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966B1 - 다기능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966B1
KR101466966B1 KR20140035438A KR20140035438A KR101466966B1 KR 101466966 B1 KR101466966 B1 KR 101466966B1 KR 20140035438 A KR20140035438 A KR 20140035438A KR 20140035438 A KR20140035438 A KR 20140035438A KR 101466966 B1 KR101466966 B1 KR 10146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drain
dehydrator
food waste
de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광열
Original Assignee
공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광열 filed Critical 공광열
Priority to KR2014003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거나 싱크대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을 수거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수납되거나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이 수납되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나 탈수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탈수하기 위한 다기능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 상단에 선택적으로 걸어 설치되는 고정통; 상기 고정통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통; 상기 고정통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통이 선택적으로 내부에 설치되는 탈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탈수장치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구조적으로도 생산성과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식물쓰레기 외에도 청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행주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처리하는 간이용 탈수장치 등과 같은 다용도의 탈수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싱크대의 배수구와 호환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별도로 싱크대 바닥면 상에 거치하거나 상기 배수공을 싱크대의 배수구 내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배수구 크기와 상관없이 음식물쓰레기 탈수처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탈수장치{Multi functional dehydrator}
본 발명은 다기능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하여 회전통에 음식물이 수거되면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통을 커버한 상태에서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쓰레기를 탈수시키거나,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식물쓰레기 등을 회전통에 담은 후에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통을 커버한 상태에서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시켜 탈수처리된 수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걸름망을 설치하여 음식쓰레기를 걸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수거된 음식쓰레기는 보통 비닐봉투에 담아 별도의 장소에 버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음식쓰레기에는 많은 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부패하기 쉽고 그로 인해 악취와 해충이 발생하며 음식물의 무게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음식쓰레기의 종량제가 시행되면서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음식쓰레기 처리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탈수장치의 하나로서, 싱크대에 수거된 음식쓰레기를 탈수하기 위한 기술이 제공되었는데, 특허문헌 1(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7997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구에 설치되는 지지통; 상기 지지통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걸름망; 및 상기 배수구에 설치시 결합구가 걸름망의 상단에 끼워지면서 핸들을 돌리면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치합을 통해 상기 걸름망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탈수장치로서의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기술은 손잡이를 잡고 빠르게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름망의 회전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피동기어를 조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등 제조상의 곤란한 문제점들이 있어 생산비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싱크대의 배수구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채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키거나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식물쓰레기 등을 탈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어구조의 복잡한 구조가 아닌 로프와 태엽 구조를 적용하여 음식물쓰레기 등이 담기는 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쓰레기를 탈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구조적으로도 생산성과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탈수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79976호 2005.03.17.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하여 회전통에 음식물이 수거되면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통을 커버한 상태에서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쓰레기를 탈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탈수장치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구조적으로도 생산성과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식물쓰레기 등, 예컨대 음식물쓰레기 외에도 청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을 회전통에 담은 후에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통을 커버한 상태에서 회전통이 내설되어 회전하는 고정통을 바닥면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별도의 탈수통 내에 삽입 장착한 후에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행주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시켜 탈수처리된 수분을 탈수통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행주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처리하는 간이용 탈수장치 등과 같은 다용도의 탈수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회전통 내에 음식물쓰레기를 선택적으로 수용한 후, 회전통이 내설되어 회전하는 고정통을 바닥면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별도의 탈수통 내에 삽입 장착한 후에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켜 탈수처리된 수분을 탈수통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 또는 상기 배수공과 