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118B1 -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그것을 첨가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 개질 아스팔트 및 그것을 첨가한 아스팔트 포장재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그것을 첨가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 개질 아스팔트 및 그것을 첨가한 아스팔트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118B1
KR101473118B1 KR1020137001165A KR20137001165A KR101473118B1 KR 101473118 B1 KR101473118 B1 KR 101473118B1 KR 1020137001165 A KR1020137001165 A KR 1020137001165A KR 20137001165 A KR20137001165 A KR 20137001165A KR 101473118 B1 KR101473118 B1 KR 10147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amorphous resin
waste
weight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715A (ko
Inventor
유키오 구사노
Original Assignee
유키오 구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오 구사노 filed Critical 유키오 구사노
Publication of KR2013006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9/00Composition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of derivative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89/00 - C08L9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20Mixtures of bitumen and aggregate defined by their production temperatures, e.g. production of asphalt for road or pavement applications
    • C08L2555/22Asphalt produced above 140°C, e.g. hot melt asphal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30Environmental or health characteristics, e.g. energy consumption, recycling or safety issues
    • C08L2555/32Environmental burden or human safety, e.g. CO2 footprint, fuming or lea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30Environmental or health characteristics, e.g. energy consumption, recycling or safety issues
    • C08L2555/34Recycled or waste materials, e.g. reclaimed bitumen, asphalt, roads or pathways, recycled roof coverings or shingles, recycled aggregate, recycled tires, crumb rubber, glass or cullet, fly or fuel ash, 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 C08L2555/60Organic non-macromolecular ingredients, e.g. oil, fat, wax or natural dye
    • C08L2555/62Organic non-macromolecular ingredients, e.g. oil, fat, wax or natural dye from natural renewable resources
    • C08L2555/64Oils, fats or waxes based upon fatty acid esters, e.g. fish oil, olive oil, lard, cocoa butter, bees wax or carnauba wa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 C08L2555/60Organic non-macromolecular ingredients, e.g. oil, fat, wax or natural dye
    • C08L2555/70Organic non-macromolecular ingredients, e.g. oil, fat, wax or natural dye from natural non-renewable resources
    • C08L2555/74Petrochemicals other than waxes, e.g. synthetic oils, diesel or other fuels, hydrocarbons, halogenated or otherwise functionaliz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 C08L2555/80Macromolecular constituents

Abstract

본 발명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폐동식물 유지와, 6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0㎟/s∼40㎟/s인 폐광물유의 혼합물에 대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첨가, 혼합한 후, 이것을 가열하고, 방향족분을 제거해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열화 아스팔트 성분의 물성을 종래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와 동등 이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고, 또한 환경이나 인체에의 영향이 우려되는 성분의 함유량이 적고, 상온에서 유동성이 높고, 극히 저가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그것을 첨가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 개질 아스팔트 및 그것을 첨가한 아스팔트 포장재{ADDITIVE FOR RECLAMATION OF ASPHALT, PAVING MATERIAL BASED ON RECLAIMED ASPHALT THAT CONTAINS SAME, MODIFIED ASPHALT, AND ASPHALTIC PAVING MATERIAL THAT CONTAINS SAME}
본 발명은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그것을 첨가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 개질 아스팔트 및 그것을 첨가한 아스팔트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합재의 총 생산량은 평성 원년(1989년)을 피크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이것은 일본국내의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은 이미 119만 km에나 도달해 있어, 새로운 도로의 건설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재생률은 평성 원년에 7.6%이었던 것이 급격하게 상승을 계속하여, 평성20년(2008년)에는 73.1%에나 도달해 있으며, 향후에도 이 경향은 점점 강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재생에 있어서는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이용해서 경년 열화된 아스팔트 성분의 물성을 회복시키는 2개의 공법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하나는 노상 재생 공법(리믹스 방식 및 리페이브 방식)이지만, 일본국내에서는 거의 채용되고 있지 않다. 다른 하나는 플랜트 재생 포장 공법(플랜트 믹스 방식)으로, 일본국내에서 주류로 되어 있다. 플랜트 재생 포장 공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로서, 수 종류의 제품(석유 정제시의 반정제유 등이 주된 원료)이 시판되고 있지만, 제품 가격이 높은데다가, 상온에 있어서 점도가 높기(그리스형상) 때문에 상시 70℃∼80℃ 정도로 가열할 필요가 있어 취급이 불편하고 또한 열원 비용이 소요되며, 또, 방향족분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환경이나 인체로의 영향이 우려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60℃에 있어서의 동점도(kinematic viscosity)가 100∼1000㎟/s인 광유와 유지를 배합해서 얻어지고, 6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0∼300 ㎟/s이고 또한 인화점이 220℃ 이상인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특허문헌 1 참조)나, 4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300∼900㎟/s이고 또한 다환 방향족분이 3중량% 미만인 광유와 유지를 배합해서 얻어지고, 4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40∼400㎟/s이고, 다환 방향족분이 3중량% 미만이고 또한 인화점이 220℃ 이상인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특허문헌 2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 및 2에서 사용하는 고점도의 광유는 일반적으로 고도로 정제된 것이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가격도 비싸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을 첨가하고, 아스팔트의 성상을 향상시킨 개질 아스팔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아스팔트와, 폐폴리스티렌 등의 폐플라스틱과, 엔진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폐유로 이루어지는 개질 아스팔트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개질 아스팔트에 있어서의 폐플라스틱 함유량의 상한은 40중량%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40중량%를 넘는 폐플라스틱을 첨가한 경우에는 혼합하자마자 경화가 시작되어 버려, 개질 아스팔트로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특허문헌 3의 비교예 참조). 그런데, 당업계에서는 아스팔트의 성상의 가일층의 향상을 기대하여,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배합량을 더욱 많게 한 개질 아스팔트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154465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154464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143954호
