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023B1 -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 Google Patents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023B1
KR101470023B1 KR1020090052570A KR20090052570A KR101470023B1 KR 101470023 B1 KR101470023 B1 KR 101470023B1 KR 1020090052570 A KR1020090052570 A KR 1020090052570A KR 20090052570 A KR20090052570 A KR 20090052570A KR 101470023 B1 KR101470023 B1 KR 10147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voltage unit
vehicle
unit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836A (ko
Inventor
요시로 시모야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5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02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전기자동차와 같이 차량 구동용 2차 배터리(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차량에서 차량 후방 충돌시 리어시트 후방에 위치된 고전압 유닛이 이동하면서 리어시트의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탑승자 보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구동용 2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유닛장착부의 상측으로 가이드 플레이트가 차체에 설치되어, 차량 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고전압 유닛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어서 리어시트 하측 또는 차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전압, 배터리, 2차, 축전수단,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자동차, 후방 충돌, 보호 구조

Description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VEHICLE HAVING STRUCTURE FOR PROTECTING OCCUPANT FROM HI-VOLTAGE UNIT}
본 발명은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전기자동차와 같이 차량 구동용 2차 배터리(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을 구동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전기자동차에는 별도의 축전수단으로서 전기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차량 구동용 2차 배터리(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한 2차 배터리는 복수의 배터리 셀(단위 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셀들이 차량 운행 중에 충/방전을 반복하면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서 차량 구동용의 2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이 차량 내 후방에 탑재되는 경우 이 고전압 유닛은 리어시트(rear seat)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후방에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차량에서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이 강하게 발생하면, 고전압 유닛이 전방으로 밀리면서 리어시트를 파괴하고, 이에 더하여 리어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게 된다.
후방으로부터의 강한 충돌이 발생하면, 트렁크 등 화물적재공간은 변형되지만, 통상은 후륜 또는 후륜의 차축이 강도 부재가 되어 그 부분에서 화물적재공간의 변형은 멈추게 된다.
하지만 리어시트 후방에 강성이 있는 중량물로서 고전압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통상 50kg 이상)는 강한 충돌하중에 의해 고전압 유닛이 전방으로 밀리면서 리어시트를 파괴하고, 결국 탑승자에게 상해를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전압 유닛이 이동하면서 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고전압 커넥터의 파괴나 고전압 케이블의 절단이 발생하면 탑승자가 고전압에 의해 감전되는 사고를 당할 수 있는 바,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으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전기자동차와 같이 차량 구동용 2차 배터리(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차량에서 차량 후방 충돌시 리어시트 후방에 위치된 고전압 유닛이 이동하면서 리어시트의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탑승자 보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구동용 2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유닛장착부의 상측으로 가이드 플레이트가 차체에 설치되어, 차량 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고전압 유닛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어서 리어시트 하측 또는 차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전압 유닛에 연결되는 고전압 케이블이 커넥터를 통해 고전압 유닛의 후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고전압 유닛이 차량 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커넥터가 분리되면서 고전압 케이블이 고전압 유닛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1) 차량에 후방으로부터의 강한 충돌이 가해지더라도 가이드 플레이트가 고전압 유닛을 리어시트 하측 또는 차체 하측으로 안내하므로 고전압 유닛이 리어시트를 타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리어시트의 탑승자가 상해를 입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2) 충돌시 고전압 유닛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할 때 고전압 케이블의 커넥터가 고전압 유닛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 파괴나 케이블 절단 없이 고전압 유닛 내 배터리의 고전력이 케이블에 흐르지 않도록 완전 차단되고, 결국 탑승자가 배터리의 고전력에 의해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후방 충돌시 리어시트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고전압 유닛을 리어시트 하측 또는 차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구비한 점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탑승자 보호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차체 하부에 해치를 구비하여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을 차량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차량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 고전압 유닛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이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고전압 유닛의 배치상태 및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 배출구와 해치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구동용 2차 배터리(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110)이 차량(100) 내에서 후방(예를 들면, 화물적재공간 내에서의 앞쪽 공간 등)에 탑재되고, 이때 고전압 유닛(110)은 리어시트(101)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전압 유닛(110)은 후방으로 연장된 플로어 패널 부분인 유닛장착부(103) 위에 탑재되고, 상기 유닛장착부(103)의 전방으로는 플로어 패널(102)에 고전압 유닛(110)이 차체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04)가 형성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04)에는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배출구(104)를 열게 되는 해치(120)가 설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닛장착부(103)는 전방의 플로어 패널 부분과는 높이 단차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닛장착부(103)에서 배출구(104)까지의 플로어 패널 부분은 고전압 유닛(11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안내될 수 있게 하방 경사면(105)으로 되어 있다.
