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450B1 -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450B1
KR101473450B1 KR1020140067330A KR20140067330A KR101473450B1 KR 101473450 B1 KR101473450 B1 KR 101473450B1 KR 1020140067330 A KR1020140067330 A KR 1020140067330A KR 20140067330 A KR20140067330 A KR 20140067330A KR 101473450 B1 KR101473450 B1 KR 10147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ware
dish
identification information
hous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준
강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모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모아이
Priority to KR102014006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인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식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다수의 식기를 적재하는 식기 적재부; 상기 식기 적재부의 하단 일측에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며, 나사산을 갖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 상기 식기 적재부 하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흐름판; 상기 흐름판의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토출구;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식기 자동 배출기;구비하되,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의 피치는 적층된 식기 가운데 인접한 어느 한 쌍의 간격과 일치하며, 각 나사산의 플랭크는 적어도 상기 식기 적재부에 적재된 식기 가운데 하부에 위치한 식기들의 측면모서리에 밀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의 조건 충족시에 상기 식기 적재부 최끝단의 식기가 상기 나사산의 리드 길이만큼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식기 적재부 최하단의 식기는 상기 흐름판을 따라 상기 식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Description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Restaurant management system using automatic food tray distribu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당자동화 설비 기술분야에 속한다.
학교나 관공서, 회사 사내식당, 병원이나 연구소, 공장식당이나 공단내 식당과 같이 대량의 고객을 동시에 수용해야 하는 식당의 식수관리 유형 가운데 고객들이 자율적으로 식권을 식권수거함에 넣고서 자유롭게 식판에 음식을 담아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식권을 내는 대신 사원증을 스캐닝하고서 식사를 하거나, 아예 어떤 경우에는 식당 앞에 비치된 장부에 회사이름과 인원 수를 기재하고서 식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고객들의 자율에 따라 식수를 집계하는 경우, 실제 식사인원에 비해 그 수를 적게 기재한다거나, 식권을 내지 않고서 식사를 하는 빈도가 상당한 비율에 달하기 때문에 식당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큰 손실을 입게 된다.
실제로 식권 또는 식수확인용 카드를 사용하여 식수를 집계하는 방식의 자율배급형 식당에 있어서, 실제 식사량과 집계된 수량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은 식당 운영상 가장 큰 문제점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대량의 인원을 수용해야 하는 자율배급식 식당에서 식수관리를 위해 별도의 인력을 채용하는 경우 인건비 부담으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식사 수량을 자동화하여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는 식수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1646 "식당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문헌 2.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2010-0011042 "식기자동배출기능을 갖는 식기세척기" 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2-0047460 "자동 식기 세척기용 자동 식기분리배출장치"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5648 "식판 배출장치" 문헌 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8211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이하에서 기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식당에서 식판, 식기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의 접시 또는 사각 식판의 형태를 갖는 식기들을 다수 적층하여 적재하되, 고객이 고객 카드 등을 이용하여 식별정보를 인식시키면 한 장씩 식기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식기 자동 배출기와 연동하여 식사수량을 정확하게 집계하고, 집계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부 및 청구서를 자동화하여 생성하는 시스템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인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식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다수의 식기를 적재하는 식기 적재부;
상기 식기 적재부의 하단 일측에 세로 방향으로 구비되며, 나사산을 갖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
상기 식기 적재부 하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흐름판;
상기 흐름판의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토출구;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식기 자동 배출기;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의 피치는 세로로 적층된 식기 가운데 인접한 어느 한 쌍의 간격과 일치하며, 각 나사산의 플랭크는 적어도 상기 식기 적재부에 적재된 식기 가운데 하부에 위치한 식기들의 측면모서리에 밀착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의 조건 충족시에 상기 식기 적재부 최하단의 식기가 상기 나사산의 리드 길이만큼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식기 적재부 최하단의 식기는 상기 흐름판을 따라 상기 식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인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식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다수의 식기를 적재하는 식기 적재부;
