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553B1 - 고출력 방전등 - Google Patents

고출력 방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553B1
KR101469553B1 KR1020120013784A KR20120013784A KR101469553B1 KR 101469553 B1 KR101469553 B1 KR 101469553B1 KR 1020120013784 A KR1020120013784 A KR 1020120013784A KR 20120013784 A KR20120013784 A KR 20120013784A KR 101469553 B1 KR101469553 B1 KR 10146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scharge
discharge tubes
tube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202A (ko
Inventor
강성진
강성석
Original Assignee
강성진
강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진, 강성석 filed Critical 강성진
Priority to KR102012001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553B1/ko
Priority to CN201380006699.6A priority patent/CN104081495A/zh
Priority to PCT/KR2013/001066 priority patent/WO2013119087A1/ko
Publication of KR2013009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7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형태의 단위 방전관이 별도의 연통로 관에 의하여 하나로 연통되기 때문에, 발광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유지ㆍ보수가 용이하고, 제조 및 유지ㆍ보수를 위한 비용이 저렴한 고출력 방전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출력 방전등{HIGH OUTPUT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고출력 방전등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형태의 방전관을 별도의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발광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와 유지ㆍ보수가 용이하고, 이 제조와 유지ㆍ보수를 위한 비용 또한 저렴한 고출력 방전등에 관한 것이다.
방전등은 각종의 조명설비에 널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방전등은 석영이나 유리 등 투광재료로 이루어진 방전관을 갖는데, 이 방전관의 내부에는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수은증기, 버퍼가스 등의 방전가스가 봉입된다. 외부로부터의 전력이 안정기를 통하여 방전등에 공급되면, 방전관의 내부에서는 방전가스에 의하여 방전이 이루어져 플라즈마가 생성되고, 이 플라즈마에 의하여 자외선, 가시관선 등이 방출된다. 방전등의 일종인 형광등은 방전관의 내부에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플라즈마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자극됨으로써 외부로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현재, 여러 형태의 방전등이 용도에 따라 제안되어 있다. 특히, 천장이 높은 공장, 창고 등에 적용되는 산업용 조명으로는 기다란 나선형 방전등, 여러 개의 U자형 방전관을 이어 붙인 형태의 방전등, 동일한 직경에 더블피치의 나선을 채용한 나선형 방전등 2개를 직각으로 조립한 형태의 방전등, U자형 방전관 여러 개를 이어 붙인 형태의 방전등 2개를 조립한 조립체를 하나의 안정기로 동작시키는 형태의 방전등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전까지의 방전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선형 방전등의 경우에는 방전관이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길어지면 제조 시에 불량률이 높아지면서 비용이 과도하게 상승된다. U자형 방전관 여러 개를 이어 붙인 방전등의 경우에는 이어 붙이는 공정이 증가할수록 불량 발생확률이 높아지고 내부의 진공도가 불충분하거나 방전가스가 불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나선형 또는 U자형 방전관을 조립한 조립체를 하나의 안정기로 동작시키는 방전등의 경우에는 언급한 문제들을 다소 경감시킬 수는 있겠으나, 사용수명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인자 중 하나인 필라멘트와 실링부의 수가 증가되면서 제조 및 사용과정에서의 불량 발생비율이 높고 사용수명이 단축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발광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를 비롯하여 유지ㆍ보수가 용이하고, 제조와 유지ㆍ보수를 위한 비용이 저렴한 고출력 방전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방전관을 별도의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긴 방전관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발광 성능을 발휘하는 고출력 방전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방전관의 일측을 서로 이어 붙여 연결하지 않고,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방전관들을 조립, 연결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및 유지ㆍ보수할 수 있는 고출력 방전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방전관 및 이들 방전관을 하나의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방전관들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관 삽입구를 갖는 커넥팅 하우징과; 상기 관 삽입구들 중 어느 둘에 각각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결합된 두 관 삽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관 삽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방전관들을 하나로 연통시키는 연통로 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로 관 및 상기 연통로 관으로 연통된 방전관들에 의하여 형성된 하나의 밀폐된 내부공간에는 방전가스가 봉입된 고출력 방전등이 제공된다.