비특허문헌 1: 「아스팔트합재 통계 연보 평성20년도판」, 사단법인 일본 아스팔트합재 협회편 비특허문헌 2: 「포장 재생 편람」, 사단법인 일본 도로 협회편, 평성16년 2월, p.12, p.2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와 동등하게 열화 아스팔트 성분의 물성을 회복시키고, 또한 환경이나 인체에의 영향이 우려되는 성분의 함유량이 적고, 상온에서 유동성이 높으며, 극히 저가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지 성분을 다량으로 배합할 수 있고, 아스팔트의 성상이 향상된 개질 아스팔트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폐동식물 유지와, 6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0∼40㎟/s인 폐광물유의 혼합물에 대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첨가, 혼합한 후, 이것을 가열하고, 방향족분을 제거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신규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에 첨가해서 얻어지는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개질 아스팔트는 용융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대해, 비정질 수지(비정질 수지라면 제한없이 사용하여도 좋다)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용제로 비정질 수지를 용해시키고 포화 상태로 한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를 알코올류에 침지해서 해당 유기용제를 제거한 후, 건조시켜 얻어지는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를, 폐동식물 유지와 함께 첨가, 혼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개질 아스팔트는 용융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대해, 비정질 수지(비정질 수지라면 제한없이 사용하여도 좋다)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용제로 비정질 수지를 용해시키고 포화 상태로 한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를 가열 용융한 것을, 폐동식물 유지와 함께 첨가, 혼합해서 얻어지고, 아스팔트 중의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의 함유량이 70중량%∼90중량%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질 아스팔트를, 신규 골재,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신규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에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와 동등하게 열화 아스팔트 성분의 물성을 회복시키고, 또한 환경이나 인체에의 영향이 우려되는 성분의 함유량이 적고, 상온에서 유동성이 높으며, 극히 저가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성분을 다량으로 배합할 수 있고, 아스팔트의 성상이 향상된 개질 아스팔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의 휠 트랙킹 시험 후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8에서 얻어진 아스팔트 포장재의 휠 트랙킹 시험 후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9에서 얻어진 아스팔트 포장재의 휠 트랙킹 시험 후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의 파단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에 대해 설명한다.
지금까지, 당업계에는 열화에 의해 소실된 아스팔트 중의 방향족분을 보충하는 것이, 아스팔트의 물성을 회복시키는데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종래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방향족분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지금까지의 경험상, 방향족분은 가열 혼합시에 거의 증발되어 버려, 아스팔트의 물성의 회복에 기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아스팔트의 연화와 분산을 제어하고, 아스팔트의 물성을 어떻게 회복시킬지에 대해 예의 연구, 개발을 수행한 결과, 폐동식물 유지와 폐광물유의 혼합물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용해시킨 후, 방향족분을 제거한 것이 유용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폐동식물 유지와 6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0㎟/s∼40㎟/s인 폐광물유의 혼합물에 대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첨가, 혼합한 후, 이것을 가열하고, 방향족분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가열 온도는 폐광물유 및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 주로 포함되는 방향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온도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30℃∼250℃이다.
폐동식물 유지와 6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0㎟/s∼40㎟/s인 폐광물유의 혼합 비율은 폐광물유에 의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연화성과 폐동식물 유지에 의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분산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중량 기준으로 1:9∼99.1:0.1인 것이 바람직하고, 1:9∼9: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5∼9: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조시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폐동식물 유지의 혼합 비율을 많게 하여 인화점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침입도(針入度)에도 의존하지만,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가 60℃에 있어서 80㎟/s∼200㎟/s의 동점도로 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에 대해 3중량%∼30중량%이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서는 20∼80의 침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20∼40의 침입도를 갖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적은 첨가량으로 원하는 동점도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폐동식물 유지는 일반 가정, 음식점 등으로부터 폐기되는 폐식물 유지나 폐동물 유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폐동식물 유지는 통상, 60℃에서 60㎟/s∼150㎟/s의 동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폐광물유로서는 60℃에서 10㎟/s∼40㎟/s의 동점도를 갖는 것이면 좋고, 주유소 등으로부터 폐기되는 폐윤활유, 폐엔진 오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폐동식물 유지 및 폐광물유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스트레이너 등의 여과 장치에서 미리 처리한 폐동식물 유지 및 폐광물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점도는 JIS K2283에 준해 구한 값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열화 아스팔트 성분의 물성을 회복시키는 능력이 우수하고, 환경이나 인체에의 영향이 우려되는 방향족분의 함유량이 적으며, 상온에 있어서의 유동성이 높으므로 가열하는 일 없이 플랜트 믹스 방식의 첨가제로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또, 폐기물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극히 저가라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종래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보다 적은 첨가량으로, 열화 아스팔트 성분의 물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는 상술한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신규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것을 150℃∼180℃의 온도 조건하에서 용융 혼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와 후술하는 개질 아스팔트를 병용해도 좋다. 개질 아스팔트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150℃∼170℃의 온도 조건하에서 용융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아스팔트 포장 폐재로서는 각종 공사(예를 들면, 도로 포장 공사, 지하 배관 공사 등)시에 발생하는 아스팔트 포장 폐재를 분쇄한 것(재생 골재)을 들 수 있다. 통상, 아스팔트 포장 폐재 중에 포함되는 열화 아스팔트량은 2중량%∼6중량%이다. 재생 용이를 고려하면,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침입도가 2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입도는 JIS K2207(1996년)에 준해, 25℃에서 구한 값이다.