배수홈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싱크대의 배수구와 호환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별도로 싱크대 바닥면 상에 거치하거나 상기 배수공 및 지지리브를 싱크대의 배수구 내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배수구 크기와 상관없이 음식물쓰레기 탈수처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거나 싱크대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을 수거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수납되거나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이 수납되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나 탈수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탈수하기 위한 다기능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상단에 선택적으로 걸어 설치하도록 상부 테두리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에는 중심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외면과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고정통; 상기 고정통 내부에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배수구 측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를 수거하는 한편 상기 고정통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상부 내면을 따라 등 간격을 가지고 제1 치합돌기가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에는 상기 중심돌기에 끼워지도록 중심홈이 형성되며, 외면과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회전통; 상기 고정통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설치하도록 하되, 상부 일측에 출입구멍이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는 태엽이 설치되고, 상기 태엽의 중심에는 하단에 원웨이 클러치가 결합된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회전통의 상부로 삽입되는 외면에 상기 제1 치합돌기와 맞물리는 제2 치합돌기를 갖는 회전판이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감기면서 상기 출입구멍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로프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통이 선택적으로 내부에 설치되되, 내측 바닥면이 상기 고정통의 저면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떨어지도록 설치되고, 바닥면 중앙에 상기 회전통의 회전에 의한 상기 회전통의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나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이 탈수처리되어 발생하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며, 외측 저면에 상기 배수공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리브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탈수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통의 상부 내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통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단턱에 근접하여 회전하면서 음식쓰레기의 유출을 막기 위한 제2 걸림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출입구멍을 통해 로프의 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기 로프의 끝단과 연결되는 당김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회전통의 내부에서 수거된 음식쓰레기를 눌러주고, 상기 음식쓰레기와 회전판을 이격시키는 보조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배수공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밀폐마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탈수통을 싱크대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이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수홈이 상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하여 회전통에 음식물이 수거되면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통을 커버한 상태에서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쓰레기를 탈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탈수장치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구조적으로도 생산성과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어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식물쓰레기 등, 예컨대 음식물쓰레기 외에도 청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을 회전통에 담은 후에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통을 커버한 상태에서 회전통이 내설되어 회전하는 고정통을 바닥면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별도의 탈수통 내에 삽입 장착한 후에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행주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시켜 탈수처리된 수분을 탈수통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행주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처리하는 간이용 탈수장치 등과 같은 다용도의 탈수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회전통 내에 음식물쓰레기를 선택적으로 수용한 후, 회전통이 내설되어 회전하는 고정통을 바닥면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별도의 탈수통 내에 삽입 장착한 후에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켜 탈수처리된 수분을 탈수통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 또는 상기 배수공과 배수홈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싱크대의 배수구와 호환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별도로 싱크대 바닥면 상에 거치하거나 상기 배수공 및 지지리브를 싱크대의 배수구 내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배수구 크기와 상관없이 음식물쓰레기 탈수처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에서 탈수통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에서 탈수통을 포함하는 전체구성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에서 요부인 탈수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에서 탈수통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치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에서 탈수통을 포함하는 전체구성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에서 요부인 탈수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구성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는 싱크대(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거나 싱크대(11)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을 수거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수납되거나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이 수납되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나 탈수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탈수하기 위한 탈수장치이다.