상기 방전관은 U자형 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방전관은 선형 관이고, 상기 커넥팅 하우징은 두 개가 구비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방전관들은 상기 두 커넥팅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두 커넥팅 하우징의 관 삽입구들에 양쪽 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하우징은 선형이고, 상기 관 삽입구들은 상기 커텍팅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커넥팅 하우징은 고리형이고, 상기 관 삽입구들은 상기 커텍팅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통로 관은 상기 적어도 두 관 삽입구에 각각 일단부가 삽입되는 관형부재와; 상기 관형부재들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통로 관은 상기 관형부재가 두 개 구비되어 상기 관 삽입구에 삽입된 방전관을 두 개씩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에는 대류에 의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쪽의 끝이 각각 개방된 복수 개의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들 중 어느 둘의 개방된 한쪽 끝에 각각 결합되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방전관들 중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결합된 두 끝을 제외한 나머지의 개방된 끝에 결합되어 상기 방전관들을 하나의 관으로 연결, 연통시키는 연통로 관을 포함하되, 상기 연통로 관은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결합된 두 끝을 제외한 나머지의 개방된 끝에 상기 연통로 관의 개방된 연통로 관 끝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통로 관 및 상기 연통로 관으로 연통된 방전관들에 의하여 형성된 하나의 내부공간에는 방전가스가 봉입된 고출력 방전등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방전관은 두 나선형 관을 갖되, 상기 두 나선형 관은 서로의 피치공간에 끼워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한쪽 끝이 상기 연통로 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전관은 대직경 나선형 관과; 상기 대직경 나선형 관의 중앙에 배치되며 한쪽 끝이 상기 연통로 관에 의하여 상기 대직경 나선형 관의 한쪽 끝에 연결된 소직경 나선형 관을 가질 수 있다. 즉, 이는 상기 방전관이 상기 내측의 소직경 나선형 관과 외측의 대직경 나선형 관에 의하여 내외의 이중 구조를 갖게 한 것이다.
상기 방전가스는 네온, 수은, 아르곤, 나트륨, 또는 이들 배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관의 내벽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방전관이 별도의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보아 하나의 기다란 방전관의 구조를 가지므로 한층 향상된 발광 성능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전관들의 일측을 서로 이어 붙이는 식으로 연결하는 종래와 달리, 방전관들을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조립식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한 데다,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종래의 이어 붙이는 식으로는 제공할 수 없었던 길이의 방전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 및 기능에 맞춘 여러 형태의 방전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에 적용되는 전극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에 적용 가능한 다른 형태의 방전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의 구성요소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따라서,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은 복수의 방전관(100)이 연결부재(200)에 의하여 조립,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이면서 일자형으로 형성된 방전관(100)은 연결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연결부재(210)의 하우징에 마련된 관 삽입구(211) 및 연결부재(200)를 구성하는 제2 연결부재(220)의 하우징에 마련된 관 삽입구(221)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제1 연결부재(210)의 하우징 및 제2 연결부재(220)의 하우징에는 복수의 방전관(100)을 각각 삽입할 수 있게 관 삽입구(211,221)가 복수 개씩 구비된다. 