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633B1 - 방전램프 - Google Patents

방전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633B1
KR101365633B1 KR1020120013783A KR20120013783A KR101365633B1 KR 101365633 B1 KR101365633 B1 KR 101365633B1 KR 1020120013783 A KR1020120013783 A KR 1020120013783A KR 20120013783 A KR20120013783 A KR 20120013783A KR 101365633 B1 KR101365633 B1 KR 10136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llast
discharge tube
cov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201A (ko
Inventor
강성진
강성석
Original Assignee
강성석
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1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633B1/ko
Application filed by 강성석, 강성진 filed Critical 강성석
Priority to RU2014134971A priority patent/RU2014134971A/ru
Priority to AU2013217825A priority patent/AU2013217825A1/en
Priority to MX2014009632A priority patent/MX2014009632A/es
Priority to JP2014556482A priority patent/JP2015513173A/ja
Priority to CN201380006680.1A priority patent/CN104081117A/zh
Priority to BR112014019855A priority patent/BR112014019855A2/pt
Priority to CA2864319A priority patent/CA2864319A1/en
Priority to IN1782MUN2014 priority patent/IN2014MN01782A/en
Priority to PCT/KR2013/001065 priority patent/WO2013119086A1/ko
Priority to EP13746760.1A priority patent/EP2813756A4/en
Publication of KR2013009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633B1/ko
Priority to PH12014501803A priority patent/PH12014501803A1/en
Priority to US14/456,088 priority patent/US20140346943A1/en
Priority to ZA2014/06564A priority patent/ZA201406564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2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Means for circulating gas or vapour within the discharge space
    • H01J61/523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15Thermal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4Double-wall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전램프는 방전관, 상기 방전관에 의해 정의되는 내측 공간에 구비되어 안정기를 수용하는 안정기하우징, 상기 방전관을 감싸는 커버, 상기 안정기하우징에 연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방전관의 열이 상기 안정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단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전램프{DISCHARGE LAMP}
본 발명은 방전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전램프는 각종 조명설비에 널리 사용되며, 그 구조를 살펴보면 유리 또는 석영 등의 투광재료로 형성된 투광성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안정기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방전관의 내부는 방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수은 증기 및 버퍼가스 등의 방전가스가 충진된다.
방전램프의 구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상기 안정기를 통하여 상기 방전관으로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방전관 내부의 방전가스의 방전을 통해 플라즈마가 생성되고,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등이 방출된다.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방전램프가 개발되었는데, '전구용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위 전구형 방전램프도 그 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전술한 전구형 방전램프는 백열전구에 비하여 그 길이가 매우 길어지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백열전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수명과 높은 효율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에 있어서 제약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92938호에 따른 '컴팩트형 방전램프'가 제안되었다. 상기 컴팩트형 방전램프를 살펴보면 소정 길이의 방전관이 절곡되어 그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안정기하우징을 구비하여 방전램프 전체의 길이 및 부피를 줄이고자 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컴팩트형 방전램프는 방전관에서 발생하는 열이 안정기로 곧바로 전달되어 안정기의 온도가 빠르게 매우 높은 온도로 상승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백열전구를 커버식 전구식 형광등으로 대체하는 경우에 백열전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램프의 수요가 요구되었다. 예를 들면, 전통적인 백열전구 모양인 A형, 전체적으로 동그란 모양을 가지는 G형, 반사경을 내장하는 R형 및 Par형 등과 같은 형상에 대한 요구가 있었으며 이외에도 커버식 전구식 형광등으로 다양한 형상이 제공되길 바라는 요구가 있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전술한 다양한 형상의 요구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비슷한 모양은 제공하지만, 전체 부피가 매우 커지고 투박한 구성을 제공하며 나아가 안정기 하우징을 구비하는 경우에 안정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아랫부분 쪽으로 빛이 조사되지 않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또한, 커버를 구비하는 경우에 커버 내부에서 방전관의 온도가 매우 높아지는 경우에 안정기의 온도가 함께 상승하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나아가, 커버 내부의 높은 방전관 온도로 인하여 상승하는 고온의 수은 증기압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인듐 계열의 고온용 아말감을 사용해야 하는데, 상기 고온용 아말감은 실온에서 낮은 증기압으로 인하여 점등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얇은 박판 또는 그물 형태의 몰리브덴 모재에 인듐을 얇게 입힌 보조 아말감을 사용해야 하는 등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 역시 수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전램프의 길이 및 부피를 줄이면서도 방전관에서 방출되는 열이 안정기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전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전램프의 