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580B1 - 전선보호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전선보호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580B1
KR101472580B1 KR20140031133A KR20140031133A KR101472580B1 KR 101472580 B1 KR101472580 B1 KR 101472580B1 KR 20140031133 A KR20140031133 A KR 20140031133A KR 20140031133 A KR20140031133 A KR 20140031133A KR 101472580 B1 KR101472580 B1 KR 10147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otecting tube
wire protecting
wire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동기
Original Assignee
황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기 filed Critical 황동기
Priority to KR2014003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2Releasable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보호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전선(L1)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형상의 전선보호관(1)의 걸림홈테(1a)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전선보호관(1)과 배선박스(2)를 연결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원형의 관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배선박스(2)의 니플(nipple)(3)과 체결되는 연결구 바디(110)와,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21)과, 상기 관통홀(121)을 부분적으로 막으면서 상기 관통홀(121)의 내주면의 일측(121a,122a)에서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 절곡 형성되어서, 상기 전선보호관(1)이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시에 상기 걸림홈테(1a)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상기 전선보호관(1)과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연결하는 탄성걸림편(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제품을 조립할 필요가 없어서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선보호관 연결구{A CONNECTOR FOR A PROTECTION PIPE OF CABLE}
본 발명은 전선보호관과 전선보호관 또는 전선보호관과 배선박스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기술에서의 3 개 또는 2 개의 부품을 각각 사출 성형한 후에 이들을 조립하여 제품을 완성하였던 것을 해결하여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해서 하나의 몸체(one body)로 구현함으로써 조립 인건비를 줄여서 제품의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선보호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선 또는 케이블(명세서 전체에서는 전선이라고 총칭함)을 보호하기 위한 전선보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L1)을 내부에 넣어서 전선을 보호하는 전선보호관(1)은 가요성의 주름 형상으로서 통상적으로 합성수지(경질 합성수지 또는 연질 합성수지) 재질이고, 일정 간격으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걸림홈테(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테(1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2,3 니플(12,13,22)에 탄성 걸림 고정을 위한 구성이다.
도 2 내지 도 4를 기초로 종래 기술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a)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의 사용상태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b)에는 전선보호관 연결구(10)의 분해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c)에는 전선보호관 연결구(10)의 사용상태 결합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a)에는 전선보호관 연결구(10)의 제1,2 니플(12,13)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전선보호관 연결구(1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배선박스(2)와 전선보호관(10)을 연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20)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는 2 개의 전선보호관(1)을 양쪽에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서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11a,11b)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 바디(11)와, 상기 연결구 바디(11)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11a)와 나사결합하고 전선보호관(1)과 연결되는 제1 니플(12)과, 상기 연결구 바디(11)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부(11b)와 나사결합하고 전선보호관(1)과 연결되는 제2 니플(13)로 구성된다.
제1,2 니플(12,13)의 입구에는 탄성걸림편(12a,1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탄성걸림편(12a,13b)이 전선보호관(1)의 걸림홈테(1a)에 걸려서 전선보호관(1)이 제1,2 니플(12,13)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제 상기 탄성걸림편(12a,13a)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종래 기술에 의한 탄성걸림편(12a,13a)은 제1,2 니플(12,13)의 입구 주연부에서 내측 방향[연결구 바디(11)가 있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선보호관(1)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는 무빙(moving)할 수 있지만 그 반대방향 즉,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는 무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20)는 배선박스(2)와 전선보호관(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선박스(2)에 장착되는 니플(3)에 나사결합하기 위해서 일측에는 나사부(21b)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연결구 바디(21)와, 연결구 바디(21)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부(21a)에 나사결합되고 전선보호관(1)과 연결되는 제3 니플(22)로 구성되고, 상기 제3 니플(22)에는 전술한 제1,2 니플(12,13)과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하는 탄성걸림편(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전선보호관 연결구(10,20)는 연결구 바디(11,21)와 연결구 바디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되는 제1,2,3 니플(12,13,22)을 필수적으로 채택해야 하고, 상기 연결구 바디(11,21)와 제1,2,3 니플(12,13,22)은 별도로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한 후에 그 부품들을 조립하여 제품(10,20)을 완성한다.