상기 식기 적재부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
상기 식기 적재부 하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흐름판;
상기 흐름판의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토출구;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식기 자동 배출기;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식기 적재부는 세로 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식기를 적재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회전축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캠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 1 회전축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캠은 상기 식기 적재부의 최하단의 식기의 측면 모서리를 걸어 지지하며, 상기 제 2 캠은 상기 제 2 회전축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캠에 의해 지지되는 식기의 위쪽으로 인접한 식기의 측면 모서리를 걸어 지지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의 조건 충족시에 상기 제 1 회전축을 1 회전시켜 제 1 캠에 의해 지지되던 식기가 흐름판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이 종료하여 캠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 2 회전축을 1 회전시켜 제 2 캠에 의해 지지되던 식기가 제 1 캠의 상면까지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식기가 원형의 접시인 경우 또는 사각의 식판인 경우를 가리지 않고 정확하게 한 장씩 식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식별정보 인식기를 통해 고객이 카드나 식권, 사원증 등의 식별정보를 인식시킬 때마다 식기를 한 장씩 자동 배출함으로써 식사수량을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음은 물론, 식별정보 인식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장부 및 청구서를 자동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을 외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식기 자동 배출기에 식기를 채워 적층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식기 자동 배출기로부터 식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은 식당을 방문한 고객들이 사원증이나 회원카드, 바코드 등을 식별정보 인식기나 스캐너와 같은 장비를 통해 인식시킴에 따라 빈 식판이나 식기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당을 방문한 고객들은 이와 같이 빈 식판이나 식기를 제공받은 후 원하는 종류의 음식을 원하는 만큼 직접 담아서 먹게 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고객들이 이와 같이 빈 식판이나 식기를 제공받은 다음 스스로 음식을 담아서 식사를 하는 자율배급 방식의 식당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학교나 관공서, 회사 구내식당, 병원, 연구서, 공장식당 또는 공단내 식당의 식수관리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를 통해서, 식기는 원형의 접시일 수 있다. 접시는 식기 자동 배출기 내부에 다수가 세로로 적층되며, 고객이 회워카드나 사원증, 바코드 등의 식별정보를 인식시킴에 따라 그 가운데 맨 아래의 접시가 적재부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적어도 맨 아래 접시는 둘 이상의 나사산의 플랭크에 밀착되며, 나사산이 회전함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적재부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즉, 가장 먼저 적재된 접시가 가장 먼저 배출되는 선입선출(FIFO : First In First Out) 구조를 가진다.
한편, 이때 접시 이외에 숫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와 나이프 등이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를 통해서, 식기는 내부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둘 이상 함몰되어 형성된 식판일 수 있다. 식판은 식기 자동 배출기 내부에 다수가 세로로 적층되며, 고객이 식별정보를 인식시킴에 따라 그 가운데 맨 아래의 식판이 적재부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적어도 맨 아래의 두 개의 식판은 서로 평행한 두 개의 회전축에 구비된 캠에 의해 지지되는데, 그 가운데 아래쪽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맨 아래의 접시는 적재부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그 위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배출된 식판의 바로 위의 식판이 적재부의 맨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즉, 가장 먼저 적재된 식판이 가장 먼저 배출되는 선입선출(FIFO) 구조를 가진다.
이하 기술되는 시스템은 식기 자동 배출기와 연동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컴퓨터는 식기 자동 배출기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에 공장식 식당에서 수기로 판매량을 집계하고, 청구서를 만들고 관리하던 것을 자동화한다.
컴퓨터를 통해 자동화되는 기능들은 한정적으로 예시된 것이 아니며 다른 기능으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을 외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은 식기 자동 배출기(100) 및 컴퓨터(200)를 포함한다.
식기 자동 배출기(100)는 식별정보 인식기가 고객의 식별정보를 독출함에 따라 내부에 적재된 식기류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식기 자동 배출기(100)는 바람직하게는 공장식 식당의 입구에 구비되며, 고객들은 배출된 식기를 가지고서 음식을 담아서 각자 자리로 이동하여 식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식기 자동 배출기(100)는 전면에 카드, 사원증, 바코드 또는 마그네틱 식권과 같은 유형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정보 인식기(1440)와 고객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50)이 노출되며, 전면 하단에는 식기가 배출되는 식기 토출구(114)가 구비된다.
한편, 컴퓨터(200)는 이러한 식기 자동 배출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식기 자동 배출기(10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거래처별로 장부를 작성하는 등의 기능을 자동화하여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기가 원형의 접시 또는 사각의 식판인 경우를 전제한다. 도 3에서는 비록 원형의 접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사각의 식판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식기 자동 배출기(100)은 하우징(110) 내부에 각 부재가 구비된다.
