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174B1 -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174B1
KR101473174B1 KR1020130021573A KR20130021573A KR101473174B1 KR 101473174 B1 KR101473174 B1 KR 101473174B1 KR 1020130021573 A KR1020130021573 A KR 1020130021573A KR 20130021573 A KR20130021573 A KR 20130021573A KR 101473174 B1 KR101473174 B1 KR 10147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mask film
protective film
film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7053A (ko
Inventor
조형식
정병철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3002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1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03C17/324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시 물리적, 열적 손상을 줄이고, 더 얇고 가벼운 액정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은 유리 박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제1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박판의 하면에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박판에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와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여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ROTECTION FILM}
본 발명은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시 물리적, 열적 손상을 줄이고, 더 얇고 가벼운 액정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LCD 패널)을 오염물질이나 스크래치(scratch)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액정화면에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액정보호필름의 기재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유리(glass) 기판을 이용한 액정보호필름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유리 기판을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제조공정에서, 유리 기판을 절단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라이빙(scribing)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스크라이빙 방식은 유리 기판의 앞면에 다이아몬드 스크라이버(scriber)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홈(groove)을 만든 후, 유리 기판의 뒷면에 응력을 가하여 유리 기판을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광의 강도가 높아 고경도의 대상물 또는 취성재료의 절단에 유용한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방법에서는 피가공물인 유리 기판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피가공물을 절단한다. 즉, 피가공물인 유리 기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유리 표면의 온도를 올린 후, 연속적으로 냉각되는 유리 기판의 표면 온도차에 의하여 열 충격(thermal shock) 현상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유발된 크랙(crack)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라이빙 방식이나 레이저 방식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을 절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스크라이빙을 방식으로 유리 기판을 절단하는 경우, 유리 기판의 절단면의 상태가 균일하지 않거나 불량해지고, 물리적 손상을 얻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200㎛ 이하의 초박판 유리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공정 진행 중 유리 기판이 파손되거나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레이저 방식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을 절단하는 경우, 열 손상을 통해 발생된 미세 부스러기(chipping)를 기점으로 크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성이나 빛의 굴절률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200㎛ 이하의 초박판 유리의 경우에는 열 손상으로 인해 심한 경우 공정시 기판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레이저 방식에서는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 즉, 커팅 라인(cutting line)을 따라 가공하기 때문에 절단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낮고, 레이저원(laser source)이 고가여서 공정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생산율을 낮추고, 품질 유지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추후 공정 진행이 지연되게 하는 등을 야기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낮은 표면 경도 및 낮은 내구성에도 불구하고 PET 소재의 액정보호 필름이 사용되거나, 200㎛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두꺼운 유리 소재가 사용됨으로써 높은 표면 경도와 더욱 얇고 가벼운 것을 선호하는 시장 트랜드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200㎛ 이하의 초박판 유리를 이용하면서도, 물리적, 열적 손상을 줄이고, 더 얇고 가벼운 액정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조시 물리적, 열적 손상을 줄이고, 더 얇고 가벼운 액정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리 박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제1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 상기 유리 박판의 하면에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 그리고 상기 유리 박판에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와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여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는 상기 유리 박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비산방지층과, 상기 비산방지층 위에 마련되고, 실리콘(Si)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점착층과, 상기 제1점착층 위에 마련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보호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층은 상기 유리 박판의 상면에 마련되고, 광학투명점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nsive)로 이루어지는 제2점착층과, 상기 제2점착층 위에 마련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박판의 두께는 20~200㎛이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의 두께는 20~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층은 자외선(UV) 경화액(solution)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경화액(solution)의 코팅층의 두께는 5~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는 상기 유리 박판의 하면에 마련되고, 실리콘(Si)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제3점착층과, 상기 제3점착층 아래에 마련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보호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박판은 시트(sheet) 형태의 낱장으로 또는 롤(roll)로 권취되어 연속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 이후에, 식각된 유리 박판의 측면을 추가로 식각하여 평판화, 균일화하는 면취 공정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 이후에 초음파 세척 공정이 더 이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의 상측과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의 하측에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 간의 인력으로 식각 후 얻어진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이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 또는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와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의 위치 정합을 위한 정합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리 박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제1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박판의 하면에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박판에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와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여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액정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식각 공정을 통해 마스킹(masking) 처리가 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여, 물리적, 열적 손상이 없이 액정보호필름(10)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00㎛ 이하의 초박판 유리를 이용한 더 얇고 가벼운 액정보호필름의 제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킹 기능을 하는 제1마스크 필름부와 제2마스크 필름부에는 유리 박판을 이용한 액정보호필름에 필수 구성인 비산방지층과 보호필름이 적용되기 때문에, 마스킹을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 및 재료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이 액정화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제조 공정 중 유리 박판을 식각하는 공정을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제조 공정 중 식각 공정을 통해 얻어진 액정보호필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이 액정화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10)은 유리 박판(20), 제1마스크 필름부(30) 및 제2마스크 필름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 박판(20)은 20~200㎛의 두께를 가지는 초박판 유리일 수 있다.
