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748B1 - 광학 소자, 라벨 부착 물품, 광학 키트 및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소자, 라벨 부착 물품, 광학 키트 및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748B1
KR101468748B1 KR1020087014846A KR20087014846A KR101468748B1 KR 101468748 B1 KR101468748 B1 KR 101468748B1 KR 1020087014846 A KR1020087014846 A KR 1020087014846A KR 20087014846 A KR20087014846 A KR 20087014846A KR 101468748 B1 KR101468748 B1 KR 10146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reflective layer
optical element
mai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511A (ko
Inventor
에리 미야모또
도시끼 도다
야스시 기시모또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2341A external-priority patent/JP52003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9862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10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695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1108B2/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18Particular processing of hologram record carriers, e.g. for obtaining blazed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4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3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1Reflect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B42D2033/10
    • B42D2033/2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고화된 액정 재료를 포함한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관찰 조건에 따른 변화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광학 소자(10)는,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또한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홈이 각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을 한쪽의 주면이 포함한 광 투과성의 오목부 형성층(13)과, 그 주면에 지지됨과 함께 고화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정층(15)을 포함한 적층체와, 이 적층체와 마주 본 반사층(12)을 포함하고 있다.
액정층, 반사층, 오목부 형성층, 직선 편광 필름, 편광자, 표시부

Description

광학 소자, 라벨 부착 물품, 광학 키트 및 판별 방법{OPTICAL DEVICE, LABELED ARTICLE, OPTICAL KIT AND DISCRIMINATION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위조 방지 효과, 장식 효과 및/또는 미적 효과를 제공하는 표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위조 방지에는, 잠상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잠상은, 예를 들면, 만선 므와레 무늬 또는 요판 인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만선 므와레 무늬를 이용한 잠상은, 잠상으로 할 상과, 고밀도로 배열한 다수의 선을 겹침으로써 얻어진다. 이 상은,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는 다수의 선이 식별을 곤란하게 하고, 그들 선을 숨김으로써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요판 인쇄를 이용한 잠상은, 잉크층에 오목 패턴 및/또는 볼록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오목 패턴 및/또는 볼록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상은, 정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는 식별이 곤란하고, 비스듬하게 관찰함으로써 가시화된다.
만선 므와레 무늬 또는 요판 인쇄를 이용한 위조 방지 기술은, 진위 판정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형성한 상은,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식별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이들 잠상은, 그 자체의 존재를 알아채기 쉽다.
잠상은, 형광 잉크 및 적외선 흡수 잉크 등의 특수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형광 잉크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발광하는 잉크이며,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한 잠상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가시화된다. 적외선 흡수 잉크는, 적외선 흡수율이 높은 잉크이며, 이것을 이용하여 형성한 잠상은,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로 관찰함으로써 가시화된다.
특수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한 잠상은, 그 자체의 존재를 알아채기 어렵다. 그러나, 그 가시화에는, 자외선 램프 또는 적외선 카메라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
잠상은, 액정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 반사성을 갖는 기재 상에, 고분자 액정 재료 등의 고화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지는 박막 패턴을 형성한다. 액정 분자의 메소겐기는, 예를 들면, 박막 패턴의 기초층에 러빙 처리 또는 광 배향 처리 등의 배향 처리를 실시해 둠으로써, 대략 한 방향으로 배향시킨다.
이 박막 패턴은,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의 층과 마찬가지로 보인다. 그 때문에, 이 박막 패턴으로 잠상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이 박막 패턴은 위상차층으로서 기능하므로, 편광자를 통해서 관찰한 경우에는, 그 지상축과 편광자의 광 투과축이 이루는 각도에 따른 밝기의 변화가 생긴다. 즉, 이 박막 패턴이 형성하고 있는 잠상은, 편광자를 통해서 관찰함으로써 가시화된다.
액정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 잠상은, 그 자체의 존재를 알아채기 어렵다. 게다가, 이 잠상은, 편광 필름 등의 편광자에 의해 가시화할 수 있어, 큰 장치는 불필요하다. 그 때문에, 액정 재료를 사용한 위조 방지 기술은, 높은 관심을 모으 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63300호 공보에는, OVD(optically variable device)층과 잠상 형성층을 적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잠상 형성층은, 예를 들면, 고분자 액정 재료로 이루어진다. OVD층은, 예를 들면, 홀로그램이다.
이 적층체를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는, 홀로그램의 시각 효과, 즉, 무지개색 및 관찰 각도에 따른 색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잠상 형성층이 형성하고 있는 잠상은, 편광자를 통해서 관찰함으로써 가시화된다. 이와 같이, 액정 재료와 홀로그램을 조합하면, 다양하게 변화되는 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재료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위조 기술의 진보는 현저하다. 그 때문에, 위조 방지 기술에는 한층 더한 진보가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화된 액정 재료를 포함한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관찰 조건에 따른 변화의 다양성을 높이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제1 홈이 각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을 한쪽의 주면이 포함한 광 투과성의 오목부 형성층과, 상기 주면에 지지됨과 함께 고화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정층을 포함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와 마주 본 제1 반사층을 구비한 광학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에 따른 광학 소자와, 이것을 지지한 물품을 포함한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에 따른 광학 소자와 편광자를 포함한 광학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사이에서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진정품은 제1 측면에 따른 광학 소자를 지지한 물품이며,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이,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와 상기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중 어느 것에서도 가시화되지 않고,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가시화되는 잠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은 비진정품이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이,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상기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와 동일한 색을 표시하고,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상기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와는 상이한 색을 표시하고,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상기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및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와는 상이한 색을 표시 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은 비진정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광학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오목부 형성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오목부 형성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오목부 형성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오목부 형성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와 직선 편광 필름을 겹친 경우에 관찰 가능한 상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광학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와 직선 편광 필름을 겹친 경우에 관찰 가능한 상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마찬가지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광학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오목부 형성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오목부 형성 영 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오목부 형성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소자의 오목부 형성 영역에 채용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X방향은 광학 소자(10)의 주면에 평행한 방향이며, Y방향은 광학 소자(10)의 주면에 평행하며 또한 X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고, Z방향은 X방향 및 Y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10)는, 예를 들면, 진정품인 것이 확인될 물품에 지지시키는 표시체이다. 이 광학 소자(10)는, 기재(11)와 제1 반사층(12)과 오목부 형성층(13)과 제2 반사층(14)과 액정층(15)을 포함하고 있다. 광학 소자(10)의 전면은, 액정층(15)측의 면이다.
기재(11)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이다. 기재(11)의 전면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기재(11)는, 광 투과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기재(11)는, 단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반사층(12)은, 광 산란성을 갖고 있는 반사층이다. 즉, 제1 반사층(12)은, 편광성을 갖고 있는 평행광을 한쪽의 주면에 조사한 경우에, 편광성을 갖고 있는 산란광을 그 주면으로부터 사출한다.