하우징(11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식기를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여 적재하는 식기 적재부(1210)가 구비된다. 식기 적재부(1210)는 바람직하게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다수의 지지대(121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 지지대(1211)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배면 상단부에는 외부에서 식기를 집어넣을 수 있도록 식기 인입구(111)가 형성되며, 상기 식기 인입구(111)를 밀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12)가 구비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개폐도어(112)가 열린 상태에서 식기 인입구(111)를 통해 식기를 식기 적재부(1210) 내부 공간으로 집어넣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의 (c)는 하우징(110) 내부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절개도인데, 이에 의하면 식기 적재부(1210)의 상단 후방으로 식기 인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식기 자동 배출기에 식기를 채워 적층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식당의 작업자는 세척이 끝난 식기들을 적층한 채로 식기 인입구(111)를 통해 식기 적재부(1210) 내부에 채워넣을 수 있다.
도 3의 (a)의 우측 하단에는 개폐도어(112)가 개폐됨에 따라, 이에 연동되어 함께 개폐되는 식기 인입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식기 인입 가이드는 식기 적재부(1210)의 상단부 일측을 형성하며, 개폐도어(112)가 닫힌 상태에서는 내부에 적재된 식기들의 측면 모서리를 지지하며, 개폐도어(112)가 열린 상태에서는 식기 적재부(1210)의 측면을 열어 식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기 적재부(1210)의 측면으로 수저배출기(1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수저배출기(1220)는 식기 적재부(1210)로부터 식기가 하나씩 배출될 때에 숫가락과 젓가락을 한 쌍씩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식기 적재부(1210)와 달리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 구조 또한 공지의 것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저배출기(1220)를 제거하고, 대신 하우징(110)의 외부에 수저 또는 포크와 나이프 등을 담아두고서 고객들로 하여금 필요한 만큼 가져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의 (b)는 하우징(110)의 내부구조를 측면방향에서 도시하는데, 이에 의할 때 식기 적재부(1210)의 하단에는 흐름판(113)이 구비된다. 흐름판(113)은 식기 적재부(1210)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위에서부터 사선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곡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흐름판(113)은 하우징(110) 전면 하단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식기 토출구(114)까지 연결된다.
식기 적재부(1210)의 하단에서 배출된 식기는 흐름판(113)을 타고 식기 토출구(114)의 바로 앞까지 이동한다. 수저배출기(1220)가 구비되는 경우 식기 배출시에 수저가 함께 흐름판(113)을 타고 식기토출구(114) 앞까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내부에 서로 평행한 하나 이상의 회전축(1320)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회전축(1320)은 각각 나사산(1321)이 구비된다. 나사산(1321)은 바람직하게는 식기 적재부(121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식기 적재부(1210)의 지지대(1211) 사이 공간을 통해 식기의 측면으로 밀착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회전축(1320)은 동력 전달 수단(1323)에 연동된다. 동력 전달 수단(1323)은 타이밍 벨트나 링기어, 헬리컬 기어와 같은 공지의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각 회전축(1320)은 동력 전달 수단(1323)에 연동하기 위해 구동연결장치(1322), 예컨대, 구동풀리와 같은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모터(1310)가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을 멈춤에 따라, 동력 전달 수단(1323)와 연동하여 각 회전축(1320)은 동시에 회전을 하고, 또 회전을 멈춘다.
제어수단(1410)은 모터(1310)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회전축(1320)의 회전을 제어한다.
동력 전달 수단(1323)을 이용함으로써, 단일의 모터(1310)만을 사용하여 각 회전축(1320)에 동력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모터(1310)를 다수 개 구비하지 않고서도 전체 회전축(1320)의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310)를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모터(131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대체될 수 있다.
식기 적재부(1210)의 지지대(1211) 사이 공간을 통해 식기의 측면 모서리 부위가 노출되는데, 나사산(1321)의 플랭크가 식기 적재부(1210)에 적재된 식기들 가운데 적어도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식기들의 측면 모서리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서는, 나사산(1321)의 피치는 세로로 적층된 식기 가운데 인접한 어느 한 쌍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세로로 적층된 접시의 측면 모서리가 각각 나사산(1321)의 플랭크 사이로 들어가 밀착될 수 있다.
