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841B1 -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 Google Patents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841B1
KR101468841B1 KR1020140039100A KR20140039100A KR101468841B1 KR 101468841 B1 KR101468841 B1 KR 101468841B1 KR 1020140039100 A KR1020140039100 A KR 1020140039100A KR 20140039100 A KR20140039100 A KR 20140039100A KR 101468841 B1 KR101468841 B1 KR 10146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mart
case
discharg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659A (ko
Inventor
표승훈
최세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필립모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필립모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필립모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2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101)는 다수의 물품(200)을 종류별로 보관하며 터치 스크린(110)에서 터치되어 선택된 물품(200)을 투출하는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01)의 전면 도어(130)에 터치 스크린(110)이 설치되어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140)에 보관된 다수 종류의 물품(200)을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물품(200)이 구매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물품(200)을 보관하고 있는 물품 투출 케이스(140)로부터 배출되어 물품 출구부(120)의 인출구(120a)를 통해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스마트 벤딩머신의 전면부에 판매 물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품의 가격과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판매자가 자동으로 물품을 판매하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수 있으며, 판매자 및 소비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식의 제품 선택 프로세스와 연동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물품을 판매할 수 있고, 다양한 판매 상황에서 활용 가능하고, 판매 물품의 잔여 수량 파악이 용이해짐으로써 판매자 및 소비자가 구매물품이 없어서 받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A SMART VENDING MACHINE WITH FEATURED BILLBOARD HAVING SMART PRODUCT DISCHARGING TRAY}
본 발명은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벤딩머신 전면 도어에 광고가 표시되고 동시에 보관되는 물품의 가격이나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물품을 선택하여 터치하면 해당 물품이 물품 배출구로 투출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벤딩머신은 전면부를 투명한 투명창으로 설치하고, 투명창의 내측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들을 종류별로 나열한 후에 소비자가 제품의 하단부에 구비된 선택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제품이 제품출구로 나오도록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벤딩 머신은 판매 제품을 종류별로 나열한 형태이고, 벤딩 머신의 제한된 크기로 인하여 판매 제품의 개수가 소량이고, 그로 인해 소비자의 제품 선택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벤딩머신은 소비자가 직접 벤딩머신의 전면에서 선택 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소비자의 이동성과 벤딩 머신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00-0015846호에 "자동판매기의 터치 스크린 영상광고 장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다.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터치 스크린 영상광고 장치"는 자동판매기에 현재 개발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자동판매기 컨트롤러에 부착하고 자동판매기 외부 상단에 설치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장착한 영상화면 속에 표시되어 있는 제품 버튼을 터치하여 자동판매기의 제품을 구입하고, 제품 판매를 자동판매기 내부에 설치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자동판매기의 제품 판매시 또는 일정시간 동안 기업의 제품광고, 공익광고, 공중파, CA-TV, 각종 정보 안내등을 화면에 방영하고, 별도의 스피커를 장착하여 영상과 음향을 통해 광고의 내용을 소비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하고, 통합 정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제품구입을 하는 고객에게 제품 판매기능과 더불어 동시에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판매기는 물품 투출장치가 스프링에 의해 투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제품의 재고 수량 파악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식의 한계에 의해 거치대 상의 제품이 모두 소진된 이후에 매진 혹은 품절 표시가 표출되기에 사전에 재고 보충 파악이 어려워 구매를 원하는 구매자 및 제품을 충원해야 하는 판매자 양쪽 모두에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벤딩머신보다 더 많은 종류의 제품을 구비하며, 광고판을 통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함과 동시에 제품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물품을 종류별로 보관하며 스크린부에 표시된 물품들 중 선택된 물품을 투출하는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에 보관된 다수 종류의 물품을 표시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에 표시된 물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물품을 보관하는 물품 투출 케이스로부터 배출되어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가 형성되는 물품 출구부; 및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에 보관되는 물품을 상기 스크린부에 표시하며, 물품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에 보관되는 물품 중에서 상기 물품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물품을 보관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 케이스를 구동하여 상기 물품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물품을 상기 물품 출구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판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 제어부는 물품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에 보관되는 물품에 대한 광고 화면이 상기 스크린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그 내부에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가 놓여져 보관되며 다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선반과; 상기 다수의 선반에 놓여져 보관되며, 상기 판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배출하는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와; 그 전면에 스크린부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전면 도어의 하부에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에서 배출되는 물품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를 포함하는 물품 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선반은 