제1 반사층(12)은, 기재(11)의 전체면을 피복하고 있다. 제1 반사층(12)은, 기재(11)의 일부만을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반사층(12)의 전면은, 기재(11)의 전면의 구조에 대응한 미세한 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 반사층(12)의 전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는, 입사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난반사한다.
반사층(12)의 전면은, 일본 공업 규격 JIS B0601:2001 「제품의 기하 특성 사양(GPS)-표면 성상 : 윤곽 곡선 방식-용어, 정의 및 표면 성상 파라미터」에서 규정되어 있는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예를 들면 0.3㎛ 이하이다. 또한, 반사층(12)의 전면은, JIS B0601:2001에서 규정되어 있는 십점 평균 거칠기 RzJIS가 예를 들면 4.0 이하이다. 그리고, 반사층(12)의 전면은, JIS B0601:2001에서 규정되어 있는 윤곽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Sm이 예를 들면 1.5㎛ 이상이다.
반사층(12)은, 예를 들면, 금속층이다. 금속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또는 그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층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의 기상 퇴적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반사층(12)은, 전면에 미세한 요철 구조가 형성된 1층 또는 다층의 유전체막 이어도 된다. 반사층(12)으로서, 예를 들면, ZnO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유전체막을 사용한 경우, 육안으로 광학 소자(10)를 관찰하였을 때에 기재(11)의 색을 지각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를 통해서 광학 소자(10)를 관찰하였을 때에는, 액정층(15) 등이 주는 시각 효과에, 기재(11)의 색이 주는 시각 효과를 더할 수 있다. 반사층(12)으로서 다층 유전체막을 사용한 경우에는, 광학 소자(10)에 파장 선택성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반사층(12)으로서 금속 증착층이나 단층의 유전체막을 사용한 경우와는 상이한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층 유전체막은, 기재(11) 상에, 예를 들면, 황화아연 등의 고굴절률 재료와 불화마그네슘 등의 저굴절율의 재료를 교대로 증착함으로써 얻어진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반사층(12)은 금속층인 것으로 한다.
오목부 형성층(13)은, 광 투과성이며, 반사층(12)을 피복하고 있다.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에는,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3개의 영역(131 내지 133)을 포함하고 있다.
영역(131 내지 133)의 각각은, 오목부 형성 영역이다. 영역(131 내지 133)의 각각에는,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또한 이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영역(131 내지 133)은, 홈의 길이 방향이 서로 달라도 되고,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영역(131 내지 133) 중 1개 또는 2개는, 생략하여도 된다. 혹은,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은, 복수의 홈이 형성된 다른 영역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영역(131)에는, 길이 방향이 X방향에 대략 평행한 홈이 형성되고, 영역(132)에는, 길이 방향이 Y방향에 대략 평행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영역(133)에 형성하는 홈의 길이 방향은 임의이지만, 여기서는, 일례로서, X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134)을 더 포함하고 있다. 영역(134)은, 생략할 수 있다.
오목부 형성 영역(131 내지 133)에는, 다양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 형성 영역(131 내지 133)의 각각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홈을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들 홈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단, 이들 홈이 평행에 가까울수록, 오목부 형성 영역(131 및 132)에 대응한 액정층(15)의 각각의 부분에서, 액정 분자 또는 그들의 메소겐기의 장축이 일치하기 쉬워진다. 이들 홈이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5°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3°이하로 한다.
영역(131 내지 133)의 각각에서, 이들 홈은, 종횡으로 배열되어도 된다. 또한, 홈의 길이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홈간의 거리는 균일하여도 되고, 불균일하여도 된다. 또한,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홈간의 거리는 균일하여도 되고, 불균일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 형성 영역의 각각에는, 서로 길이가 동일한 홈을 종횡으로 배열하여도 된다. 혹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의 홈을 랜덤하게 배열하여도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 홈을 대략 평행하게 하고 또한 피치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 등에 의해, 이들 홈으로 회절 격자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 이들 홈에서 일방향성 확산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이 일방향성 확산 패턴은, 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의 확산능이, 오목부 형성층(13)의 주면에 수직하고 또한 홈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면내에서의 확산능과 비교하여 보다 큰 광 확산 특성, 즉, 광 산란 이방성을 나타내는 패턴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영역(131 내지 133)의 각각에 형성된 홈은,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오목부 형성층(13)은, 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 재료에, 2광속 간섭법을 이용하여 홀로그램 패턴을 기록하는 방법이나, 전자 빔에 의해 패턴을 묘화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혹은, 표면 릴리프형 홀로그램의 제조에서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미세한 선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한 금형을 수지에 꽉 누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 형성층(13)은, 기재(11)와 반사층(12)의 적층체 상에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에, 선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된 원판을, 열을 인가하면서 꽉 누르는 방법, 즉, 열 엠보스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다. 혹은, 오목부 형성층(13)은, 기재(11)와 반사층(12)의 적층체 상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고, 이것에 원판을 꽉 누르면서 기재(11)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원판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1개의 면내에 홈의 길이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오목부 형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방법에 따르면, 1개의 면내에 홈의 깊이, 폭, 및/또는 홈 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오목부 형성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앞의 원판은, 예를 들면, 2광속 간섭법을 이용하여 홀로그램 패턴을 기록하는 방법, 전자 빔에 의해 패턴을 묘화하는 방법, 또는 바이트에 의해 절삭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모형의 전주를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오목부 형성층에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성을 갖게 하지 않는 경우에는, 러빙 가공에 의해 홈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들 홈의 깊이는, 예를 들면, 0.05㎛ 내지 1㎛의 범위로 한다. 또한, 홈의 길이는, 예를 들면, 0.5㎛ 이상으로 한다. 홈의 피치는, 예를 들면 0.1㎛ 이상이며, 전형적으로는 0.75㎛ 이상이다. 또한, 홈의 피치는, 예를 들면 10㎛ 이하이며, 전형적으로는 2㎛ 이하이다. 액정 분자 또는 그 메소겐기를 높은 질서도로 배향시키기 위해서는, 홈의 피치는 작은 것이 유리하다.
제2 반사층(14)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증착층 등의 금속 증착층이다. 반사층(14)은, 오목부 형성층(13)의 주면 중, 오목부 형성 영역(133)의 전체를 피복하고, 다른 영역은 피복하고 있지 않다.
반사층(14)은, 오목부 형성 영역(133)의 일부만을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반사층(14)은, 오목부 형성 영역(131 및 132)의 일부를 더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반사층(14)은, 영역(134)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사층(14)은, 오목부 형성 영역(131 및 132)의 일부를 더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반사층(14)의 표면 형상은, 그 기초 표면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는, 반사층(14)의 표면에는, 오목부 형성 영역(133)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홈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형성 영역(133)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홈이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 제2 홈도 회절 격자를 구성한다. 또한, 오목부 형성 영역(133)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홈이 일방향성 확산 패턴을 구성 하고 있는 경우, 제2 홈도 일방향성 확산 패턴을 구성한다.