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신규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에 대한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의 첨가량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물성(침입도, 안정도 등)을 원하는 값까지 회복시키는데 필요한 양이며,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신규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 중에 포함되는 열화 아스팔트에 대해 1중량%∼6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신규 골재로서는 5호, 6호, 7호 등의 단입도 쇄석, 조사(거친 모래), 세사(가느다란 모래), 스크리닝스 등의 천연 골재, 인공 골재 등의 종래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는 가열 용융(통상, 80℃∼100℃ 정도로 가열)시킨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대해,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 또는 가열 용융한 겔형상 혹은 떡형상 비정질 수지를 폐동식물 유지와 함께 첨가, 혼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개질 아스팔트에서는 수지 성분을 40중량%까지 밖에 배합할 수 없는데 반해,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에서는 수지 성분인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 또는 겔형상 혹은 떡형상 비정질 수지를 90중량%까지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폐동식물 유지와, 다량의 비정질 수지(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등)를 고온에서 장시간 교반 혼합해도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지 않는 것을 실험적으로 경험하였다. 본 발명자는 균일 혼합을 실행할 수 없는 이유는 비정질 수지의 응집 에너지가 크기 때문이 아닐까라고 생각하고, 응집 에너지를 저하시킨 상태의 비정질 수지를 배합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이면, 개질 아스팔트 중에 70중량%∼90중량% 배합할 수 있고, 또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이면, 개질 아스팔트 중에 1중량%∼90중량% 배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는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ABS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비정질 수지(비정질 수지라면 제한없이 사용하여도 좋다)를 용해할 수 있는 적당한 유기용제(예를 들면, 시너, 톨루엔, 벤젠,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사논, 2-부타논, 백등유 또는 이들 혼합물)에 대해, 비정질 수지를 100중량%∼250중량%의 범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포화 상태로 한 것이다. 특히, 폴리스티렌의 용해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백등유의 용량비가 0.5∼4:9.5∼6인 혼합 유기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염화비닐의 용해에는 시클로헥사논과 백등유의 용량비가 0.5∼4:9.5∼6인 혼합 유기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BS 수지의 용해에는 2-부타논과 백등유의 용량비가 0.5∼4:9.5∼6인 혼합 유기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는 분자 어긋남을 일으켜 응집 에너지가 저하된 상태이므로, 폐동식물 유지를 분산제로 했을 때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균일하게 혼합된다. 단,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의 배합량이 70중량% 미만이면, 비교적 단시간에 경화가 시작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의 배합량이 90중량% 초과이면, 비정질 수지의 성상이 너무 강해지고, 고화되기 쉬우며, 현저하게 작업성이 나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는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를 알코올류(예를 들면, 메틸알코올, 옥타놀 또는 이들 혼합물)에 침지하여,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 중에 남아 있는 유기용제를 제거하고, 건조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는 폐동식물 유지를 분산제로 했을 때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1중량%∼90중량%라는 광범위의 배합 비율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는 혼합시에 미리 가열 용융해 둘 필요는 없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서는 20∼80의 침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는 수지 성분의 배합량을 많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정도 등의 역학적 성상이 우수한 아스팔트 포장재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 또는 겔형상 혹은 떡형상 비정질 수지의 배합량을 70중량%∼90중량%로 한 개질 아스팔트는 혼합기 등의 제조 설비나 덤프 트럭 등의 운반기로의 끈적거림이 거의 없다고 하는 이점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를 첨가한 아스팔트 포장재는 보온성이 높으므로, 종래의 아스팔트 포장재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아스팔트합재 공장에서 시공 현장까지의 사이에 식어 버려 시공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는 잘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재는 상술한 개질 아스팔트를, 신규 골재,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신규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것을 155℃∼170℃의 온도 조건하에서 용융 혼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신규 골재에 대한 개질 아스팔트의 첨가량은 얻어지는 아스팔트 포장재 중의 개질 아스팔트량이 2중량%∼8중량%로 되는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또,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신규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에 대한 개질 아스팔트의 첨가량은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신규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 중에 포함되는 열화 아스팔트에 대해 1중량%∼45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재에는 필요에 따라,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더 배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재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용융 혼합 온도 및 다짐 온도를 약 20℃ 저하시킬 수 있고, 또,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브론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용융 혼합 온도 및 다짐 온도를 약 30℃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아스팔트 포장재의 제조시에 요하는 에너지 소비량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규 골재 및 아스팔트 포장 폐재는 상술한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에서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재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실리카, 탈크,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각종 광물, 유리 폐재 등의 충전재를 더 배합해도 좋다. 충전재의 바람직한 배합 비율은 아스팔트 포장재 전체에 대해, 35중량%∼55중량%이다.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에는 비정질 수지가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골재, 유리 폐재 등의 충전재와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있고, 골재, 유리 폐재 등의 포장 표면으로의 돌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120℃∼210℃로 가열하고, 여기에 상술한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를 첨가, 혼합한 것을 소정 형상의 틀에 유입하고, 냉각 고화시킴으로써,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가 비정질 수지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고형형상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로 해도 좋다.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의 바람직한 첨가량은 고형형상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에 대해 40중량%∼90중량%로 되는 양이다.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의 첨가량이 40중량% 미만이면, 고형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또, 90중량%를 넘으면, 열화 아스팔트 성분의 물성을 충분히 회복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침입도는 JIS K2207(1996년)에 준하며, 25℃에서 구한 값이다.