길이 및 부피를 줄이면서도 방전램프를 조립하는 경우에 그 조립에 걸리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전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가의 고온용 아말감과 보조 아말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밝기 및 점등 속도 면에서 종래에 비하여 현저한 성능을 가지는 방전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전관, 상기 방전관에 의해 정의되는 내측 공간에 구비되어 안정기를 수용하는 안정기하우징, 상기 방전관을 감싸는 커버, 상기 안정기하우징에 연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방전관의 열이 상기 안정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단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수단은 상기 안정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방전관과 상기 안정기하우징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열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열하우징과 상기 안정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하우징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단열하우징은 상기 안정기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단열하우징과 상기 제1 단열하우징과 연결되는 제2 단열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기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제1 안정기하우징과 상기 제1 안정기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안정기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단열하우징은 상기 제1 안정기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단열하우징과 상기 제1 단열하우징과 연결되는 제2 단열하우징을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전관에서 상기 안정기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단열하우징과 상기 안정기하우징 사이의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단열하우징과 상기 안정기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상기 단열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단열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는 제2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단열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연통홀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상기 방전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정기하우징에는 상기 제1 고정부에 대응하여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의 단부는 그 두께가 단부를 향하여 감소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는 경우에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방전관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단열하우징의 일부에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는 제3 고정부를 구비하는 홀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단열하우징에 가압고정된다.
한편,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방전관의 빛이 외부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리브에는 결합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정기하우징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결합리브를 더 구비하여, 상기 커버를 조립하는 경우에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는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여 연결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에 연결되는 제2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제1 직경은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제2 직경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큰 방전관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방전램프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절곡된 방전램프의 내측에 안정기하우징을 구비하여 방전램프 전체의 길이 및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안정기하우징의 외측에 단열하우징을 구비하여 안정기하우징과 단열하우징 사이에 별도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방전관에서 방출되는 열이 안정기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나아가, 단열하우징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하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하고, 단열하우징의 타측에 커버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정기하우징과 단열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방전관에서 방출되는 열이 안정기하우징으로 전달되는 방지하여 방전램프를 장시간 켜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방전램프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단열하우징과 안정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방전램프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에 인접한 단열하우징과 안정기하우징 부분을 일체로 하여 조립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방전관을 고정하는 경우에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고정부를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방전관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접착 및 경과 공정이 배제되어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 공간과 설비 및 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커버를 제1 커버와 제2 커버로 분할하여 구비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며, 제1 커버와 제2 커버의 연결부의 직경을 제2 커버와 베이스의 연결부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크게 구비하여, 제2 커버와 베이스의 연결부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큰 방전관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단열하우징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하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하고, 단열하우징의 타측에 커버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전관의 일부가 커버와 연통하는 공간, 즉,상기 제2 개구부와 커버를 연결하는 공간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방전관의 해당부위의 온도가 커버 외부의 온도와 비슷하게 유지되는 냉점으로써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존의 커버식 방전램프에서 불가피하게 사용되어진 고온용 아말감의 사용과 이로 인한 방전관의 점등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용 아말감(예를 들어, 인듐 베이스의 박판 또는 그물 형태의 보조 아말감)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저렴한 저온용 아말감을 사용하여도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커버가 제외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방전관이 제외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사시도,
