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956B1 - 기판절단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휠 자동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절단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휠 자동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956B1
KR101470956B1 KR1020080055904A KR20080055904A KR101470956B1 KR 101470956 B1 KR101470956 B1 KR 101470956B1 KR 1020080055904 A KR1020080055904 A KR 1020080055904A KR 20080055904 A KR20080055904 A KR 20080055904A KR 101470956 B1 KR101470956 B1 KR 101470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bing
heads
holders
hold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806A (ko
Inventor
임종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95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의 기판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절단장치의 휠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는 기판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마모된 휠의 교체를 위해 스크라이빙홀더와 스크라이빙헤드가 자동으로 탈부착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휠을 교체하기 위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스크라이빙홀더와 스크라이빙헤드를 조립 결합하고 있는 고정볼트를 풀거나 조이는 등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공정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를 풀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불편했던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판 절단장치, 휠(wheel), 마모

Description

기판절단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휠 자동교체 방법{Apparatus for cutting glass and method of automatically exchanging whe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의 기판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절단장치의 휠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는 기판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각종 전기적 신호에 의한 대용량 데이터를 시각적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이에 부응해서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등이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중 액정표시장치는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 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통해 화상을 구현하는데, 이를 위해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여,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이러한 액정패널의 제조공정은 제 1 및 제 2 기판을 얻기 위한 기판제조공정과,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양 기판을 합착시켜 액정패널을 완성하는 셀(cell)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기판제조공정과 셀공정은 통상 공정단축 내지는 수율향상의 효과를 위하여 복수의 셀 영역이 포지션(position) 별로 구분된 제 1 및 제 2 대면적 기판(bare or mother glass)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기판제조공정에서는 제 1 및 제 2 대면적 기판 각각을 대상으로 박막증착(thin film deposition),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식각(etching) 등을 수 차례 반복해서 셀 영역 별로 화소 및 박막트랜지스터 등을 구현한다.
한편, 셀 공정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대면적 기판 중 어느 하나의 셀 영역에 각각 합착을 위한 씰패턴(seal pattern)을 형성한 다음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양 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후 각각의 셀 영역 별로 절단해서 복수의 액정패널을 얻는 다.
이중 특히 셀 공정의 절단공정은 휠(wheel)을 이용하여 셀 영역별로 스크라이빙해서 선 모양의 흠집을 낸 후 충격을 주어 절단하는데, 이러한 공정은 절단장비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절단장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장비(10)는 롤러컨베이어(roller conveyor : 5)를 통해 대상물(2)이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대상물(2)의 상,하부에서 각각 대상물(2)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한 쌍의 제 1 및 제 2 리니어(12a, 12b)가 구비된다.
제 1 및 제 2 리니어(12a, 12b) 각각에는 해당 리니어(12a, 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20a, 20b)가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20a, 20b)에는 각각 대상물(2)의 상, 하면에 밀착 회전되는 휠(31a, 31b)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30a, 30b)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30a, 30b)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20a, 20b)에서 수직하게 회전가능하다.
이에 따라 절단장비(10)로 진입된 대상물(2)은 먼저, 롤러컨베이어(5)에 의해 임의로 X축 방향을 향하는 주행 중간중간의 주기적 정지시점마다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20a, 20b)가 각각 제 1 및 제 2 리니어(12a, 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스크라이빙홀더(30a, 30b)의 휠(31a, 31b)을 통해 Y축 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크랙(14a, 14b)을 각각 대상물(2) 상, 하면에 형성하 게 된다.
이후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20a, 20b)의 주기적 정지시점에 따른 롤러컨베이어(5)의 역방향과 순방향 주행을 통해 스크라이빙홀더(30a, 30b)의 휠(31a, 31b)을 통해 X축 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제 3 및 제 4 크랙(16a, 16b)을 대상물(2) 상, 하면에 형성한다.
이렇게 대상물(2)에 크랙(14a, 14b, 16a, 16b)에 의한 절단선이 형성되고 나면, 대상물(2)에 일정한 충격을 가하여 각 절단선 별로 대상물(2)을 분리한다.