액정층(15)은, 오목부 형성층(13) 및 반사층(14)을 피복하고 있다. 이하, 액정층(15) 중 영역(131 내지 134) 상에 형성된 부분을, 각각, 액정 부분(151 내지 154)이라고 부른다. 또한, 광학 소자(10) 중, 액정 부분(151 내지 154)에 대응한 영역을, 각각, 표시부(101 내지 104)라고 부른다.
액정층(15)은, 고화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진다. 즉, 액정층(15)은, 유동성을 갖는 액정 재료를 비유동화하여 이루어진다.
액정층(15)은, 전형적으로는, 유동성을 갖는 중합성 액정 재료를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고분자 액정층이다. 고분자 액정층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우선, 광 중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 재료를 오목부 형성층(13) 및 반사층(14) 상에 도포한다. 다음으로, 액정 재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그들의 중합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액정 분자 또는 그들의 메소겐기의 장축의 방향이 고정된 액정층(15)을 얻을 수 있다. 액정층(15)의 재료로서,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나 스메틱 액정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오목부 형성 영역(131 및 132)의 각각은, 액정 부분(151)이 포함하고 있는 액정 분자 또는 그들의 메소겐기를, 홈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향시킨다. 여기서는,일례로서, 액정 부분(151 및 152)의 각각에서는,메소겐기의 장축이 대략 한 방향에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여기서는,메소겐기는, 액정 부분(151)에서는 X방향으로 배향하고, 액정 부분(152)에서는 Y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액정 부분(151 및 152)은, 메소겐기가 배향하고 있으므로, 복굴절성을 갖고 있다. 액정 부분(151)에서는 메소겐기는 X방향으로 배향하고 있으므로, 그 X방향에 대한 굴절률은 이상 광선 굴절률 ne이며, Y방향에 대한 굴절률은 통상 광선 굴절률no이다. 굴절률 ne는 굴절률 no보다도 크므로, 액정 부분(151)의 지상축은 X방향과 평행하고, 진상축은 Y방향과 평행하다. 또한, 액정 부분(152)의 지상축은 Y방향과 평행하고, 진상축은 X방향과 평행하다.
전형적으로는, 액정 부분(153)에서는,메소겐기는, 액정 부분(151 및 152)만큼 높은 질서도로 배향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배향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전형적으로는, 액정 부분(154)에서는, 액정 부분(153)만큼 높은 질서도로 배향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배향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액정 부분(153 및 154)에서는,메소겐기는 배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즉, 액정 부분(153 및 154)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으로 한다. 또한, 액정 부분(154)에서는, 예를 들면, 영역(134)에 러빙 처리 등의 배향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메소겐기를 비교적 높은 질서도로 배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이 광학 소자(10)에 백색광을 조사하고, 이것을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보이는 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백색광이란, 가시 영역 내의 모든 파장의 비편광으로 이루어지는 광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광학 소자(10)에 백색광을 조사하고, 이것을 정면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1, 102 및 104)는 서로로부터의 판별이 불가능 또는 곤란하고, 표시부(103)는 표시부(101, 102 및 104)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하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시부(101)에 입사한 조명광으로서의 백색광은, 도 2에 도시한 액정 부분(151)을 투과하여, 영역(131)에 입사한다. 영역(131)에 형성된 홈은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 입사광의 일부는, 회절광으로서 오목부 형성층(13)에 입사한다. 오목부 형성층(13)을 투과한 회절광은, 반사층(12)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층(12)은 광 산란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 반사광은 산란광이다. 이 산란광은, 오목부 형성층(13)을 투과한다.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에는 회절 격자가 형성되어 있지만, 반사층(12)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산란광인 것 외에, 통상의 환경 중에서는 조명광의 입사각도 다양하다. 그 때문에, 반사층(12)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산란광으로서 액정 부분(151)에 입사한다. 그 후, 이 산란광은 액정 부분(151)을 투과하고, 관찰자는, 이 산란광을 표시광으로서 지각한다. 따라서, 표시부(101)는 은백색으로 보인다.
표시부(102)와 표시부(101)는, 그 평면 형상을 제외하고,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홈의 길이 방향만이 상이하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표시부(101)를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 회절 격자는 표시색이나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부(102)도 은백색으로 보인다.
표시부(103)에 입사한 조명광으로서의 백색광은, 액정 부분(153)을 투과하 여, 반사층(14)에 입사한다. 반사층(14)에 형성된 홈은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반사층(14)이 반사하는 광은, 회절광이다. 이 회절광은 액정 부분(153)을 투과하고, 관찰자는, 이 회절광을 표시광으로서 지각한다. 따라서, 표시부(103)는 무지개색으로 보인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부(103)는, 간섭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4)는, 그 평면 형상을 제외하고, 오목부 형성층(13)의 대응 개소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메소겐기가 배향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표시부(101)와는 상이한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표시부(101)를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 회절 격자는 표시색이나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부(104)도 은백색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표시부(101, 102 및 104)는 은백색으로 보이고, 표시부(103)는 무지개색으로 보인다. 그리고, 표시부(101, 102 및 104)는, 밝기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광학 소자(10)에 백색광을 조사하고, 이것을 정면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1, 102 및 104)는 서로로부터의 판별이 불가능 또는 곤란하고, 표시부(103)는 표시부(101, 102 및 104)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하다.
또한, 광학 소자(10)에 백색광을 조사하고, 이것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경우, 표시부(101, 102 및 104)의 표시색은 관찰 각도를 변화시켜도 은백색 그대로 변화되지 않고, 표시부(103)의 표시색은 관찰 각도에 따라서 변화된다. 또한, 관찰 각도를 기울인 상태 그대로, 광학 소자(10)를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 표시부(101, 102 및 104)의 표시색은 은백색 그대로 변화되지 않고, 표시부(103)의 표 시색은 회전 각도에 따라서 변화된다.
다음으로, 편광자를 통해서 광학 소자(10)를 관찰한 경우에 보이는 화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일례로서, 편광자로서 직선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와 직선 편광 필름을 겹친 경우에 관찰 가능한 상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10)와 흡수형의 직선 편광 필름(50)을, 편광 필름(50)측으로부터 광학 소자(10)를 본 경우에, 편광 필름(50)의 투과축이 X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겹쳐져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채용하고, 이것을 정면으로부터 관찰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1 내지 103)는 표시부(104)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하고, 표시부(101 및 102)는 표시부(103)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하고 또한 서로로부터의 판별이 불가능 또는 곤란하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직선 편광 필름(50)에 조명광으로서 백색광을 조사하면, 직선 편광 필름(50)은, 그 투과축에 평행한 편광면(전장 벡터의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고, 그 투과축에 수직한 편광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한다.