[실시예 1A]
폐동식물 유지(폐기물 처리업자로부터 입수, 60℃에 있어서의 동점도:60㎟/s)와 폐광물유(주유소에서 입수, 60℃에 있어서의 동점도:30㎟/s)를 중량 기준으로 1:1의 비율로 되도록 혼합하였다. 또한, 폐동식물 유지 및 폐광물유는 250메시의 철망 스트레이너 및 440메쉬의 철망 스트레이너에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혼합물 90.9중량부에 대해, 9.1중량부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침입도 20∼40)를 첨가한 후, 액 전체를 교반하면서 230℃까지 가열하고, 230℃에서 10분간 유지한 후, 방랭하고, 실시예 1A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얻었다. 얻어진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의 각종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또, 시판 중인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쇼와 쉘 세키유 주식회사(SHOWA SHELL SEKIYU K.K.)제 후레시졸(FRESHSOL) 200 및 다케나카 산교 주식회사(Takenaka Sangyo Co., Ltd.)제 T-리바이브(T-REVIVE))의 각종 물성도 표 1에 나타낸다.
품질*1 실시예1A 후레시졸 200 T-리바이브
40℃에 있어서의 동점도(㎟/s) 175 150.5
60℃에 있어서의 동점도(㎟/s) 80∼1000 80.8 526 53.39
인화점(℃) 230이상 240 327 252
15℃에 있어서의 밀도(g/㎤) 0.894 0.978 0.911
유동점(℃) 2이하 -27.5 -17.5
박막 가열후의 60℃에 있어서의 점도비 1.05 1.1 1.08
박막 가열후의 질량 변화율(%) ±3이내 -1.17 -0.07 -0.82
방향족분*2(질량%) 3.4 83.5 15.6
*1: 포장 재생 편람(평성16년(2004년) 2월)에 의함
*2: 방향족분은 이아트로스캔(IATROSCAN)을 이용한 TLC-FID법에 의해 측정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A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플랜트 재생 포장 기술 지침에 의한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로서의 품질을 전부 만족시키고 있고, 특히, 유동점이 매우 낮으므로 수송시나 보관시에 가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실시예 1A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시판품보다 방향족분이 극히 적으므로, 환경이나 인체에 무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A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90중량% 이상이 폐기물이므로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열화 아스팔트(아스팔트 포장 폐재로부터 추출한 아스팔트, 침입도 27) 100중량부를 약 180℃로 가열하고, 이것에 실시예 1A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5.6중량부를 첨가하고, 약 165℃에서 혼합한 후, 147℃∼152℃에서 다져 재생 아스팔트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재생 아스팔트 시험편의 각종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품질*1 실시예1A
침입도(1/10㎜) 60초과 80이하 73
연화점(℃) 44.0∼52.0 45
15℃에 있어서의 신도(ductility)(㎝) 100이상 113
톨루엔 가용분(%) 99.0이상 99.9
인화점(℃) 260이상 317
박막 가열후의 질량 변화율(%) 0.6이하 -0.2
박막 가열후의 침입도 잔류율(%) 55이상 78.1
증발후의 침입도비 110이하 94.4
15℃에 있어서의 밀도(g/㎤) 1.000이상 1.034
120℃에 있어서의 동점도(㎟/s) 1130.4
150℃에 있어서의 동점도(㎟/s) 285.1
180℃에 있어서의 동점도(㎟/s) 92.5
*1: 포장 재생 편람(평성16년(2004년) 2월)에 의함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A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이용하여 재생한 아스팔트는 재생 아스팔트로서의 품질을 전부 만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1A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열화 아스팔트 성분의 물성을 충분히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A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이용하여 재생한 아스팔트는 15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85㎟/s로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종래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이용한 경우, 150℃에서 350㎟/s 이상의 동점도), 종래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균일한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고 고려된다. 또, 종래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이용하여 재생 아스팔트의 150℃에 있어서의 동점도를 실시예 1A와 동일 정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약 2배∼약 3배의 양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재생 아스팔트가 높은 동점도는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의 강도 저하로 이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실시예 1B]
폐동식물 유지(폐기물 처리업자로부터 입수, 60℃에 있어서의 동점도:60㎟/s)와 폐광물유(주유소에서 입수, 60℃에 있어서의 동점도:30㎟/s)를 중량 기준으로 9:1의 비율로 되도록 혼합하였다. 또한, 폐동식물 유지 및 폐광물유는 250메시의 철망 스트레이너 및 440메시의 철망 스트레이너에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혼합물 90.9중량부에 대해, 9.1중량부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침입도 20∼40)를 첨가한 후, 액 전체를 교반하면서 230℃까지 가열하고, 230℃에서 10분간 유지한 후, 방랭하고, 실시예 1B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얻었다. 얻어진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의 15℃에 있어서의 밀도는 0.931g/㎤이고, 인화점은 318℃였다.