제어수단(1410)의 제어에 따라 회전축(1320)이 회전함에 따라 식기에 밀착된 나사산(1321)이 회전하며, 식기들은 나사산(1321)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
그 가운데 식기 적재부(1210) 최하단의 식기는 나사산(1321)의 하단 끝까지 내려온 다음 흐름판(113) 위로 배출된다. 배출된 식기는 상기 식기 토출구(114)를 통해 토출된다.
제어수단(1410)은 바람직하게는 나사산(1321)의 플랭크에 밀착된 식기들이 상기 나사산의 리드 길이만큼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축(1320)을 회전시킨 후, 회전을 중지시킨다.
이에 의하여 맨 아래의 식기만이 흐름판(113) 위로 배출되며, 바로 그 위의 식기가 적재부(1210) 최하단으로 내려온다.
한편,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열풍건조기(1510)가 더 구비된다. 열풍건조기(1510)는 바람직하게는 흐름판(113)의 방향으로 고온 건조 기류를 공급한다.
제어수단(1410)은 상기 회전축(132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열풍건조기(15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흐름판(113)으로 배출된 식기는 흐름판(113)을 따라 식기 토출구(114)의 앞까지 이동하면서 열풍건조기(1510)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건조기류에 의해 건조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UV램프(1520)가 구비된다. UV램프(15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기 적재부(1210)의 지지대(1211) 사이로 공간으로 UV파장을 조사한다. UV램프(152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식기 적재부(1210)에 적재된 식기들로 UV파장이 조사되며 이에 의하여 살균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측벽에는 팬(15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팬(1530)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상기 개폐도어(11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오픈 센서(14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수단(1410)은 상기 도어오픈 센서(1430) 측정값에 따라 개폐도어(112)가 개폐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UV램프(15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개폐도어(112)을 열었다가 닫으면, 그 후 일정시간 동안 UV램프(152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작업자가 개폐도어(112)를 오픈한 다음에는 식기를 적재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고, 새로운 식기들이 내부에 적재됨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UV램프(152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UV램프(1520)를 상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한 전력손실을 막을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기 적재부(1210)의 지지대(1211) 사이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거리 측정 센서(14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측정 센서(14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기 적재부(1210)의 하단부 측면에서, 수평으로 고정된다.
식기가 충분히 적재되면 거리 측정 센서(1420)가 측정한 값은 적재된 식기와의 거리에 해당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 식기가 상당 수량 배출되어, 거리 측정 센서(1420)의 높이에 더 이상 식기가 남아있지 않게 되면, 거리 측정 센서(1420)가 측정한 값은 식기 적재부(1210)의 내벽이나 하우징(110) 내벽에 해당하며, 상대적으로 큰 값이 된다.
이와 같이 거리 측정 센서(1420)가 감지한 값에 따라 식기가 충분히 남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1420)는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1420)를 채택할 경우 식기 적재부(1210)의 무게를 직접 감지하는 것에 비하여 설계가 단순해지며, 하중이 지속적으로 인가됨에 따른 고장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경광등(1460)이 구비된다.
제어수단(1410)은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0)에 의한 측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 즉, 식기가 상당 정도 소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 상기 경광등(146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된 식기들을 식기 적재부(1210) 내부에 적재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식별정보 인식기(1440) 및 카메라(1450)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식별정보 인식기(1440)는 고객이 사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사원증이나 바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식별정보 인식기(1440)는 옵티컬 리더기일 수 있으며, 고객이 마그네틱 식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별정보 인식기(1440)는 식권 인식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고객이 회원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식별정보 인식기(1440)는 카드리더기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여러 유형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정보 인식기(1440)가 부착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외부로 모니터(14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모니터(1470)는 컴퓨터(200)와 연결되어, 컴퓨터(2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1410)은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1440)를 통하여 고객의 식별정보를 독출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320)을 회전시켜 식기를 배출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410)은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1440)를 통하여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카메라(1450)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는 식기 자동 배출기로부터 식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고객은 카드, 식권, 사원증이나 바코드와 같은 식별정보를 소지한다. 식당으로 입장한 고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면에 구비된 식별정보 인식기(1440)를 통해 소지한 식별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410)이 회전축(1320)을 회전시켜 식기를 배출하면, 고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토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식기를 꺼내들고 음식을 담기 위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식기와 함께 수저 등이 함께 배출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한편, 제어수단(1410)은 이와 같이 센서들로부터 수집한 정보, 식별정보 인식기(1440) 및 카메라(1450)를 통해 수집한 식별정보나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2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터(200)와 제어수단(1410)은 랜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
컴퓨터(200)는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1440)를 통해 식별정보를 독출함에 따라 독출된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거래처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정하고, 식기 배출회수를 적산하여 카운트한다.
