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679B1 - 낚시용 수중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수중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679B1
KR101467679B1 KR1020130043918A KR20130043918A KR101467679B1 KR 101467679 B1 KR101467679 B1 KR 101467679B1 KR 1020130043918 A KR1020130043918 A KR 1020130043918A KR 20130043918 A KR20130043918 A KR 20130043918A KR 101467679 B1 KR101467679 B1 KR 101467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hole
present
w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000A (ko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3004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67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시용 수중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는 낚시줄 관통공이 중앙에 성형되고 무게 중심이 하부로 치우치게 윗부분이 얇고 아래 부분이 볼록한 물방울형 형상의 몸체와, 상기 낚시줄 관통공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일측에 좌우 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채비 내림을 자연스럽게 하고, 기류를 탈수 있도록 구성되어 회전이나 경로를 이탈하지 않으며, 반전 지류를 빠르게 감지하여 채비를 부상시켜 다시 조류에 따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수중찌{UNDERWATER 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수중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비 내림을 자연스럽게 하고, 기류를 탈수 있도록 구성되어 회전을 방지하고 경로를 이탈하지 않으며, 반전 지류를 빠르게 감지하여 채비를 부상시켜 다시 조류를 따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낚시용 수중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한 채비를 살펴보면 낚시원줄과, 낚시원줄에 끼워지며 어신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시켜 주는 낚시찌가 있으며, 이외 낚시원줄과 낚시바늘에 연결되어 있는 낚시목줄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도래 등이 있다.
한편, 상기한 낚시채비들 중 낚시찌와 도래 사이에는 별도의 수중찌가 낚시원줄과 연결 구성된다.
이러한 수중찌는 바람과 상층조류에 영향을 받는 낚시찌를 하층조류의 방향으로 유도하게 하는 것으로, 채비의 원거리 투하와 입수를 원활히 도와주는 중요한 기능과 함께 채비의 엉킴을 억제하고 빠른 조류에서 채비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통상 합성수지등의 재질을 가진 몸체부에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를 결합시켜 적절한 부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진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수중찌는 원통체 형상으로 중앙으로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된 수중찌몸체와, 상기 수중찌 몸체의 체결구멍에 끼워지며 중앙으로는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낚시줄 통과공이 관통 형성된 낚시줄 안내관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구멍찌는 단순히 채비의 원거리 투하와 입수 기능과 빠른 조류에서 채비의 떠오름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바다 수중과 같은 복잡한 환경속에서 수중찌의 기능을 십분 발휘하지 못한다.
즉, 수중찌가 조류를 타게 하여 투여된 밑밥과 동조하여 흐르게 하고, 미끼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기능은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중찌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디자인 출원번호 30-2003-21836호(명칭:낚시용 수중찌, 이하 "스텔스 수중찌"라 함)가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스텔스 수중찌의 기능은 도 1의 좌측그림과 같이 조류를 등에 업고 아래로 내리는 기능과 도 1의 우측그림과 같이 물속 장애물에 부딪혀 반전하는 조류에 크게 반응할 수 있으며 도 2처럼 견제시 사용자가 위치한 곳으로 빠르게 파고드는 기능을 가진 제품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스텔스 수중찌일지라도 빠른 조류에는 쉽게 적응되지 않고 깊은 곳까지 스스로 내려갈 수 없는 단점이 있어, 특히 배위에서 낚시를 하는 선상낚시와 덩치가 큰 참돔, 부시리를 대상으로 하는 갯바위낚시에는 제대로 역할 수행이 되지 않았다.
