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073B1 - 자동차의 조향 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073B1
KR101467073B1 KR1020130002032A KR20130002032A KR101467073B1 KR 101467073 B1 KR101467073 B1 KR 101467073B1 KR 1020130002032 A KR1020130002032 A KR 1020130002032A KR 20130002032 A KR20130002032 A KR 20130002032A KR 101467073 B1 KR101467073 B1 KR 10146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guide
telescopic
guide member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937A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0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0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어 컬럼에 대해 어퍼 컬럼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컬럼의 장착성과 텔레스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충돌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 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어 컬럼에 대해 어퍼 컬럼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컬럼의 장착성과 텔레스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충돌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100)은 중공 형상의 어퍼 컬럼(110); 어퍼 컬럼(110)에 삽입되는 로어 컬럼(120); 어퍼 컬럼(110)과 로어 컬럼(120) 내부에 구비되는 조향축(102); 어퍼 컬럼(110)의 양측에 구비되고 틸트 장홀(152)이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150); 틸트 브라켓(150)과 일체로 결합되고, 캡슐(142)을 통해서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140); 틸트 브라켓(15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어퍼 컬럼(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텔레스가이드부(160); 다수개의 캠돌기(174a)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174); 고정캠(174)의 캠돌기(174a)에 대응하는 캠돌기(미도시)가 형성된 작동캠(178)이 구비되어 있는 레버(175); 및 몸체부(181)가 틸트 장홀(152)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단에 헤드부(18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베어링(176), 레버 볼트(177) 등이 순차 결합되어 있는 어드저스트볼트(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100)에서는 틸트 또는 텔레스 구현시 운전자가 레버(175)를 잠그면 작동캠(178)의 캠돌기(미도시)가 고정캠(174)의 캠돌기(174a)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동캠(178)과 고정캠(174)이 서로 이격되고, 더불어 어드저스트볼트(180)가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며 헤드부(183)가 틸트 브라켓(150)의 일측을 가압함과 동시에, 고정캠(174)이 틸트 브라켓(150)의 타측을 가압함에 따라 틸트 브라켓(150)이 어퍼 컬럼(110)의 텔레스가이드부(160)를 가압하여 위치고정시킴으로써 어퍼 컬럼(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레버(175)를 풀면 이격되어 있던 작동캠(178)과 고정캠(174)이 원상복귀되면서, 어드저스트볼트(180)가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하며 틸트 브라켓(150)의 일측을 가압하던 헤드부(183)의 가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틸트 브라켓(150)의 타측을 가압하던 고정캠(174)의 가압력 역시 해제되어 어퍼 컬럼(11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경우, 컬럼들을 차량에 장착시 또는 외력이 컬럼에 작용되는 경우, 어퍼 컬럼에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력이 발생되어서, 어퍼 컬럼과 로어 컬럼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되어, 컬럼의 장착성 및 텔레스 작동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어 컬럼에 대해 어퍼 컬럼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컬럼의 장착성과 텔레스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충돌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컬럼이 삽입되고, 외주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어드저스트볼트가 관통되는 텔레스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절개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어퍼 컬럼; 및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서 어드저스트볼트에 끼워져 지지되며, 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로어 컬럼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에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어 컬럼에 대해 어퍼 컬럼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컬럼의 장착성과 텔레스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충돌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조향 컬럼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도 2의 조향 컬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조향 컬럼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도 2의 조향 컬럼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200)은, 로어 컬럼(120)이 삽입되고, 외주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어드저스트볼트(180)가 관통되는 텔레스장홀(201)이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가이드부(160)가 구비되어 있으며, 텔레스가이드부(160) 사이에 축방향으로 절개된 슬릿(203)이 형성되어 있는 어퍼 컬럼(110); 및 텔레스가이드부(160) 사이에서 어드저스트볼트(180)에 끼워져 지지되며, 슬릿(20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로어 컬럼(120)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601)에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퍼 컬럼(110)은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로어 컬럼(120)은 어퍼 컬럼(110)에 삽입되며, 조향축(102)은 어퍼 컬럼(110)과 로어 컬럼(120)의 내부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어퍼 컬럼(110)의 외주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어드저스트볼트(180)가 관통되는 텔레스장홀(201)이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가이드부(160)가 구비되어 있는데, 어퍼 컬럼(110)의 텔레스가이드부(160)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슬릿(20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203)은 운전자가 레버(175)를 조였을 때, 틸트 브라켓(150)이 조여지면서 어퍼 컬럼(110)의 텔레스가이드부(160)를 좁혀 어퍼 컬럼(110)의 내주면이 로어 컬럼(120)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틸트 브라켓(150)은 어퍼 컬럼(110)의 양측에 구비되는데, 틸트 브라켓(150)에는 틸트 장홀(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틸트 브라켓(150)은 대략 'U' 형상으로 이뤄져서, 캡슐(142)을 통해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140)에 결합된다.
고정캠(174)은 틸트 브라켓(150)에 결합되는데, 고정캠(174)에는 다수개의 캠돌기(174a)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캠(178)에는 고정캠(174)의 캠돌기(174a)에 대응되는 캠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175)는 작동캠(178)에 결합된다.
어드저스트볼트(180)는 헤드부(183)와 몸체부(181)로 이뤄지는데, 몸체부(181)는 틸트 장홀(152)과 텔레스장홀(201)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몸체부(181)의 일단에는 헤드부(183)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베어링(176)과 레버 볼트(177) 등이 순차로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50)는 텔레스가이드부(160) 사이에서 어드저스트볼트(180)에 끼워져 지지되는데, 가이드부재(250)의 일부는 로어 컬럼(120)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601)에 삽입되며, 가이드홀(601)은 어퍼 컬럼(110)에 형성된 슬릿(20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50)의 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이드부재(250)는 어드저스트볼트(180)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부가 축방향으로 절개된 몸체부(301); 및 몸체부(301)의 절개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어 가이드홀(601)에 삽입되는 삽입부(303);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몸체부(301)는 환형이되, 일부(가이드홀(601)을 향하는 방향의 일부분)가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몸체부(301)는 어드저스트볼트(180)에 끼워져 어드저스트볼터(18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삽입부(303)는 몸체부(301)의 절개된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삽입부(303)는 서로 마주보며 동일한 길이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303)는 로어 컬럼(120)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601)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250)에 일부가 절개된 몸체부(301)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부재(250)가 별도의 지지 구조물이 없어도 어드저스트볼트(180)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삽입부(303)를 형성함으로써, 텔레스 작동시 삽입부(303)가 가이드홀(601)을 따라 이동하며 텔레스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어 텔레스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충돌 등으로 어퍼 컬럼(110)이 컬랩스될 때, 가이드홀(601)을 따라 이동하던 가이드부재(250)의 삽입부(303)가 가이드홀(601)의 끝단에서 충돌하며 파단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부재(250)의 몸체부(301)의 절개된 부분 반대편에는, 텔레스가이드부(160)의 내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지지부(305)가 더 형성되는데, 지지부(305)는 어드저스트볼트(18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30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250)에 형성된 지지부(305)와 삽입부(303)는 로어 컬럼(120)에 대해 어퍼 컬럼(110)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 이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컬럼들을 차량에 장착시, 또는 기타 외력이 컬럼에 작용되는 경우, 어퍼 컬럼(110)에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력이 발생되어서, 어퍼 컬럼(110)과 로어 컬럼(120)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대 회전은 컬럼의 장착성 및 텔레스 작동감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50)를 구비하면, 지지부(305)가 텔레스가이드부(160)의 내측면에 맞닿아 지지되고, 삽입부(303)가 가이드홀(601)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어퍼 컬럼(110)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부(305)에서 몸체부(301)의 반대편에는, 환형의 고리부(307)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리부(307)는 작업자가 가이드부재(250)를 장착할 때, 그 장착성을 용이하게 한다.
즉, 작업자가 가이드부재(250)를 장착할 때, 고리부(307)를 잡은 상태에서 삽입부(303)를 양측으로 벌린 후, 어드저스트볼트(180)에 끼우게 되고, 어드저스트볼트(180)가 몸체부(301)에 끼워지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벌려져있던 삽입부(303)가 복원되면서 몸체부(301)가 어드저스트볼트(180)에 견고히 장착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어 컬럼에 대해 어퍼 컬럼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컬럼의 장착성과 텔레스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충돌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110 : 어퍼 컬럼
120 : 로어 컬럼
160 : 텔레스가이드부
180 : 어드저스트볼트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
201 : 텔레스장홀
203 : 슬릿
250 : 가이드부재
601 : 가이드홀