상기 유닛장착부(103)와 상기 하방 경사면(105)은 플로어 패널(102)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플로어 패널 부분이 될 수 있으나, 고전압 유닛(110)이 올려지는 별도의 패널이 될 수도 있다.
즉, 고전압 유닛(110)이 올려지는 상기 별도의 패널을 플로어 패널(102)의 상측으로 설치하고, 고전압 유닛(11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방 경사면(105)이 그 전방의 배출구(104)에 연결되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100)의 후방 충돌(후방으로부터의 충돌)시 고전압 유닛(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고전압 유닛(110)(고전압 유닛이 장착된 유닛장착부) 및 배출구(104), 해치(120) 상측에 위치되도록 차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110)(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게 됨)을 리어시트(101) 하측 또는 차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부재가 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에서 배출구(104) 상측의 전방 부분에는 차량 후방 충돌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고전압 유닛(110)을 하방으로 경사지게 안내하기 위한 하방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부(131)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131)는 하측의 플로어 패널(102)과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해치(120)는, 평상시 플로어 패널(102)에 형성된 배출구(104)를 닫고 있다가, 차량 후방 충돌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고전압 유닛(110)이 가하는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면서 회전하여 배출구(104)를 열어주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120)가 평상시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치(120)와 배출 구(104) 사이에는 체결부재(122)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재(122)는 해치(120)의 테두리부와 배출구(104)의 테두리부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평상시에는 주행 중 해치(12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치(120)와 플로어 패널(102)의 배출구(104) 사이를 체결하는 역할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차량(100) 외부로부터 해치(120)의 틈새를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차량(10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실링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122)는 해치(120)의 테두리부 전 둘레에 걸쳐 배출구(104)의 테두리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서와 같이 양면에 해치(120)의 테두리부와 배출구(104)의 테두리부가 각각 삽입되는 요홈을 가진 단면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22)는 고무를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도 4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상기 체결부재(122)를 해치(120)의 테두리부와 배출구(104)의 테두리부 사이에 설치하되, 테두리부 전 둘레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아닌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를 설치하고, 상기 실링을 위해서 동일 단면 구조의 실링(sealing)부재를 상기 체결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해치(120)의 힌지부(121)는 해치가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구비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전압 유닛(110)이 하방으로 누르는 하중에 의해 해치(120)가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부의 패 널 부분을 굴곡된 구조로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힌지부의 패널 부분을 두께를 얇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고전압 유닛(110)이 누르는 힘에 의해 힌지부(121)의 패널 부분이 변형되면서 해치(120)가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보호 구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100)에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이 발생하면, 고전압 유닛(110)의 후면부에 전방으로의 외력(충돌력)이 가해지고, 이 외력에 의해 유닛장착부(103) 위의 고전압 유닛(110)이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전압 유닛(110)이 전방으로 밀리는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접촉하게 되고, 특히 외력이 고전압 유닛(110)에 가해짐과 동시에 고전압 유닛이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경사부(131)에 접촉하게 되면,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경사부(131)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고전압 유닛(110)을 하방의 경사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렇게 고전압 유닛(110)이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경사부(131)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면서 이동하게 될 때, 고전압 유닛(110)이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해치(120)를 누르게 된다.
결국, 고전압 유닛(11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체결부재(122)의 체결력이 해제되면서 해치(120)가 하방으로 열리게 되고, 해치(120)가 열리면서 고전압 유닛(110)은 배출구(104)를 통해 차체 외부로 배출되는 바, 고전압 유닛(110)이 차체 하부에서 전방의 리어시트(101)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리어시트 및 탑승자가 전방 이동하는 고전압 유닛(110)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탑승자 보호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차체 하부에 해치(120a,120b)를 구비하여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110)을 차량(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연장된 플로어 패널 부분에 고전압 유닛(110)을 차량(100) 외부(차체 하측)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04)에는 힌지부(121a,121b)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배출구(104)를 열어주는 해치(120a,120b)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치(120a,120b) 위로 고전압 유닛(110)이 탑재되며, 상기 해치(120a,120b)가 고전압 유닛(110)이 탑재되는 유닛장착부가 된다.