표시부(101)에 입사한 직선 편광은, 도 2에 도시한 액정 부분(151)을 투과한다. 액정 부분(151)에서는,메소겐기는 X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배향하고 있다. 즉, 편광 필름(50)측으로부터 보아, 액정 부분(151)의 지상축은, 편광 필름(50)의 투과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킨 방향에 평행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앞의 직선 편광 중, 임의의 특정 파장 λO의 광 성분은, 액정 부분(151)을 투과함으로써 우원 편광으로 변환되고, 나머지의 광 성분은, 액정 부분(151)을 투과함으로써 우타원 편광으로 변환된다.
이들 우원 편광 및 우타원 편광은, 영역(131)에 입사한다. 영역(131)에 형성된 홈은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 입사광의 일부는, 회절광으로서 오목부 형성층(13)에 입사한다.
오목부 형성층(13)을 투과한 회절광으로서의 우원 편광 및 우타원 편광은, 반사층(12)에 의해 반사된다. 우원 편광 및 우타원 편광은, 각각, 반사층(12)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좌원 편광 및 좌타원 편광으로 변환된다. 또한, 반사층(12)은 광 산란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 반사광은 산란광이다.
이 산란광으로서의 좌원 편광 및 좌타원 편광은, 오목부 형성층(13)을 투과한다.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에는 회절 격자가 형성되어 있지만, 반사층(12)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산란광인 것 외에, 통상의 환경 중에서는 조명광의 입사각도 다양하다. 그 때문에, 반사층(12)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산란광으로서 액정 부분(151)에 입사한다.
이 입사광은, 산란광이므로, 정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성분과, 경사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정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성분 중, 특정 파장 λO의 좌원 편광은, 액정 부분(151)을 투과함으로써 편광면이 편광 필름(50)의 투과축에 대하여 수직한 직선 편광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나머지의 광 성분은, 액정 부분(151)을 투과함으로써, 좌타원 편광 혹은 좌원 편광 또는 우타원 편광 혹은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즉, 편광 필름(50)의 투과축에 대하여 평행한 편광면을 갖는 광 성분에만 주목한 경우, 표시부(101)에 입사하는 광 성분의 강도에 대한 표시부(101)가 사출하는 광 성분의 강도의 비는, 파장 의존성을 갖는 것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편광 필름(50)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강도에 대한 편광 필름(50)이 사출하는 표시광의 강도의 비는, 파장 의존성을 갖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표시부(10l)는, 착색되어 보인다. 또한, 표시부(101)가 착색되어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에 수식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표시부(102)와 표시부(101)는, 그 평면 형상을 제외하고,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홈의 길이 방향이 90° 상이한 점에서만 상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표시부(102)는, 원편광 또는 타원 편광의 편광면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것 이외에는, 표시부(101)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행동한다. 따라서, 표시부(102)는, 표시부(101)와 마찬가지로 착색되어 보인다.
표시부(103)의 액정 부분(153)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이다. 따라서, 표시부(103)가 사출하는 광은, 이상적으로는, 편광 필름(50)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편광 필름(50)을 투과한다. 그 때문에, 표시부(103)는 무지개색으로 보인다.
표시부(104)는, 그 평면 형상을 제외하고, 오목부 형성층(13)의 대응 개소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메소겐기가 배향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표시부(101)와는 상이하다. 즉, 표시부(104)에서는, 영역(134)은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액정 부분(154)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이다. 따라서, 표시부(104)가 사출하는 광은, 이상적으로는, 편광 필름(50)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편광 필름(50)을 투과한다. 그 때문에, 표시부(104)는, 은백색으로 보인다.
또한, 전형적으로는, 액정 부분(153 및 154)에서는,메소겐기는 약간 배향하고 있다. 즉, 전형적으로는, 액정 부분(153 및 154)은, 광학적으로 약간 이방성이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에 홈을 형성한 경우, 그들 홈의 상부에서는,메소겐기의 배향에는, 홈이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액정층(15)의 기초층이 평탄하고 또한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소겐기의 배향에, 액정층(15)의 형성 방법이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액정층(15)의 재료를 한 방향으로 도포하였을 때에는, 액정층(15)의 기초층이 평탄하고 또한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메소겐기가 약간 배향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액정 부분(153 및 154)에서 메소겐기가 약간 배향하고, 그 결과, 액정 부분(153 및 154)이 광학적으로 약간 이방성을 갖는 경우가 있다. 단,이 경우, 표시부(103) 및 104)는 약간 착색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들 표시부를 보는 방법이나 표시부간의 판별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
이와 같이, 표시부(101 및 102)는 착색되어 보이고, 표시부(103)는 무지개색으로 보이고, 표시부(104)는 은백색으로 보인다. 그리고, 표시부(101 및 102)는, 밝기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광학 소자(10)에 편광 필름(50)을 겹치고, 이것에 백색광을 조사하여 정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부(101 내지 103)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하고, 표시부(101 및 102)는, 표시부(103)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하고 또한 서로로부터의 판별이 불가능 또는 곤란하다.
또한,이 때, 표시부(101 및 102)의 서로로부터의 판별은, 이론적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편광 필름(50)이나 오목부 형성층(3)에 형성한 홈의 정밀도에 기인하여, 표시부(101 및 102)간에서, 표시광의 스펙트럼에 상위가 생기고, 그 결과, 그들을 서로로부터 판별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표시부(101)가 착색되어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 수식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액정 부분(151)은, 파장 λO의 광에 대하여 4분의 1 파장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다.
편광 필름(50)이 법선 방향으로 사출한 파장 λO의 직선 편광은, 편광면이 X방향에 수직한 직선 편광 성분과 편광면이 Y방향에 수직한 직선 편광 성분의 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액정 부분(151)의 X방향에 대한 굴절률은 이상 광선 굴절률 ne이며, Y방향에 대한 굴절률은 통상 광선 굴절률 no이다. 따라서, 액정 부분(151)은, 이들 직선 편광 성분에, 왕로와 복로의 각각에서 λO/4의 위상차를 준다. 즉, 액정 부분(151)은, 이들 직선 편광 성분에 합계로 λO/2의 위상차를 준다. 그 때문에, 표시부(101)가 법선 방향으로 사출하는 파장 λO의 광은, 편광 필름(50)을 투과할 수 없다.
그런데,리타데이션 Re는, 하기 수학식 1로 표현하는 바와 같이, 액정층의 막 두께 d와 그 복굴절성 Δn에 의존한다.
Figure 112008043896990-pct00001
여기서, Δn=ne-no이다.
