 함께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상기 스토퍼(250)의 걸림돌기(251)가 상기 클램프 기어(240)의 걸림부(241)에 맞물린 경우에는 상기 클램프 기어(240)는 상기 스토퍼(250)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클램프 기어(240)와 와이어 드럼(230) 및 샤프트(220) 역시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스포퍼(250)와 클램프 기어(240)가 맞물려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드럼(230)의 회전이 정지되어 와이어(231)의 길이가 고정되게 되고, 상기 스포퍼(250)와 클램프 기어(240)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드럼(23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와이어(231)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230)을 회전시켜 상기 사다리 부재(300)가 상기 개구부(2)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50)를 회전시켜 상기 클램프 기어(240)와 맞물리도록 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230)은 회전을 정지한 상태로 상기 사다리 부재(300)가 상기 개구부(2)의 내측에 수납된 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250)와 상기 클램프 기어(240)가 분리되도록 상기 스토퍼(25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무게에 의해 상기 브라켓(210)에 힌지 결합된 사다리 부재(300)의 상단을 기준으로 사다리 부재(300)의 하단이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231)가 풀리며 상기 와이어 드럼(230)이 회전되고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파이프(311, 313, 315)들이 아래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길어지게 된다. 이때, 인접한 두 파이프의 외주면 내지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돌출부(316)와 제2 돌출부(317)에 의해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 각각은 인접한 파이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도 17 참조).
상기 스토퍼(250)의 일단에는 상기 브라켓(21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 결합부(25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클램프 기어(240)의 걸림부(241)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걸림돌기(251)가 형성되며, 손잡이 수단으로서 회전 동작을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한 핸들 조작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윈치부(200)는 상기 샤프트(220)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20)와 함께 회전되는 원판 형태의 브레이크 디스크(261)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양측면과의 마찰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라이닝(262)을 포함하는 브레이크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윈치부(200)는 브레이크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260)는 상기 샤프트(2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사다리 부재(300)가 상기 개구부(2)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50)가 클램프 기어(240)와 분리되어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하단이 하래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지주대(310)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지주대(310)의 길이가 늘어나는 속도, 즉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파이프(311, 313, 315)들이 각각 순차적으로 돌출되어 길어지는 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브레이크부(260)는 브레이크 디스크(261)와 브레이크 라이닝(262)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는 원형의 판 형태로서 상기 샤프트(220)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2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는 상기 샤프트(220), 와이어 드럼(230) 및 클램프 기어(24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2)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드레이브 디스크(261)의 양측면과 접촉되어 마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2)은 상기 브라켓(210)에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를 기준으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부(260)는 상기 스토퍼(250)와 클램프 기어(240)가 분리되고 상기 사다리 부재(300)가 아래 방향으로 회동된 후(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 드럼(230)에 감긴 와이어(231)의 길이를 상기 사다리 부재(300)가 아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을 정도로만 풀리게 한 후 상기 스토퍼(250)가 클램프 기어(240)와 맞물려 고정시킨 경우, 상기 스토퍼(250)를 상기 클램프 기어(240)와 분리하게 되면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길이 변화는 거의 없는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회동되기만 한다) 상기 와이어 드럼(230)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에 마찰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2)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61)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조절하며 사다리 부재(300)의 지주대(310)의 길이가 아래 방향으로 길어지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후술하는 발판(330)이 사다리 부재(300)의 하단, 구체적으로 상기 지주대(310)를 이루는 파이프들 중 최하측 파이프(313)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발판(330) 위에 사람이 올라선 경우 상기 브레이크부(260)에 의해 일정한 속도록 아래 방향으로 상기 파이프들이 각각 돌출되어 지주대(310)의 길이가 아래로 길어져 사람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기 힘든 노약자의 경우 상기 발판(330)에 올라서는 동작만으로 아래 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상기 발판(3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부(260)는 라이닝 결합축(263), 라이닝 결합판(265) 및 조절레버(2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6 참조).