그리고, 유리 박판(20)의 상부에는 제1마스크 필름부(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마스크 필름부(30)는 비산방지층(31), 제1점착층(32) 및 제1보호필름층(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비산방지층(31)은 유리 박판(20)의 위에 마련되며, 제2점착층(34)과 필름층(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점착층(34)은 유리 박판(20)의 상면에 마련되며, 광학투명점착제(optically clear adhensive; OCA)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름층(35)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ET 필름의 두께는 20~50㎛일 수 있다. 비산방지층(31)은 제2점착층(34)에 의해 유리 박판(20)에 점착될 수 있으며, 비산방지층(31)에 의해 유리 박판(20)의 비산 방지 효과뿐만 아니라, 유리 박판(20)의 유연성도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비산방지층(31)은 자외선(UV) 경화액(solution)의 코팅층으로 대체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액 코팅층의 두께는 5~3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마스크 필름부(30)에 있어서, 비산방지층(31)을 자외선 경화액 코팅층으로 구성한 경우, 자외선 경화액 코팅층 자체의 점착 특성을 이용하여 유리 박판(20)에 점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점착층(34)은 생략될 수 있다. 비산방지층(31)을 자외선 경화액 코팅층으로 할 경우, 제2점착층(34)이 생략되고, PET 필름보다 자외선 경화액 코팅층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얇고 유연한 제1마스크 필름부(30)의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제1점착층(32)은 비산방지층(31)의 위에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리콘(Si)계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보호필름층(33)은 제1점착층(32)의 위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점착층(32)은 제1보호필름층(33)에 의해 보호되다가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90)에 부착시에 제1보호필름층(33)이 제거된 후 액정 화면(90)에 부착되게 된다.
한편, 유리 박판(20)의 하면에는 제2마스크 필름부(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마스크 필름부(40)는 제3점착층(41)과 제2보호필름층(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점착층(41)은 유리 박판(2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리콘(Si)계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보호필름층(42)은 제3점착층(41)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보호필름층(42)과 제3점착층(41)은 유리 박판(20)에 부착되어 유리 박판(20)을 보호하게 되는 것으로, 나중에 사용자에 의해 떼어 내지는 부분이 된다.
즉, 액정 화면(90)에 부착을 위해 제1보호필름층(33)은 제1점착층(32)에서 떼어 지게 되며, 제1점착층(32)이 액정 화면(90)에 점착됨으로써 액정보호필름(10)은 액정 화면(9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점착층(32)에 대한 제1보호필름층(33)과 비산방지층(31)의 점착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1점착층(32)에서 제1보호필름층(33)만이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제2보호필름층(42)도 유리 박판(20)으로부터 떼어 내지며, 이때 제3점착층(41)은 제2보호필름층(42)과 함께 유리 박판(20)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액정 화면(9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유리 박판(20)이 액정보호필름(10)의 제일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한편, 비산방지층(31)이 자외선 경화액 코팅층으로 이루어지고, 제2점착층(34)이 생략된 경우에도, 비산방지층(31)에 대한 유리 박판(20)과 제1보호필름층(33)의 점착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호필름층(33)의 박리 시, 제1보호필름층(33)만이 제거되고, 비산방지층(31)은 유리 박판(20)에 점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는 유리 박판(20)의 제일 외측면은 지문방지 코팅이나 항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제조 공정 중 유리 박판을 식각하는 공정을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보호필름의 제조 공정 중 식각 공정을 통해 얻어진 액정보호필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액정보호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과 제조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은 유리 박판(20)의 상면에 복수개의 제1마스크 필름부(30)를 마련하는 공정(S110)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 박판(20)의 상면에는 제1마스크 필름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유리 박판(20)은 시트(sheet) 형태의 낱장으로 또는 롤(roll)로 권취되어 연속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유리 박판(20)은 20~200㎛의 두께를 가지는 초박판 유리일 수 있다.