따라서 종래의 전선보호관 연결구(10,20)의 경우에는 각 부품[연결구 바디(11,21), 제1,2,3 니플(12,13,22)]마다 별도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생산하여야 하므로 금형 제작비가 3 배 또는 2 배 이상으로 소비된다.
그리고, 각 부품을 사출 성형으로 제조한 후에 이들 부품들을 나사 조립하는 후 작업 공정이 필요하였는데, 이러한 조립을 모두 사람에 의한 수작업으로만 가능하였으므로, 조립 작업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실제로 조립 작업 인건비가 각 부품 제조비용보다 많이 소요됨),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하므로 제품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서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의 연결구(10)의 경우에는 연결구 바디(11), 제1,2 니플(12,13)을 따로따로 사출 성형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연결구 바디(11)를 중심으로 제1,2 니플(12,13)이 양측에서 체결되는데 제1,2 니플(12,13)의 탄성체결편(12a,13a)은 주연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사출 작업시에 수지를 주입할 수는 있어도 그 후에 제품을 금형에서 빼낼 수 없었으므로 세 부품(11,12,13)을 하나의 구성으로(즉, one body로) 사출성형작업이 불가능하였다.
특히, 탄성체결편(12a,13a)은 전선보호관(1)이 삽입되는 경우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져야하는데 이러한 벌어지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1,2 니플(12,13)과의 사이에 공간부(S1)를 반드시 형성하여야만 했다. 만약 공간부(S1)가 없이 접촉해 있으면 전선보호관(1)이 삽입될 때 바깥으로 휘어지지 못하여 전선보호관(1)을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종래기술에서는 반드시 공간부(S1)를 형성하여야만 하였다.
그런데, 만약에 3 부품(11,12,13)을 한 몸(즉 one body)로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상기 공간부(S1)에 금형의 코어나 슬라이더가 들어가야만 하는데 코어나 슬라이더가 들어 간 후에 이를 뺄 수 없으므로 현실적으로 제작이 불가능하였다.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의 연결구(20)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연결구 바디(21), 제3 니플(22)을 따로따로 사출 성형할 수밖에 없었다.
나아가, 연결구 바디(21)에는 링 테 형상의 스토퍼부(21c)는 전선보호관(1)이 일정 깊이 이상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스토핑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반드시 채용하여야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스토퍼부(21c)가 중앙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 바디(21)와 제3 니플(22)을 일체로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니플(22)의 탄성체결편(22a)과 스토퍼부(21c)각 각각 대향 성형되므로 수지 주입 후에 제품을 빼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13835호 공개일: 2011년 2월 11일
명칭: 전기배선 주름 파이프 커플러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2734 호, 공고일: 2003년 11월 10일
명칭: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목적은,
첫째, 전선보호관과 전선보호관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종래와 같이 3 개의 부품을 따로따로 사출 성형한 후에 이들을 조립하는 방식이 아닌 종래의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서도 하나의 구성 내지 하나의 몸체(one body)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공정인 조립 작업이 필요가 없도록 하고 그리하여 조립 수작업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전선보호관과 배선박스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종래와 같이 2 개의 부품을 따로따로 사출 성형한 후에 이들을 조립하는 방식이 아닌 종래의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서도 하나의 구성(one body)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공정인 조립 작업이 필요가 없도록 하고 그리하여 조립 수작업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셋째, 하나의 구성 내지 하나의 몸체(one body)로 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구현하되, 관통홀, 탄성걸림편 및 이들의 위치와 연결 관계의 구성 채택에 의해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하나의 구성 내지 하나의 몸체(one body)로 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하나의 구성 내지 하나의 몸체(one body)로 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는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선보호관 연결구는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형상의 전선보호관의 걸림홈테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전선보호관과 배선박스를 연결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관 연결구는, 원형의 관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배선박스의 니플과 체결되는 연결구 바디와, 상기 연결구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연결구 바디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구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 절곡 형성되어서 상기 전선보호관이 상기 연결구 바디의 내부로 삽입시에 상기 걸림홈테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상기 전선보호관과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연결하는 탄성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선보호관 연결구는 내부에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형상의 전선보호관의 걸림홈테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전선보호관과 전선보호관을 연결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관 연결구는, 원형의 관형상의 연결구 바디와, 상기 연결구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연결구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부분적으로 막으면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구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 절곡 형성되어서, 상기 전선보호관이 상기 연결구 바디의 내부로 삽입시에 상기 걸림홈테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상기 전선보호관과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연결하는 