만일, 미리 설정된 거래처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오류를 발생시키고, 제어수단(1410)으로 오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식기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거래처별로 적산하여 카운트하되, 각각 어느 카드로 언제 식별정보 인식기(1440)를 통한 식별정보 독출이 있었는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매 월별로 각 거래처별 적산된 카운트 회수에 기반하여, 거래처별 장부데이터 및 청구서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식당 운영자는 컴퓨터(200)를 통해 자동으로 생성된 거래처별 장부 데이터 및 청구서 데이터를 프린터로 간단히 출력하여 해당 거래처에 제공하고, 해당 월의 식사 대금을 청구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450)를 이용한 촬영은 한 장의 식별정보로 식별정보 인식기(1440)를 여러 번 인식시키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장식 식당의 경우 보통 여러 명이 동시에 입장하여 식사를 하는데, 한 장의 카드를 여러 번 읽히는 것에 의해 여러 장의 식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배출된 식기의 수량과 실제 식사한 고객의 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카메라(1450)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1450)를 하우징(110) 전면 하단의 식기 토출구(114) 근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한 장의 카드를 여러 번 읽힌 다음, 여러 명의 고객이 각자 한 장씩 식기를 가져가는 경우 그 때마다 촬영을 하여 누가 식기를 가져갔는지를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이에 의해, 회원 카드의 부정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정보 인식기(1440)를 통해 동일한 카드 정보를 두 차례 이상 연속하여 독출함에 따라, 컴퓨터(200)는 카메라(1450)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해당 거래처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일, 동일한 카드 정보가 연속하여 독출되지 않거나, 적어도 일정 시간(30분) 이내에 반복적으로 독출되지 않으면 제어수단(1410)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카메라(1450)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촬영한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지 않고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이 구현된 일 예를 다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식기 자동 배출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식기가 식판인 경우를 전제한다.
바람직하게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의 금속 재질의 식판인 경우를 가정한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식기 적재부(1210) 및 회전축(1330, 1340)의 구조가 상이하다.
식기 적재부(1210)는 세로 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식기를 적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상기 식기 적재부(1210)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 1 회전축(1330) 및 제 2 회전축(134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회전축(1330)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캠(1331)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 2 회전축(1340)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캠(1341)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회전축(1330)과 제 2 회전축(1340)은 서로 평행하며, 제 1 회전축(1330)이 제 2 회전축(1340)보다 일정 거리만큼 아래쪽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회전축(1330)과 제 2 회전축(1340)의 이격거리는 식기 적재부(1210)에 적층된 인접한 한 쌍의 식판 간의 거리와 일치한다.
한편, 상기 제 1 회전축(1330)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캠(1331)은 상기 식기 적재부(1210)의 최하단의 식기의 측면 모서리를 걸어 지지한다.
한편, 상기 제 2 캠(1341)은 상기 제 2 회전축(1340)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캠(1331)에 의해 지지되는 식기의 위쪽으로 인접한 식기의 측면 모서리를 걸어 지지한다.
즉, 제 1 캠(1331)과 제 2 캠(1341)은 식기 적재부(1210)에 적재된 식기들 가운데 가장 아래의 두 개의 식기들을 지지한다.
그 상태에서 제어수단(1410)의 제어에 따라 제 1 회전축(1330)이 1회전을 하면, 제 1 캠(1331)에 의해 지지되던 맨 아래 식기는 자연스레 흐름판(113)으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제 1 회전축(1330)의 회전이 종료하여 캠(1331)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어수단(1410)은 제 2 회전축(1340)을 1 회전시켜 제 2 캠(1341)에 의해 지지되던 식기가 제 1 캠(1331)의 상면까지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맨 아래의 식기는 흐름판(113)을 통해 식기 토출구(114)로 배출되며, 바로 그 위의 식기가 식기 적재부(1210)의 최하단으로 내려온다.