한 쌍의 직선 편광 필름을 그들의 투과축이 직교하도록 마주 대하게 하고, 그들 사이에 액정층을 그 광학축이 직선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개재시킨다. 한쪽의 직선 편광 필름을 그 법선 방향으로부터 파장 λ의 광으로 조명한 경우, 액정층에 입사하는 광의 강도를 IO로 하고, 다른 쪽의 직선 편광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강도를 I로 하면, 강도 I는, 하기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43896990-pct00002
복굴절성 Δn은 파장 의존성을 갖고 있고, 복굴절성 Δn과 파장 n은 비례 관계는 아니다. 그 때문에, 수학식 2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투과광의 스펙트럼은, 입사광의 스펙트럼과는 상이한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액정층을 한 쌍의 직선 편광 필름 사이에 끼우면, 입사광과는 스펙트럼의 프로파일이 상이한 투과광을 얻을 수 있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액정층을 직선 편광 필름과 반사층 사이에 끼운 경우에도, 입사광과는 스펙트럼의 프로파 일이 상이한 반사광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표시부(101)는 착색되어 보인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이면, 회절 격자로부터 유래하는 표시부(103)의 표시색이 변화되는 것 외에, 표시부(101 및 102)의 표시색이 서로 다른 색으로 변화된다. 그 결과, 표시부(101 및 102)의 서로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표시부(101 및 102)는 오렌지색으로 보이고 있던 것으로 하면,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임으로써, 표시부(101)는 적색으로 변화되고, 표시부(102)는 녹색으로 변화된다. 표시부(101 및 102)에서 생기는 색 변화의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관찰 각도 θ를 기울이면, 액정층의 실효적인 복굴절성 Δn'가 복굴절성 Δn으로부터 변화되는 것 외에, 이하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되는 액정층의 실효적인 막 두께 d'가 액정층의 실제의 막 두께 d의 2배보다도 커진다.
Figure 112008043896990-pct00003
즉, 관찰 각도에 따라서, 상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리타데이션 Re가 변화되고, 그 때문에, 상기 수학식 2로 표현되는 강도 I가 변화된다. 그 결과, 관찰 각 도에 따라서, 표시광의 스펙트럼의 프로파일이 변화된다.
복굴절성 Δn'는, 조명광의 입사각과, 조명광의 전파 방향에 평행한 직선의 액정층 주면 상에의 투영이 액정층의 광학축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에 의존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부분(151)의 복굴절성 Δn'는, 그 광학축은 X방향과 평행하므로,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여도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액정 부분(152)의 복굴절성 Δn'는, 그 광학축은 Y방향에 평행하므로,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이는 것에 수반하여 변화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101)는,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인 경우, 실효적인 막 두께 d'의 변화에 기인한 색 변화가 생긴다. 이에 대하여, 표시부(101)는,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인 경우, 실효적인 막 두께d'의 변화와 실효적인 복굴절성 Δn'의 변화에 기인한 색 변화가 생긴다. 이 때문에,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이면, 표시부(101 및 102)의 표시색은 서로 다른 색으로 변화되고, 그 결과, 표시부(101 및 102)의 서로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해진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는,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광학 소자(10)를 편광 필름(50)과 겹친 상태 그대로, 그 법선의 주위에서 90°회전시킨 경우에 관찰 가능한 상을 도시하고 있다. 관찰 방향을 비스듬하게 한 상태 그대로, 광학 소자(10)를 편광 필름(50)과 함께 그 법선의 주위에서 90°회전시키면, 표시부(101)와 표시부(102) 사 이에서 표시색이 교체된다. 그리고, 회절 격자로부터 유래하는 표시부(103)의 표시색은, 회전각을 크게 하면,0° 내지 45°의 범위 내에서는 회절 격자의 실효적인 격자 상수가 커지는 것에 수반되는 변화가 생기고, 45°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는 이것과는 반대의 변화가 생긴다. 그 때문에, 표시부(103)의 표시색은, 회전 전과 회전 후에서 서로 동일하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색 변화는,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광학 소자(10)만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90°회전시킨 경우에도 생긴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10)가 표시하는 상은,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된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 없이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 없이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와, 편광 필름(50) 없이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서 동일한 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서로 거의 동일한 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1 및 102)은,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와,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서 서로 다른 색 을 표시한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의 위치 및 방위를 고정하고, 광학 소자(10)를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색 변화가 생긴다.
·표시부(101 및 102)는, 광학 소자(10)의 위치 및 방위를 고정하고, 편광 필름(50)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이것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색 변화가 생긴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의 위치 및 방위를 고정하고, 광학 소자(10)를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표시색이 교체된다.
·표시부(101 및 102)는, 광학 소자(10)와 편광 필름(50)의 상대적인 배치를 고정하고, 그들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표시색이 교체된다.
·표시부(103)는, 간섭색을 표시한다. 또한, 오목부 형성 영역(133)에 형성한 홈이 일방향성 확산 패턴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표시부(103)는 광 산란 이방성을 나타낸다.
·표시부(103)는, 관찰 각도에 따라서 색 및 밝기가 변화된다.
·표시부(103)는, 광학 소자(10)를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색 변화가 생긴다.
·표시부(103)는, 편광 필름(50)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이것 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색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단, 액정 부분(153)이 완전하게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이 아닌 경우, 표시부(103)는, 편광 필름(50)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이것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약간의 색 변화가 생긴다.
·표시부(104)는, 편광 필름(50) 없이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표시부(101 및 102)와 동일한 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4)는, 편광 필름(50) 없이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와, 편광 필름(50) 없이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서 동일한 색을 표시한다. 단, 액정 부분(154)이 완전하게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이 아닌 경우, 표시부(104)는, 편광 필름(50) 없이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와, 편광 필름(50) 없이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약간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4)는, 광학 소자(10)를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색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표시부(104)는, 편광 필름(50)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이것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색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단, 액정 부분(154)이 완전하게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이 아닌 경우, 표시부(104)는, 편광 필름(50)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이것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약간의 색 변화가 생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10)가 표시하는 상은 관찰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되므로, 이 광학 소자(10)는, 예를 들면, 우수한 위조 방지 효과, 장식 효과 및/또는 미적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 광학 소자(10)와 이것을 지지한 물품을 포함한 라벨 부착 물품을 진정품으로 한 경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이 전술한 특징 중 1개 이상을 나타내지 않을 때에는, 그 물품은 비진정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사이에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가 증권, 은행권, 신분 증명서 등의 증명서, 및 크레디트 카드 등의 인쇄물이나 미술품 등의 고급품의 위조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이 광학 소자(10)와 편광 필름(50)을 포함한 광학 키트는, 앞의 진위 판정에 이용 가능한 것 외에, 완구, 학습 교재 또는 장식품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즉, 이 광학 소자(10)는, 시큐러티 디바이스로서 이용 가능한 것 외에,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광학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광학 소자(10)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 것 이외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광학 소자(10)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이 광학 소자(10)에서는, 오목부 형성층(13)의 오목부 형성 영역(131)에 대응한 부분은, 오목부 형성층(13)의 오목부 형성 영역(132)에 대응한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두껍다. 또한, 액정 부분(151)은, 액정 부분(152)과 비교하여 보다 얇다. 그리고, 오목부 형성 영역(131)에 형성된 홈의 길이 방향은, Y방향에 평행하다.