아스팔트 포장 폐재(침입도 24) 중에 포함되는 열화 아스팔트에 대해, 10중량%의 상기에서 얻어진 실시예 1B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첨가하고, 약 180℃에서 용융 혼합하고,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침입도 약 70)를 얻었다.
얻어진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를 165℃에서 다져 공시체를 제작하고, 휠 트랙킹 시험(상재 하중 70kg, 60℃ 접지압 6.4kgf/㎠, 시험 온도 60℃, 주행 회수 2520회, 주행 방법 체인식)을 실행한 결과, 동적 안정도(DS)는 5053회/㎜(3회의 평균값)이고, 압밀 변형량은 약 1.48㎜(3회의 평균값)이었다.
[비교예 1]
아스팔트 포장 폐재(침입도 24) 중에 포함되는 열화 아스팔트에 대해, 18중량%의 시판 중인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쇼와 쉘 세키유 주식회사제 후레시졸 200)를 첨가하고, 약 180℃에서 용융 혼합하여,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침입도 약 70)를 얻었다.
얻어진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를 165℃에서 다져 공시체를 제작하고, 휠 트랙킹 시험(상재 하중 70kg, 60℃ 접지압 6.4kgf/㎠, 시험 온도 60℃, 주행 회수 2520회, 주행 방법 체인식)을 실행한 결과, 동적 안정도(DS)는 3088회/㎜(3회의 평균값)이고, 압밀 변형량은 약 1.71㎜(3회의 평균값)이었다.
실시예 1B 및 비교예 1의 휠 트랙킹 시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B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이용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는 시판 중인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이용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보다 훨씬 높은 강도와 내열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2]
아스팔트 포장 폐재(침입도 27) 60중량% 및 신규 골재 40중량%의 혼합물을 약 170℃로 가열하고, 혼합물에 포함되는 열화 아스팔트에 대해 5.6중량%의 실시예 1A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와, 소정량(전체 아스팔트량이 5.0중량%, 5.5중량%, 6.0중량%, 6.5중량% 또는 7.0중량%로 되는 양)의 신규 아스팔트(침입도 60∼80)를 첨가하고, 약 170℃에서 혼합하여,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를 얻었다.
얻어진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의 밀도, 안정도, 흐름값, 공극률 및 포화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밀도, 안정도, 흐름값, 공극률 및 포화도는 마셜(Marshall) 시험법에 의해 구한 값이다.

전체 아스팔트량
(중량%)
밀도
(g/㎤)
안정도
(kN)
흐름값
(1/100㎝)
공극률
(%)
포화도
(%)
실시예2 5.0 2.323 13.55 30 5.3 67.9
5.5 2.327 12.69 29 4.4 73.6
6.0 2.352 12.59 35 2.7 83.7
6.5 2.357 13.45 38 1.8 89.3
7.0 2.354 12.39 41 0.9 94.5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는 아스팔트 포장 폐재와 신규 골재의 혼합물 중에 포함되는 열화 아스팔트에 대해 5.6중량%로 첨가량이 적어도, 안정도 및 흐름값이 양호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종래의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이용하여 동일 정도의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를 얻고자 한 경우, 10중량%∼14중량% 첨가할 필요가 있었다.
[실시예 3]
에틸아세테이트와 백등유의 용량비가 2:8인 혼합 유기용제 1중량부에 대해, 발포 폴리스티렌 1.5중량부를 서서히 첨가하여 발포 폴리스티렌을 용해시키고, 혼합해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메틸알코올과 옥타놀의 용량비가 8:2인 혼합 알코올에 약 3시간 침지한 후, 그것을 꺼내 실온에서 건조시켜,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얻었다.
