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385B1 - 상지 착용로봇 - Google Patents

상지 착용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385B1
KR101471385B1 KR1020130037039A KR20130037039A KR101471385B1 KR 101471385 B1 KR101471385 B1 KR 101471385B1 KR 1020130037039 A KR1020130037039 A KR 1020130037039A KR 20130037039 A KR20130037039 A KR 20130037039A KR 101471385 B1 KR101471385 B1 KR 10147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user
rotary actuator
rotation angle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64A (ko
Inventor
류성무
안기탁
이규영
장성철
김형권
추영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케이엔알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3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38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2Hand grip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hand, wrist, grip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59Free spatial automatic movement of interface within a working area, e.g. Rob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사용자의 손목 회전동작이 구현되도록 한 상지 착용로봇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은 적어도 3축 자유도를 가지고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관절부, 상기 어깨관절부에 연결되는 상박부, 상기 상박부에 연결되는 하박부, 상기 상박부와 상기 하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1축 자유도를 가지는 팔꿈치관절부 및 상기 하박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손목의 회전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손목과 함께 회전되는 손목부를 포함하므로, 사용자 손목의 자연스러운 회전동작이 구현되며, 고하중의 물품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지 착용로봇{Wearable robot for arms}
본 발명은 상지 착용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인체의 상지 동작이 구현되도록 하는 상지 착용로봇에 관한 것이다.
착용로봇은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인체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착용로봇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의 보조장치 또는 재활장치로 사용되거나, 인체의 근력으로 작업이 불가능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분야에 활용되는 등 그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착용로봇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5420호;상지거동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상지 거동을 따라 움직이도록 착용형 방식을 채택하여 인체 움직임을 잘 모사할 수 있도록 한 착용형 로봇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상지에 탈착수단을 매개로 탈부착 가능하며 인체의 어깨 관절과 팔꿈치 관절의 신전/굴곡 동작 및 어깨 관절의 외전/내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어깨 관절 구동부와 팔꿈치 관절 구동부로 구성되는 로봇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착용로봇은 사용자 손목 회전동작의 구현을 위한 구성에 대해 개시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착용로봇에서 사용자 손목 회전동작이 구현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동작에 제약이 따르며, 더욱 심각하게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5420호 (2011. 09. 1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목 회전동작이 구현되도록 한 상지 착용로봇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은 적어도 3축 자유도를 가지고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관절부, 상기 어깨관절부에 연결되는 상박부, 상기 상박부에 연결되는 하박부, 상기 상박부와 상기 하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1축 자유도를 가지는 팔꿈치관절부 및 상기 하박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손목의 회전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손목과 함께 회전되는 손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목부는 상기 하박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손목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 감지유닛 및 상기 회전각도 감지유닛에 감지되는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리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감지유닛은 F/T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상지 착용로봇은 상기 손목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물품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클램핑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부에 연결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은 사용자 손목의 자연스러운 회전동작이 구현되며, 고하중의 물품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손목부와 클램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어깨관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어깨관절부의 작동상태 및 제 3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팔꿈치관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제 2로터리 회전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클램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손목부와 클램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100)은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스트랩(112)과, 스트랩(112)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1)의 상단부에는 인체의 어깨관절에 대응되는 어깨관절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어깨관절부(120)는 인체의 어깨관절의 외전(外轉) 및 내전(內轉) 동작이 구현되도록, 적어도 3축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어깨관절부(120)는 제 1회전축(121), 링크프레임(122) 및 제 1리니어 액추에이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전축(121)은 지지프레임(11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지프레임(111)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프레임(122)은 제 1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제 1회전축(1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리니어 액추에이터(123)는 일단부가 링크프레임(1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지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링크프레임(122)은 제 1리니어 액추에이터(123)의 신축에 따라 제 1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링크프레임(122)에는 제 1회전축(121)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회전축(126)이 설치될 수 있다. 