상기 라이닝 결합축(263)은 상기 브라켓(210)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연장선이 교차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라이닝 결합판(265)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라이닝 결합축(263)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라이닝 결합판(265)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을 이루며, 각각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 각각에는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2)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에 밀착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 각각에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와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2)이 각각 결합되어, 결합된 브레이크 라이닝(262)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를 양측에서 밀착하며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윈치부(200)의 브레이크부(2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 기어 결합에 의해 하강 속도를 감속시키는 기존의 다양한 기어 감속기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조절레버(266)는 상기 라이닝 결합판(265)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에 결합된 브레이크 라이닝(262)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마찰 정도를 조정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조절레버(266)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감속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레버(266)는 상기 브라켓(210)에 결합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브라켓(210)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210)과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265)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조절레버(266)의 일측이 상기 브라켓(21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절레버(266)의 왕복이동 가능한 설치구조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조절레버(266)를 조작하여(예컨대, 상기 조절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 상기 조절레버(266)의 일측 단부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265)을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과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밀착 정도가 커져 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결합판(265)과 브레이크 디스크(261)는 모두 판 형태로서, 일정 범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의 브레이크 동작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레버(266)를 반대로 조작하여(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 상기 조절레버(266)의 일측 단부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와의 밀착 정도가 작아져 둘 상이에 작은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닝 결합축(263)에는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64)를 삽입합으로써 상기의 동작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 중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일측에 배치되는 즉, 상기 브라켓(210)에 인접한 라이닝 결합판(265)은 상기 라이닝 결합축(263)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타측에 배치되는 라이닝 결합판(265)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레버(266)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265)을 브레이크 디스크(261)측으로 밀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가 반대측으로 휘며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에 각각 결합된 브레이크 라이닝(262)과 밀착되게 된다.
즉, 상기 클램프 기어(240)와 스토퍼(250)가 분리된 경우 사다리 부재(300)의 지주대(310)가 바닥면(1)의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중력에 의해 상기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파이프들이 아래로 돌출되어 늘어나도록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최하측 파이프(313)에 연결된 와이어(231)가 상기 와이어 드럼(230)의 회전에 의해 풀리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부(16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와 브레이크 라이닝(262)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샤프트(220), 와이어 드럼(230), 클램프 기어(240) 및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와이어 드럼(2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231)가 와이어 드럼(230)으로부터 풀리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지주대(310)가 아래로 늘어나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지주대(310)를 구성하는 최하측 파이프(313) 또는 상기 최하측 파이프(313)에 힌지 결합된 발판(330)에 사람이 올라서는 동작만으로 상기 지주대(310)가 아래로 서서히 늘어나며 사람을 아래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첫 번째 사람이 아래층으로 이동하고 난 후의 다음 사람들부터는 아래층으로 연결된 사다리 부재(300)를 직접 타고 내려오게 된다. 이는 긴급한 대피 상황에서 노약자 등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기 곤란한 사람을 먼저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킨 후 다음 사람부터는 사다리를 직접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브라켓(210)은 하나의 부재로써 구성되거나 또는 두 개 내지 세 개의 부재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210)은 메인 브라켓(211), 제1 서브 브라켓(215) 및 제2 서브 브라켓(21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211)은 상기 윈치부(200)를 개구부(2)의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틀이고, 상기 제1 서브 브라켓(215)와 제2 서브 브라켓(217)은 상기 메인 브라켓(211)에 윈치부(20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 및 도 20을 참조하며 윈치부(200)의 결합관계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 브라켓(211)이 개구부(2)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메인 브라켓(211)의 양측에는 개구부(2)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212)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지주대 중 최상측 지주대(311)의 상단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 브라켓(211)은 일측, 즉 상기 메인 브라켓(211)이 결합되는 개구부(2)의 일측면의 반대편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서, 상기 메인 브라켓(211)의 타측과 일측에는 각각 제1 서브 브라켓(215)과 제2 서브 브라켓(217)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드럼(230)과 클램프 기어(240)가 결합된 샤프트(220)가 상기 제1 서브 브라켓(215)와 메인 브라켓(2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20)의 일측은 상기 제1 서브 브라켓(215)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브라켓(211)을 관통하여 제2 서브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20)의 일측과 상기 제1 서브 브라켓(215) 사이에는 부시(221)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220)의 타측과 상기 메인 브라켓(211) 사이에는 제1 조절너트(222)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브라켓(215)와 상기 메인 브라켓(211)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25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축(254)이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축(254)에 상기 스토퍼(250)가 상기 클램프 기어(240)의 걸림부(241)와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50)의 회전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257)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211)을 관통한 상기 샤프트(220)에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와 제2 서브 브라켓(217) 사이에는 제2 조절너트(223)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브라켓(211)과 제2 서브 브라켓(217) 사이에는 상기 라이닝 결합축(263)이 결합되고, 상기 라이닝 결합축(263)에는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265)에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밀착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각 제1 브레이크 라이닝(262a)과 제2 브레이크 라이닝(262b)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브라켓(217)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2)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261)와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라이닝 결합판(265)과 밀착되는 조절레버(266)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서브 브라켓(215)과 제2 서브 브라켓(217) 각각은 메인 브라켓(211)에 결합볼트(29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브라켓(211), 제1 서브 브라켓(215) 및 제2 서브 브라켓(217)은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샤프트(220)에는 상기 샤프트 자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샤프트 핸들(27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핸들(270)은 상기 와이어 드럼(230)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231)가 풀어져 상기 사다리 부재(300)가 바닥면(1)의 아래 방향으로 길어진 후, 다시 사다리 부재(300)를 상기 개구부(2)의 내측으로 수납시키기 위한 핸들이다. 즉, 샤프트 핸들(270)은 상기 샤프트(220)와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샤프트 핸들(270)을 상기 와이어(231)가 상기 와이어 드럼(230)에 감기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사다리 부재(300)를 상기 개구부(2)에 다시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며 사다리 부재(3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사다리 부재(300)는 세로축(종축)인 지주대(310)와 상기 지주대(310) 사이를 연결하는 횡축인 가로축대(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주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파이프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들은 서로 순차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겹쳐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도 7은 상기 지주대(310)를 이루는 파이프들이 모두 겹쳐져 상기 개구부(2)에 수잡될 수 있도록 길이가 짧아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는 상기 지주대(310)를 이루는 파이프들이 모두 최대한 돌출되어 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를 구성하는 사다리 부재는 일측이 상기 지주대(310)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판 형태의 발판(3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발판(330)의 일측은 타측이 상기 지주대(310)로부터 수직인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지주대(310)를 이루는 파이프들 중 최하측 파이프(313)에는 판 형태의 발판(330)이 힌지 결합된다(도 11 참조).
