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450B1 -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450B1
KR101467450B1 KR1020130015823A KR20130015823A KR101467450B1 KR 101467450 B1 KR101467450 B1 KR 101467450B1 KR 1020130015823 A KR1020130015823 A KR 1020130015823A KR 20130015823 A KR20130015823 A KR 20130015823A KR 101467450 B1 KR101467450 B1 KR 101467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queegee
workpiece
grinding
a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473A (ko
Inventor
전인수
변수용
Original Assignee
(주)서우케이엔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우케이엔제이 filed Critical (주)서우케이엔제이
Priority to KR102013001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45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84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the grinding wheel support being angular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공물을 수직 상태로 지지하는 홀더(20); 상기 홀더(20) 상의 가공물을 향하여 숫돌(46)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연마기(40); 및 상기 홀더(20)의 승강 행정에 연동하여 연마기(40)의 연삭작동을 변동하는 제어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길이가 긴 스퀴지를 수직으로 클램핑하여 설정된 횟수로 반복적으로 연마함에 따라 작업에 소요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균일한 상태의 연마면으로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Apparatus for grinding screen print squeegee}
본 발명은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가 긴 스퀴지를 수직으로 클램핑하여 설정된 횟수로 반복적으로 연마함에 따라 작업에 소요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균일한 상태의 연마면으로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마스크를 사용하는 실크인쇄용 스크린프린터는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되는 장치를 기반으로 하지만 직물, 포스터, 포장지 등에 널리 활용되는 방식으로서 색상 표현이 자유롭고 인쇄막이 두터워 선명한 패턴을 구현한다. 이러한 인쇄기의 양산에 있어서 스퀴지의 에지를 연마하는 작업을 거치게 되는 바, 길이가 긴 형태의 스퀴지를 고르게 연마하기 위해 자동화 기계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참고할 수 있는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39263호, 공개특허공보 제2001-0091408호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수평설치되어 하부환도 쪽으로 승하강되는 승강부재, 승강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봉에 관통되어 승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치합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승강부재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트리밍기 가동중에 환도의 손상부위를 연마시켜 수리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전극봉을 끼워져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홀딩부와; 전극봉이 노출되도록 고정된 홀딩부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연마휠과 이루는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정부와; 상기 조정부를 상하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극봉을 사용자가 연마할 경우 비록 초보자라도 필요와 연마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연마각도와 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전자의 선행특허에 의하면 공작물이 수평으로 클램핑되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소요하여 장치이 외형이 증가하는 단점을 보이고 있고, 후자의 선행특허에 의하면 전극봉의 단부를 연마하는 것이므로 넓은 길이를 동시에 연마하는 스퀴지 연마용으로 활용하기 곤란하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39263호 "환도 연마장치"(공개일자 : 2004. 11. 4.) 2. 공개특허공보 제2001-0091408호 "전극봉 연마기"(공개일자 : 2001. 10. 2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가 긴 스퀴지를 수직으로 클램핑하여 설정된 횟수로 반복적으로 연마함에 따라 작업에 소요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균일한 상태의 연마면으로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공물을 수직 상태로 지지하는 홀더; 상기 홀더 상의 가공물을 향하여 숫돌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연마기; 및 상기 홀더의 승강 행정에 연동하여 연마기의 연삭작동을 변동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가공물의 길이에 대응하여 승하강 행정단을 결정하도록 직선눈금자와 검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제1조절수단의 X축노브와 Y축노브로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되, X축노브는 동심상에 치형휠을 구비하고 링크를 개재하여 에어실린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마기는 제2조절수단에 의하여 숫돌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되, 제2조절수단은 각도눈금자를 지니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과, 가동판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동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은 홀더의 승강 행정단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와, 홀더의 승하강 횟수를 입력하는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가 긴 스퀴지를 수직으로 클램핑하여 설정된 횟수로 반복적으로 연마함에 따라 작업에 소요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균일한 상태의 연마면으로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홀더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연마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패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크린프린터에 탑재되는 길이가 긴 형태의 스퀴지를 연마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스퀴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는 후술하는 주요부 작동을 위한 공압발생기(15)를 구비하지만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외부의 공압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물을 수직 상태로 지지하는 홀더(20)가 본체(10)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홀더(20)는 일면에 장착홈(20a)이 형성되어 스퀴지를 수용하며, 서보방식의 승강모터(24)와 연결되어 스퀴지의 상승과 하강운동을 수행한다. 가공물인 스퀴지가 홀더(20)와 함께 수직 상태로 지지되므로 상대적으로 점유면적이 축소되어 공간효율성이 향상된다. 장착홈(20a) 내에는 다수의 가압편(21)이 각각의 에어실린더(22)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가압편(21)은 스퀴지를 눌러서 클램핑하는 부분으로서 고무재질의 스퀴지에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넓은 접촉면을 지닌다. 도 3에서 홀더(20)에 4개의 가압편(21)이 설치되는 경우 중간의 2개는 짧은 스퀴지를 클램핑하는 용도로 활용한다.