Claims (5)

  1. 로어 컬럼이 삽입되고, 외주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어드저스트볼트가 관통되는 텔레스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절개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어퍼 컬럼; 및
    상기 텔레스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에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로어 컬럼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에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부가 축방향으로 절개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절개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절개된 부분 반대편에는, 상기 텔레스가이드부의 내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반대편에는, 고리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20130002032A 2013-01-08 2013-01-08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46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032A KR101467073B1 (ko) 2013-01-08 2013-01-08 자동차의 조향 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032A KR101467073B1 (ko) 2013-01-08 2013-01-08 자동차의 조향 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937A KR20140089937A (ko) 2014-07-16
KR101467073B1 true KR101467073B1 (ko) 2014-12-01

Family

ID=5173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032A KR101467073B1 (ko) 2013-01-08 2013-01-08 자동차의 조향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91B1 (ko) * 2015-05-29 2016-11-21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KR101724202B1 (ko) * 2015-08-12 2017-04-0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864377B1 (ko) * 2016-11-30 2018-06-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돌하중 흡수 구조
KR101991752B1 (ko) * 2017-12-27 2019-06-21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용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컬럼
KR102149205B1 (ko) * 2019-06-12 2020-08-28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용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컬럼
KR102161282B1 (ko) * 2019-06-27 2020-09-29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118A (ja) * 2005-09-29 2007-04-12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10004943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20025056A (ko) * 2010-09-06 2012-03-1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118A (ja) * 2005-09-29 2007-04-12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10004943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20025056A (ko) * 2010-09-06 2012-03-1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937A (ko)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073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559821B1 (ko) 스티어링 컬럼
KR101401432B1 (ko) 스티어링 컬럼
KR10160218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EP2287063B1 (en) Steering column
JP642907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03020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5268027B2 (ja) エネルギー吸収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436348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構造
EP3075629B1 (en) Steering column device
KR102149205B1 (ko) 차량용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컬럼
KR101172101B1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20160074070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US11148705B2 (en) Steering column device
KR101724202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2079641B1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12453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79967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2167916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60118419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JP726913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1813080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20110026379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0828809B1 (ko) 회전 가능한 차량용 키셋 장치의 결합구조
JP648017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