제 2회전축(126)에는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가 제 2회전축(12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프레임(122)에는 제 2리니어 액추에이터(125)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에는 제 2리니어 액추에이터(125)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는 제 2리니어 액추에이터(125)의 신축에 따라 제 2회전축(126)을 중심으로 회될 수 있다.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는 제 2회전축(126)에 교차되는 중심축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로는 후술될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와 함께,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6849;로터리 액추에이터 및 로터리 액추에이터형 관절구조' 에 개시된 로터리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의 중심축에는 인체 상박에 대응되는 상박부(130)가 연결된다.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박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박부(130)에는 인체의 하박에 대응되는 하박부(140)가 연결되고, 상박부(130)와 하박부(140)의 사이에는 인체의 팔꿈치관절에 대응되는 팔꿈치관절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팔꿈치관절부(150)는 인체의 팔꿈치관절의 외전 및 내전 동작이 구현되도록 1축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즉, 팔꿈치관절부(150)는 제 3회전축(151) 및 제 3리니어 액추에이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회전축(151)은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의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박부(130)와 하박부(1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3리니어 액추에이터(152)는 일단부가 상박부(1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박부(1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하박부(140)는 제 3리니어 액추에이터(152)의 신축동작에 따라 제 3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하박부(140)에는 인체의 손목에 대응되는 손목부(160)가 설치되며, 손목부(160)에는 인체의 손에 해당되는 클램핑부(170)가 연결될 수 있다.
손목부(160)는 인체의 손목의 외전 및 내전 동작이 구현되도록 한다. 즉, 손목부(160)는 손목프레임(161), 손잡이(162), 회전각도 감지유닛(163) 및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프레임(161)은 일측이 하박부(140)에 지지되고, 타측이 절곡되어 하박부(14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손목프레임(161)의 타측에는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이 설치되며,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에는 손잡이(162)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는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받도록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으로는 기계적 유연성과 광학식 위치센서 시스템이 조합되어 6자유도의 감지가 가능한 F/T센서(Force-Torque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162)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목을 회전시킴에 따라, 손잡이가 회전되고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은 사용자 손목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는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받고 사용자 손목의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작동될 수 있다.
한편, 클램핑부(170)는 손목프레임(161)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클램핑부(170)는 인체의 손과 같이 소정의 물품을 잡는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즉, 클램핑부(17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한쌍의 조(jaw;17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클램핑부(170)는 한쌍의 조(171)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되도록 하는 링크절, 액츄에이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클램핑부(170)는 소정의 물품의 클램핑 동작과 더불어,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사용자 손목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하박부(140)의 단부와 클램핑부(170)의 사이에는 동력전달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80)는 구동풀리(181), 종동풀리(182) 및 벨트(18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풀리(181)는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의 중심축에 연결될 수 있다. 종동풀리(182)는 구동풀리(181)의 측방에 배치되어 클램핑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벨트(183)는 구동풀리(181)와 종동풀리(182)를 연결한다. 이에,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의 회전동작에 따라 구동풀리(181)가 회전되고, 벨트(183)에 연결된 종동풀리(182)로 동력이 전달된다. 종동풀리(182)가 회전됨에 따라 클램핑부(170)가 함께 회전되어 사용자 손목의 회전동작이 클램핑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어깨관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어깨관절부의 작동상태 및 제 3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팔꿈치관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리니어 액추에이터(123)가 압축되면, 링크프레임(122)이 제 1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외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리니어 액추에이터(123)가 신장되면, 링크프레임(122)이 제 1회전축(121)을 중심으로 내전될 수 있다.
한편, 제 2리니어 액추에이터(125)가 압축되면,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가 제 2회전축(126)을 중심으로 외전된다. 반대로, 제 2리니어 액추에이터(125)가 신장되면,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가 제 2회전축(126)을 중심으로 내전될 수 있다.