도 7은 제2 커버의 단면사시도 및
도 8은 제1 커버의 단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전램프(100)는 먼저 빛을 조사하는 방전관(1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관(10)은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나아가 소정 횟수로 절곡되어 구비되어 그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도 1에서는 방전관(10)이 나선형으로 절곡되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방전관(10)에 의해 정의되는 내측의 공간에는 안정기하우징(20, 도 2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안정기하우징(20)은 방전관(10)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미도시)를 수용하게 되며, 전술한 방전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방전관(10)과 안정기하우징(20)을 결합한 경우에 그 부피는 방전관(10)의 외측부피에 의해 결정되어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안정기하우징(20)에는 베이스(30)가 연결되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는 안정기하우징(2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0)는 소켓(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술한 안정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방전램프(100)는 방전관(1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4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40)는 방전관(1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비된다. 또한, 커버(40)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둘 이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기하우징(20)의 내부에는 안정기가 구비되며, 안정기는 방전관(10)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와 전해컨덴서를 비롯한 전자부품을 구비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부품의 수명과 안정성은 온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해액에 의해 그 특성이 좌우되는 전해컨덴서의 경우에 온도가 10도 상승하게 되면 수명이 대략 절반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자부품들은 온도가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오동작을 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고온의 상태에서 순간정전이 발생하거나 전압이 급격하게 변화하게 되면 반도체소자 또는 전해컨덴서의 오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방전램프의 부피를 줄여서 컴팩트한 방전램프를 구성하는 경우에 방전관에서 방출되는 열이 안정기 또는/및 안정기하우징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거나 그 전달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100)는 방전관(10)의 열이 안정기하우징(2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단열수단을 구비하는 바,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도 1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단열수단은 방전관(1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에 별도의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방전관(10)은 커버(40)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방전관(10)과 커버(40) 사이에는 공기층(이하, '제1 공기층'이라고 한다)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방전관(10)에서 방출되는 열은 상기 제1 공기층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공기층을 통한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공기층과 다른 공기층(이하, '제2 공기층'이라고 한다)으로 안정기하우징을 감싸도록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단열수단은 방전관(1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에 전술한 제1 공기층과 별개의 제2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단열수단은 안정기하우징(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방전관(1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열하우징(50)을 구비할 수 있다.
단열하우징(50)은 안정기하우징(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안정기하우징(20)의 표면을 최대한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방전관(1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에 별개의 공기층, 즉 제2 공기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방전관(10)에서 방출되는 열이 바로 안정기하우징(2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단열하우징(50)을 구비하게 되면, 방전관(10)과 안정기 사이에는 단열하우징(50), 제2 공기층 및 안정기하우징(20)의 3중 단열구조를 구비하게 되어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단열하우징(50)을 안정기하우징(20)과 별개로 구비하게 되면 단열하우징(50)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그 조립에 걸리는 시간 및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의 일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을 별도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정기하우징(20)은 베이스(30)에 연결되는 제1 안정기하우징(22)과 제1 안정기하우징(2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정기하우징(2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안정기하우징(22)을 베이스(30)와 연결하고 이어서, 제1 안정기하우징(22)에 제2 안정기하우징(24)을 연결하게 된다.