또한 고전압 유닛(110) 및 배출구(104), 해치(120a,120b) 상측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에서 플로어 패널(102)로 연결되는 전방 부분에는 전방 이동하려는 고전압 유닛(110)을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하방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부(131)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131)는 하측의 플로어 패널(102)과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해치는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해치(120a,12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양측의 두 해치(120a,120b)가 힌지부(121a,121b)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배출구(104)를 열어주는 구조, 즉 양문 개폐 구조가 된다.
여기서, 상기 각 해치(120a,120b)의 힌지부 구조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해치(120a)와 해치(120b), 해치(120a,120b)와 플로어 패널(102)의 배출구(104) 사이에는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부재(122)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치(120a,120b) 위로 고전압 유닛(110)이 탑재되고, 상기 해치(120a,120b)가 열리면서 고전압 유닛(110)이 낙하하여 배출구(104)를 통해 차량(100)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인 바, 해치(120a,120b)가 체결부재(122)에 의해 체결된 상태 및 고전압 유닛(110)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고전압 유닛(110)의 무게 및 주행 중 진동으로 가해지는 하방향 하중에 의해서는 절대 체결부재(122)가 해제되거나 이로 인해 해치(120a,120b)가 열리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체결부재(122)의 강성 및 체결력이 적절히 고려되어야 한다.
즉,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시 고전압 유닛(110)이 가이드 플레이트(130)에 접촉함과 동시에 수직 하방으로 누르는 일정 수준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상기 체결부재(122)의 체결력이 해제되고 이에 해치(120a,120b)가 열릴 수 있도록 체결부재(122)의 강성 및 체결력이 설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하, 제2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100)에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이 발생하면, 고전압 유닛(110)의 후면부에 전방으로의 외력(충돌력)이 가해지고, 이 외력에 의해 해치(120a,120b) 위의 고전압 유닛(110)이 전방으로 밀리는 동시에 가이드 플레이트(130)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외력이 고전압 유닛(110)에 가해짐과 동시에 고전압 유닛(110)이 가 이드 플레이트(130)의 경사부(131)에 접촉하게 되면, 고전압 유닛(110)의 접촉부가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경사부(131)에 의해 경사방향으로 안내되면서 하방으로 고전압 유닛(110)을 가압하는 큰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고전압 유닛(110)은 해치(120)를 일정 수준 이상의 하방향 하중으로 눌러주게 된다.
결국, 체결부재(122)의 체결력이 해체되면서 해치(120a,120b)가 열리게 되고, 이에 고전압 유닛(110)은 배출구(104)를 통해 아래로 낙하하여 차량(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고전압 유닛(110)이 차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리어시트(101) 및 탑승자는 고전압 유닛(110)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탑승자 보호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110)을 리어시트(101)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1) 하측으로 고전압 유닛(110)이 이동할 수 있는 별도 공간인 수용부(106)가 형성되며, 또한 리어시트(101) 하측으로 고전압 유닛(110)을 상기 수용부(106)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상기 수용부(106)의 상측 및 플로어 패널(102)의 유닛장착부(103)에 탑재된 고전압 유닛(1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차량(100)에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이 발생하면, 고전압 유닛(110)의 후면부에 전방으로의 외력(충돌력)이 가해지고, 이 외력에 의해 고전압 유 닛(110)이 플로어 패널(102) 위에서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전방으로 이동하는 고전압 유닛(110)은 가이드 플레이트(130)에 의해 안내되면서 리어시트(101) 하측으로 마련된 수용부(106)에 수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고전압 유닛(110)이 리어시트(101)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탑승자는 고전압 유닛(110)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에서 탑승자를 감전에 의한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고전압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차량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110)이 이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즉 전기적으로 접속된 고전압 커넥터의 파괴나 고전압 케이블(111)의 절단이 발생하고 탑승자가 고전압에 의해 감전되는 사고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고전압 유닛(110)으로부터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를 추가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케이블(111)이 리어시트(101) 하측, 보다 명확히는 리어시트(101) 하측에 마련된 수용부(106)와 고전압 유닛(110)이 탑재되는 유닛장착부(103) 하측을 통해 전후로 길게 연장 배치되고, 고전압 케이블(111)의 끝단에 설치된 케이블커넥터(112)가 고전압 유닛(110)의 후면부에 구비된 유닛커넥터(113)에 접속된다.