이 광학 소자(10)는,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는,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상을 표시한다. 단,이 광학 소자(10)는, 편광자를 통해서 관찰한 경우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광학 소자(10)와는 상이한 상을 표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광학 소자와 직선 편광 필름을 겹친 경우에 관찰 가능한 상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광학 소자가 표시하는 상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광학 소자(10)와 흡수형의 직선 편광 필름(50)을, 편광 필름(50)측으로부터 광학 소자(10)를 본 경우에, 편광 필름(50)의 투과축이 X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겹쳐져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채용하고, 이것을 정면으로부터 관찰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1 내지 104)는 서로로부터의 판별이 용이하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학식 1 및 2를 이용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광학 소자(10)와 편광 필름(50)을 겹치고, 이들을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표시부(101 및 102)가 표시하는 색은, 액정 부분(151 및 152)의 두께 d에 의존한다. 액정 부분(151)과 액정 부분(152)은 두께가 서로 다르므로, 표시부(101 및 102)는,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01 및 102) 중 한쪽은 적색으로 보이고, 다른 쪽은 황색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광학 소자(10)에 편광 필름(50)을 겹쳐서 정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표시부(101 및 102)는,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인 경우에 표시부(101)가 표시하는 색은,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광학 소자(10)를 편광 필름(50)과 겹친 상태 그대로 그 법선의 주위에서 90°회전시킨 경우에 표시부(102)가 표시하는 색과는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도 1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관찰 방향을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인 경우에 표시부(102)가 표시하는 색은,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광학 소자(10)를 편광 필름(50)과 겹친 상태 그대로 그 법선의 주위에서 90°회전시킨 경우에 표시부(101)가 표시하는 색과는 상이하다.
즉, 이 광학 소자(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광학 소자(10)와는 달리,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지 않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서로 거의 동일한 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의 위치 및 방위를 고정하고, 광학 소자(10)를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표시색이 교체된다.
·표시부(101 및 102)는, 광학 소자(10)와 편광 필름(50)의 상대적인 배치를 고정하고, 그들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표시색이 교체된다.
그 대신에, 이 광학 소자(10)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한다.
·표시부(101 및 102)는, 편광 필름(50)의 위치 및 방위를 고정하고, 광학 소자(10)를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면서 색 변화가 생긴다.
·표시부(101 및 102)는, 광학 소자(10)와 편광 필름(50)의 상대적인 배치를 고정하고, 편광 필름(50)을 그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이것을 통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면서 색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이 광학 소자(10)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광학 소자(1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우수한 위조 방지 효과, 장식 효과 및/또는 미적 효과를 제공한다. 그 때문에, 이 광학 소자(10)와 이것을 지지한 물품을 포함한 라벨 부착 물품을 진정품으로 한 경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이 전술한 특징 중 1개 이상을 나타내지 않을 때에는, 그 물품은 비진정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사이에서 판별할 수 있다. 또한,이 광학 소자(10)와 편광 필름(50)을 포함한 광학 키트는, 앞의 진위 판정에 이용 가능한 것 외에, 완구, 학습 교재 또는 장식품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즉, 이 광학 소자(10)는, 시큐러티 디바이스로서 이용 가능한 것 외에,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부분(151)과 액정 부분(152)에서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한 경우, 그들 두께의 차는, 예를 들면, 0.1㎛ 내지 5㎛의 범위 내로 한다. 이 차가 작으면,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관찰한 경우에, 표시부(101)와 표시부(102)를 서로로부터 판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차가 크면, 보다 두꺼운 액정 부분에서, 높은 질서도로 메소겐기를 배향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 결과,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관찰한 경우에, 설계대로의 색을 표시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전술한 광학 소자(10)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사층(12)의 전면의 일부를, 미세한 요철 구조를 갖고 있지 않은 평탄한 경면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 중, 반사층(12)의 경면에 대응한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회절 격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홈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면,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라도, 이 부분과 다른 부분을 판별할 수 있다.
광학 소자(10)는, 반사층(12)과 오목부 형성층(13) 사이에, 광학적으로 대략 등방성의 투명 또는 반투명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은 중간층을 사용하면, 반사층(12)과 오목부 형성층(13)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나, 반사층(12)의 전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가 오목부 형성층(13)의 전면의 형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소자(10)는, 이하에 설명하는 보호층이나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광학 소자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광학 소자(10)는, 액정층(15)을 피복한 보호층(16)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광학 소자(10)와 마 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보호층(16)을 형성하면, 액정층(15) 등의 손상이나 광 열화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그 때문에, 광학 소자(10)가 표시하는 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보호층(16)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내상성이 우수한 하드 코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16)의 재료로서는, 전형적으로는, 투명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보호층(16)은, 무색 투명이어도 되고, 유색 투명이어도 된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광학 소자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광학 소자(10)는, 기재(11)의 이면을 피복한 점착층(17)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광학 소자(10)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광학 소자(10)는, 물품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점착층(17)은, 박리지로 피복하여도 된다.
광학 소자(10)로부터 표시부(103)를 생략하여도 된다. 즉, 제2 반사층(14)은,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03)에 관해서 설명한 시각 효과가 얻어지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10)에서는, 표시부(101)와 표시부(102)를 인접시켜도 된다. 상기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학 소자(10)와 편광 필름(50)을 겹치고, 이것을 정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표시부(101 및 102)는 거의 동일한 색을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부(101)와 표시부(102)를 인접시키면, 표시부(101)와 표시부(102)의 경계는, 판별하는 것이 불가능 또는 곤란하게 된다. 즉, 이 경우, 표시부(101)와 표시부(102)는, 편광 필름(50)을 겹치고, 관찰 방향을 대 략 수직 방향으로부터 X방향에 수직한 면내에서 기울임으로써 가시화되는 잠상을 구성한다.
영역(134)에는,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러빙 처리 및 광 배향 처리 등의 배향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그리고, 액정 부분(154)의 적어도 일부에서,메소겐기를 그들 홈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액정 부분(154)의 적어도 일부에서,메소겐기를 Z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및 X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향시켜도 된다.
이렇게 하면, 표시부(104)는, 편광 필름(50) 없이 Z방향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와, 편광 필름(50) 없이 Z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서 동일한 색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4)는,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Z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편광 필름(50) 없이 Z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와는 상이한 색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04)는,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Z방향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편광 필름(50) 없이 Z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및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Z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와는 상이한 색을 표시한다. 그리고, 편광 필름(50)을 통해서 Z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표시부(104)는, 표시부(101 내지 103)와는 상이한 색을 표시한다.