일정한 각도로 아래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에 설치된 조작용 터치패드를 통해서 물품 선택 신호가 입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는 물품 보관케이스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지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위에 덮도록 형성되고 물품이 다수개 일렬로 배치되는 물품 보관케이스와; 상기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종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홈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물품 이동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 이동밀대의 밑면에는 상기 이동홈을 통해서 아래로 연장되어 부착되어지는 이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지지대에 일체로 부착되어지며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이동너트와; 상기 물품 이동밀대가 연결된 이동너트가 결합되어지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장치와; 상기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설치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센서와; 상기 구동 제어부의 투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물품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고, 상기 모터장치를 제어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상기 물품 이동밀대를 이동시켜 물품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 이동밀대의 밑면에는 상기 이동홈을 통해서 아래로 연장되어 부착되어지는 이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지지대에 일체로 부착되어지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지는 이동원통과; 상기 물품 이동밀대가 연결된 이동원통이 지지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물품 이동밀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판 스프링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윗면에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설치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센서와; 상기 구동 제어부의 투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물품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 이동밀대의 배면에는 상기 물품 이동밀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스프링 부재가 직접 연결되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윗면에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설치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센서와; 상기 구동 제어부의 투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물품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 보관 케이스의 전방 밑면에는 최전방에 놓이는 물품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세워지게 하도록 원형턱(12)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는 본체부의 내부에 다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선반 위에 놓이며 전면이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에 의해 최전방 물품이 배출되면 물품 출구부와 연결되는 물품 배출부에 떨어져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는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로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의 전면부에 판매 물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품의 가격과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판매자가 자동으로 물품을 판매하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판매자 및 소비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식의 제품 선택 프로세스와 연동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물품을 판매할 수 있고, 다양한 판매 상황에서 활용 가능하고, 판매 물품의 잔여 수량 파악이 용이해짐으로써 판매자 및 소비자가 구매물품이 없어서 받는 불편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의 전면 도어를 열어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물품 투출케이스의 전방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후방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c와 도 3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물품 투출케이스의 스크류축 대신에 나사없는 지지축과 판스프링을 사용한 실시예와 종축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e와 도 3f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의 투출구에 물품이 배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 투출케이스가 본체부의 아래로 기울어진 선반에 놓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 투출케이스의 솔레노이드 장치의 동작에 의해 물품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터치 스크린 영상광고 장치 모습,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본 발명에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100)은 다수의 물품(200)을 종류별로 보관하며 스크린부(110)에 표시된 물품들 중 선택된 물품(200)을 투출하는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140)를 포함하는 본체부(101)와, 상기 본체부(101)의 전면의 상부 케이스(101a)를 열고 닫는 전면 도어(130)와; 상기 전면도어(130)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140)에 보관된 다수 종류의 물품(200)을 표시하는 스크린부(110)와; 상기 스크린부(110)에 표시된 물품(200)이 구매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물품(200)을 보관하고 있는 물품 투출 케이스(140)로부터 배출되어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120a)가 형성되는 물품 출구부(120)와; 그리고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140)에 보관되는 물품(200)을 상기 스크린부(110)에 표시하고, 물품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140)에 보관되는 물품(200) 중에서 상기 물품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물품(200)을 보관하는 물품 투출 케이스(140)를 구동하여 상기 물품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물품(200)을 상기 물품 출구부(120)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판매 제어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매 제어부(104)는 스크린부(110)에서 구매자에 의한 터치에 의해 출력되는 물품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스크린부(110)에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140)에 보관되는 물품(200)에 대한 광고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부(110)에 상기 물품(200)에 대한 광고 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구매자에 의한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크린부(110)에 상기 구매자의 제품 선택, 제품 구매 및 제품 출구 등에 대한 