한편, 단열하우징(50)은 안정기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단열하우징(52)과 제1 단열하우징(52)과 연결되는 제2 단열하우징(54)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단열하우징(50)의 적어도 일부가 안정기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1 단열하우징(52)이 제1 안정기하우징(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30)에 연결되는 제1 안정기하우징(22)과 제1 단열하우징(5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을 조립하는 것이 매우 간편할 수 있다. 베이스(30)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안정기하우징(22)과 제1 단열하우징(52)을 연결한 다음, 제1 안정기하우징(22)과 제1 단열하우징(52)의 상부에 각각 제2 안정기하우징(24)과 제2 단열하우징(54)을 연결하면 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 4는 도 1에서 커버가 제외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방전관이 제외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방전관(10)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 횟수로 절곡되어 그 내측에 안정기하우징(20)을 구비한다. 결국,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관(10)과 안정기하우징(20)을 결합한 경우에 그 전체 부피는 방전관(10)의 외측 부피에 의해 결정되어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단열하우징(50)에 의해 안정기하우징(20)을 감싸도록 구비하여 별개의 제2 공기층을 형성하면 방전관(10)에서 전달되는 열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안정기하우징(20)을 감싸는 단열하우징(50)에 의해서는 열전달 방지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열하우징(50)에 의해 별개의 공기층을 형성하여도 방전관(10)의 열에 의해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의 공기층(제2 공기층)이 데워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정기하우징(20)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100)는 단열하우징(50) 이외에 방전관(10)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별도의 단열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단열수단은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의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동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 나아가 외부의 공기를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하게 되면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의 공기가 데워지더라도 외부의 공기로 대체되어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6 및 전술한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유동수단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공기유동수단은 베이스(30)에 인접한 단열하우징(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제1 개구부(62)와, 단열하우징(50)의 타측에 구비되어 커버(40)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는 제2 개구부(6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개구부(62)는 베이스(30)에 인접한 제1 단열하우징(52)에 구비되어 외부와 연통하게 된다. 나아가, 제2 개구부(64)는 단열하우징(50)의 타측, 즉 도면에서 단열하우징(50)의 상부에 구비되어 커버(40)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게 된다. 제2 개구부(64)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커버(40)에는 제2 개구부(64)와 연통하는 연통홀(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단열하우징(50) 내부의 공간은 제2 개구부(64) 및 커버(40)의 연통홀(46)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게 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와 단열하우징(5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하우징(50)의 제2 개구부(6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연통홀(46)로 배기되도록 하거나, 또는 커버(40)의 연통홀(46)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제2 개구부(64)로 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40)와 단열하우징(50)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2 개구부(64)와 연통홀(46)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커버(40)에 가이드리브(7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열하우징(50)에서 커버(4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수단에 의해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 나아가 외부의 공기를 단열하우징(50)과 안정기하우징(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하게 되면, 커버를 구비한 방전램프임에도 불구하고 방전관(10)의 온도를 커버(40)의 외부온도와 대략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전관(10)이 빠른시간 내에 정상밝기에 도달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방전관(10) 내부의 수은증기가 적절한 온도로 조절되어 고가의 고온용 아말감, 보조용 아말감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도 7은 커버(40)에서 제2 커버(44)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가이드리브(7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가이드리브(70)는 단열하우징(50)의 제2 개구부(64)와 커버(40)의 연통홀(46) 사이를 서로 연결하며 감싸도록 커버(40)에서 단열하우징(50)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전관(10)이 단열하우징(50)의 외측에 구비되므로 가이드리브(70)에는 방전관(10)이 관통하는 관통홀(72)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72)은 완전한 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관통홀(72)이 원형상으로 제공되면 방전관(10)을 조립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관통홀(72)은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관(10)이 일측만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방전관(10)을 단열하우징(50)의 외측을 따라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바, 이하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관통홀(72)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따라 방전관(10)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74)를 구비하고, 안정기하우징(20)에는 제1 고정부(74)에 대응하여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방전관(10)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커버(40)의 가이드리브(70)에 구비되는 제1 고정부(74)와 안정기하우징(20)에서 연장형성된 제2 고정부(26)에 의해 방전관(10)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 고정부(74)와 제2 고정부(26)의 단부, 즉 방전관(10)과 맞닿는 단부는 방전관(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대략 반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2 고정부(26)의 단부는 그 두께가 단부를 향하여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이터(taper)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커버(40)를 조립하는 경우에 커버(40)의 가이드리브(70)에 구비된 제1 고정부(74)에 의해 방전관(10)를 누르게 되므로 제2 고정부(26)의 단부가 소정각도로 절곡되면서 방전관(10)을 고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단열하우징(50)의 일부에 방전관(10)을 고정하는 제3 고정부(82)를 구비하는 홀더(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홀더(80)는 단열하우징(50)에 가압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80)는 단열하우징(50)의 측면을 따라 가압 고정되며, 소정부위에 방전관(10)을 고정하는 제3 고정부(82)를 구비하게 된다.