전술한 광학 소자(10)에서는, 반사층(12)은, 기재(11)의 액정층(15)측의 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 대신에, 반사층(12)은, 기재(11)의 액정층(15)측의 주면의 이면, 또는, 액정층(15)의 기재(11)측의 주면의 이면에 형성하여도 된다. 단,이 경우, 기재(11)는 광 투과성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이 경우, 전형적으로 는, 기재(11)는, 복굴절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반사층(12)으로서, 광 산란성을 갖고 있는 반사층 대신에, 경면 반사성의 반사층을 사용하여도 된다. 단,이 경우, 전술한 효과 중, 반사층(12)의 광 산란성으로부터 유래하는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영역(131 및 132)에 형성된 홈이 회절 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 광학 소자(10)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에, 영역(131 및 132)은 서로 다른 색으로 보일 가능성이 있다.
편광자로서, 편광 필름(50)을 사용하는 대신에, 판 형상의 편광자 등의 다른 형태의 편광자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직선 편광자 대신에, 원 편광자 또는 타원 편광자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직선 편광자를 사용한 경우와는 상이한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보다 복잡한 시각 효과가 얻어진다.
한층 더한 이익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그보다 넓은 측면에서, 여기에 기재된 특정한 기재나 대표적인 양태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첨부의 청구의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포괄적 개념의 진의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4)

  1.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제1 홈이 각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을 한쪽의 주면이 포함한 광 투과성의 오목부 형성층과, 상기 주면에 지지됨과 함께 고화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정층을 포함한 적층체와,
    광 산란성을 갖고, 상기 적층체와 마주 본 제1 반사층과,
    상기 오목부 형성층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개재함과 함께 상기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의 일부를 피복한 제2 반사층으로서, 상기 제2 반사층 중 상기 오목부 형성 영역을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홈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반사층
    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은 상기 제2 반사층으로 피복되어 있지 않은 상기 오목부 형성 영역을 복수 포함하고, 이들 오목부 형성 영역 중 적어도 1개의 오목부 형성 영역은 다른 오목부 형성 영역과는 상기 길이 방향이 상이한 광학 소자.
  2.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제1 홈이 각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을 한쪽의 주면이 포함한 광 투과성의 오목부 형성층과, 상기 주면에 지지됨과 함께 고화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정층을 포함한 적층체와,
    광 산란성을 갖고, 상기 적층체와 마주 본 제1 반사층과,
    상기 오목부 형성층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개재함과 함께 상기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의 일부를 피복한 제2 반사층으로서, 상기 제2 반사층 중 상기 오목부 형성 영역을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홈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반사층
    을 구비하고,
    상기 주면은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층은, 상기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더 피복한 광학 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층은 상기 오목부 형성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마주 보고 있는 광학 소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층은 금속 반사층을 포함한 광학 소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층은 1층 또는 다층의 유전체막을 포함한 광학 소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층은 금속 반사층을 포함한 광학 소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층은 1층 또는 다층의 유전체막을 포함한 광학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은 상기 제2 반사층으로 피복된 상기 오목부 형성 영역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주면이 상기 제2 반사층으로 피복된 오목부 형성 영역 중 적어도 1개의 오목부 형성 영역은, 상기 주면이 상기 제2 반사층으로 피복된 다른 오목부 형성 영역과는 상기 길이 방향이 상이한 광학 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은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더 포함한 광학 소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막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부분을 포함한 광학 소자.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 중 적어도 1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회절 격자를 형성하고 있는 광학 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 중 적어도 1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일방향성 확산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광학 소자.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재료의 메소겐기는 네마틱상을 나타내고 있는 광학 소자.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반사층과 마주 본 보호층을 더 구비한 광학 소자.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오목부 형성 영역의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깊이가 0.05㎛ 내지 1㎛의 범위 내에 있고, 0.1 내지 10㎛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광학 소자.
  16. 제1항 또는 제2항의 광학 소자와, 이것을 지지한 물품을 포함한 라벨 부착 물품.
  17. 제1항 또는 제2항의 광학 소자와 편광자를 포함한 광학 키트.
  18.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사이에서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진정품은 제1항 또는 제2항의 광학 소자를 지지한 물품이며,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이,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와 상기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중 어느 것에서도 가시화하지 않고,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가시화하는 잠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은 비진정품이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이,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상기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와 동일한 색을 표시하고,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상기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와는 상이한 색을 표시하고,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상기 편광자 없이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 및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와는 상이한 색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은 비진정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산란광을 사출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이 상기 잠상 또는 상기 제1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었던 경우로서,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을 상기 한쪽의 주면의 법선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상기 편광자를 통해서 상기 한쪽의 주면에 대하여 기운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상기 잠상 또는 상기 제1 표시부가 표시하는 색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은 비진정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이, 간섭색을 표시하거나 또는 광 산란 이방성을 나타내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진정인지의 여부가 미지인 물품은 비진정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87014846A 2006-09-27 2007-09-26 광학 소자, 라벨 부착 물품, 광학 키트 및 판별 방법 KR101468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62341A JP5200354B2 (ja) 2006-09-27 2006-09-27 真偽判定機能を有する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
JPJP-P-2006-00262341 2006-09-27
JP2007098629A JP5141078B2 (ja) 2007-04-04 2007-04-04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ラベル付き印刷物および判別方法
JPJP-P-2007-00098629 2007-04-04
JP2007169509A JP5141108B2 (ja) 2007-06-27 2007-06-27 光学素子、ラベル付き物品、光学キット及び判別方法
JPJP-P-2007-00169509 2007-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511A KR20090071511A (ko) 2009-07-01
KR101468748B1 true KR101468748B1 (ko) 2014-12-04

Family

ID=3926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846A KR101468748B1 (ko) 2006-09-27 2007-09-26 광학 소자, 라벨 부착 물품, 광학 키트 및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07143B2 (ko)
EP (1) EP2068208B1 (ko)
KR (1) KR101468748B1 (ko)
CN (1) CN101361026B (ko)
CA (1) CA2631161C (ko)