가이드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부(11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 조작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일반스크린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크린장치 또는 단순한 커버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의 전면 도어를 열어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1)는 그 내부에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140)가 놓여져 보관되며, 다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선반(150)과; 상기 다수의 선반(150)에 놓여져 보관되며 상기 판매 제어부(104)의 제어에 의해 보관하고 있는 물품(200)을 배출하는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140)와; 그 전면에 스크린부(110)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1)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전면 도어(130)와; 상기 전면 도어(130)의 하부에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140)에서 배출되는 물품(200)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120a)를 포함하는 물품 출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선반은 일정한 각도로 아래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전면도어(130)는 상기 스크린부(110)에 표시되는 비밀번호 표시부(도시생략)에 의해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도어락 기능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투출케이스의 전방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후방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투출케이스(140)는 물품 보관케이스(142)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41)와; 상기 하부 케이스(141)의 윗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물품(200) 예를 들면 담배, CD케이스 등이 다수개 일렬로 배치되는 물품 보관케이스(142)와; 상기 물품 보관케이스(142)의 밑면에 종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홈(143)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2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물품 이동밀대(14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물품 이동밀대의 밑면에는 상기 이동홈을 통해서 아래로 연장되어 부착되어지는 이동지지대(144b)와, 상기 이동지지대(144b)에 일체로 부착되어지며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이동너트(144a)와; 상기 물품 이동밀대(144)가 연결된 이동너트(144a)가 결합되어지는 스크류축(145)과; 상기 스크류축(145)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장치(149)와; 상기 물품 보관케이스(142)의 밑면에 설치되어 물품(200)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센서(146)와; 구동 제어부(147)의 투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물품(200)을 위로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장치(148)와; 상기 판매 제어부(104)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148)를 구동하여 물품(200)을 배출하고 상기 모터장치(149)를 제어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류축(145)을 회전시켜 상기 물품 이동밀대(144)를 이동시켜 물품(20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제어부(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하부 케이스(141)는 사각형 박스 형태로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그 위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케이스(142)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윗면에는 물품 보관케이스(142)가 부착되어 개방된 밑면이 물품 보관케이스(142)의 윗면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품 보관 케이스(142)는 하부 케이스(141)의 윗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윗면이 개방되고 밑면이 폐쇄된 사각박스 형태이며 내부에 물품(200)들 예를 들면 담배, CD 케이스, 등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져 일렬로 놓여져 보관된다. 상기 물품 보관 케이스(142)의 밑면에는 물품 이동밀대(144)가 물품(2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종축방향으로 이동홈(143)이 길게 형성되며, 물품(200)이 꺼내지는 전방에는 위로 볼록하게 원형턱(141a)이 형성된다.
물품 이동밀대(144)는 상기 물품 보관 케이스(142)에서 물품(200)들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고, 물품 보관 케이스(142)에 보관되는 물품(200)들을 밀기 위하여 물품(200)과 접촉하는 전면은 편평한 사각형 면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 이동밀대(144)의 밑면에는 이동 지지대(144b)가 일체로 부착되어 물품 보관 케이스(142)의 밑면에 형성된 이동홈(143)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어 스크류축(145)에 나사 결합되는 이동너트(144a)에 일체로 부착된다.
물품 보관 케이스(142)의 밑면에 형성된 이동홈(143)에 이동 지지대(144b)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 지지대(144b)의 하단에 형성되는 이동너트(144a)가 모터장치(149)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크류축(145)에 나사 결합되어 모터장치(149)가 회전구동하는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모터장치(149)는 하부 케이스(141)의 후방 바닥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스크류축(145)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기어장치들에 의해 스크류축(145)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축(145)은 나사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141)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길게 형성되며 전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41)의 내부 전면에 형성된 축받이(145a)에 끼워져 지지되고 후단부는 모터장치(149)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장치(149)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축(145)은 회전하며 모터장치(149)가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물품 이동밀대(144)의 이동너트(144a)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모터장치(14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축(14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크류축(145)에 결합된 이동너트(144a)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c와 도 3d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의 스크류축 대신에 나사없는 지지축과 판스프링을 사용한 사시도 및 종축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따른 제 2 실시예에서는 스크류축(145) 대신에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수평 지지대(151)를 하부 케이스(141)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길게 형성하고 전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41)의 내부 전면에 형성된 축받이(145a)에 끼워져 지지되고 후단부는 내부 후면에 형성된 축받이(도시생략)에 끼워져 지지된다.