종래의 방전램프를 살펴보면 방전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소위 '베이스 시멘트 (Base cement)'라는 일종의 접착제에 의해 방전관과 베이스 등을 접착하게 되었다. 따라서, 방전관을 고정하는 접착제를 첨가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여 조립에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전관을 고정하는 공정은 접착제의 양, 사용 부위 등에 따라 방전관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전관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전관을 고정하는 경우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및 제3 고정부에 의해 방전관을 고정하여 보다 용이하게 방전관을 고정하게 된다. 나아가, 시간이 지나는 경우에도 방전관이 헐거워지지 않고 초기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40)는 방전관(10)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나아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방전관(10)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한다. 커버(40)는 도 7 및 도 8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 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버(44)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8은 제1 커버(42)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40)는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버(42)와 제2 커버(4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30)에 인접하여 연결되는 제1 커버(42)와 제1 커버(42)에 연결되는 제2 커버(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40)를 둘 이상의 부재로 구비하게 되면 일체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30)에 제1 커버(42)를 먼저 연결하고, 이어서 제1 커버(42)에 제2 커버(44)를 연결하여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42)와 제2 커버(44)를 연결하는 경우에 제1 커버(42)와 제2 커버(44)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제1 직경(A)은 제1 커버(42)가 베이스(30)에 연결되는 제2 직경(B)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관(10)의 외부직경이 제2 직경(B)에 비하여 더 크더라도 방전관(10)을 커버(40)의 내측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커버(40)가 일체로 구비되면 커버(40)의 개구부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큰 방전관(10)을 삽입하는 것이 곤란해지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커버(40)를 둘 이상의 부재로 구비하게 되면 더 큰 방전관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 및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커버(40)의 관통홀(72)에는 방전관(10)의 빛이 외부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리브(4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방전관(10)의 빛이 관통홀(72)을 통하여 직접 조사되는 경우에 사용자로 하여금 눈부심 등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2 커버(44)를 고정하는 경우에 제1 커버(42)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후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제2 커버(44)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44)를 안정기하우징(20)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차폐리브(48)에 결합홀(49)을 구비하고 안정기하우징(20)에 결합홀(49)에 대응하는 결합보스(28)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결합홀(49)을 통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결합보스(28)에 체결하여 제2 커버(44)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커버를 구비한 방전램프를 살펴보면, 커버를 고정하기 위하여 실리콘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접착제를 사용한 고정 방법은 전술한 종래의 방전관 고정 방법과 같이 접착제를 바르고 말리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며, 나아가 추후에 유지 및 보수를 하는 경우에 커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는 커버를 고정하는 경우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볼트 등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작업성을 높이는 동시에 유지 및 보수를 하는 경우에도 커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10...방전관 20...안정기하우징
30...베이스 40...커버
50...단열하우징 70...가이드리브
80...홀더 100...방전램프

Claims (20)

  1.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에 의하여 정의되는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안정기를 수용하는 안정기하우징과;
    상기 안정기하우징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방전관의 열이 상기 안정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단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수단은 상기 안정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방전관과 상기 안정기하우징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열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2.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에 의하여 정의되는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안정기를 수용하는 안정기하우징과;
    상기 방전관을 감싸는 커버와;
    상기 안정기하우징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방전관의 열이 상기 안정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단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수단은 상기 안정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방전관과 상기 안정기하우징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열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과 상기 안정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은 상기 안정기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단열하우징과 상기 제1 단열하우징과 연결되는 제2 단열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제1 안정기하우징과 상기 제1 안정기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안정기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은 상기 제1 안정기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단열하우징과 상기 제1 단열하우징과 연결되는 제2 단열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과 상기 안정기하우징 사이의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단열하우징과 상기 안정기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상기 단열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단열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단열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연통홀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상기 방전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정기하우징에는 상기 제1 고정부에 대응하여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의 단부는 그 두께가 단부를 향하여 감소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는 경우에 소정각도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의 일부에 상기 방전관을 고정하는 제3 고정부를 구비하는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단열하우징에 가압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방전관의 빛이 외부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리브에는 결합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정기하우징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결합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제1 직경은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제2 직경에 비하여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KR1020120013783A 2012-02-10 2012-02-10 방전램프 KR10136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83A KR101365633B1 (ko) 2012-02-10 2012-02-10 방전램프
IN1782MUN2014 IN2014MN01782A (ko) 2012-02-10 2013-02-12
MX2014009632A MX2014009632A (es) 2012-02-10 2013-02-12 Lampara de descarga.