한편, 마모되는 소모성제품인 휠(31a, 31b)은 일정주기가 되면 교체해야 하는데, 이때, 휠(31a, 31b)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스크라이빙홀더(30a, 30b)까지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스크라이빙홀더(30a, 30b)는 스크라이빙헤드(20a, 20b)와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조립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휠(31a, 31b)을 교체하기 위해서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스크라이빙홀더(30a, 30b)와 스크라이빙헤드(20a, 20b)를 조립 결합하고 있는 고정볼트(미도시)를 풀거나 조이는 등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공정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미도시)를 풀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의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스크라이빙홀더(30a, 30b)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절단장비(10)의 가동을 멈춰야 하므로, 공정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모된 휠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는 절단장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판표시패널을 제 1 방향으로 전, 후진 슬라이딩시키는 롤러컨베이어와; 상기 롤러컨베이어의 상, 하단에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리니어와;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자력(磁力)을 통해 장착되며, 각각 회전가능한 휠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와;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장착되는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를 공급하는 공급프레임을 포함하는 기판절단장비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라이빙헤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신호를 통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라이빙홀더는 상기 스크라이빙헤드와 장착되는 부분이 자성을 띄는 금속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스크라이빙홀더는 자력이 제거된 상기 제 1 스크라이빙헤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홀더를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헤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로봇암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로봇암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홀더를 폐기(廢棄)하기 위한 폐기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 각 일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급프레임에 구비된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는 상기 공급프레임의 상, 하로 각각의 휠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가상, 하로 슬라이딩하도록 상, 하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가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가 제 1 및 제 2 리니어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를 분리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를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의 일단으로 슬라이딩 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공급프레임에 마련된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가 자력(磁力)을 통해 조립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절단장비의 휠 자동교체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장착된 전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상기 제 1 스크라이빙헤드로부터 상기 제 1 스크라이빙홀더를 분리하며,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홀더는 로봇암을 통해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헤드로부 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는 폐기부로 폐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마모된 휠의 교체를 위해 스크라이빙홀더와 스크라이빙헤드가 자동으로 탈부착 되도록 함으로써, 절단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장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설명에 앞서 대상물(102)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대면적 기판을 합착시킨 상태이며, 이하 간략하게 대상물(102)이라 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비(100)는 외부와 차단되도록 정의된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데, 이에 따라 보이는 것처럼, 대상물(102)의 이송을 위한 롤러컨베이어(105)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유닛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중 복수개의 유닛은 각각 대상물(102)이 놓여져 정렬되는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유닛(110a, 110b)과, 로딩 및 언로딩유닛(110a, 110b)의 사이에 위치하여 대상물(102)을 절단선에 맞춰 절단하는 스크라이빙유닛(200)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로딩 및 언로딩유닛(110a, 110b)은 대상물(102)을 슬라이딩(sliding) 이동시 키는 컨베이어(conveyor) 방식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샤프트축(shaft : 111)가 나란히 열을 이루어 대상물(102)의 이동경로를 구성한다. 이때 회전 가능한 다수의 샤프트축(111)에는 고리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회전롤러(113)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둘러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대상물(102)은 각 샤프트축(111)에 장착된 회전롤러(113)에 얹혀져, 샤프트축(111)과 회전롤러(113)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스크라이빙유닛(200)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스크라이빙유닛(200)은 이웃하는 롤러컨베이어(105) 사이의 상, 하단에 구비되어 각각 대상물(102)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한 쌍의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를 포함한다.
이때, 대상물(102)은 롤러컨베이어(105)에 의해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에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가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임의로 롤러컨베이어(105)에 의한 대상물(102)의 이송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하면,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는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는 대상물(102)의 앞, 뒷면에 각각 밀착 회전되는 제 1 및 제 2 휠(131a, 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구비하며, 각각의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와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는 자력(磁力)을 통해 서로 조립 결합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서 수직하게 회전가능하다.
이들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는 이웃하는 롤러컨베이어(105)의 사이영역에서 제 1 및 제 2 휠(131a, 미도시)을 통해 대상물(102)의 앞, 뒷면에 수직한 Y축 방향을 향해 제 1 및 제 2 크랙(114a, 114b) 그리고 대상물(102)의 앞, 뒷면에 X축 방향을 향하는 제 3 및 제 4 크랙(116a, 116b)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절단장비(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외부에서 대상물(102)이 로딩유닛(110a)으로 위치하면, 로딩유닛(110a)의 샤프트축(111)과 회전롤러(113)의 회전에 의해 절단될 대상물(102)을 스크라이빙유닛(200)의 롤러컨베이어(105) 상으로 이송한다.
이에 따라 스크라이빙유닛(200)으로 진입된 대상물(102)은 롤러컨베이어(105)에 의해 X축 방향을 향하는 주행 중간의 주기적 정지시점마다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가 각각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 1 및 제 2 휠(131a, 미도시)을 통해 Y축 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크랙(114a, 114b)을 각각 대상물(102) 상, 하면에 형성한다.
이후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의 주기적 정지시점에 따른 롤러컨베이어(105)의 역방향과 순방향 주행을 통해 X축 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제 3 및 제 4 크랙(116a, 116b)을 대상물(102) 상, 하면에 형성한다.