물품 이동밀대(144)의 밑면에는 이동 지지대(144b)가 부착되어 물품 보관 케이스(142)의 밑면에 형성된 이동홈(143)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어 수평 지지대(151)에 결합되는 이동원통(151a)에 일체로 부착된다. 물품 이동밀대(144)의 이동 지지대(144b)의 하부 뒷편에 판 스프링 본체(152a)가 설치되고 판 스프링(152)의 선단부가 솔레노이드 장치(148)의 뒷면에 설치된 판스프링 지지대(152b)에 결합나사(152c)에 의해 고정되어 판 스프링(152)의 탄력으로 물품 이동밀대(144)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는 상기 물품 이동밀대의 밑면에는 상기 이동홈을 통해서 아래로 연장되어 부착되어지는 이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지지대에 일체로 부착되어지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지는 이동원통과; 상기 물품 이동밀대가 연결된 이동원통이 지지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물품 이동밀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판 스프링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윗면에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설치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센서와; 상기 구동 제어부의 투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물품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편 상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는 상부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케이스에 최전방에 놓이는 물품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세워지게 하도록 원형턱(12)이 전방 밑면에 형성되어지고,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물품 이동밀대가 형성되어지며,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물품 이동밀대를 구동시키는 스크류축, 모터장치, 판스프링과, 물품 감지센서, 솔레노이드 장치, 구동제어부가 포함되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구조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e 및 도 3f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 케이스는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물품 보관케이스의 물품 이동밀대 뒤쪽에는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부재가 직접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일측 단부는 물품 이동밀대에 직접 연결되어지며 타측 단부는 물품 보관케이스의 단부에 연결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는 상부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케이스(상부케이스)에는 최전방에 놓이는 물품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세워지게 하도록 원형턱(12)과 물품 이동밀대 및 이를 구동시키는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어지며,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에는 물품 감지센서, 솔레노이드 장치, 구동제어부가 포함되어진다.
다음으로 도 4a에 본 발명에 의한 물품 투출케이스에 물품이 일렬로 놓여져 보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 투출케이스가 본체부의 아래로 기울어진 선반에 놓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5에 본 발명에 의한 물품 투출케이스의 솔레노이드 장치의 동작에 의해 물품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투출케이스(140)의 물품 보관 케이스(142)에 다수의 물품(200)이 일렬로 놓여져 줄이 맞추어져서 보관되며, 후방에서 물품 이동밀대(144)가 전방으로 미는 힘을 받아 최후방 물품(203)을 전방을 향하여 밀게된다. 최전방의 물품(201)은 물품 보관 케이스(142)의 전면에 닿아서 멈추어 원형턱(141a)에 놓여진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놓이므로 후방에 있는 물품(202)과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물품을 표시하는 도면 부호 "201", 202", "203"은 다수의 물품(200) 중 특정 물품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품 투출케이스(140)는 본체부(101)의 내부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층으로 아래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선반(150) 위에 놓이게 되어 물품(200) 사이에 접착을 방지하며, 전면(솔레노이드 장치(148)가 설치된 쪽)이 상기 본체부(101)의 개방된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장치(148)에 의해 최전방 물품(201)이 위로 배출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출구부(120)와 연결되는 물품 배출부(121)에 떨어져 놓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벤딩머신(100)에서 물품(200)을 구입하는 구매자는 물품 출구부(120)의 인출구(120a)와 연통되는 물품 배출부(121)에 놓여 있는 구매 물품(200)을 손으로 집어내어 구매하게 된다.
사용자가 스크린부(110)에 표시된 다수의 물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하게 되면 물품 선택신호가 판매제어부(104)에 입력되고, 판매제어부(104)는 상기 물품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물품(200)을 보관하는 물품 투출케이스(140)를 찾아서 상기 물품 투출케이스(140)의 구동제어부(147)로 물품투출 신호를 출력한다.