또한, 주변 여건에 따라 수중찌의 부력을 달리하여야 하는 데 매번 번거롭게 현장 상황에 맞는 수중찌를 찾아 채비를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깊은 수심일지라도 손쉽게 채비를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조류의 세기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수중찌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스텔스 수중찌에서 견제를 해야 앞으로 파고드는 기능을 반대로 이용하여 무게중심이 아래로 있어 스스로 내림에 자연적으로 앞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수중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 부분이 크게 기류를 탈 수 있도록 완곡져 있어 물속에서 제멋대로 회전을 하거나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물속에 있는 장애물에 부딪혀 반전되는 지류를 빠르게 감지하여 채비를 부상시켜 본 조류를 따라 다시 진행할 수 있는 낚시용 수중찌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의 하부에 부력 조절용 봉돌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수중찌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는 낚시줄 관통공이 중앙에 성형되고 무게 중심이 하부로 치우치게 윗부분이 얇고 아랫부분이 볼록한 물방울형 형상의 몸체와, 낚시줄 관통공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일측에 좌우 날개부가 형성되게 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우 날개부의 배면과 상기 몸체의 외주연이 결합된 부위는 각각 완곡부(A,B)가 형성되도록 하고, 좌우날개부는 상광하협의 삼각형 모양이며, 상부와 하부는 굴곡된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의 윗부분과 좌우날개부의 상부가 결합되고, 몸체의 아래부분과 좌우날개부의 하부가 결합되게 하여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의 아래 부분은 부력 조절용 봉돌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홀을 형성하여 현장상황에 맞추어 부력을 조절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에 의하면, 기존의 스텔스 수중찌에서 견제를 해야 앞으로 파고드는 기능을 반대로 이용하여 무게중심이 아래로 있어 신속하게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여 깊은 수심일지라도 쉽게 채비를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에 의하면, 쟁기 형상의 삼각형 모양으로 된 측면의 굴곡 경사를 구비한 날개부에 의하여 조류가 빠를 수 록 더 깊이 파고들 수 있어 채비 제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에 의하면, 몸체 부분이 크게 기류를 탈 수 있도록 완곡져 있어 물속에서 제멋대로 회전을 하거나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물속에 있는 장애물에 부딪혀 반전되는 지류를 빠르게 감지하여 채비를 부상시켜 본 조류를 따라 다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에 의하면, 현장 여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구멍찌와 관계없이 수중찌에 채비에 따라 부력 조절용 봉돌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롭게 수중찌를 교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수중찌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수중찌의 제1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수중찌의 제2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X방향에서 바라본 낚시용 수중찌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의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의 배면도,
도 8은 평면도,
도 9는 저면도,
도 10은 실제 샘플을 이미지한 참고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수중찌의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를 이용한 채비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수중찌의 제1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수중찌의 배면 중심의 제2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X방향에서 바라본 낚시용 수중찌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의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의 배면도, 도 8은 평면도 그리고 도 9는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수중찌는 낚시줄 관통공(130)이 중앙에 성형된 물방울형 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측에 좌우 날개부(121,12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몸체(110)는 무게 중심이 하부로 치우치게 윗부분이 얇고 아래 부분이 볼록한 물방울형 형상으로 구성하고, 몸체(110)의 윗부분에서 아래 부분으로 관통되도록 관통공(130)을 형성한다.
즉, 몸체(11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해 있어 스스로 내림에 자연적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4의 제2 사시도와 도 6의 우측면도를 참고하면, 몸체(110)의 상부(우측)에서 하부(좌측)로 관통공(130)을 형성하되,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30)은 볼록한 물방울형의 중심에서 후술하는 날개부(120)가 부착되는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한다.
즉, 도 5를 참고하면, 물방울형의 중심부에서 "a"거리만큼 이격되어 관통공(130)이 상부로 치우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몸체(110)가 수중찌의 부력을 담당하여 날개부(120)가 일정각도 기울어져 항상 몸체(110)의 상부에서 조류를 탈 수 있도록 몸체(110)의 무게 중심이 항상 아래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낚시줄이 통과하는 관통공(130)의 몸체의 아래부분이 수중찌의 전체 부력을 담당하도록 형성하여 수중찌가 신속하게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여 깊은 수심일지라도 쉽게 채비를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110)의 일측에는 낚시줄 관통공(130)을 따라 일측에 좌우 날개부(121,122)로 형성된 날개부(120)가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된다.