참고로, 제1 연결부재(210)의 하우징과 제2 연결부재(220)의 하우징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기다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관 삽입구(211,221)는 두 하우징의 대향하는 내측에 각각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10)의 관 삽입구(211)들 중 도면에서 보아 제1 연결부재(210)의 하우징의 하단과 가장 근접하도록 위치된 최하측의 관 삽입구, 그리고 제2 연결부재(220)의 관 삽입구(221)들 중 도면에서 보아 제2 연결부재(220)의 하우징의 상단과 가장 근접하도록 위치된 최상측의 관 삽입구에는 각각 전극을 갖는 전극 어셈블리(213,22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210)의 관 삽입구(211)들 중 전극 어셈블리(213)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관 삽입구(도면에서 보아 최하측의 관 삽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관 삽입구)에는 연통로 관(212)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재(220)의 관 삽입구(221)들 중에도 전극 어셈블리(223)가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에는 연통로 관(도 4의 도면부호 222 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대향하는 두 하우징은 내측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외측에 전극 어셈블리(223) 및 연통로 관(212,222)를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1 연결부재(210)의 연통로 관(212) 및 제2연결부재(220)의 연통로 관(222)은 관 삽입구(211,221)에 양단부가 삽입된 방전관(100)들을 서로 연통시켜서, 전체적으로 볼 때, 방전관(100)들과 함께 하나의 연결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연결부재(210)의 연통로 관(212)은 제1 연결부재(210)의 서로 이웃한 두 관 삽입구(211)에 각각 일단부가 삽입되는 관형부재 및 이 두 관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된 연통부재를 포함하되, 연통부재는 내부에 두 관형부재를 연통시키는 연통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2 연결부재(220)의 연통로 관(222)도 제1 연결부재(210)의 연통로 관(212)과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의 관 삽입구(211,221)에 방전관(100)들의 양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제1 연결부재(210)의 관 삽입구(211)들을 연통로 관(212)에 의하여 연결함과 아울러, 제2 연결부재(220)의 관 삽입구(221)들도 연통로 관(222)에 의하여 연결하면, 방전관(100)들은 서로 연통되면서 연통로 관(212,222)과 함께 지그재그 구조로 연결된 하나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도 4는 제1 연결부재(210)의 하우징과 제2 연결부재(220)의 하우징을 구비하지 않고 복수의 방전관(100)에 연통로 관(212,222)과 전극 어셈블리(213,223)를 직접 결합함으로써, 방전관(100)들이 연통되어 전체적으로 하나로 연결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에 대한 개요가 도시된 것이다.
도 5는 방전관(100)으로서 U자형 방전관을 적용하고, U자형 방전관(100)에 연통로 관(212)과 전극 어셈블리(213,223)를 직접 결합함으로써, U자형 방전관(100)들이 연통되어 전체적으로 하나로 연결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에 대한 개요가 도시된 것이다. 이 때, U자형 방전관(100)의 연통에는 U자형 방전관(100)의 형상적 특성으로 인하여 양쪽의 연통로 관(212,222)이 모두 이용되지 않고 한쪽의 연통로 관(212)만이 이용된다. 전극 어셈블리(213,223)는 연통로 관(212)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 U자형 방전관(100)의 양쪽 끝(도면에서 보아 최상측과 최하측에 위치한 양쪽 끝)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U자형 방전관(100)들의 연통에는 연결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연결부재(210)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의 구성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방전관(100)은 투명재료로 이루어진다. 연통된 방전관(100)에 의한 내부공간에는 나트륨, 네온, 수은, 아르곤, 크립톤 또는 이들 배합물의 방전가스가 봉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전가스로는 수은증기와 함께 아르곤, 크립톤 등의 불활성기체가 이용된다. 물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수은과 다른 금속의 합금인 아말감이 봉입될 수 있다. 방전관(100)의 내벽은 알루미나 등의 보호막 및/또는 형광물질로 피복될 수 있다.