물품투출 신호를 입력받은 물품 투출케이스(140)의 구동제어부(147)는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148)를 구동하여 최전방 물품(201)을 밀어내어 밖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모터장치(149)를 구동하여 이동너트(144a)가 전진하는 방향 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너트(144a)를 전진시켜 물품 이동밀대(144)가 물품(200)을 전방으로 전진하게 하거나, 또는 판 스프링, 스프링부재의 탄력으로 물품 이동밀대를 전방으로 전진하게 힘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품(200)이 배출되어 앞쪽으로부터 2개(슬림형일 경우 4개)째까지 남게 되면 물품 감지센서(146)가 물품(200)이 2개(혹은 4개)가 남아 있음을 감지하는 신호를 구동제어부(147)로 출력한다.
구동제어부(147)는 판매제어부(104)로 물품(200)의 재고가 없어서 재고 보충이 필요하다는 보충 요청신호를 출력한다. 보충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판매제어부(104)는 판매 관리자에게 경보 신호 또는 경보 램프를 점등하여 물품(200)의 재고 보충이 필요하다는 것을 경보하여 판매 관리자가 물품(200)을 채워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을 도시한 정면도와 그 내부를 도시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에 설치된 조작용 터치패드를 통해서 물품 선택 신호가 입력되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은 터치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단순히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가진 화상표시장치 또는 화상표시장치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적인 커버가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터치스크린은 반드시 터치기능이 포함되어진 스크린만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은 담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에 불과한 것이며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제품, 즉 물품간 접착이 쉽게 일어나는 재질로 포장된 물품에도 당연히 적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 벤딩머신 101: 본체부
110: 스크린부 120: 물품 출구부
130: 전면도어 140: 물품 투출 케이스
141: 하부 케이스 142: 물품 보관케이스
143: 이동홈 144: 물품 이동밀대
145: 스크류축 146: 물품 감지센서
147: 구동제어부 148: 솔레노이드 장치
149: 모터장치 150: 선반
200, 201, 202, 203: 물품

Claims (12)

  1. 다수의 물품을 종류별로 보관하며 스크린부에 표시된 물품들 중 선택된 물품을 투출하는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에 보관된 다수 종류의 물품을 표시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에 표시된 물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물품을 보관하는 물품 투출 케이스로부터 배출되어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가 형성되는 물품 출구부; 및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에 보관되는 물품을 상기 스크린부에 표시하며, 물품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 케이스에 보관되는 물품 중에서 상기 물품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물품을 보관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 케이스를 구동하여 상기 물품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물품을 상기 물품 출구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판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는 물품 보관케이스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지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위에 덮도록 형성되고 물품이 다수개 일렬로 배치되는 물품 보관케이스와; 상기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종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홈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물품 이동밀대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이동밀대의 밑면에는 상기 이동홈을 통해서 아래로 연장되어 부착되어지는 이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지지대에 일체로 부착되어지며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이동너트와; 상기 물품 이동밀대가 연결된 이동너트가 결합되어지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장치와; 상기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설치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센서와; 구동 제어부의 투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물품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고, 상기 모터장치를 제어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상기 물품 이동밀대를 이동시켜 물품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제어부는 물품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에 보관되는 물품에 대한 광고 화면이 상기 스크린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그 내부에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가 놓여져 보관되며 다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선반과; 상기 다수의 선반에 놓여져 보관되며, 상기 판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배출하는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와; 그 전면에 스크린부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전면 도어의 하부에 상기 다수의 물품 투출케이스에서 배출되는 물품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를 포함하는 물품 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선반은 일정한 각도로 아래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에 설치된 조작용 터치패드를 통해서 물품 선택 신호가 입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이동밀대의 밑면에는 상기 이동홈을 통해서 아래로 연장되어 부착되어지는 이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지지대에 일체로 부착되어지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지는 이동원통과; 상기 물품 이동밀대가 연결된 이동원통이 지지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물품 이동밀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판 스프링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윗면에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설치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센서와; 