다음으로 대상물(102)은 브레이크유닛(break unit : 210)으로 이동되어져, 서로 다른 지점을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미도시)를 통해, 대상물(102)을 크랙(114a,114b,116a,116b)별로 완전히 분리된다.
이때, 브레이크유닛(210)에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사하여 대상물(102)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절단이 완료된 대상물(102)은 언로딩유닛(110b)을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이때,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를 상, 하로 이동시켜주는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는데, 가이드를 통해 대상물(102)이 스크라이빙유닛(200)으로 진입하면,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의 제 1 및 제 2 휠(131a, 131b)이 대상물(102)의 앞, 뒷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가이드는 별도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절단장비(100)는 각 리니어(112a, 112b)의 일측을 통해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와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가 자동적으로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절단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 장착된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는 휠(131a, 131b)의 마모로 인하여 일정 주기가 되면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기존의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 (미도시)를 통해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와 조립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휠(131a, 131b)을 교체하기 위해서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와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를 조립 결합하고 있는 고정볼트(미도시)를 풀거나 조이는 등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공정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었다.
또한, 작업자는 고정부재(미도시)를 풀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의 불편함을 야기하였었으며,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절단장비(100)의 가동을 멈춰야 하므로, 공정의 효율성을 저하시켰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휠(131a, 131b)의 교체를 위해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와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가 자동으로 탈부착 되도록 함으로써, 절단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와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는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는데,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스크라이빙헤드와 스크라이빙홀더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랙(도2의 114a, 114b, 116a, 116b) 형성을 위해 이동이 가능한 스크라이빙헤드(120a)와 스크라이빙홀더(130a)는 서로 자력(磁力)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 결합된다.
여기서, 스크라이빙헤드(120a)는 스크라이빙홀더(130a)의 일부가 끼움 삽입되는 홈 형상의 결합부(121)를 포함하는데, 결합부(121)의 내경이 가장 넓은 일단에는 전자석(123)이 내장된다.
전자석(123)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신호를 통해 자력을 발생시키며, 전원 신호를 차단하면 자력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라이빙홀더(130a)에는 회전 가능한 휠(131a)이 장착되어 있으며, 휠(131a)이 장착된 반대편에는 스크라이빙헤드(120a)의 결합부(121)에 끼움 삽입되는 고정부(133)가 구성된다.
이에, 스크라이빙헤드(120a)의 결합부(121)와 스크라이빙홀더(130a)의 고정부(133)가 서로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 결합되며, 스크라이빙홀더(130a)의 고정부(133)는 자성을 띄는 금속물질로 형성한다.
따라서, 스크라이빙홀더(130a)의 고정부(133)가 스크라이빙헤드(120a)의 결합부(121)의 전자석(123)에 부착된다.
이때, 전자석(123)은 외부로부터 전원 신호를 인가받아 자력이 발생된 상태이다.
이렇게, 스크라이빙헤드(120a)의 결합부(121)에 스크라이빙홀더(130a)의 고정부(133)가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라이빙홀더(130a)를 스크라이빙헤드(120a)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자석(123)에 인가하던 전원 신호를 차단하여 전자석(123)의 자력을 제거한다.
이에, 스크라이빙홀더(130a)의 고정부(133)는 스크라이빙헤드(120a)의 결합 부(121)로부터 탈착된다.
이때, 전자석(123)에 인가되는 전원 신호를 일정하게 하면 전자석(123)의 자력의 세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스크라이빙홀더(130a)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일정한 힘으로 스크라이빙헤드(120a)에 고정된다.
이렇게 스크라이빙홀더(130a)와 스크라이빙헤드(120a)가 자력을 통해 서로 조립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스크라이빙홀더(130a)를 스크라이빙헤드(120a)로부터 자동으로 탈부착 할 수 있는데, 스크라이빙홀더(130a)와 스크라이빙헤드(120a)의 자동 탈부착 시스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라이빙홀더가 스크라이빙헤드에 자동 탈부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컨베이어(105)의 상부에 대상물(102)이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대상물(102)의 상,하단에 각각 대상물(102)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한 쌍의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가 구비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에는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는 각각 휠(131a, 131b)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일측에는 새로운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를 공급하는 공급프레임(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공급프레임(220) 의 일측에는 폐기될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로봇암(230)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로부터 분리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폐기(廢棄)하는 폐기부(240)가 마련된다.
이때, 폐기부(240)는 공급프레임(220)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공급프레임(220)에는 다수의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며, 이러한 다수의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는 공급프레임(220)에서 상, 하로 다수의 제 3 스크라이빙홀더(130c)와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d)로 나뉘어 위치한다.