날개부(120)는 쟁기형상, 즉 상광하협의 역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날개부(120)의 상부와 하부는 일정한 각도로 굴곡된 경사면(C)으로 형성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날개부(120)가 중앙이 굴곡되어 일정한 경사면(C)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날개부(120)는 도 3에서와 같이 대략 역삼각형 형상으로 하고, 쇄기부(120b)와 주익부(120a)로 구성된다.
몸체(110)의 윗부분(물방울형의 얇은 부분)은 날개부(120)의 상부인 주익부(120a)가 결합되고, 몸체(110)의 아래부분(물방울형의 볼록한 부분)과 날개부(120)의 하부 즉 쇄기부(120b)가 결합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몸체(110)의 관통공(130)을 중심으로 역삼각형의 좌우 날개부(121,122)가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역삼각형 모양이며 측면의 굴곡 경사를 구비한 날개부(120)에 의하여 조류가 빠를수록 더 깊이 파고들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좌우 날개부(121,122)의 배면과 몸체(110)의 외주연이 결합된 부위는 각각 완곡부(A,B)가 형성되어 기류를 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와 도 7을 참고하면, 좌우 날개부(121,122)와 결합되는 몸체(110)에 완곡부(A,B)가 형성되어 기류를 탈 수 있기 때문에 물속에서 제멋대로 회전을 하거나 경로를 이탈하거나 하는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속에 있는 장애물에 부딪혀 반전되는 지류가 완곡부(A,B)와 좌우날개부(121,122)의 배면에 부딪혀 채비를 부상시켜 본 조류를 따라 다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불필요한 견제를 해야 하는 동작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실제 형상을 이미지화하여 표시한 것으로 좌우날개부와 몸체 사이에 완곡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수중찌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는 몸체(110)의 아래부분에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몸체(110)의 아래부분 즉, 물방울형의 볼록한 부분에 삽입홀(140)을 형성하고, 부력 조절용 봉돌(150)을 삽입고정하여 사용한다.
삽입홀(140)은 몸체(110)의 관통공(130)이 통과하는 아래 쪽에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부력 조절용 봉돌(150)은 다양한 무게로 형성하여 필요한 경우 적절한 무게를 갖는 봉돌을 삽입홀(140)에 삽입하여 부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홀(140)에 봉돌(150)을 삽입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삽입홀(140)에 걸림턱(141)을 삽입홀(14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고, 이에 삽입되는 봉돌(150)에도 볼트머리와 같은 단턱(151)을 구성하여 걸림턱(141)에 단턱(151)이 밀착되어 채비 투척시 봉돌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삽입홀(140)의 내경을 봉돌(150)의 외경과 동일하게 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하여 봉돌(150)을 삽입홀(140)에 삽입시 외력을 가하여 삽입되도록 하면 투척시 봉돌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를 실제 낚시 채비에 적용하여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를 이용한 채비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채비는 구멍찌(1)의 관통공으로 낚시원줄(5)을 삽입하고 낚시원줄(5)의 끝단부에는 도래(2)가 고정되고 도래(2)와 구멍찌(1) 사이에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100)가 끼워지는데 이때, 물방울형의 몸체의 얇은 부분에서 볼록부분으로 낚시원줄이 관통공을 따라 통과하도록 한다.
낚시용 수중찌(100)와 도래(2)사이에는 충격방지용 쿠션고무(7)가 끼워지며, 도래(2)에는 낚시바늘(4)이 고정되는 소정길이의 목줄(3)이 묶어지고 목줄(3) 아래의 소정위치에는 부력조절용 중간 봉돌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수중찌는 기존의 ‘스텔스 수중찌’가 물속에서 움직이는 기능과 다르게 설계되어 수심이 깊은 곳이나 혹은 조류가 빠른 곳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몸체의 아래에 두어 신속하게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여 깊은 수심일지라도 쉽게 채비를 내릴 수 있게 하였으며 삼각형 모양으로 된 측면의 굴곡 경사로 된 날개부에 의해 조류가 빠를수록 더 깊이 파고들 수 있도록 동작된다.