한편,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가 사용자의 몸통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박부(130)가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외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가 역회전되면 상박부(130)가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내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깨관절부(120)는 제 1회전축(121), 제 1회전축(121)에 교차되는 제 2회전축(126) 및 제 2회전축(126)에 교차되는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12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3자유도가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박부(130), 하박부(140), 팔꿈치관절부(150), 손목부(160) 및 클램핑부(170)는 상술된 어깨관절부(120)의 각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내전 또는 외전될 수 있다.
한편, 제 3리니어 액추에이터(152)가 압축되면, 하박부(140)는 제 3회전축(151)을 중심으로 외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 3리니어 액추에이터(152)가 신장되면, 하박부(140)는 제 3회전축(151)을 중심으로 내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팔꿈치관절부(150)는 제 3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하는 1자유도가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손목부(160) 및 클램핑부(170)는 상술된 팔꿈치관절부(150)의 1자유도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내전 또는 외전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의 제 2로터리 회전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클램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162)를 파지하고 자신의 손목을 회전시킬 수 있다. 속목이 회전됨에 따라 손잡이(162)가 회전되고,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은 손잡이(162)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은 손잡이(162)의 회전각도를 전기신호로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로 전송한다.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는 회전각도 감지유닛(163)으로부터 전달받은 손잡이(162)의 회전각도를 바탕으로 구동풀리(181)를 회전시킨다. 벨트(183)는 구동풀리(181)의 동력을 종동풀리(182)로 전달한다. 이렇게 종동풀리(182)가 회전되면, 클램핑부(17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목부(160)는 사용자 손목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을 작동시키고, 동력전달부(180)는 의해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164)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클램핑부(170)로 전달하여 클램핑부(170)가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지 착용로봇(100)은 클램핑부(170)가 고하중의 물품을 클램핑하고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 손목의 회전동작이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상지 착용로봇 111 : 스트랩
112 : 지지프레임 120 : 어깨관절부
121 : 제 1회전축 122 : 링크프레임
123 : 제 1리니어 액추에이터 124 : 제 1로터리 액추에이터
125 : 제 2리니어 액추에이터 126 : 제 2회전축
130 : 상박부 140 : 하박부
150 : 팔꿈치관절부 151 : 제 3회전축
152 : 제 3리니어 액추에이터 160 : 손목부
161 : 손목프레임 162 : 손잡이
163 : 회전각도 감지유닛 164 : 제 2로터리 액추에이터
170 : 클램핑부 171 : 조
180 : 동력전달부 181 : 구동풀리
182 : 종동풀리 183 : 벨트

Claims (5)

  1. 적어도 3축 자유도를 가지고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관절부;
    상기 어깨관절부에 연결되는 상박부;
    상기 상박부에 연결되는 하박부;
    상기 상박부와 상기 하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1축 자유도를 가지는 팔꿈치관절부;및
    상기 하박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손목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 감지유닛;및
    상기 회전각도 감지유닛에 감지되는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소정의 물품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및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클램핑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착용로봇.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감지유닛은 F/T 센서(Force-Torque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착용로봇.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부에 연결되는 종동풀리;및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착용로봇.