이때,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는 각각의 휠(131c, 131d)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제 3 스크라이빙홀더(130c)는 제 1 리니어(112a)에 장착된 제 1 스크라이빙헤드(120a)에 부착되며,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d)는 제 2 리니어(112b)에 장착된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b)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로부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자동으로 탈부착 하는 시스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마모되어 교체해야 하는 휠(131a, 131b)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 의해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 1 및 제 2 리 니어(112a, 112b)의 연장부(212a, 212b)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다.
연장부(212a, 212b)에 각각 위치한 제 1 스크라이빙홀더(130a)는 전자석(도 3의 123)의 전원 신호를 차단하여 자력을 제거하면, 제 1 스크라이빙홀더(130a)는 제 1 스크라이빙헤드(120a)로부터 탈착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폐기부(240)로 폐기된다.
그리고,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b)는 로봇암(230)에 의해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b)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부(240)로 폐기된다. 이때, 로봇암(230)에 의해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b)를 분리할 때,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 구비된 전자석(도 3의 123)의 전원 신호를 차단하여 자력을 제거한다.
로봇암(230)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일 끝단이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잡을 수 있는 일예로 대략 포크 형상으로 구성되어 직접적으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폐기부(240)는 폐기될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가 투입되는 투입부(241)와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243)로 구성되며, 투입부(241)와 수거부(243)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의 이동통로(245)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폐기부(240)의 수거부(243)는 절단장비(도 2의 100)가 위치한 내부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폐기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수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절단장비(도 2의 100) 가 위치한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이에,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수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절단장비(도 2의 100)가 위치한 내부공간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 등이 절단장비(도 2의 100)이 위치한 내부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보다 손쉽게 폐기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로부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분리하는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연장부(212a, 212b)는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 사이에 위치하는 롤러컨베이어(105)의 외부 영역에 해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로부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이 롤러컨베이어(105) 또는 대상물(102) 상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로부터 마모된 휠(131a, 131b)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를 분리하면,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 새로운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를 장착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연장부(212a, 212b)에는 공급프레임(220)의 일측 가장자리가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연장부(212a, 212b)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러한 공급프레임(2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휠(131c, 131d)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새로운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 가 위치한다.
이에,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는 각각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연장부에 구비된 상, 하레일(118a, 118b)을 통해 각각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를 향해 슬라이딩된다.
즉,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전자석(도 3의 123)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의 결합부(도 3의 121)에, 자성을 띠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의 고정부(도 3의 133)가 전자석(도 3의 123)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 새로운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가 장착되면,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는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장착부에 구비된 상, 하레일(118a, 118b)을 통해 원위치 한 후, 제 1 및 제 2 리니어(112a, 112b)의 장착부 반대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 새로운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공급프레임(22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를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에 장착하고 난 후, 새로운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가 공급프레임(220)의 일측 가장자리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공급프레임(220) 내에서의 다수의 스크라이빙홀더(130c, 130d)의 이동은 레일(미도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단장비(도 2의 100)는 마모된 휠(131a, 131b)의 교체를 위해 스크라이빙홀더(130a, 130b)와 스크라이빙헤드(120a, 120b)를 자동으로 탈부착 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스크라이빙홀더(도 1의 30a, 30b)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스크라이빙헤드(도 1의 20a, 20b)와 조립 결합되어 있어, 휠(도 1의 31a, 31b)을 교체하기 위해서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스크라이빙홀더(도 1의 30a, 30b)와 스크라이빙헤드(도 1의 20a, 20b)를 조립 결합하고 있는 고정볼트(미도시)를 풀거나 조이는 등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공정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미도시)를 풀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불편했던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절단장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장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스크라이빙헤드와 스크라이빙홀더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라이빙홀더가 스크라이빙헤드에 자동 탈부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평판표시패널을 제 1 방향으로 전, 후진 슬라이딩시키는 롤러컨베이어와;
    상기 롤러컨베이어의 상, 하단에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리니어와;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자력(磁力)을 통해 장착되며, 각각 회전가능한 휠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와;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장착되는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를 공급하는 공급프레임
    을 포함하는 기판절단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빙헤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신호를 통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라이빙홀더는 상기 스크라이빙헤드와 장착되는 부분이 자성을 띄는 금속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절단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라이빙홀더는 자력이 제거된 상기 제 1 스크라이빙헤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절단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홀더를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헤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로봇암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절단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홀더를 폐기(廢棄)하기 위한 폐기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절단장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 각 일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절단장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프레임에 구비된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는 상기 공급프레임의 상, 하로 각각의 휠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절단장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가상, 하로 슬라이딩하도록 상, 하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절단장비.