이때, 상기 발판(330)은 일측이 상기 최하측 파이프(313)에 힌지 결합되되, 타측이 상기 지주대(310)로부터 수직인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하측 파이프(313)의 하단에 형성된 제2 회전 결합부(314)와 상기 발판(330)의 발판 힌지결합부(331)가 결합핀(332)에 의해 힌지 결합되되, 상기 발판(33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최하측 파이프(313)의 하단에 의해 회전 범위가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판(330)은 상기 지주대, 구체적으로 상기 최하측 파이프(313) 상에 접힌 상태에서 상기 최하측 파이프(313)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는 상태로만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는 상기 개구부(2)를 개폐하는 하우징(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5 참조).
즉, 상기 개구부(2)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판 형태의 상측 덮개(100a)와 하측 덮개(100b)를 포함하는 하우징(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 덮개(100a)와 하측 덮개(100b) 각각은 상기 개구부(2)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상측과 하측으로 연동되며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2)의 측벽에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 덮개(100a)의 테두리 틀을 형성하는 상측 프레임(110)과 상기 하측 덮개(100b)의 테두리 틀을 형성하는 하측 프레임(120) 각각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개구부(2)를 형성하는 일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힌지(111)와 하측 프레임의 하측 프레임힌지(121)가 각각 개구부(2)의 일측면 상단과 하단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측 프레임(110)과 하측 프레임(120)은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상측으로 개방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하측 프레임(120)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아암(arm, 130)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아암(130)은 상기 상측 프레임(1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상측 아암(131)과, 일단이 상기 상측 아암(131)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측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하측 아암(1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 아암(131)과 하측 아암(132)은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상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하측 프레임(120)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 아암(131)은 일단이 상기 상측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1 아암(131a)과 일단이 상기 제1 아암(131a)의 타단과 힌지 결합된 제2 아암(131b)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 아암(132)은 일단이 상기 제2 아암(131b)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3 아암(132a)과 일단이 상기 제3 아암(132a)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4 아암(132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아암(130)의 힌지 결합에 의해 상측 프레임(110)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측 덮개(100a)가 상측으로 회동회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하측 프레임(12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하측 덮개(100b)가 하측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측 덮개(100a)에는 상기 상측 덮개(100a) 및 상측 프레임(110)을 상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01)를 잡고 상기 상측 덮개(100a)를 위로 젖히는 동작에 의해 상기 상측 덮개(100a)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하측 덮개(100b)는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가 개방되고, 그 후 상기 스토퍼(250)를 회동시켜 상기 스토퍼(150)와 클램프 기어(140)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2)에 수납되어 있는 사다리 부재(300)를 바닥면(1)의 아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판(330)이 상기 지주대(310)와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어 사용자(특히 노약자)가 상기 발판(330)에 올라서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레버(266)는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2)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161)와 최대한 밀착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판(330)에 올라선 후 상기 조절레버(266)를 조절하여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2)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261)의 회전 속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가 아래 층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 후의 사용자들은 길어진 사다리 부재(300)를 직접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상기 사다리 부재(300)를 상기 개구부(2)에 수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드럼(230)에 와이어(231)가 감기도록 상기 샤프트 핸들(270)을 역으로 회전시켜 지주대를 구성하는 파이프들이 겹쳐지도록 하여 상기 사다리 부재(30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하며 계속하여 상기 사다리 부재(300) 자체가 상기 개구부(2) 내측으로 회동되어 수납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스토퍼(250)와 상기 클램프 기어(240)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샤프트(220)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상기 상측 덮개(100a)를 아래로 회동시켜 개구부(2)를 덮는다. 이때, 상기 상측 덮개(100a)를 아래로 회동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하측 덮개(100b)는 함께 상측으로 회동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00a: 상측 덮개
100b: 하측 덮개 110: 상측 프레임
120: 하측 프레임 130: 아암
131: 상측 아암 132: 하측 아암
200: 윈치부 210: 브라켓
220: 샤프트 230: 와이어 드럼
231: 와이어 240: 클램프 기어
241: 걸림부 250: 스토퍼
251: 걸림돌기 252: 핸들 조작부
253: 회동 결합부 254: 스토퍼 축
260: 브레이크부 261: 브레이크 디스크
262: 브레이크 라이닝 263: 라이닝 결합축
264: 라이닝 스프링 265: 라아닝 결합판
266: 조절레버 270: 샤프트 핸들
300: 사다리 부재 310: 지주대
311: 최상측 파이프 312: 제1 회전 결합부