KR1020130037039A 2013-04-04 2013-04-04 상지 착용로봇 KR10147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39A KR101471385B1 (ko) 2013-04-04 2013-04-04 상지 착용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39A KR101471385B1 (ko) 2013-04-04 2013-04-04 상지 착용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64A KR20140120764A (ko) 2014-10-14
KR101471385B1 true KR101471385B1 (ko) 2014-12-10

Family

ID=5199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39A KR101471385B1 (ko) 2013-04-04 2013-04-04 상지 착용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33A (ko) * 2015-07-07 2017-01-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상지근력지원용 컨버터블형 머니퓰레이터
KR20180045558A (ko) * 2016-10-26 2018-05-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모듈형 상지 재활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608B1 (ko) * 2016-03-28 2016-11-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상지 근력 증강을 위한 착용형 로봇 장치
CN108044603B (zh) * 2017-12-11 2020-09-25 东北大学 一种气动人工肌肉驱动的可穿戴双臂搬运助力机器人
CN109078302B (zh) * 2018-07-02 2020-09-25 北可精密机械(上海)有限公司 一种上肢主动式多关节力量训练仪
CN109304702B (zh) * 2018-10-04 2024-05-14 南京中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式助力机器结构
CN109605329B (zh) * 2018-11-23 2023-12-15 上海傲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丝传动结构的上肢肩部外骨骼
US11813219B2 (en) * 2020-09-02 2023-1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exoskeleton wrist component
CN112238466B (zh) * 2020-10-28 2022-04-05 杭州木书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式机器人的关节结构
CN113232011B (zh) * 2021-06-07 2022-07-01 西北工业大学 一种主被动结合的上肢助力机器人
KR102376172B1 (ko) 2021-09-06 2022-03-21 주식회사 에스에프이음 사람이 탈 수 있는 착용로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20B1 (ko) * 2008-12-16 2011-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거동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KR101122750B1 (ko) * 2007-10-09 2012-03-23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KR101126637B1 (ko) * 2009-09-10 2012-03-26 학교법인 동의학원 상지재활훈련로봇 및 그에 적용되는 패러럴 링크 장치
KR101241800B1 (ko) * 2010-12-09 2013-03-14 전자부품연구원 근력 보조 외골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50B1 (ko) * 2007-10-09 2012-03-23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KR101065420B1 (ko) * 2008-12-16 2011-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거동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KR101126637B1 (ko) * 2009-09-10 2012-03-26 학교법인 동의학원 상지재활훈련로봇 및 그에 적용되는 패러럴 링크 장치
KR101241800B1 (ko) * 2010-12-09 2013-03-14 전자부품연구원 근력 보조 외골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33A (ko) * 2015-07-07 2017-01-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상지근력지원용 컨버터블형 머니퓰레이터
KR101709005B1 (ko) * 2015-07-07 2017-02-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상지근력지원용 컨버터블형 머니퓰레이터
KR20180045558A (ko) * 2016-10-26 2018-05-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모듈형 상지 재활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64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385B1 (ko) 상지 착용로봇
EP2858791B1 (en) An exoskeleton structure for physical interaction with a human being
US20190201273A1 (en) Robotic upp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KR101986933B1 (ko)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외골격
US8562049B2 (en) Robotic finger assembly
Mao et al. Human movement training with a cable driven arm exoskeleton (CAREX)
ES2877214T3 (es) Mano robótica subaccionada
US8801639B2 (en) Biomedical device for robotized rehabilitation of a human upper limb, particularly for neuromotor rehabilitation of the shoulder and elbow joint
US7410338B2 (en) Exoskeleton for the human arm, in particular for space applications
KR101241800B1 (ko) 근력 보조 외골격 장치
WO2018093448A2 (en) Robotic upp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Cempini et al. Kinematics and design of a portable and wearable exoskeleton for hand rehabilitation
US20110313331A1 (en) Rehabilitation Robot
US11540969B2 (en) Ergonomic exoskeleton system for the upper limb
US11246787B2 (en) Bi-directional underactuated exoskeleton
EP3723943B1 (en) Driving assembly for moving body part
KR20190059568A (ko) 상지 재활을 위해 엔드 이펙터 타입의 재활로봇과 연결가능한 재활 로봇
WO2017167349A1 (en) Spherical joint mechanism with a double parallelogram mechanism
EP2861387B1 (en) Actuating method and device for human interaction multi-joint mechanisms
KR20220110193A (ko) 모션 가이딩 장치 및 모션 가이딩 보조 시스템
KR101122750B1 (ko)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Shen et al. Upper limb wearable exoskeleton systems for rehabilitation: State of the art review and a case study of the EXO-UL8—Dual-arm exoskeleton system
CN113043241B (zh) 一种轻型可穿戴式局部力反馈仿生双臂外骨骼主手
Hong et al. KULEX: An ADL power-assistance demonstration
KR101904990B1 (ko) 재활로봇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재활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