  9. a)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가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가 제 1 및 제 2 리니어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를 분리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를 상기 제 1 및 제 2 리니어의 일단으로 슬라이딩 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공급프레임에 마련된 제 3 및 제 4 스크라이빙홀더가 자력(磁力)을 통해 조립 결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판절단장비의 휠 자동교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헤드에 장착된 전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상기 제 1 스크라이빙헤드로부터 상기 제 1 스크라이빙홀더를 분리하며,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홀더는 로봇암을 통해 상기 제 2 스크라이빙헤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라이빙홀더는 폐기부로 폐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절단장비의 휠 자동교체 방법.
KR1020080055904A 2008-06-13 2008-06-13 기판절단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휠 자동교체 방법 KR10147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904A KR101470956B1 (ko) 2008-06-13 2008-06-13 기판절단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휠 자동교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904A KR101470956B1 (ko) 2008-06-13 2008-06-13 기판절단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휠 자동교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806A KR20090129806A (ko) 2009-12-17
KR101470956B1 true KR101470956B1 (ko) 2014-12-09

Family

ID=4168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904A KR101470956B1 (ko) 2008-06-13 2008-06-13 기판절단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휠 자동교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204B1 (ko) * 2011-04-18 2013-08-22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메카니컬 스크라이버의 스크라이브 팁 교체장치
JP5906148B2 (ja) * 2012-06-29 2016-04-20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チップホルダ収納体
CN102749748B (zh) * 2012-07-11 2015-02-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基板切割装置及其刀头监控方法
CN104227570A (zh) * 2013-06-17 2014-12-24 株式会社太星技研 形成单元单位的g2方式触摸传感器的单一的钢化玻璃板加工系统
CN104310059B (zh) * 2014-08-27 2017-07-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玻璃基板曝边制程及系统
KR102605918B1 (ko) * 2016-07-22 2023-11-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KR102582732B1 (ko) * 2017-09-19 2023-09-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CN109093857B (zh) * 2018-07-03 2020-05-26 常州大学 基于双面应力集中的切割机
KR102267732B1 (ko) * 2019-10-08 2021-06-2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휠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KR102494807B1 (ko) * 2020-08-13 2023-02-06 (주)피엔피 초박형 유리블록 커팅용 자동 툴 교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209A (ko) * 2004-12-28 2006-07-04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박판 유리 절단 설비의 절단용 휠 자동교체 장치
KR100663865B1 (ko) * 2005-08-31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스크라이빙장치 및 방법
KR20070072303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 절단 장치
KR100751575B1 (ko) * 2003-09-24 2007-08-22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절단 시스템, 기판 제조장치 및 기판 절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75B1 (ko) * 2003-09-24 2007-08-22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절단 시스템, 기판 제조장치 및 기판 절단방법
KR20060076209A (ko) * 2004-12-28 2006-07-04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박판 유리 절단 설비의 절단용 휠 자동교체 장치
KR100663865B1 (ko) * 2005-08-31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스크라이빙장치 및 방법
KR20070072303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806A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956B1 (ko) 기판절단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휠 자동교체 방법
KR100949152B1 (ko) 유리 기판 레이저 절단 장치
US7131562B2 (en) Scribing and breaking apparatus, system therefor, and scribing and breaking method
KR1007400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시스템
KR101953659B1 (ko) 유리판 가공 장치 및 그 가공 방법
JP2009160725A (ja) 平面ディスプレイ用の面取り機
KR20150090813A (ko) 스크라이브 장치
TWI480217B (zh) 上下輥筒之分離取出裝置
TWI684577B (zh) 裂斷系統
JP4879500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ガラス基板分解方法
JP5015107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用の面取り機及びその面取り加工方法
JP5178814B2 (ja) 平面表示パネル用マザー基板の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KR20150090812A (ko)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KR20080018465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반송 장치
KR100649941B1 (ko) 취성재료 기판의 반송 시스템
KR10097885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방법
KR20050111448A (ko)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이조립장치를 이용한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방법
JP3181038U (ja) 偏光板の貼り付け装置
KR101318179B1 (ko) 릴투패널 편광필름 부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8593B1 (ko) 말림방지 구조를 갖는 박판용 이물질 세정장치
US20130251492A1 (en) Transferring Apparatus for Glass Substrate
JP4456099B2 (ja) Lcdモジュール用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lcdモジュール用ハウジング
KR1020728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글라스의 테이프 부착장치
CN215477574U (zh) 具有去尘滚轮的上料台装置
KR102618517B1 (ko) 스크라이빙 휠의 자동 교체가 가능한 스크라이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