위에서는 연통로 관(212,222)이 방전관(100)의 이웃한 두 끝을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하나의 연통로 관(212,222)에 의하여 방전관(100)의 이웃한 셋 이상의 끝을 연결하는 것고 가능하겠다. 참고로, 연통로 관(212,222)에 의한 방전관(100)의 연결은 연결부에 대한 실링 또는 접착구조나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로 관(212,222)을 포함한 연결부재(200)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투명의 유리나 세라믹으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연결부재(200)는 그 하우징에 대류에 의한 열 방출을 돕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완전한 밀폐형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배기구의 위치는 도면에서 보아 하우징의 상부일 수 있도 있고 기타 배기에 유리한 다른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방전관(100)들이 단순히 평면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방전관(100)의 배치구조는 만곡한 호형, S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은 복수의 방전관(100)(단위 방전관)을 별도의 연결부재(200)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기다란 방전관을 형성하기 때문에, 복수의 방전관(100)을 서로 이어 붙이는 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가 용이한 데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및 유지ㆍ보수할 수가 있고, 한층 향상된 발광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을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은 연결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연결부재(210)와 제2 연결부재(220)의 하우징이 각각 고리형 구조를 갖는다. 제1 연결부재(210)와 제2 연결부재(220)의 하우징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원통형이면서 일자형으로 형성된 방전관(100)은 제1 연결부재(210)의 하우징에 마련된 관 삽입구(211) 및 연결부재(200)를 구성하는 제2 연결부재(220)의 하우징에 마련된 관 삽입구(221)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관 삽입구(211,221)는 두 하우징의 대향하는 내측에 각각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전극 어셈블리(213,223)는 제1 연결부재(210)의 이웃한 두 관 삽입구(211) 또는 제2 연결부재(220)의 이웃한 두 관 삽입구(22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는 기타 구성 및 그 작용효과가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도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전관(100)들이 연통로 관(212,222)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면 전체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에 적용되는 전극 어셈블리(213,22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어셈블리(213,223)는 결합바디 및 결합바디에 관통된 두 전극으로 구성된다. 방전관(10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바디는 끼움결합이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극 어셈블리(213,223)는 관 삽입구(211,221)에 결합될 수도 있고 방전관(10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전극 어셈블리(213,223)의 결합바디는 관 삽입구(211,221)나 방전관(100)의 끝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전극 어셈블리(213,223)의 결합바디의 결합은 결합부에 대한 실링 또는 접착구조나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어셈블리(213,223)의 두 전극은 연통된 방전관(100)들에 의한 내부공간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가 필라멘트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두 전극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끝 부분은 외부의 안정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방전등에 적용 가능한 다른 형태의 방전관을 나타내는바, 대직경 나선형 관, 대직경 나선형 관의 중앙에 배치되며 한쪽 끝이 연통로 관에 의하여 대직경 나선형 관의 한쪽 끝에 연결된 소직경 나선형 관을 갖는 방전관을 예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형 관을 갖는 방전관을 적용하면, 길이방향의 부피 증가 없이 방전관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콤팩트하면서 발광 성능이 우수한 방전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0 : 방전관
200 : 연결부재
210 : 제1 연결부재
220 : 제2 연결부재
211,221 : 관 삽입구
212,222 : 연통로 관
213,223 : 전극 어셈블리

Claims (10)

  1. 복수 개의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들을 하나로 연통시키고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방전관들의 양쪽 단부가 한쪽 방향에서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 삽입구를 가져 상기 관 삽입구들에 삽입된 방전관들을 지지하는 커넥팅 하우징과;
    상기 관 삽입구들 중 어느 둘에 다른 쪽 방향에서 각각 결합되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결합된 두 관 삽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관 삽입구에 다른 쪽 방향에서 결합되어 상기 관 삽입구들에 삽입된 방전관들을 하나로 연통시키는 연통로 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로 관 및 상기 연통로 관으로 연통된 방전관들에 의하여 형성된 하나의 내부공간에는 방전가스가 봉입된,
    고출력 방전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관은 U자형 관인 고출력 방전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관은 선형 관이고,
    상기 커넥팅 하우징은 두 개가 구비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방전관들은 상기 두 커넥팅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두 커넥팅 하우징의 관 삽입구들에 양쪽 단부가 각각 삽입된 고출력 방전등.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하우징은 선형이고,
    상기 관 삽입구들은 상기 커넥팅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고출력 방전등.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하우징은 고리형이고,
    상기 관 삽입구들은 상기 커넥팅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고출력 방전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 관은,
    상기 적어도 두 관 삽입구에 각각 일단부가 삽입되는 관형부재와;
    상기 관형부재들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통부재를 포함하는 고출력 방전등.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 관은 상기 관형부재가 두 개 구비되어 상기 관 삽입구에 삽입된 방전관을 두 개씩 연결하는 고출력 방전등.