이때, 고전압 케이블(111)이 고전압 유닛(110)의 하측을 통해 후방으로 연장 된 상태에서 케이블커넥터(112)가 유닛커넥터(113)에 전방으로 삽입되어 접속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전압 케이블(111)이 플로어 패널(102) 하측을 통과하는 경우, 케이블커넥터(112) 또는 케이블(111)이 플로어 패널(102)에 형성된 통공(102a)을 통과하여 고전압 유닛(110)에 접속되도록 한다.
도시된 구조에서 차량(100)의 후방 충돌이 발생하고 플로어 패널(102) 위의 고전압 유닛(110)이 전방으로 밀려 리어시트(101) 하측으로 이동하면, 전기적으로 접속된 케이블커넥터(112)가 유닛커넥터(113)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고전압 유닛(110)으로부터 고전압 케이블(111)이 완전 분리되는 바, 커넥터 파괴나 케이블 절단 없이 고전압 유닛(110) 내 배터리의 고전력이 케이블(111)에 흐르지 않고 완전 차단된다.
첨부한 도 8은 고전압 유닛을 2개의 서브유닛으로 분리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충돌시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2개의 서브유닛(110a,110b) 중 어느 하나만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유닛은 차량(100) 내 후방에서 각각 좌우로 배치되는 2개의 서브유닛(110a,110b)으로 분리 구성되며, 각 서브유닛(110a,110b)은 2차 배터리(고전압 배터리)를 가지는 바, 두 서브유닛(110a,110b) 간(두 서브유닛의 배터리 간)에는 중간커넥터(114)로 연결된다.
또한 각 서브유닛(110a,110b)에 연결되는 고전압 케이블(111) 및 그 연결상태, 커넥터 연결 구조(케이블커넥터와 유닛커넥터의 접속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없다.
단, 2개의 서브유닛(110a,110b)이 구비되므로 2개의 고전압 케이블(111a,111b))이 연결되는 점이 다르고, 각 서브유닛(110a,110b)에 고전압 케이블(111a,111b)이 케이블커넥터(112a,112b)와 유닛커넥터(113a,113b)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차량(100)의 후방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위치에 따라 두 서브유닛(110a,110b) 중 하나만이 충돌하중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방 이동이 가능하고, 전방 이동된 서브유닛이 리어시트(101) 하측의 수용부(106)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두 서브유닛(110a,110b) 간을 접속하고 있는 중간커넥터(114)가 분리되고, 두 서브유닛(110a,110b)이 서로 분리되는 동시에, 전방 이동하는 서브유닛(110b)의 유닛커넥터(113b)로부터 해당 케이블커넥터(112b)가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충돌에 의해 전방 이동되는 서브유닛(110b)이 리어시트(101)를 타격하지 않으므로 탑승자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파괴나 케이블 절단 없이 커넥터가 쉽게 분리되면서 전방 이동된 배터리의 고전력이 케이블에 흐르지 않고 완전 차단될 수 있으며, 고전력에 탑승자가 감전되어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탑승자 보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이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고전압 유닛의 배치상태 및 후방 충돌시 고전압 유닛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 배출구와 해치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탑승자 보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탑승자 보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에서 탑승자를 감전에 의한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고전압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고전압 유닛을 2개의 서브유닛으로 분리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 103 : 유닛장착부
104 : 배출구 106 : 수용부
110 : 고전압 유닛 120 : 해치
130 : 가이드 플레이트 131 : 경사부

Claims (14)

  1. 차량 구동용 2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유닛이 탑재된 유닛장착부의 상측으로 가이드 플레이트가 차체에 설치되어, 차량 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고전압 유닛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어서 리어시트 하측 또는 차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닛장착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는 고전압 유닛을 차체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플로어 패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차량 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고전압 유닛을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 접촉된 고전압 유닛이 하방으로 눌려지면서 상기 배출구를 향 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닫힘상태로 유지되는 해치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부에 의해 눌려지는 고전압 유닛이 상기 해치에 하방으로 하중을 가하게 될 때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해치가 하방으로 열리면서 고전압 유닛이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해치의 테두리부 전 둘레에 걸쳐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로부터 상기 해치의 틈새를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양면에 해치의 테두리부와 배출구의 테두리부가 각각 삽입되는 요홈을 가진 단면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유닛장착부 전방의 플로어 패널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전압 유닛이 상기 유닛장착부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한 뒤 상기 배출구를 통해 차체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치 위로 고전압 유닛이 탑재되어, 상기 고전압 유닛이 하방으로 누르는 하중에 의해 상기 해치가 열리면서 상기 고전압 유닛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시트 