즉, 가장 먼저 적재된 식기가 가장 먼저 배출되는 선입선출(FIFO) 구조를 갖는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식당자동화 설비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식기 자동 배출기
110 : 하우징
111 : 식기 인입구
112 : 개폐도어
113 : 흐름판
114 : 식기 토출구
1210 : 식기 적재부
1211 : 지지대
1220 : 수저 배출기
1310 : 모터
1320 : 회전축
1321 : 나사산
1322 : 구동 연결 장치
1323 : 동력 전달 수단
1330 : 제 1 회전축
1331 : 제 1 캠
1340 : 제 2 회전축
1341 : 제 2 캠
1410 : 제어수단
1420 : 거리 측정 센서
1430 : 도어오픈 센서;
1440 : 식별정보 인식기
1450 : 카메라
1460 : 경광등
1470 : 모니터
1510 : 열풍건조기
1520 : UV램프
1530 : 팬
200 : 컴퓨터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인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식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다수의 식기를 적재하는 식기 적재부; 상기 식기 적재부의 하단 일측에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며, 나사산을 갖는 둘 이상의 회전축; 상기 식기 적재부 하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흐름판; 상기 흐름판의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토출구;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며 고객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기; 및 상기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식기 자동 배출기; 및
    상기 식기 자동 배출기의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컴퓨터;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의 피치는 적층된 식기 가운데 인접한 어느 한 쌍의 간격과 일치하며, 각 나사산의 플랭크는 적어도 상기 식기 적재부에 적재된 식기 가운데 하부에 위치한 식기들의 측면모서리에 밀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의 조건 충족시에 상기 식기 적재부 최끝단의 식기가 상기 나사산의 리드 길이만큼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식기 적재부 최끝단의 식기는 상기 흐름판을 따라 상기 식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를 통하여 고객 식별정보를 독출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를 통해 고객 식별정보를 독출함에 따라 독출된 식별정보가 미리 설정된 거래처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정하고,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를 통해 동일한 식별정보를 두 차례 이상 연속하여 인식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해당하는 거래처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하되, 동일한 식별정보가 연속하여 독출되지 않으면 촬영한 영상 이미지를 삭제하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자동 배출기는 동력 전달 수단;를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은 다수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축은 구동 연결 장치를 가지되, 상기 동력 전달 수단와 체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하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자동 배출기는 상기 흐름판의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건조기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의 조건 충족시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열풍건조기를 동작시키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자동 배출기는 식기 인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오픈 센서; 및
    UV 파장을 발생시키는 UV램프;를 더 구비하되,
    상기 식기 적재부는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식기의 측면 모서리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지지대 사이의 공간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UV램프는 상기 식기 적재부 측면 방향에서 상기 다수의 지지대 사이 공간을 향해 UV 파장을 조사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도어오픈 센서 측정값에 따라 개폐도어가 개폐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UV램프를 작동시키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의 피치는 적층된 식기 가운데 인접한 어느 한 쌍의 간격과 일치하며, 각 나사산의 플랭크는 적어도 상기 식기 적재부에 적재된 식기 가운데 하부에 위치한 식기들의 측면모서리에 밀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의 조건 충족시에 상기 식기 적재부 최끝단의 식기가 상기 나사산의 리드 길이만큼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식기 적재부 최끝단의 식기는 상기 흐름판을 따라 상기 식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인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식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다수의 식기를 적재하는 식기 적재부; 상기 식기 적재부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 상기 식기 적재부 하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흐름판; 상기 흐름판의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되는 식기 토출구;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며 고객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기; 및 상기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식기 자동 배출기; 및