이때, 상기 홀더(20)는 가공물의 길이에 대응하여 승하강 행정단을 결정하도록 직선눈금자(26)와 검출판(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선눈금자(26)는 홀더(20)의 측면에서 에어실린더(22)의 설치영역을 포함하는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검출판(28)은 직선눈금자(26)에 인접하여 홀더(20)의 승강 행정단과 하강 행정단에 각각 부착된다. 스퀴지의 길이에 따라 승하가 행정단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검출판(28)은 탈부착이 용이한 자석 구조를 택하는 것이 좋다. 물론 검출판(28)은 후술하는 검출센서(62)에 의하여 검출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홀더(20)는 제1조절수단(30)의 X축노브(31)와 Y축노브(36)로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한다. 도 2의 좌측 정면도에서 좌우방향을 X축방향으로 우측 측면도에서 전후방향을 Y축방향으로 설정한다. X축노브(31)와 Y축노브(36)는 각각 홀더(20)의 X축 위치와 Y축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한다. 물론 미세 조절을 위해 볼스크류 방식 또는 리드스크류 방식과 연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X축노브(31)는 동심상에 치형휠(32)을 구비하고 링크(33)를 개재하여 에어실린더(3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더(20)의 X축방향 위치는 후술하는 숫돌(46)의 연삭량과 관련되어 미세조절이 필요하다. 링크(33)는 상단에서 에어실린더(34)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에서 치형휠(32)과 접촉된다. 링크(33)의 하단에는 래칫을 설치하여 치형휠(32)의 일방향 회전만 허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X축노브(31)의 회전시 치형휠(32)을 한 피치씩 회전시켜 홀더(20)의 위치를 수동으로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홀더(20) 상의 가공물을 향하여 숫돌(46)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연마기(40)가 설치된다. 연마기(40)는 가공모터(44)에 연결된 숫돌(46)을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켜 스퀴지를 연삭하는 동시에 별도의 모터 또는 실린더를 개재하여 홀더(20) 측으로 X축방향 운동을 수행하며 연삭작업을 수차례 반복한다.
이때, 상기 연마기(40)는 제2조절수단(50)에 의하여 숫돌(46)의 회동 각도를 조절한다. 스크린프린터의 종류에 따라서 스퀴지의 평면 가공 외에 경사면 가공을 요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 대비하여 숫돌(46)이 홀더(20)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는 구조를 택한다.
여기서 제2조절수단(50)은 각도눈금자(43)를 지니는 고정판(41)과, 고정판(41)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51)과, 가동판(51)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동레버(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판(41)의 일측에는 각도눈금자(43)가 각인으로 표시되고, 타측에는 일정한 곡률의 원호형 활주홈(42)이 형성된다. 가동판(51)은 활주홈(4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접하는 지지캠(52)을 쌍으로 구비한다. 회동레버(54)는 가동판(51)의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당길 수 있다. 이외에도 가동판(51)이 고정판(41) 상에서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로크레버(5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로크레버(56)를 풀고 회동레버(54)를 당기면 가동판(51)이 회동되기 시작하고, 가동판(51)의 일측에서 고정판(41)의 각도눈금자(43)가 드러나고, 각도눈금자(43)를 보면서 원하는 각도에서 가동판(51)을 정지시킨 후 다시 로크레버(56)를 조여서 각도를 유지한다.
한편, 연마기(40)는 숫돌(46)의 주기적 관리를 위해서 상측으로 드레서(4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60)이 상기 홀더(20)의 승강 행정에 연동하여 연마기(40)의 연삭작동을 변동한다. 제어수단(60)은 제어패널(61)에 구성되는 부분과 본체(10)에 구성되는 부분으로 분산 설치되며, 홀더(20)오 연마기(40)의 제어를 통하여 스퀴지에 대한 황삭과 정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0)은 홀더(20)의 승강 행정단을 검출하는 검출센서(62)와,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64)와, 홀더(20)의 승하강 횟수를 입력하는 카운터(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출센서(62)는 비접촉식의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본체(10)에서 홀더(20)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모드선택스위치(64)의 수동모드는 홀더(20)의 위치조절을 작업자가 수행하는 상태이고, 자동모드는 설정된 조건으로 홀더(20)와 연마기(40)를 제어하는 상태이다. 카운터(66)는 하나의 스퀴지에 대하여 홀더(20)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횟수를 설정한다.