약 100℃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침입도 60∼80) 240중량부에 대해,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 60중량부 및 폐동식물 유지(폐기물 처리업자로부터 입수, 60℃에 있어서의 동점도:60㎟/s) 1.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해서 실시예 3의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4]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180중량부,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12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에는 폴리스티렌의 고화물이 소량 포함되어 있었지만, 대략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5]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120중량부,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18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에는 폴리스티렌의 고화물이 소량 포함되어 있었지만, 대략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6]
폐동식물 유지를 9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7]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180중량부,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120중량부, 폐동식물 유지를 9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8]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120중량부,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180중량부, 폐동식물 유지를 9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에는 폴리스티렌의 고화물이 소량 포함되어 있었지만, 대략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9]
폐동식물 유지를 27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10]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180중량부,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120중량부, 폐동식물 유지를 27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1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120중량부,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180중량부, 폐동식물 유지를 27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비교예 2]
폐동식물 유지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행한 결과, 첨가한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이 고화해 버려,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3]
폐동식물 유지 1.5중량부 대신에 라이온 주식회사(Lion Corporation)제 레디코트(REDICOTE) E-11(아스팔트 유화제) 1.5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행한 결과, 첨가한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이 고화되어 버려,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4]
폐동식물 유지 1.5중량부 대신에 라이온 주식회사제 듀오민(DUOMEEN) T(아스팔트 유화제) 1.5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행한 결과, 첨가한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이 고화되어 버려,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5]
폐동식물 유지 1.5중량부 대신에 니폰 뉴카자이 주식회사(Nippon Nyukazai Co., Ltd.)제 뉴콜(Newcol) 1203(비이온 계면 활성제) 1.5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에는 폴리스티렌의 고화물이 소량 포함되어 있었지만, 대략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비교예 3 및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판 중인 아스팔트 유화제를 이용해도,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분산시킬 수는 없었다. 또한, 실시예 3∼11, 비교예 2 및 비교예 5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동식물 유지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니폰 뉴카자이 주식회사제 뉴콜 1203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 크세로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분산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폐동식물 유지보다 고가이며 실용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또, 비정질 수지의 종류를 ABS 수지 및 폴리염화비닐로 변경해도 폴리스티렌과 마찬가지의 경향이 보였다.
[실시예 12]
에틸아세테이트와 백등유의 용량비가 2:8인 혼합 유기용제 1중량부에 대해, 발포 폴리스티렌 1.5중량부를 서서히 첨가하여 발포 폴리스티렌을 용해시키고, 혼합하여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얻었다.
약 100℃로 가열해서 용융시킨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침입도 60∼80) 250중량부에 대해, 겔형상 폴리스티렌 750중량부 및 폐동식물 유지(폐기물 처리업자로부터 입수, 60℃에 있어서의 동점도:60㎟/s) 30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해서 실시예 12의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1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200중량부,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80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14]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100중량부,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90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개질 아스팔트를 얻었다.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는 균일한 혼합물이었다.
[비교예 6]
폐동식물 유지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행한 결과, 첨가한 겔형상 폴리스티렌이 고화되어 버려,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7]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500중량부,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50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행한 결과, 첨가한 겔형상 폴리스티렌이 고화되어 버려,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12∼14 및 비교예 6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70중량% 이상 첨가하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2∼14의 개질 아스팔트는 혼합기에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끈적거림이 없었던 것에 반해, 비교예 6에서는 혼합기에의 다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부착이 보였다. 한편, 비교예 7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겔형상 폴리스티렌의 첨가량이 70중량% 미만이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 겔형상 폴리스티렌을 분산시킬 수는 없었다. 이것은 겔형상 폴리스티렌 중에 포함되는 혼합 유기용제가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아닌지로 추측된다.
[실시예 15]
아스팔트 포장 폐재(침입도 27) 중에 포함되는 열화 아스팔트에 대해, 2중량%의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개질 아스팔트를 첨가하고, 약 160℃에서 용융 혼합하여,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를 얻었다.
얻어진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를 150℃에서 다져 공시체를 제작하고, 휠 트랙킹 시험(상재 하중 70kg, 60℃ 접지압 6.4kgf/㎠, 시험 온도 70℃, 주행 회수 2520회, 주행 방법 체인식)을 실행한 결과, 동적 안정도(DS)는 15750회/㎜이며, 바퀴자국 패임 깊이는 약 0.5㎜이었다. 휠 트랙킹 시험 후의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의 표면 상태를 도 1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개질 II형)로부터 공시체를 제작하고, 동일 조건에서 휠 트랙킹 시험을 실행한 결과, 동적 안정도(DS)는 880회/㎜이고, 바퀴자국 패임 깊이는 약 25㎜이었다. 또, 시험 온도를 60℃로 바꾸어 휠 트랙킹 시험을 실행한 결과, 동적 안정도(DS)는 4366회/㎜이고, 바퀴자국 패임 깊이는 약 5㎜이었다. 휠 트랙킹 시험 후의 아스팔트 포장재의 표면 상태를 도 2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브론 아스팔트 혼합물로부터 공시체를 제작하고, 동일 조건에서 휠 트랙킹 시험을 실행한 결과, 동적 안정도(DS)는 8289회/㎜이고, 바퀴자국 패임 깊이는 약 1㎜이었다. 휠 트랙킹 시험 후의 아스팔트 포장재의 표면 상태를 도 3에 나타낸다.
비교예 8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아스팔트 포장재는 시험 온도 60℃에서는 4366회/㎜라는 동적 안정도(DS)를 갖지만, 시험 온도 70℃에서는 동적 안정도가 약 1/5로 저하하였다. 이것으로부터, 향후,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어, 노면 온도가 60℃를 넘게 되면, 이 아스팔트 포장재는 즉시 바퀴자국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5의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는 지금까지 내열성이 높다고 되어 온 브론 아스팔트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아스팔트 포장재(비교예 9)보다 훨씬 높은 내열성을 갖고 있으며, 바퀴자국을 발생시킬 우려는 없다고 고려된다. 즉,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를 아스팔트 포장 폐재에 첨가해서 얻어지는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는 브론 아스팔트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아스팔트 포장재에 대체하는 것으로서 극히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브론 아스팔트 혼합물은 용융 혼합 온도를 190℃ 정도, 다짐 온도를 180℃ 정도로 할 필요가 있었지만, 실시예 15에서는 그보다도 30℃정도 낮은 온도에서 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5의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는 용융 혼합하고 나서의 다짐 가능한 시간이 2시간 이상이며, 보온성이 높은 것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의 내열성의 향상의 메커니즘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실시예 15에서 제작한 것과 동일한 공시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70℃∼80℃로 가열하고, 공시체를 절곡하여, 파단면을 관찰하였다. 파단면의 사진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느다란 실형상의 수지가 골재 전체에 얽혀 있는 상태가 관찰되었다.