탄성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선보호관 연결구는 상기 연결구 바디와 관통홀과 탄성걸림편은 일회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선보호관 연결구는 사출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선보호관 연결구는 상기 연결구 바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관통홀의 폭은 탄성걸림편의 길이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제조 방법은, 상부코어와 하부코어를 형합하는 단계; 슬라이드를 형합된 코어의 슬라이드홀로 삽입하는 단계; 형합된 코어와 슬라이드 사이로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슬라이드 중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먼저 빼내는 단계; 슬라이드 바디를 빼내면서 슬라이드 스틱의 앞끝이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몰리면서 탄성걸림편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스틱의 수지홈이 빠지는 단계; 슬라이드의 스틱을 금형 코어로부터 빼내고 금형의 상하부코어를 분리하여 제품인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전선보호관 연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선보호관과 전선보호관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종래와 같이 3 개의 부품을 따로따로 사출 성형한 후에 이들을 조립하는 방식이 아닌 종래의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서도 하나의 구성 내지 하나의 몸체(one body)으로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후공정인 조립 작업이 필요가 없어서 조립 수작업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최종적으로 제품의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선보호관과 배선박스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종래와 같이 2 개의 부품을 따로따로 사출 성형한 후에 이들을 조립하는 방식이 아닌 종래의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서도 하나의 구성(one body)으로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후공정인 조립 작업이 필요가 없게 되는 획기적인 효과가 발생되고, 그리하여 조립 수작업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나의 구성 내지 하나의 몸체(one body)로 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구현하되, 관통홀, 탄성걸림편 및 이들의 위치와 연결 관계의 구성 채택에 의해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하나의 구성 내지 하나의 몸체(one body)로 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를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하나의 구성 내지 하나의 몸체(one body)로 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는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선 보호관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사용상태도, 분해도 및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에 있어서 제1,2 니플(12,13)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배선박스와 전선보호관을 연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전선보호관(1)이 결합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장치의 슬라이드(2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슬라이드 바디(221)가 후퇴한 상태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3의 단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장치에 의해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전선보호관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에 관련된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는 전선보호관(1)과 배선박스(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전선보호관(1)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내부에 전선(L1)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며, 일정 간격으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주름형상의 걸림홈테(1a)가 형성되어 있음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는 연결구 바디(110)와 관통홀(121)과 탄성걸림편(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 바디(110)는 원형의 관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배선박스(2)의 니플(nipple)(3)과 체결되고 타측에는 전선보호관(1)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 바디의 일측에는 나사부(151)가 형성되어 있어서 배선박스(2)의 니플(3)과 나사체결되어서 설치된다.
연결구 바디(110)의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단턱(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홀(121)과 탄성걸림편(131)이 있는 부분은 스트레스에 잘 견디도록 두께를 두껍게 하고 나머지 부분을 플렉시블할 수 있도록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관통홀(121)은 연결구 바디(110)의 타측에 한 쌍으로 대향하여서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121)은, 관통홀(121)에서 연장 형성된 탄성걸림편(131)이 전선보호관(1)이 삽입될 때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벌어지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제품(100)의 사출 성형시에 탄성걸림편(131)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 내지 도 8의 개시된 예에서는 상기 관통홀(121)이 대향하는 두 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 개씩 대향하여서 총 4 개로 형성되는 경우도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며, 그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걸림편(131,132)은 관통홀(121,122)을 부분적으로 막으면서 관통홀(121,122)의 내주면의 일측(121a,122a)에서 연장되어서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전선보호관(1)이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시에 걸림홈테(1a)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전선보호관(1)과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도 5 내지 도 11에 개시된 연결구(100) 모두에 대한 구성 설명임].