313: 최하측 파이프 314: 제2 회전 결합부
315: 중간 파이프 316: 제1 돌출부
317: 제2 돌출부 320: 가로축
330: 발판 331: 발판 힌지 결합부
332: 결합핀

Claims (7)

  1.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층간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로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는 윈치부; 및 상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펼쳐져 길어지거나 겹쳐져 짧아지도록 종축 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한 쌍의 지주대 사이를 횡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축대를 포함하는 사다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되는 두 파이프 중 외측의 파이프 하단부 내주면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내측의 파이프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에 걸리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원판 형태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면과의 마찰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포함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일측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 결합된 라이닝 결합축;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라이닝 결합축에 결합되되,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 밀착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절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
  2.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층간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로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는 윈치부; 및 상단은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펼쳐져 길어지거나 겹쳐져 짧아지도록 종축 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한 쌍의 지주대 사이를 횡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축대를 포함하는 사다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외측으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되는 두 파이프 중 내측에 배치된 파이프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배치된 파이프 상단부 내주면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에 걸리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원판 형태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면과의 마찰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포함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일측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 결합된 라이닝 결합축;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라이닝 결합축에 결합되되,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 밀착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라이닝 결합판;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된 라이닝 결합판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절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
  3. 삭제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고 외주에 돌기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된 클램프 기어;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부와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와 걸림돌기가 맞물린 경우 상기 클램프 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와 걸림돌기가 분리된 경우 상기 클램프 기어가 회전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판 형태의 상측 덮개와 하측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덮개와 하측 덮개 각각은 상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상측과 하측으로 연동되며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사다리.
KR1020120112497A 2012-10-10 2012-10-10 피난 사다리 KR10147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497A KR101473699B1 (ko) 2012-10-10 2012-10-10 피난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497A KR101473699B1 (ko) 2012-10-10 2012-10-10 피난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254A KR20140046254A (ko) 2014-04-18
KR101473699B1 true KR101473699B1 (ko) 2014-12-18

Family

ID=5065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497A KR101473699B1 (ko) 2012-10-10 2012-10-10 피난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6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2638A (ja) * 2010-09-29 2012-04-12 Tokushu Hashigo Seisakusho Kk 伸縮式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2638A (ja) * 2010-09-29 2012-04-12 Tokushu Hashigo Seisakusho Kk 伸縮式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254A (ko)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6511B2 (ja) 避難装置
KR101065487B1 (ko) 피난용 사다리
KR200450475Y1 (ko) 하향식 피난구
JP2010051473A (ja) 避難装置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2017096072A (ja) 復旧装置を備えた自動閉鎖装置
KR101333117B1 (ko)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
KR101473698B1 (ko) 피난 사다리
KR101473699B1 (ko) 피난 사다리
KR101410261B1 (ko) 피난사다리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090902B1 (ko) 피난 사다리장치용 감속기
JP3234934B2 (ja) 避難装置
KR101420407B1 (ko) 비상탈출장치용 안전사다리
JPH0240240Y2 (ko)
KR102603237B1 (ko) 비상탈출 사다리용 완강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비상탈출 사다리 장치
KR102433190B1 (ko) 가변형 지주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KR101070179B1 (ko) 하향식 화재피난장치
JP3008266U (ja) 釣梯子
KR101269645B1 (ko) 바닥설치형 피난장치
JPS5830957Y2 (ja) 高層建造物に於ける避難口装置
JP2017096073A (ja) 防火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