작동에 있어서, 제어패널(61)의 모드선택스위치(64)를 수동으로 선택한 상태에서 홀더(20)에 스퀴지를 장착하고, 클램핑버튼(68)을 누르면 에어실린더(22)가 작동하여 가압편(21)이 스퀴지를 클램핑하고, X축노브(31)와 Y축노브(36)를 회전시켜 스퀴지와 숫돌(46)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카운터(66)에서 연마 횟수를 설정한다. 이어서 모드선택스위치(64)를 자동으로 변환하면 숫돌(46)이 회전하는 동시에 도 7처럼 홀더(20)가 하강하여 연마 가공을 수행하고, 홀더(20)의 상승후 다시 하강하는 시점에서 숫돌(46)이 설정된 치수로 전진하여 2차 연마 가공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카운터(66)에 설정된 횟수로 연마 가공이 수행된 후에 홀더(20)가 상승 행정단에 이르면서 작업이 종료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홀더
21: 가압편 22, 34: 에어실린더
24: 승강모터 26: 직선눈금자
28: 검출판 30: 제1조절수단
31: X축노브 32: 치형휠
36: Y축노브 40: 연마기
41: 고정판 42: 활주홈
43: 각도눈금자 44: 가공모터
46: 숫돌 50: 제2조절수단
51: 가동판 52: 지지캠
54: 회동레버 60: 제어수단
61: 제어패널 62: 검출센서
64: 모드선택스위치 66: 카운터
68: 클램핑버튼

Claims (5)

  1. 본체(10)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공물을 수직 상태로 지지하는 홀더(20);
    상기 홀더(20) 상의 가공물을 향하여 숫돌(46)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연마기(40); 및
    상기 홀더(20)의 승강 행정에 연동하여 연마기(40)의 연삭작동을 변동하는 제어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20)는 제1조절수단(30)의 X축노브(31)와 Y축노브(36)로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되, X축노브(31)는 동심상에 치형휠(32)을 구비하고 링크(33)를 개재하여 에어실린더(3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20)는 가공물의 길이에 대응하여 승하강 행정단을 결정하도록 직선눈금자(26)와 검출판(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40)는 제2조절수단(50)에 의하여 숫돌(46)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되,
    제2조절수단(50)은 각도눈금자(43)를 지니는 고정판(41)과, 고정판(41)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51)과, 가동판(51)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동레버(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홀더(20)의 승강 행정단을 검출하는 검출센서(62)와,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64)와, 홀더(20)의 승하강 횟수를 입력하는 카운터(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KR1020130015823A 2013-02-14 2013-02-14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KR101467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823A KR101467450B1 (ko) 2013-02-14 2013-02-14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823A KR101467450B1 (ko) 2013-02-14 2013-02-14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73A KR20140102473A (ko) 2014-08-22
KR101467450B1 true KR101467450B1 (ko) 2014-12-03

Family

ID=5174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823A KR101467450B1 (ko) 2013-02-14 2013-02-14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4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953A (ja) * 1990-12-26 1993-05-21 Asahi Plast:Kk 印刷用スキ−ジの研削装置
JPH081501A (ja) * 1994-06-24 1996-01-09 Micro Tec Kk 研磨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953A (ja) * 1990-12-26 1993-05-21 Asahi Plast:Kk 印刷用スキ−ジの研削装置
JPH081501A (ja) * 1994-06-24 1996-01-09 Micro Tec Kk 研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73A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VR20100136A1 (it) Macchina lucidacoste
US6887140B2 (en) Machine for radiusing the corners of glass sheets
KR101467450B1 (ko) 스크린프린터용 스퀴지 연마장치
JP5154880B2 (ja) ドレス装置を備えた硬質脆性板の面取装置
KR101511593B1 (ko) 디스플레이패널용 유리판, 그의 연삭을 위한 연마지석 및 연삭장치
CN110549217B (zh) 数控磨床
US3449866A (en) Automatic cribbing device
CN108971761B (zh) 一种适用于立体加固的激光雕刻机
CN108818311B (zh) 一种冲击试样u型缺口加工用砂轮的修整装置
JP2001219348A (ja) ガラス板の周縁を研削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336746A (ja) ガラス板の数値制御研削機械
JP2005335002A (ja) スキージ研磨装置
US2511449A (en) Engraver's tool sharpening machine
CN210121803U (zh) 用于石墨工件的抛光机
US2130021A (en) Grinding machine
CN208148767U (zh) 刮刀研磨机
US3942287A (en) Contour grinders
JP5010421B2 (ja) 工作物外径面および平面のセンタレス研削方法およびセンタレス研削装置
JP6135287B2 (ja) 研削盤
JPH0523961A (ja) ガラス板の加工機械
EP0673715B1 (en) Machine for processing glass plate
US2821050A (en) Edge grinding machine for lenses
JP2016132077A (ja) 曲面研磨加工装置
CN109290973A (zh) 圆柱形打磨棒制作装置及方法
CN213136312U (zh) 一种夹持结构及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