구동 제어부의 투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물품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케이스의 물품 이동밀대의 배면에는 상기 물품 이동밀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스프링 부재가 직접 연결되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윗면에 물품 보관케이스의 밑면에 설치되어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센서와; 구동 제어부의 투출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물품을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판매 제어부로부터 물품 배출명령신호를 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동하여 물품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 케이스의 전방 밑면에는 최전방에 놓이는 물품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세워지게 하도록 원형턱(12)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는 본체부의 내부에 다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선반 위에 놓이며 전면이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에 의해 최전방 물품이 배출되면 물품 출구부와 연결되는 물품 배출부에 떨어져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39100A 2013-04-10 2014-04-02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KR101468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26 2013-04-10
KR20130039026 2013-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659A KR20140122659A (ko) 2014-10-20
KR101468841B1 true KR101468841B1 (ko) 2014-12-03

Family

ID=519936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100A KR101468841B1 (ko) 2013-04-10 2014-04-02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KR1020140039098A KR101452684B1 (ko) 2013-04-10 2014-04-02 물품 판매용 트레이
KR20140042371A KR101492369B1 (ko) 2013-04-10 2014-04-09 광고판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벤딩머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098A KR101452684B1 (ko) 2013-04-10 2014-04-02 물품 판매용 트레이
KR20140042371A KR101492369B1 (ko) 2013-04-10 2014-04-09 광고판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벤딩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468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755B1 (ko) 2020-01-21 2021-07-22 (주)가우비즈 스마트 벤딩머신
KR102280762B1 (ko) 2020-01-21 2021-07-22 (주)가우비즈 실내 매장용 판매대 기능을 갖는 벤딩머신
KR20240054793A (ko) 2022-10-19 2024-04-26 허석현 진열대의 조립이 용이한 상품판매 벤딩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2033A (zh) * 2018-06-23 2018-11-30 刘道灵 一种弹夹式自动售货机出货机构
CN112767594A (zh) * 2020-11-25 2021-05-07 徐州普艾为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销售终端
CN115346433A (zh) * 2021-05-13 2022-11-15 李龙振 一种智慧化共享设备广告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417A (ko) * 1997-05-20 1998-12-05 조상문 정보표시가 가능한 자동판매기등과 정보표시 제어운용 시스템
KR200342068Y1 (ko) * 2003-11-24 2004-02-14 주식회사 홍미 진열용 케이스
KR100870442B1 (ko) * 2007-02-16 2008-11-25 박명해 무인 자동판매시스템
KR20080099669A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터치스크린의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20100086538A (ko) * 2009-01-23 2010-08-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
KR20100010091U (ko) * 2009-04-06 2010-10-14 정영준 태엽형 판스프링 복원력을 이용한 포장상품 진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755B1 (ko) 2020-01-21 2021-07-22 (주)가우비즈 스마트 벤딩머신
KR102280762B1 (ko) 2020-01-21 2021-07-22 (주)가우비즈 실내 매장용 판매대 기능을 갖는 벤딩머신
KR20240054793A (ko) 2022-10-19 2024-04-26 허석현 진열대의 조립이 용이한 상품판매 벤딩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659A (ko) 2014-10-20
KR101452684B1 (ko) 2014-10-22
KR20140122679A (ko) 2014-10-20
KR101492369B1 (ko)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841B1 (ko) 스마트 물품 투출케이스가 구비된 광고판 기능을 가진 스마트 벤딩머신
US9569912B2 (en) Article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CN106570985B (zh) 一种自动售货机
US7114650B2 (en) Retail products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8788091B2 (en) Dispenser for product packages
JP2007122743A5 (ko)
WO2022115226A1 (en) Contactless product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CN110969762A (zh) 售货机
CN109559430A (zh) 保健品自动售卖机
JP2009082304A (ja) 什器
US20140330682A1 (en) Vending Machine for Selling Mobile Phone Accessories
EP3686853A1 (en) Method of sales through a multi-sided vending machine and related device
US202300817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inventory counting and tracking
JP6655591B2 (ja) 自動販売機
US20210043025A1 (en) Automated packaging system for a self-service custom-fabrication kiosk
JP2010282588A (ja) 自動販売機
CN209015278U (zh) 保健品自动售卖机
KR101416011B1 (ko)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JP6655592B2 (ja) 自動販売機
KR101335482B1 (ko) 자판기용 구동부 어셈블리
JPH1125034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KR20020083355A (ko) 자동상점 시스템
KR102654197B1 (ko) 스태커 타입 무인 셀프 계산대
CN220323955U (zh) 自动售货机出货组件
KR20140045083A (ko)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