이러한 다기능 탈수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고정통(100), 회전통(200), 회전부재(300) 및 탈수통(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통(100)은 상기 배수구(11) 상단에 선택적으로 걸어 설치하도록 상부 테두리에 제1 걸림턱(110)이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에는 중심돌기(120)가 돌출 형성되며, 외면과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통(100)은 후술하는 회전통(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싱크대(10)를 거쳐 배출되는 오수가 하수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통(100)은 실시 예로서 상부 내면에 단턱(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130)은 수거되는 음식쓰레기가 고정통(100)과 회전통(200)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통(200)은 상기 고정통(100) 내부에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배수구(11) 측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를 수거하는 한편 상기 고정통(1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통(200)은 상기 고정통(100) 내부에 맞춰 꼭 끼워지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끼워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통(200)은 상부 내면을 따라 등 간격을 가지고 제1 치합돌기(210)가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에는 상기 중심돌기(120)에 끼워지도록 중심홈(220)이 형성되며, 외면과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심홈(220)은 바닥의 저면에서 상부로 요입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회전통(200)은 상기 중심홈(220)을 상기 중심돌기(120)에 맞춰 올린 상태에서 바닥 및 외면이 상기 고정통(100)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회전부재(300)를 통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회전통(200)은 앞서 설명된 고정통(100)의 상부 내면에 형성된 단턱(130)과 대응하여 상기 단턱(130)에 근접하는 상태로 회전하면서 음식쓰레기의 유출을 막기 위한 제2 걸림턱(230)이 상부 외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걸림턱(230)은 수거되는 음식쓰레기가 상기 고정통(100)과 회전통(200)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고정통(10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설치하도록 하되, 상부 일측에 출입구멍(311)이 형성된 하우징(310)의 내부 중심에는 태엽(320)이 설치되고, 상기 태엽(320)의 중심에는 하단에 원웨이 클러치(331)가 결합된 회전축(33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30)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310)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회전통(200)의 상부로 삽입되는 외면에 상기 제1 치합돌기(210)와 맞물리는 제2 치합돌기(341)를 갖는 회전판(340)이 상기 원웨이 클러치(331)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30)에 연결된 상태로 감기면서 상기 출입구멍(311)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로프(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00)는 회전통(200)에 수거된 음식쓰레기를 탈수할 경우에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0)의 배수구(11)에 설치하고, 음식쓰레기를 탈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보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00)를 사용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을 상기 고정통(100)의 상부를 덮도록 안착시켜 상기 회전판(340)이 상기 회전통(200)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로프(350)를 잡아당기면 상기 태엽(320)이 감기면서 상기 회전축(330)을 돌려 상기 회전판(340)과 함께 상기 회전통(200)을 회전시키고, 상기 로프(350)를 놓으면 상기 태엽(320)이 풀리면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태엽(320)과 함께 역회전하지만, 상기 원웨이 클러치(331)로 연결된 상기 회전판(340)은 역회전하지 않고 관성에 의해 정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로프(350)를 당기면 동일한 방법으로 회전판(340)을 통해 회전통(200)에 회전력이 가해지면서 원활한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00)는 실시 예로서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출입구멍(311)을 통해 상기 로프(350)의 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풀리(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풀리(360)는 상기 태엽(320)으로부터 상기 출입구멍(311)으로 로프(350)가 풀리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태엽(320)으로부터 상기 출입구멍(311)으로 풀리는 로프(350)의 경로를 직각으로 변경하는 한편, 상기 로프(350)를 당길 때 상기 로프(350)가 상기 출입구멍(311)을 출입하면서 마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회전부재(300)는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기 로프(350)의 끝단과 연결되는 당김손잡이(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당김손잡이(370)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10)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로프(350)를 당길 때 상기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한 후 손으로 편하게 잡아당기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300)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회전통(200)의 내부에서 수거된 음식쓰레기를 눌러주고, 상기 음식쓰레기와 회전판(340)을 이격시키는 보조판(3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판(380)은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음식쓰레기가 회전판에 직접 묻거나 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300)에 대한 사용 후 상기 회전판(340)에 묻은 음식물을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는 상기 회전부재(300)를 제외한 상기 고정통(100)과 상기 회전통(200) 등의 구성이 싱크대(10)의 배수구(11) 상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처리를 위해 사용됨과 동시에, 싱크대(10)의 배수구(11) 상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식물쓰레기 등의 예컨대, 음식물쓰레기 외에도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을 회전통(200)에 담은 후에 음식물쓰레기나 행주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시킬 