    상기 식기 자동 배출기의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컴퓨터;를 구비하되
    상기 식기 적재부는 적층된 다수의 식기를 적재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회전축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캠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캠은 상기 식기 적재부의 최끝단의 식기의 측면 모서리를 걸어 지지하며, 상기 제 2 캠은 상기 제 2 회전축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캠에 의해 지지되는 식기의 위쪽으로 인접한 식기의 측면 모서리를 걸어 지지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를 통하여 고객 식별정보를 독출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회전축을 1 회전시켜 제 1 캠에 의해 지지되던 식기가 흐름판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이 종료하여 캠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 2 회전축을 1 회전시켜 제 2 캠에 의해 지지되던 식기가 제 1 캠의 상면까지 하강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를 통해 고객 식별정보를 독출함에 따라 독출된 식별정보가 미리 설정된 거래처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정하고, 상기 식별정보 인식기를 통해 동일한 식별정보를 두 차례 이상 연속하여 인식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해당하는 거래처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하되, 동일한 식별정보가 연속하여 독출되지 않으면 촬영한 영상 이미지를 삭제하는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KR1020140067330A 2014-06-03 2014-06-03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KR10147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330A KR101473450B1 (ko) 2014-06-03 2014-06-03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330A KR101473450B1 (ko) 2014-06-03 2014-06-03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450B1 true KR101473450B1 (ko) 2014-12-19

Family

ID=5267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330A KR101473450B1 (ko) 2014-06-03 2014-06-03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4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435B1 (ko) * 2019-07-03 2020-03-10 김민규 자동 식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CN114104776A (zh) * 2021-12-01 2022-03-01 福德机器人(成都)有限责任公司 一种防抖转运结构、送餐机器人
CN114435822A (zh) * 2021-12-15 2022-05-06 中之保金融科技(成都)有限公司 发盘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527A (ja) 1999-05-26 2000-12-08 Sanyo Electric Co Ltd ユーザ認証システム
JP2003063647A (ja) 2001-08-28 2003-03-05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商品収納排出装置
JP2003063649A (ja) 2001-08-27 2003-03-05 Aiho Corp 食器分離装置および食器洗浄システム
KR101296896B1 (ko) 2013-01-17 2013-08-14 주식회사 동이 자동판매기용 용기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527A (ja) 1999-05-26 2000-12-08 Sanyo Electric Co Ltd ユーザ認証システム
JP2003063649A (ja) 2001-08-27 2003-03-05 Aiho Corp 食器分離装置および食器洗浄システム
JP2003063647A (ja) 2001-08-28 2003-03-05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商品収納排出装置
KR101296896B1 (ko) 2013-01-17 2013-08-14 주식회사 동이 자동판매기용 용기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435B1 (ko) * 2019-07-03 2020-03-10 김민규 자동 식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CN114104776A (zh) * 2021-12-01 2022-03-01 福德机器人(成都)有限责任公司 一种防抖转运结构、送餐机器人
CN114104776B (zh) * 2021-12-01 2024-04-26 福德机器人(成都)有限责任公司 一种防抖转运结构、送餐机器人
CN114435822A (zh) * 2021-12-15 2022-05-06 中之保金融科技(成都)有限公司 发盘机
CN114435822B (zh) * 2021-12-15 2023-12-05 中之保金融科技(成都)有限公司 发盘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5331B (zh) 一种新型自动分餐设备
KR101473450B1 (ko) 식기 자동 배출식 식수관리 시스템
WO2021072918A1 (zh) 多功能自动分餐机
CN110002158A (zh) 一种自动货柜及其发货方法
CN109452858A (zh) 烹饪系统、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210348644U (zh) 一种自动售货机
CN109685978A (zh) 一种自动上货系统及自动售货机
CN110606319A (zh) 一种自动存储货柜
DE202014004232U1 (de) Warenregal zur Selbstbedienungsentnahme von Backwaren
CN106275626A (zh) 纸碗、纸杯生产线
CN103150833A (zh) 一种自动分餐设备
CN204883934U (zh) 食堂电子结账系统
CN210155761U (zh) 具有提示组件的自动售货机
CN203276419U (zh) 一种新型自动分餐设备
CN107862798A (zh) 基于光电传感器的商品货架及智能柜
CN103530942A (zh) 一种售餐机
CN203644120U (zh) 一种售餐机
CN208314900U (zh) 一种综合自动售货机
CN206187800U (zh) 一种电子回转柜
CN113126663A (zh) 用于货物配置的方法、装置及送货装置
CN103530943A (zh) 一种售餐机
CN213241323U (zh) 一种自动售饭机
CN209574378U (zh) 烹饪系统
CN203673569U (zh) 一种售餐机
CN109300230B (zh) 一种商品售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