  8. 양쪽의 끝이 각각 개방된 복수 개의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들 중 어느 둘의 개방된 한쪽 끝에 각각 결합되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방전관들 중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결합된 두 끝을 제외한 나머지의 개방된 끝에 개방된 연통로 관 끝이 이어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방전관들을 하나의 관으로 연결, 연통시키는 연통로 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로 관 및 상기 연통로 관으로 연통된 방전관들에 의하여 형성된 하나의 내부공간에는 방전가스가 봉입된,
    고출력 방전등.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전관은,
    대직경 나선형 관과;
    상기 대직경 나선형 관의 중앙에 배치되며 한쪽 끝이 상기 연통로 관에 의하여 상기 대직경 나선형 관의 한쪽 끝에 연결된 소직경 나선형 관을 갖는 고출력 방전등.
  10. 삭제
KR1020120013784A 2012-02-10 2012-02-10 고출력 방전등 KR10146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84A KR101469553B1 (ko) 2012-02-10 2012-02-10 고출력 방전등
CN201380006699.6A CN104081495A (zh) 2012-02-10 2013-02-12 高输出放电灯
PCT/KR2013/001066 WO2013119087A1 (ko) 2012-02-10 2013-02-12 고출력 방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84A KR101469553B1 (ko) 2012-02-10 2012-02-10 고출력 방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02A KR20130092202A (ko) 2013-08-20
KR101469553B1 true KR101469553B1 (ko) 2014-12-18

Family

ID=4894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784A KR101469553B1 (ko) 2012-02-10 2012-02-10 고출력 방전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69553B1 (ko)
CN (1) CN104081495A (ko)
WO (1) WO201311908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306A (ja) * 2004-09-01 2006-03-1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JP2009099477A (ja) 2007-10-19 2009-05-07 Osram-Melco Ltd 蛍光ランプ
JP2010146963A (ja) 2008-12-22 2010-07-01 Hitachi Display Devices Ltd 冷陰極放電管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3549A (ja) * 1984-12-03 1986-06-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螢光ランプ
KR19990037592U (ko) * 1998-03-10 1999-10-15 최근대 단일 방전회로를 갖는 복열식 직관형광등구
JP2003168389A (ja) * 2001-11-30 2003-06-13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電ランプ
CN1191487C (zh) * 2002-02-26 2005-03-02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背光模块
JP2006100065A (ja) * 2004-09-29 2006-04-13 Sanken Electric Co Ltd 蛍光放電管装置
JP2007035372A (ja) * 2005-07-25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電ランプ、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113962B2 (ja) * 2006-09-13 2008-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202469896U (zh) * 2012-02-29 2012-10-03 绍兴天香照明电器有限公司 带灯管保护套的节能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306A (ja) * 2004-09-01 2006-03-1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JP2009099477A (ja) 2007-10-19 2009-05-07 Osram-Melco Ltd 蛍光ランプ
JP2010146963A (ja) 2008-12-22 2010-07-01 Hitachi Display Devices Ltd 冷陰極放電管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81495A (zh) 2014-10-01
WO2013119087A1 (ko) 2013-08-15
KR20130092202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97834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783207B1 (ko) 외부 전극들을 포함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 및그러한 램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JP2005123200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US7205712B2 (en) Spira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101469553B1 (ko) 고출력 방전등
JP4853580B1 (ja) 複数本の発光管を有するセラミック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KR100519557B1 (ko) 다중관 전극 형광 램프
CA2688257C (en) High pressure sodium lamp
KR101365633B1 (ko) 방전램프
JP5552936B2 (ja) 外球保護構造を備えたセラミック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ATE455364T1 (de) Fluoreszenzlampe und beleuchtungseinrichtung
JP2007141612A (ja) 冷陰極蛍光放電管及び面光源装置
JPS6212050A (ja) 蛍光ランプ
KR100453247B1 (ko) 평판형 형광램프
JP2006100030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US8502482B1 (en) Compact induction lamp
JP2005123201A (ja) 電球形蛍光ランプ装置
JP2010272335A (ja) 蛍光ランプ
JP2013527587A (ja) 発光管末端部に塩プール収容部を有する小型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TW200701294A (en) Flat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JP2002110028A (ja) 環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4362812A (ja) 蛍光ランプ、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4006140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S61142656A (ja) 螢光ランプ
JP2005123202A (ja) 電球形蛍光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