하측으로 유닛장착부의 고전압 배터리가 이동하여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차량 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는 상기 고전압 유닛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어서 상기 수용부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유닛에 연결되는 고전압 케이블이 커넥터를 통해 고전압 유닛의 후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고전압 유닛이 차량 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커넥터가 분리되면서 고전압 케이블이 고전압 유닛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플로어 패널 하측에서 전후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 또는 그 끝단의 케이블 커넥터가 플로어 패널의 통공을 통과한 뒤 상기 고전압 유닛의 후면부에 구비된 유닛커넥터에 전방으로 접속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고전압 유닛의 전방 이동시 상기 커넥터 간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유닛이 좌우로 배치되는 2개의 서브유닛으로 분리 구성되며, 차량 후방 충돌시 상기 2개의 서브유닛 중 충돌위치에 따른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외력에 의해 이동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어서 상기 리어시트 하측 또는 차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유닛에 연결되는 고전압 케이블이 커넥터를 통해 각 서브유닛의 후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각 서브유닛이 차량 후방 충돌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커넥터가 분리되면서 고전압 케이블이 각 서브유닛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리어시트 하측 또는 차체 하측으로 이동할 때, 이동하는 서브유닛이 상기 2개의 서브유닛 간을 연결하고 있는 중간커넥터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2개의 서브유닛이 서로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KR1020090052570A 2009-06-12 2009-06-12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KR10147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570A KR101470023B1 (ko) 2009-06-12 2009-06-12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570A KR101470023B1 (ko) 2009-06-12 2009-06-12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36A KR20100133836A (ko) 2010-12-22
KR101470023B1 true KR101470023B1 (ko) 2014-12-05

Family

ID=4350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570A KR101470023B1 (ko) 2009-06-12 2009-06-12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7252A (zh) * 2015-07-14 2017-01-2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694A (ja) * 1993-03-22 1994-09-27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キャリア支持構造
JPH06270697A (ja) * 1993-03-19 1994-09-27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補機部品配置構造
JPH07323737A (ja) * 1994-05-31 1995-12-1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04262413A (ja) * 2003-03-04 2004-09-24 Fuji Heavy Ind Ltd バッテリ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697A (ja) * 1993-03-19 1994-09-27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補機部品配置構造
JPH06270694A (ja) * 1993-03-22 1994-09-27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キャリア支持構造
JPH07323737A (ja) * 1994-05-31 1995-12-1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04262413A (ja) * 2003-03-04 2004-09-24 Fuji Heavy Ind Ltd バッテリの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7252A (zh) * 2015-07-14 2017-01-2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36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698B2 (en)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
US10242835B2 (en) Harness holder, power equipment unit, and vehicle
KR101877863B1 (ko) 자동차
CN103847533B (zh) 电力驱动车辆的充电单元结构
US10434861B2 (en) Power equipment unit and vehicle
JP5704233B2 (ja) 車両用機器搭載構造
CN107546346B (zh) 车载用蓄电池
JP5617200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30119757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10707247B (zh) 蓄电池壳体和具有蓄电池壳体的机动车
CN110635077A (zh) 结构构件、电池壳体和具有这种电池壳体的机动车
KR101470023B1 (ko) 고전압 유닛으로부터의 탑승자 보호 구조를 구비한 차량
JP3997561B2 (ja) 車両駆動等に用いられるバッテリの搭載装置
WO2013099458A1 (ja) 車両
JP6531460B2 (ja) 車両のバッテリパックの保護構造
KR101242153B1 (ko) 철도차량의 배터리 이탈방지용 트레이
KR102024000B1 (ko) 에어백 인플레이터 강제 수중 폭파 장치
JP4506675B2 (ja) バッテリの搭載装置
JP2012254690A (ja) 車両のバッテリ装置
WO2021220028A1 (ja) 電気自動車のディスコネクトプラグ構造
JP7483793B2 (ja) 車両の高電圧装置搭載構造
CN220909420U (zh) 车门铰链组件及车辆
CN215220859U (zh) 电池仓门及充电柜
JP7183935B2 (ja) 車両機器の搭載構造
JP2024055229A (ja) 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