제1마스크 필름부(30)를 구성하는 비산방지층(31, 도 1 참조), 제1점착층(32, 도 1 참조) 및 제1보호필름층(33, 도 1 참조)은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마스크 필름부(30)는 유리 박판(2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제1마스크 필름부(30) 간의 간격은 공정에 맞게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유리 박판(20)의 하면에는 제1마스크 필름부(30)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마스크 필름부(40)가 마련되는 공정(S120)이 진행될 수 있다. 제2마스크 필름부(40)를 구성하는 제3점착층(41, 도 1 참조)과 제2보호필름층(42, 도 1 참조)은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마스크 필름부(30)의 마스킹(masking) 기능은 주로 비산방지층(31)과 제1보호필름층(3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마스크 필름부(40)의 마스킹 기능은 주로 제2보호필름층(4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판 유리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에서 필수적인 구성인 비산방지층(31)과 제2보호필름층(42)을 마스킹 필름으로 사용함으로써 마스킹을 위한 별도의 재료나 별도의 추가 공정이 불필요하여 공정이 간소화 될 수 있다.
한편, 제1마스크 필름부(30)를 마련하는 공정(S110) 또는 제2마스크 필름부(40)를 마련하는 공정(S120)에서, 제1마스크 필름부(30)와 제2마스크 필름부(4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올바르게 마련되도록, 즉, 제1마스크 필름부(30)와 제2마스크 필름부(40)의 위치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정합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정합 공정은 정합용 지그(jig)를 사용하거나, 정합을 위한 얼라인(align) 마크(미도시)를 두고, 비전(vision)(미도시)으로 얼라인 마크를 식별하여 제1마스크 필름부(30)와 제2마스크 필름부(40)가 정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얼라인 마크는 제1보호필름층(33)이나 유리 박판(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유리 박판(20)에서 제1마스크 필름부(30)와 제2마스크 필름부(40)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etching)하여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10)을 얻는 공정(S13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마스크 필름부(30)와 제2마스크 필름부(40)가 마련된 상태의 유리 박판(20)에 식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박판(20)은 식각액(200)이 수용된 식각액조(210)로 공급될 수 있다. 식각액조(210)는 유리 박판(20)이 시트로 공급되는 경우, 또는 유리 박판(20)이 롤 형태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식각액(200)은 제1마스크 필름부(30) 및 제2마스크 필름부(40)와, 유리 박판(20)에 대한 선택비가 큰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식각액(200)은 유리 박판(20)을 중점적으로 식각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 박판(20)이 식각액(200)에 담긴 초기에는 유리 박판(20)의 형상이 그대로 있다가,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 박판(20)이 식각액(200)에 담기고 나서 시간이 지난 후에는 제1마스크 필름부(30) 및 제2마스크 필름부(40)가 마련되지 않은 유리 기판 부분은 식각될 수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마스크 필름부(30) 및 제2마스크 필름부(40)가 마련된 부분만이 셀 단위로 남게 되며, 이것이 액정보호필름(10)이 되게 된다.
한편,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S130)에 있어서, 제1마스크 필름부의 상측과 제2마스크 필름부의 하측에 자성체를 구비하고, 자성체 간의 인력으로 식각 후 얻어진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이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즉, 도 5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각액(200)에 담겨진 유리 박판(20)의 상측과 하측, 더욱 자세하게는, 제1마스크 필름부(30)의 상측과 제2마스크 필름부(40)의 하측에는 한 쌍의 자성체(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자성체(50)는, 자성체간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서로 다른 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스크 필름부(30) 및 제2마스크 필름부(40)에 대응되도록 개별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 별로 각각 하나씩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자성체(50)는 제1마스크 필름부(30) 및 제2마스크 필름부(40)에 각각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각 공정으로 만들어진 각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10)이 자성체(50) 간의 인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이는, 식각 공정 후 만들어진 각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10)이 움직이면서 서로 부딪히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식각 공정을 통해 마스킹(masking) 처리가 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기 때문에, 물리적, 열적 손상이 없이 액정보호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200㎛ 이하의 초박판 유리를 이용한 더 얇고 가벼운 액정보호필름의 제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 박판(20)을 식각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장비는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디핑(dipping) 방식을 이용한 식각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샤워(shower) 방식 등을 이용한 식각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S130) 이후에, 식각된 유리 박판의 측면을 추가로 식각하여 평판화, 균일화하는 면취 공정(S140)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각을 통해 만들어진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10)의 유리 박판(20)의 측면(21)은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 박판(20)의 측면(21)을 평판하게 하기 위한 면취 공정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면취 공정에 사용될 방법은 어느 하나의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보호필름을 얻은 공정(S130) 이후에 초음파 세척 공정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초음파 세척 공정은, 식각 공정, 즉,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을 얻기 위한 식각 공정(S130)뿐만 아니라, 면취 공정(S140) 후에도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초음파 세척 공정을 통해, 식각 또는 면취시에 발생된 유리 가루 등의 이물질은 세척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액정보호필름
20: 유리 박판
30: 제1마스크 필름부
40: 제2마스크 필름부
50: 자성체
200: 식각액

Claims (13)

  1. 유리 박판의 상면에 복수개의 제1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
    상기 유리 박판의 하면에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 그리고
    상기 유리 박판에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와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여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는