또한, 기존의 스텔스 수중찌는 견제를 해야 앞으로 파고드는 기능을 반대로 이용하여 무게중심이 아래로 있어 스스로 내림에 자연적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몸체부분이 크게 기류를 탈 수 있도록 완곡부로 구성되어 있어 물속에서 제멋대로 회전을 하거나 경로를 이탈하거나 하는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물속에 있는 장애물에 부딪혀 반전되는 지류를 빠르게 감지하여 채비를 부상시켜 본 조류를 따라 다시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불필요한 견제를 해야 하는 동작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수중찌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몸체 121,122 : 좌우 날개부
130 : 낚시줄 관통공 A,B : 완곡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낚시줄 관통공(130)이 중앙에 성형되고 무게 중심이 하부로 치우치게 윗부분이 얇고 아래 부분이 볼록한 물방울형 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낚시줄 관통공(130)을 따라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날개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120)는 상광하협의 역삼각형 모양이며, 상부(120a)와 하부(120b)는 굴곡된 경사면(C)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를 기준으로 좌우 날개부(121,122)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 날개부(121,122)의 배면과 상기 몸체(110)의 외주연이 결합된 부위는 각각 완곡부(A,B)가 형성된 낚시용 수중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윗부분은 상기 날개부(120)의 상부(120a)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아래부분과 상기 날개부(120)의 하부(120b)가 결합된 낚시용 수중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아래부분은
    부력 조절용 봉돌(150)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홀(140)이 형성된 낚시용 수중찌.











KR1020130043918A 2013-04-22 2013-04-22 낚시용 수중찌 KR10146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918A KR101467679B1 (ko) 2013-04-22 2013-04-22 낚시용 수중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918A KR101467679B1 (ko) 2013-04-22 2013-04-22 낚시용 수중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00A KR20140126000A (ko) 2014-10-30
KR101467679B1 true KR101467679B1 (ko) 2014-12-01

Family

ID=5199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918A KR101467679B1 (ko) 2013-04-22 2013-04-22 낚시용 수중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6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79Y1 (ko) * 1985-11-11 1988-10-15 이기갑 낚시추의 수직 부상기
JPH10178993A (ja) * 1996-12-27 1998-07-07 Tsuriken:Kk 釣用水中浮き
KR200292563Y1 (ko) * 2002-07-23 2002-10-25 이규철 낚시용 수중찌
KR20100010334A (ko) * 2008-07-22 2010-02-01 이동화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79Y1 (ko) * 1985-11-11 1988-10-15 이기갑 낚시추의 수직 부상기
JPH10178993A (ja) * 1996-12-27 1998-07-07 Tsuriken:Kk 釣用水中浮き
KR200292563Y1 (ko) * 2002-07-23 2002-10-25 이규철 낚시용 수중찌
KR20100010334A (ko) * 2008-07-22 2010-02-01 이동화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00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569A (en) Ascending fishing lure
US20140123540A1 (en) Fishing lure
KR20120011895A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KR101467679B1 (ko) 낚시용 수중찌
US5381623A (en) Fish lure
KR101177823B1 (ko) 이단자립 낚시찌
KR101407741B1 (ko) 낚시용 찌
CN209914829U (zh) 一种刺刀形折叠活动鱼钩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JP2008035729A (ja) 魚釣り用の錘
RU122247U1 (ru) Фидерная кормушка "волан"
KR101776407B1 (ko) 다기능 낚시찌
KR970001360Y1 (ko) 낚시용 수중찌
JP2019047771A (ja) 釣り用仕掛け及び釣り方法
JP2011239760A (ja) 釣り用の中通しウキ
JP4340252B2 (ja) 海釣り用穴浮き
JP4795443B2 (ja) 釣り用錘
KR101042547B1 (ko) 챔질 도우미 브레이크부레가 장착된 낚시찌
KR102161299B1 (ko) 낚시용 인조미끼의 헤드
CN213603913U (zh) 浮漂渔具
KR20160095841A (ko) 낚시용 찌
KR100344104B1 (ko) 동작성이 우수한 낚시찌
US186232A (en) Improvement in gill-nets
CN109699626A (zh) 静态捕鼠器
KR20120048831A (ko) 유동 부력구를 이용한 낚시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