Claims (5)

  1. 폐동식물 유지와, 6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0㎟/s∼40㎟/s인 폐광물유의 혼합물에 대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첨가, 혼합한 후, 이것을 가열하고, 방향족분을 제거해서 얻어지는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로서,
    폐동식물 유지와 6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0㎟/s∼40㎟/s인 폐광물유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9∼99.1:0.1이고, 또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첨가량은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에 대해 3중량%∼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2. 청구항 1에 기재된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를,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에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
  3. 용융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대해, 비정질 수지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용제로 비정질 수지를 용해시키고 포화 상태로 한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를 알코올류에 침지해서 해당 유기용제를 제거한 후, 건조시켜 얻어지는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를, 폐동식물 유지와 함께 첨가, 혼합해서 얻어지는 개질 아스팔트로서,
    개질 아스팔트 중의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의 함유량은 1중량%~90중량%이고, 또한 폐동식물 유지의 첨가량은 용융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 크세로 겔형상 비정질 수지를 분산시키고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4. 용융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대해, 비정질 수지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용제로 비정질 수지를 용해시키고 포화 상태로 한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를 가열 용융한 것을, 폐동식물 유지와 함께 첨가, 혼합해서 얻어지는 개질 아스팔트로서,
    개질 아스팔트 중의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의 함유량은 70중량%∼90중량%이고, 또한 폐동식물 유지의 첨가량은 용융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 겔형상 또는 떡형상 비정질 수지를 분산시키고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5.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개질 아스팔트를, 골재, 아스팔트 포장 폐재 또는 골재와 아스팔트 포장 폐재의 혼합물에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재.
KR1020137001165A 2010-06-18 2011-05-12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그것을 첨가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 개질 아스팔트 및 그것을 첨가한 아스팔트 포장재 KR101473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9114 2010-06-18
JPJP-P-2010-139114 2010-06-18
PCT/JP2011/060963 WO2011158581A1 (ja) 2010-06-18 2011-05-12 アスファルト再生用添加剤、それを添加した再生アスファルト舗装材、改質アスファルトおよびそれを添加したアスファルト舗装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715A KR20130069715A (ko) 2013-06-26
KR101473118B1 true KR101473118B1 (ko) 2014-12-15

Family

ID=4534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165A KR101473118B1 (ko) 2010-06-18 2011-05-12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그것을 첨가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 개질 아스팔트 및 그것을 첨가한 아스팔트 포장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30090415A1 (ko)
EP (1) EP2584006A4 (ko)
JP (1) JP5523565B2 (ko)
KR (1) KR101473118B1 (ko)
SG (1) SG186246A1 (ko)
WO (1) WO2011158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1257B2 (ja) * 2012-06-07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82174B1 (ko) * 2012-12-11 2013-07-0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유지 찌꺼기를 포함하는 중온 재생 아스팔트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중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
CN103387749B (zh) * 2013-07-16 2016-08-10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植物油型沥青再生剂及制备方法
JP6209080B2 (ja) * 2013-12-24 2017-10-04 勲 田崎 移動自在の現場練り小規模アスファルト加熱混合物のための加熱混合装置及び加熱混合方法
JP2016089008A (ja) * 2014-11-04 2016-05-23 昭和瀝青工業株式会社 再生アスファルト用添加剤
JP5948481B1 (ja) * 2015-11-26 2016-07-06 征夫 草野 スラッジ分散剤、それを含有する液体燃料及びスラッジの形成を防止又は形成されているスラッジを減少させる方法
US10640712B2 (en) 2016-11-18 2020-05-05 Stojan Kotefski Methods for retrieving, reclaiming, or recycling petroleum-based products and byproducts
US11549016B2 (en) 2016-11-18 2023-01-10 Stojan Kotefski Hybrid crude oi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ing petroleum-based waste stream products
US20180186963A1 (en) * 2016-12-30 2018-07-05 Stojan Kotefski Methods for reclaiming or recycling asphalt and asphalt and asphalt components produced thereby
US20180141866A1 (en) * 2016-11-18 2018-05-24 Stojan Kotefski Methods for reclaiming or recycling asphalt and asphalt and asphalt components produced thereby
JP6797679B2 (ja) * 2016-12-28 2020-12-09 出光興産株式会社 バインダ組成物
KR102238220B1 (ko) * 2019-03-20 2021-04-09 유진기업 주식회사 폐유를 활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CN111253761B (zh) * 2020-03-16 2022-04-19 山东高速集团有限公司 环保型生物质沥青再生剂及其制备方法