    상기 유리 박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비산방지층과,
    상기 비산방지층 위에 마련되고, 실리콘(Si)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점착층과,
    상기 제1점착층 위에 마련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보호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층은
    상기 유리 박판의 상면에 마련되고, 광학투명점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nsive)로 이루어지는 제2점착층과,
    상기 제2점착층 위에 마련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으로 구성되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박판의 두께는 20~200㎛이고, 상기 필름층을 이루는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의 두께는 20~50㎛인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층은 자외선(UV) 경화액(solution)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경화액(solution)의 코팅층의 두께는 5~30㎛인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는
    상기 유리 박판의 하면에 마련되고, 실리콘(Si)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제3점착층과,
    상기 제3점착층 아래에 마련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보호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박판은 시트(sheet) 형태의 낱장으로 또는 롤(roll)로 권취되어 연속으로 공급 되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 이후에, 식각된 유리 박판의 측면을 추가로 식각하여 평판화, 균일화하는 면취 공정이 더 이루어지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 이후에 초음파 세척 공정이 더 이루어지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보호필름을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의 상측과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의 하측에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 간의 인력으로 식각 후 얻어진 셀 단위의 액정보호필름이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 또는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를 마련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1마스크 필름부와 상기 제2마스크 필름부의 위치 정합을 위한 정합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인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13. 삭제
KR1020130021573A 2013-02-27 2013-02-27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KR101473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573A KR101473174B1 (ko) 2013-02-27 2013-02-27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573A KR101473174B1 (ko) 2013-02-27 2013-02-27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53A KR20140107053A (ko) 2014-09-04
KR101473174B1 true KR101473174B1 (ko) 2014-12-16

Family

ID=5175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573A KR101473174B1 (ko) 2013-02-27 2013-02-27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521B1 (ko) * 2019-09-26 2021-09-24 리얼룩앤컴퍼니 주식회사 초음파 지문인식이 가능한 액정보호필름
CN115343869A (zh) * 2022-08-22 2022-11-15 湖北优尼科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液晶面板减薄系统及液晶面板的减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42B1 (ko) * 2011-02-16 2011-10-04 이학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KR200456840Y1 (ko) 2011-04-07 2011-11-21 임남일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KR101217768B1 (ko) 2011-10-20 2013-01-02 주식회사 세종미래기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42B1 (ko) * 2011-02-16 2011-10-04 이학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KR200456840Y1 (ko) 2011-04-07 2011-11-21 임남일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KR101217768B1 (ko) 2011-10-20 2013-01-02 주식회사 세종미래기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53A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5926B1 (en) Cover glass for electronic devices
JP5716678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KR101570658B1 (ko)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TWI457617B (zh) A laminated body to which a polarizing element is attached, a panel for a display device with a support, a panel for a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KR10121776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KR102267241B1 (ko) 유리 필름 적층체 및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JP5109228B2 (ja) 薄板ガラス積層体及び薄板ガラス積層体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5506888A (ja) 光電子フロントプレーン基板
US11389919B2 (en) Methods for strengthening edges of laminated glass articles and laminated glass 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2389697B1 (ko)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강화 유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3174B1 (ko)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TWI464838B (zh) 觸控面板的製造方法
KR102258106B1 (ko) 강화 유리의 절단 및 면취 방법
JP2015196620A (ja) カバーガラス及び表示装置
JP2009300735A (ja) 表示素子の製造方法
TW202102451A (zh) 玻璃基板切割方法以及導光板製造方法
TWI699281B (zh) 光學積層體之製造方法
KR20190059229A (ko)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탈부착 디스플레이 장치
TWI698657B (zh) 光學積層體之製造方法
TW201945177A (zh) 玻璃薄膜-樹脂複合體
JP2020049656A (ja) フレキシブルモールド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モールド用の基材、及び光学部品の製造方法
KR101415605B1 (ko)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JP7060845B2 (ja) フレキシブルモールド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モールド用の基材、及び光学部品の製造方法
JP2010107811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TW201622999A (zh) 具防霧膜層之基材的製作方法及其組成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