상기 탄성걸림편(131)은 전술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방향성 체결 특징 즉, 전선보호관(1)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는 무빙(moving)할 수 있지만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는 무빙하지 못하도록, 전선보호관(1)이 들어오는 쪽으로 휘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연결구 바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관통홀(121)의 폭(d1)은 탄성걸림편(131)의 길이(d2)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사출 성형 후에 제품을 빼는 것이 가능하여서 탄성걸림편(131)을 사출 성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이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탄성걸림편(131)은 제1 안내면(131a)과 제1 안내면(131a)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안내면(131b)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선보호관(1)이 원활하게 연결구 바디(110)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걸림편(131)이 걸림홈테(1a)에 걸린 경우 역방향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 형성된 제1 배면(131d)과 상기 제1 배면(131d)에서 절곡된 제2 배면(131c)이 형성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탄성걸림편(132)도 탄성걸림편(131)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바디(110)와 관통홀(121)과 탄성걸림편(131)은 일회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관통홀(121)과 탄성걸림편(131) 그리고 탄성걸림편(131)이 관통홀(121)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위치적 구성에 의해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한 번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단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2 개의 부품을 따로따로 사출 성형 한 후에 이를 조립하여 제품을 만들었으나, 본원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전선보호관과 배관박스를 연결하는 연결구(100)를 하나의 구성(하나의 몸체)로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부호 140은 스토퍼부(140)로서 전선보호관(1)이 일정 깊이 이상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에 관련된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는 전선보호관(1)과 전선보호관(1)을 연결하는 것인데, 기본적으로는 도 5 내지 도 8에 개시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와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양측에서 전선보호관(1)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측과 타측 모두에 관통홀(121,122)과 탄성걸림편(131,1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니플(3)과 연결되기 위한 나사부가 없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만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는 연결구 바디(110)와 관통홀(121,122)과 탄성걸림편(131,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 바디(110)는 원형의 관형상으로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전선보호관(1)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외주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단턱(111)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홀(121,122)과 탄성걸림편(131,132)이 있는 부분은 두께를 두껍게 하고 중앙부는 플렉시블할 수 있도록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관통홀(121,122)은 연결구 바디(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한 쌍씩 서로 대향하여서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 및 작용을 수행한다.
도 9 내지 도 11의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21,122)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두 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성되는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탄성걸림편(131,132)은 상기 관통홀(121,122)이 있는 곳에 각각 일대일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21,122)의 내주면의 일측(121a,122a)에서 연장되어서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고, 그 기능 및 작용 역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바디(110)와 관통홀(121,122)과 탄성걸림편(131,132)은 일회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관통홀(121,122)과 탄성걸림편(131,132) 그리고 탄성걸림편(131,132)이 관통홀(121,122)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위치적 구성에 의해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한 번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단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3 개의 부품을 따로따로 사출 성형 한 후에 이를 조립하여 제품을 만들었으나, 본원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전선보호관들을 연결하는 연결구(100)를 하나의 구성(하나의 몸체)로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조립을 위한 인건비가 필요 없게 되어서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은, 슬라이드홀(211a)이 형성된 상부코어(211)와 슬라이드홀(212a)이 형성된 하부코어(212) 및 슬라이드(2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특징은 슬라이드(220)에 있는데, 슬라이드(220)는 슬라이드 바디(221)와 슬라이드 바디(221)의 아래위에 각각 요입 형성된 채널(221a)에 형합되어서 끼워지는 슬라이드 스틱(222)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스틱(222)에는 탄성걸림편(131)을 형성하기 위해서 탄성걸림편(131)과 형합하는 형상의 수지홈(22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제조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먼저 상부코어(211)와 하부코어(212)를 준비하고[도 16의 (a)], 준비된 코어(211,212)를 형합한다[도 16의 (b)].
이제 도 13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220)를 코어의 양 측에서 삽입한다[도 16의 (c)].
그리고, 수지를 주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100)가 완성된다[도 16의 (d)].
그리고, 슬라이드 중에서 슬라이드 바디(221)를 먼저 빼낸다[도 16의 (e)].
슬라이드 바디(221)를 빼내면 슬라이드 스틱(222)의 앞끝이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몰리면서 탄성걸림편(131)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스틱(222)의 수지홈(222a)이 빠진다[도 16의 (f)].