WO2021236049A1 (en) * 2020-05-17 2021-11-25 Stojan Kotefski Hybrid crude oi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ing petroleum-based waste stream products
CN111944321B (zh) * 2020-08-26 2022-07-01 山东交通学院 一种高粘韧、半融合功能复合环保型沥青界面再生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700A (ja) * 1998-10-08 2000-04-18 Idemitsu Kosan Co Ltd 改質アスファルト用添加材および改質アスファルト
JP2005154469A (ja) * 2003-11-20 2005-06-16 Nippon Oil Corp アスフアルト舗装廃材用再生添加剤組成物
JP2006002124A (ja) * 2004-06-21 2006-01-05 Tokyo Erutekku Kk 樹脂系廃棄物リサイクル方法
US20080250751A1 (en) * 2005-03-04 2008-10-16 Massimiliano Pavan Method for Making a Sound-Insulating Load-Bearing Flo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3860A (ja) * 1985-04-19 1986-10-30 Nippon Oil Co Ltd アスフアルト再生添加剤
JP2981233B2 (ja) * 1988-09-28 1999-11-22 出光興産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舗装廃材再生用添加剤
JP4036374B2 (ja) * 2003-11-20 2008-01-23 新日本石油株式会社 アスフアルト舗装廃材用再生添加剤組成物
JP4257187B2 (ja) 2003-11-20 2009-04-22 新日本石油株式会社 アスフアルト舗装廃材用再生添加剤組成物
JP4257188B2 (ja) * 2003-11-20 2009-04-22 新日本石油株式会社 アスフアルト舗装廃材用再生添加剤組成物
JP4257186B2 (ja) 2003-11-20 2009-04-22 新日本石油株式会社 アスフアルト舗装廃材用再生添加剤組成物
JP4046290B2 (ja) 2004-11-24 2008-02-13 財団法人ひろしま産業振興機構 改質アスファルト、改質アスファルトの製造方法及びアスファルト混合物
WO2006107179A2 (en) * 2005-04-06 2006-10-12 Jung Do Huh Composi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bitumen modifiers having complex functionality
CA2731923C (en) * 2008-07-30 2016-09-20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preparing an asphalt mixture
GB2462322A (en) * 2008-08-05 2010-02-10 Aggregate Ind Uk Ltd Asphalt Rejuven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700A (ja) * 1998-10-08 2000-04-18 Idemitsu Kosan Co Ltd 改質アスファルト用添加材および改質アスファルト
JP2005154469A (ja) * 2003-11-20 2005-06-16 Nippon Oil Corp アスフアルト舗装廃材用再生添加剤組成物
JP2006002124A (ja) * 2004-06-21 2006-01-05 Tokyo Erutekku Kk 樹脂系廃棄物リサイクル方法
US20080250751A1 (en) * 2005-03-04 2008-10-16 Massimiliano Pavan Method for Making a Sound-Insulating Load-Bearing Fl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8581A1 (ja) 2011-12-22
SG186246A1 (en) 2013-01-30
US20140283710A1 (en) 2014-09-25
US20130090415A1 (en) 2013-04-11
EP2584006A1 (en) 2013-04-24
EP2584006A4 (en) 2015-09-30
JPWO2011158581A1 (ja) 2013-08-19
KR20130069715A (ko) 2013-06-26
US8937120B2 (en) 2015-01-20
JP5523565B2 (ja)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118B1 (ko) 아스팔트 재생용 첨가제, 그것을 첨가한 재생 아스팔트 포장재, 개질 아스팔트 및 그것을 첨가한 아스팔트 포장재
US9056971B2 (en) Rubber-plastic alloy for warm mix asphalt mix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951818B1 (en) Bitumen composition
KR101014813B1 (ko) 재생(순환) 가열 아스팔트조성물
KR101282174B1 (ko) 유지 찌꺼기를 포함하는 중온 재생 아스팔트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중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
KR100669079B1 (ko) 아스팔트 개질재 및 그의 제조방법과 아스팔트 개질재를이용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247613B1 (ko) 드레인다운 방지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개질 아스팔트
EP2984143B1 (en) Mastic composition for asphalt mixtures and process for making such a mastic composition
KR101871603B1 (ko) 규소체를 함유한 결합제 활용 고내구성 재생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JP5639037B2 (ja) アスファルトの製造方法
KR100960665B1 (ko) 산업부산물을 채움재로 이용한 상온 재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92459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개질재 칩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4409B1 (ko) 도로 포장 및 보수용 순환아스콘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0854B1 (ko) 개질재생 중온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4403B1 (ko) 냄새가 저감된 중온형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8655B1 (ko) 저온균열 및 취성에 취약한 도로포장재를 개선한 아스콘 조성물
KR100740671B1 (ko) 폐 아스콘을 이용한 재생 아스콘의 제조방법
CN103803841B (zh) 抗车辙改性剂及其制备方法
KR102225398B1 (ko) 아스팔트 혼합물용 개질 첨가제 및 이를 첨가한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KR10040505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KR101584677B1 (ko) 폐 pvb 필름을 이용한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804938B (zh) 沥青路面抗车辙改性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68906B1 (ko) 함침 아스팔트 개질재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아스팔트 혼합물
JP4594947B2 (ja) 改質アスファル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スファルト舗装材
KR102307082B1 (ko) 폐자원을 재활용한 순환 중온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