JP2014556482A JP2015513173A (ja) 2012-02-10 2013-02-12 放電ランプ
CN201380006680.1A CN104081117A (zh) 2012-02-10 2013-02-12 放电灯
BR112014019855A BR112014019855A2 (pt) 2012-02-10 2013-02-12 lâmpada de descarga
RU2014134971A RU2014134971A (ru) 2012-02-10 2013-02-12 Газоразрядная лампа
AU2013217825A AU2013217825A1 (en) 2012-02-10 2013-02-12 Discharge lamp
PCT/KR2013/001065 WO2013119086A1 (ko) 2012-02-10 2013-02-12 방전램프
EP13746760.1A EP2813756A4 (en) 2012-02-10 2013-02-12 DISCHARGE LAMP
CA2864319A CA2864319A1 (en) 2012-02-10 2013-02-12 Discharge lamp
PH12014501803A PH12014501803A1 (en) 2012-02-10 2014-08-08 Discharge lamp
US14/456,088 US20140346943A1 (en) 2012-02-10 2014-08-11 Discharge lamp
ZA2014/06564A ZA201406564B (en) 2012-02-10 2014-09-08 Discharge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83A KR101365633B1 (ko) 2012-02-10 2012-02-10 방전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01A KR20130092201A (ko) 2013-08-20
KR101365633B1 true KR101365633B1 (ko) 2014-02-24

Family

ID=4894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783A KR101365633B1 (ko) 2012-02-10 2012-02-10 방전램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40346943A1 (ko)
EP (1) EP2813756A4 (ko)
JP (1) JP2015513173A (ko)
KR (1) KR101365633B1 (ko)
CN (1) CN104081117A (ko)
AU (1) AU2013217825A1 (ko)
BR (1) BR112014019855A2 (ko)
CA (1) CA2864319A1 (ko)
IN (1) IN2014MN01782A (ko)
MX (1) MX2014009632A (ko)
PH (1) PH12014501803A1 (ko)
RU (1) RU2014134971A (ko)
WO (1) WO2013119086A1 (ko)
ZA (1) ZA2014065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890A1 (ko) * 2013-09-24 2015-04-02 강성진 방전램프
WO2015046891A1 (ko) * 2013-09-24 2015-04-02 강성진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방전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758U (ko) * 1997-01-22 1998-10-15 김건영 전구형 4곡관 형광등의 안정기 장치
KR200248475Y1 (ko) 2001-06-19 2001-10-31 주식회사 필룩스 전구형 형광램프
KR200260470Y1 (ko) * 2001-09-21 2002-01-10 주식회사 테크메트릭스 안정기 냉각 구조를 갖는 전구형 형광 램프
KR20110048526A (ko) * 2008-07-29 2011-05-1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외측 벌브를 구비한 일체형 컴팩트 형광등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1944A (en) * 1979-02-13 1989-10-03 North American Philips Corp. Compact lighting unit having a convoluted fluorescent lamp with integral mercury-vapor pressure-regulating means, and method of phosphor-coating the convoluted envelope for such a lamp
US4503360A (en) * 1982-07-26 1985-03-05 North American Philips Lighting Corporation Compact fluorescent lamp unit having segregated air-cooling means
US6064155A (en) * 1998-05-04 2000-05-16 Matsushita Electric Works Research And Development Labratory Inc Compact fluorescent lamp as a retrofit for an incandescent lamp
DE19955108A1 (de) * 1999-11-16 2001-05-1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verbesserter Temperaturhomogenität