수 있도록, 후술될 탈수통(40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탈수통(400)은 상기 고정통(100)이 선택적으로 내부에 설치되되, 내측 바닥면이 상기 고정통(100)의 저면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탈수통(400)은 바닥면 중앙에 상기 회전통(2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회전통(200)의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나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이 탈수처리되어 발생하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공(410)이 관통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탈수통(400)은 외측 저면에 상기 배수공(410)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리브(430)가 하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탈수통(4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통(100)에 대하여 상기 싱크대(10)의 배수구(11) 상단에 걸어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고정통(100)이 선택적으로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재(300)를 상기 고정통(10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설치한 후, 상기 지지리브(430)가 상기 싱크대(10)의 배수구(11) 상부로 삽입되도록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리브(4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탈수통(400)을 싱크대(10)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공(410)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이 상기 싱크대(10)의 배수구(11)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수홈(431)이 상향 함몰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탈수통(400)은 상기 배수공(410)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밀폐마개(4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탈수장치에 의하면, 싱크대(10)의 배수구(11)에 설치하여 회전통(200)에 음식물이 수거되면 회전부재(300)로 상기 회전통(200)을 커버한 상태에서 로프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200)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쓰레기를 탈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탈수장치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구조적으로도 생산성과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어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싱크대(10)의 배수구(11)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식물쓰레기 등, 예컨대 음식물쓰레기 외에도 청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을 회전통(200)에 담은 후에 회전부재(300)로 상기 회전통(200)을 커버한 상태에서 회전통(200)이 내설되어 회전하는 고정통(100)을 바닥면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별도의 탈수통(400) 내에 삽입 장착한 후에 로프(350)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200)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행주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시켜 탈수처리된 수분을 탈수통(4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410)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행주 등의 탈수대상물을 탈수처리하는 간이용 탈수장치 등과 같은 다용도의 탈수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회전통(200) 내에 음식물쓰레기를 선택적으로 수용한 후, 회전통(200)이 내설되어 회전하는 고정통(100)을 바닥면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별도의 탈수통(400) 내에 삽입 장착한 후에 로프(350)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통(200)을 빠르게 회전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켜 탈수처리된 수분을 탈수통(4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410) 또는 상기 배수공(410)과 배수홈(431)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싱크대(10)의 배수구(11)와 호환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별도로 싱크대(10) 바닥면 상에 거치하거나 상기 배수공(410) 및 지지리브(430)를 싱크대(10)의 배수구(11) 내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10)의 배수구(11) 크기와 상관없이 음식물쓰레기 탈수처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싱크대 11: 배수구
15: 배수덮개
100: 고정통 110: 제1 걸림턱
120: 중심돌기 130: 단턱
200: 회전통 210: 제1 치합돌기
220: 중심홈 230: 제2 걸림턱
300: 회전부재 310: 하우징
311: 출입구멍 320: 태엽
330: 회전축 331: 원웨이 클러치
340: 회전판 341: 제2 치합돌기
350: 로프 360: 풀리
370: 당김손잡이 380: 보조판
400: 탈수통 410: 배수공
430: 지지리브 431: 배수홈
450: 밀폐마개

Claims (7)

  1. 싱크대(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거나 싱크대(11)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을 수거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수납되거나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이 수납되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나 탈수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탈수하기 위한 다기능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 상단에 선택적으로 걸어 설치하도록 상부 테두리에 제1 걸림턱(110)이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에는 중심돌기(120)가 돌출 형성되며, 외면과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고정통(100);
    상기 고정통(100) 내부에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배수구(11) 측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를 수거하는 한편 상기 고정통(1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상부 내면을 따라 등 간격을 가지고 제1 치합돌기(210)가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에는 상기 중심돌기(120)에 끼워지도록 중심홈(220)이 형성되며, 외면과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회전통(200);