WO (1) WO2008041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9708B (en) 2002-12-25 2007-11-1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interference type color display
US7342705B2 (en) 2004-02-03 2008-03-11 Idc, Ll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structure
WO2008045207A2 (en) 2006-10-06 2008-04-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KR101535805B1 (ko) 2006-10-06 2015-07-09 퀄컴 엠이엠에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형성방법
WO2008045463A2 (en) 2006-10-10 2008-04-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device with diffractive optics
US8068710B2 (en) 2007-12-07 2011-11-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coupled holographic film and diffuser
WO2009128168A1 (ja) * 2008-04-18 2009-10-22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ラベル付き物品
CN105158830B (zh) * 2008-04-18 2017-12-05 凸版印刷株式会社 显示体及带标签物品
JP5169463B2 (ja) * 2008-05-12 2013-03-27 凸版印刷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US20100206953A1 (en) * 2009-02-19 2010-08-19 O'boyle Lily Durable washable label having a visibl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CN102770787B (zh) * 2009-12-01 2015-09-16 凸版印刷株式会社 显示体及带标签的物品
ES2337010B8 (es) * 2009-12-01 2014-10-24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seguridad documental por generacion de imagenes multiples
GB201003136D0 (en) * 2010-02-24 2010-04-14 Rue De Int Ltd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 comprising a coloured cast cured hologram
JP5671295B2 (ja) * 2010-10-14 2015-0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潜像を有する物品
US8902484B2 (en) 2010-12-15 2014-12-0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Holographic brightness enhancement film
US9403318B2 (en) * 2013-02-07 2016-08-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at stake joining of adhesively bonded thermoplastic components
EP3163335A4 (en) * 2014-06-30 2018-03-14 Zeon Corporation Identification medium, method for producing identification medium, and method for using identification medium
CN108698411B (zh) * 2016-02-26 2020-04-10 凸版印刷株式会社 热敏转印用的图像数据的制作方法、图像形成方法以及图像显示设备
JPWO2018198982A1 (ja) * 2017-04-27 2019-06-27 京セラ株式会社 回路基板およびこれを備える発光装置
FR3067476B1 (fr) * 2017-06-07 2019-10-18 Saint-Gobain Glass France Ecran de projection de couleur foncee ou noir
JP6815507B2 (ja) 2017-06-29 2021-01-20 京セラ株式会社 回路基板およびこれを備える発光装置
CN109291685B (zh) * 2017-09-09 2020-06-23 擎雷(上海)防伪科技有限公司 一种金融防伪票据
CN110712452B (zh) * 2018-07-13 2021-03-12 中钞特种防伪科技有限公司 光学防伪元件及其制备方法和光学防伪产品
CN111823749B (zh) * 2019-04-19 2022-02-25 中钞特种防伪科技有限公司 光学防伪元件及其制作方法、光学防伪产品
DE102019003947A1 (de) * 2019-06-06 2020-12-10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ptisch variablen Sicherheitselements
CN114047168A (zh) * 2021-11-16 2022-02-15 江苏硕世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光学的试剂卡识别检测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3755A1 (en) * 2002-09-13 2005-06-09 Flex Products Inc. Alignable diffractive pigment flakes
KR20060014376A (ko) * 2003-04-17 2006-02-15 레오나르트 쿠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필름 및 광학 위조 방지 요소
KR20060080196A (ko) * 2003-09-16 2006-07-07 레오나르트 쿠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개인 이름이 인쇄된 광학 가변 요소의 제조를 위한제조방법 및 필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5105A (en) * 1994-05-13 1997-06-03 Fuji Photo Film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optical compensatory sheet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the same
EP0980536B1 (en) * 1997-05-09 2004-05-26 Rolic AG Optical element
DE60045072D1 (de) * 1999-05-24 2010-11-18 Toppan Printing Co Ltd Zusammengesetzter komposit-körper, informationsspeicher-medium und vorrichtung zur aufbringung fälschungssicherer merkmale
JP2001063300A (ja) * 1999-08-24 2001-03-13 Toppan Printing Co Ltd Ovd形成媒体の偽造防止方法及び偽造防止を施したovd形成媒体
GB2375078A (en) * 2001-04-30 2002-11-06 Rue De Int Ltd Security substrate with indicia only viewable in transmitted light
CN1173311C (zh) * 2001-06-22 2004-10-27 张宝砚 用液晶材料防伪的方法
DE10146508C2 (de) * 2001-09-21 2003-07-24 Ovd Kinegram Ag Zug Etikett mit einem diffraktiven Strichcode und Leseanordnung für solche Etiketten
US7088405B2 (en) * 2003-05-05 2006-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ed transflectors for enhanced ambient and backlight operation of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s
JP4257903B2 (ja) * 2003-10-28 2009-04-30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識別媒体の識別方法、識別対象物品および識別装置
DE102004018702B4 (de) * 2004-04-17 2006-05-24 Leonhard Kurz Gmbh & Co. Kg Folie mit Polymerschicht
BRPI0513694A (pt) * 2004-07-21 2008-05-13 Rolic Ag dispositivos ópticos anisotrópicos e método para produção do mesmo
DE102005006277B4 (de) 2005-02-10 2007-09-20 Ovd Kinegram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körp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3755A1 (en) * 2002-09-13 2005-06-09 Flex Products Inc. Alignable diffractive pigment flakes
KR20060014376A (ko) * 2003-04-17 2006-02-15 레오나르트 쿠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필름 및 광학 위조 방지 요소
KR20060080196A (ko) * 2003-09-16 2006-07-07 레오나르트 쿠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개인 이름이 인쇄된 광학 가변 요소의 제조를 위한제조방법 및 필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41580A1 (en) 2008-04-10
EP2068208B1 (en) 2015-03-04
EP2068208A1 (en) 2009-06-10
EP2068208A4 (en) 2011-01-12
CA2631161A1 (en) 2008-04-10
CN101361026B (zh) 2013-07-24
AU2007303379A1 (en) 2008-04-10
US20080239216A1 (en) 2008-10-02
US8107143B2 (en) 2012-01-31
CA2631161C (en) 2016-05-24
KR20090071511A (ko) 2009-07-01
CN101361026A (zh)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748B1 (ko) 광학 소자, 라벨 부착 물품, 광학 키트 및 판별 방법
JP5045328B2 (ja) 光学素子、ラベル付き物品、光学キット及び判別方法
RU2443004C2 (ru) Защитный маркировочный опт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элемента,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элемент, и счи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такого элемента
JP5239509B2 (ja) 光学素子、ラベル付き物品及び光学キット
JP5211474B2 (ja) 積層体、粘着ラベル、記録媒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125418B2 (ja) 光学素子、ラベル付き物品、光学キット及び判別方法
JP4978403B2 (ja) 光学素子、ラベル付き物品、光学キット及び判別方法
JP5141078B2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ラベル付き印刷物および判別方法
JP5250991B2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その検証方法並びに印刷物
JP5245294B2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読取り装置
JP5211473B2 (ja) 積層体、粘着ラベル、記録媒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315793B2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380791B2 (ja) 光学素子、ラベル付き物品、光学キット及び判別方法
JP2009216722A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343384B2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169463B2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245473B2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141108B2 (ja) 光学素子、ラベル付き物品、光学キット及び判別方法
JP5028643B2 (ja) 積層体、粘着ラベル、記録媒体、ラベル付き物品及び判別方法
JP5028642B2 (ja) 積層体、粘着ラベル、記録媒体、ラベル付き物品及び判別方法
JP2013068701A (ja) 偽造防止媒体及びその真贋判定方法並びに偽造防止媒体の製造方法
JP2012192568A (ja) 表示体及び真偽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