US20020145378A1 (en) * 2001-04-04 2002-10-10 Hui Ron Shu Yuen Novel structures for electronically-controlled compact fluorescent lamps
KR20030025569A (ko) * 2001-09-21 2003-03-29 주식회사 테크메트릭스 안정기 냉각 구조를 갖는 전구형 형광 램프
KR100492938B1 (ko) 2002-09-11 2005-05-30 강성진 컴팩트형 방전 램프
HU0700331D0 (en) * 2007-05-10 2007-07-30 Ge Hungary Zrt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outer envel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01878513A (zh) * 2007-05-11 2010-11-03 通用电气公司 用于灯的球形外玻壳,用于制造该球形外玻壳的方法,以及带有该球形外玻壳的紧凑式荧光灯
US7543957B1 (en) * 2008-01-29 2009-06-09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management of LEDS integrated to compact fluorescent lamps
US20100225218A1 (en) * 2009-03-09 2010-09-09 Richard Landry Gray Lighting Device
CN102011961B (zh) * 2010-11-19 2013-05-15 佛山市美博照明有限公司 一种带空气隔热腔的节能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758U (ko) * 1997-01-22 1998-10-15 김건영 전구형 4곡관 형광등의 안정기 장치
KR200248475Y1 (ko) 2001-06-19 2001-10-31 주식회사 필룩스 전구형 형광램프
KR200260470Y1 (ko) * 2001-09-21 2002-01-10 주식회사 테크메트릭스 안정기 냉각 구조를 갖는 전구형 형광 램프
KR20110048526A (ko) * 2008-07-29 2011-05-1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외측 벌브를 구비한 일체형 컴팩트 형광등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9855A2 (pt) 2017-07-04
EP2813756A4 (en) 2015-10-07
WO2013119086A1 (ko) 2013-08-15
RU2014134971A (ru) 2016-03-27
AU2013217825A1 (en) 2014-09-25
PH12014501803A1 (en) 2014-11-17
CN104081117A (zh) 2014-10-01
MX2014009632A (es) 2015-07-06
CA2864319A1 (en) 2013-08-15
IN2014MN01782A (ko) 2015-07-03
US20140346943A1 (en) 2014-11-27
JP2015513173A (ja) 2015-04-30
ZA201406564B (en) 2015-12-23
EP2813756A1 (en) 2014-12-17
KR20130092201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975B1 (ko) 안정기를 갖는 형광등 소켓에 사용할 수 있는 led조명등
KR200454458Y1 (ko) 형광등 타입 엘이디 램프
KR200449665Y1 (ko) 엘이디 조명등
JP2007522637A (ja) ランプ支持体を有する気体放電蛍光ランプ
KR101365633B1 (ko) 방전램프
JP2005123200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4709859B2 (ja) 放電ランプ及び照明装置
WO2009087735A1 (ja) 放電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200480026Y1 (ko) 절연 베리어를 갖는 led램프 어셈블리
KR20100046096A (ko) 형광등 대체용 엘이디 램프
KR20110015716A (ko) 조명장치
JP2009224222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20150074568A (ko) 직관형 엘이디 램프 조명장치
KR200172511Y1 (ko) 콤팩트 형광등의 방열구조
JP4596258B2 (ja) 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038098B1 (ko) 일체형 led 형광등 조명기구
JP5258026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
KR101469553B1 (ko) 고출력 방전등
KR101135718B1 (ko) 일체형 led 조명기구
JP2007141612A (ja) 冷陰極蛍光放電管及び面光源装置
JP2007207445A (ja) 外部電極蛍光灯用の電源装置
KR960008928B1 (ko) 2중 구(球)형관 벌브체를 구비한 절전형 형광램프
KR20100110099A (ko) 엘이디 램프
CN201539726U (zh) 放电灯
KR20170070661A (ko) 백열전구 대체용 엘이디전구의 플러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