다음으로 슬라이드의 스틱(222)을 완전히 금형 코어(211,212)로부터 빼내고[도 16의 (g)], 금형의 상하부코어(212)를 분리하면 제품이 완성된다[도 16의 (h)].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보호관 연결구
110 : 연결구 바디
111 : 단턱
121,122 : 관통홀
121a,122a: 관통홀의 내주면 일측
131,132 : 탄성걸림편
140 : 스토퍼부
1 : 전선보호관
1a : 걸림홈테
L1 : 전선
2 : 배선박스
3 : 니플

Claims (3)

  1. 삭제
  2. 내부에 전선(L1)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형상의 전선보호관(1)의 걸림홈테(1a)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전선보호관(1)과 전선보호관(1)을 연결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는,
    원형의 관형상의 연결구 바디(110)와,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121,122)과,
    상기 관통홀(121,122)을 부분적으로 막으면서 상기 관통홀(121,122)의 내주면의 일측(121a,122a)에서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 절곡 형성되어서, 상기 전선보호관(1)이 상기 연결구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시에 상기 걸림홈테(1a)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상기 전선보호관(1)과 전선보호관 연결구(100)를 연결하는 탄성걸림편(131,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바디(110)와 관통홀(121)과 탄성걸림편(131)은 일회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관 연결구.
KR20140031133A 2014-03-17 2014-03-17 전선보호관 연결구 KR10147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1133A KR101472580B1 (ko) 2014-03-17 2014-03-17 전선보호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1133A KR101472580B1 (ko) 2014-03-17 2014-03-17 전선보호관 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551A Division KR101527603B1 (ko) 2014-10-13 2014-10-13 전선보호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580B1 true KR101472580B1 (ko) 2014-12-16

Family

ID=5267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1133A KR101472580B1 (ko) 2014-03-17 2014-03-17 전선보호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5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97B1 (ko) * 2016-03-30 2016-09-07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단지내 전력케이블 방호장치
KR101996993B1 (ko) * 2018-09-27 2019-07-05 전진호 전선관용 원터치 커플링
KR102292190B1 (ko) * 2020-11-18 2021-08-20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KR20220091932A (ko) * 2020-12-24 2022-07-01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KR102565435B1 (ko) * 2022-02-07 2023-08-10 대승공업 주식회사 비방수 이종관 연결 커플링
KR102565436B1 (ko) * 2022-02-07 2023-08-10 대승공업 주식회사 이종관 연결 커플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48Y1 (ko) * 2009-05-13 2009-08-11 백순례 전선관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48Y1 (ko) * 2009-05-13 2009-08-11 백순례 전선관 커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97B1 (ko) * 2016-03-30 2016-09-07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단지내 전력케이블 방호장치
KR101996993B1 (ko) * 2018-09-27 2019-07-05 전진호 전선관용 원터치 커플링
KR102292190B1 (ko) * 2020-11-18 2021-08-20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KR20220091932A (ko) * 2020-12-24 2022-07-01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KR102554562B1 (ko) 2020-12-24 2023-07-11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KR102565435B1 (ko) * 2022-02-07 2023-08-10 대승공업 주식회사 비방수 이종관 연결 커플링
KR102565436B1 (ko) * 2022-02-07 2023-08-10 대승공업 주식회사 이종관 연결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580B1 (ko) 전선보호관 연결구
CN203645015U (zh) 连接器
KR101527603B1 (ko) 전선보호관 연결구
JP2017527317A (ja) プルタブ及びプルタブの製造方法
CN105793750B (zh) L角型光连接器
KR101218745B1 (ko)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JP2019515445A (ja) オーバーモールドされたアダプタ
JP6405623B2 (ja) 封止される連結部を有するケース
KR20130031989A (ko) 호스 연결장치
JP6002367B2 (ja) 合体ワイヤハーネス
US8986035B2 (en) Securing member for a connector
CN202205956U (zh) 电连接器
EP09360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asket sealing for a plastic fitting or fitting ring
US20150335517A1 (en) Hose connecting device and massage toy having such a hose connecting device
KR20160000451U (ko) 전기배선관 커넥터
JP2012013047A (ja) 燃料噴射弁の燃料供給口用フィルタ
EP2738897A1 (de) Blindstopfen
KR20120005191U (ko) 농업용 호스 연결관
JP2006352944A (ja) ケーブル支持構造及びケーブル支持方法
CN105633698A (zh) 弹性密封部件
KR101638186B1 (ko) 광케이블 pe내관의 앤드캡과 이를 이용한 밀봉 방법
JP5934592B2 (ja) 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001303U (zh) 一种卡扣结构
JP6043995B2 (ja) 防水コネクタ
EP250364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