    상기 고정통(10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설치하도록 하되, 상부 일측에 출입구멍(311)이 형성된 하우징(310)의 내부 중심에는 태엽(320)이 설치되고, 상기 태엽(320)의 중심에는 하단에 원웨이 클러치(331)가 결합된 회전축(33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30)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310)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회전통(200)의 상부로 삽입되는 외면에 상기 제1 치합돌기(210)와 맞물리는 제2 치합돌기(341)를 갖는 회전판(340)이 상기 원웨이 클러치(331)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30)에 연결된 상태로 감기면서 상기 출입구멍(311)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로프(350)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300); 및
    상기 고정통(100)이 선택적으로 내부에 설치되되, 내측 바닥면이 상기 고정통(100)의 저면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떨어지도록 설치되고, 바닥면 중앙에 상기 회전통(2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회전통(200)의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나 행주와 같은 탈수대상물이 탈수처리되어 발생하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공(410)이 관통 형성되며, 외측 저면에 상기 배수공(410)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리브(430)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탈수통(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기능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100)의 상부 내면에는 단턱(13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통(200)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단턱(130)에 근접하여 회전하면서 음식쓰레기의 유출을 막기 위한 제2 걸림턱(2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출입구멍(311)을 통해 로프(350)의 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풀리(3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기 로프(350)의 끝단과 연결되는 당김손잡이(3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200)의 내부에서 수거된 음식쓰레기를 눌러주고, 상기 음식쓰레기와 회전판(340)을 이격시키는 보조판(3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탈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410)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밀폐마개(4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탈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430)는 상기 탈수통(400)을 싱크대(10)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공(410)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이 상기 싱크대(10)의 배수구(11)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수홈(431)이 상향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탈수장치.
KR20140035438A 2014-03-26 2014-03-26 다기능 탈수장치 KR101466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5438A KR101466966B1 (ko) 2014-03-26 2014-03-26 다기능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5438A KR101466966B1 (ko) 2014-03-26 2014-03-26 다기능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966B1 true KR101466966B1 (ko) 2014-12-10

Family

ID=5267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5438A KR101466966B1 (ko) 2014-03-26 2014-03-26 다기능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9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37U (ko) * 1997-06-20 1999-01-15 한원교 제동장치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기
KR20000019192U (ko) * 1999-04-06 2000-11-06 박세재 수동식 음식 폐기물 탈수기
KR100909343B1 (ko) * 2009-04-30 2009-07-23 양동훈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100001694A (ko) * 2008-06-27 2010-01-06 신형두 무축 회전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37U (ko) * 1997-06-20 1999-01-15 한원교 제동장치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기
KR20000019192U (ko) * 1999-04-06 2000-11-06 박세재 수동식 음식 폐기물 탈수기
KR20100001694A (ko) * 2008-06-27 2010-01-06 신형두 무축 회전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100909343B1 (ko) * 2009-04-30 2009-07-23 양동훈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34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150069269A (ko)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101466966B1 (ko) 다기능 탈수장치
JP3196601U (ja) 手動回転式水切排水装置
KR101787844B1 (ko) 수동형 세탁장치
KR200455051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 및 배수장치
KR100948962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JP6328396B2 (ja) 流し台用生ごみ脱水装置
JPH025998A (ja) 電気洗濯機の糸屑収集装置
KR10111815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JP2013202319A (ja) 洗濯機
KR19980056390A (ko) 세탁기
KR20140116594A (ko) 씽크대용 수동식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0166278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탈수통의 고정장치
KR200153224Y1 (ko) 씽크대 부착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0152483Y1 (ko) 씽크보울의 배수구에 부설된 음식찌꺼기 탈수장치
KR200187261Y1 (ko) 싱크대의 배수물 탈수장치
KR200273242Y1 (ko) 싱크대의 배수물 탈수장치
JP3206617U (ja) 生ごみ脱水機の支持装置及び生ごみ脱水装置
KR101446237B1 (ko)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KR200474751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200205100Y1 (ko) 보조바스켓을 갖춘 세탁기
KR100237594B1 (ko) 음식찌꺼기 자동 탈수 및 배출 장치
KR20080045588A (ko) 씽크대용 탈수기
KR200308510Y1 (ko) 씽크대의 배수트랩용 냄새 역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