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390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390A
KR19980056390A KR1019960075659A KR19960075659A KR19980056390A KR 19980056390 A KR19980056390 A KR 19980056390A KR 1019960075659 A KR1019960075659 A KR 1019960075659A KR 19960075659 A KR19960075659 A KR 19960075659A KR 19980056390 A KR19980056390 A KR 1998005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pulsator
shaft
tank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426B1 (ko
Inventor
한창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42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both rotary, e.g. oscillating rotary, motion and axi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펄세이터를 승하강시켜 사용자가 세탁조로부터 세탁물을 인출해내기 용이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탁축(220)과 펄세이터(110)사이에 탈수행정이 완료되면 펄세이터(110)가 세탁조(102)의 저면으로 부터 상승하여 세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상시체결수단이 마련되고, 세탁, 헹굼 행정시에 펄세이터(110)와 세탁축(220)이 함께 정역회전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선택결합수단이 마련된다.
따라서, 원래의 세탁조(102) 저면보다 상승한 펄세이터(110)에 의해 저면이 올라가기 때문에 세탁조(102)의 깊이가 얕아져서 세탁조(102)내의 세탁물 인출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탁물이 끌어올려지므로 세탁조(102)의 깊이가 깊어 사용자가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인출해내지 못한 세탁물을 방치하는 일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조 내부의 펄세이터를 이용하여 세탁물 인출이 용이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를 동력으로 하여 세탁조내의 회전날개 또는 교반날개를 구동하여 수류를 형성,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을 하는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의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종래 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10)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수조(11)와, 이 수조(11)내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여 세탁물이 담기는 세탁조(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세탁조(12) 저면에는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3)가 설치되며, 수조(11)의 외측 하부에는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구동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동력구동부(20)는 모터(21)와, 모터(20)의 동력을 풀리(22)와 벨트(23)를 이용하여 펄세이터(13)와 세탁조(12)로 구분전달하는 동력구분부(26)를 구비하고, 동력구분부(26)내에는 그 일단부가 수조(11)를 관통하여 세탁조(12)에 결합된 중공의 탈수축(25)과, 탈수축(25)에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펄세이터(13)에 결합된 세탁축(24)이 설치된다.
도 2는 세탁기의 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축(24)은 상부세탁축(24a)과 하부세탁축(24b)으로 구성되는데, 이 가운데 하부세탁축(24b)의 하단부는 풀리(22)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상부세탁축(24a)과 하부세탁축(24b)사이에는 유성기어부(24c)가 설치되어 풀리(22)에 의해 전달된 모터(도 1도시,21)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감속시켜 펄세이터(13)를 회전시키고, 이 유성기어부(24c) 둘레의 탈수축(25) 부위는 확관되어 드럼의 역할을 한다.
또한, 탈수축(25) 일측에 설치된 동력구분부(26)는 우선, 탈수시 세탁축(24)과 탈수축(25)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세탁축(24)과 탈수축(25)의 하부에 개재되는 클러치스프링(26a)을 구비하고, 클러치 스프링(25a)의 외곽에는 클러치 스프링(25a)을 탈수축(25)으로부터 분리 또는 해제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클러치레버(26b)가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조(12)의 공회전을 막고, 탈수시 제동하는 역할을 하도록 유성기어부(24c)를 감싸기 위해 확관된 탈수축(25) 외주면에는 브레이크 밴드(26c)와 이를 조정하는 브레이크레버(26d)가 마련된다. 또한, 이 브레이크레버(26d)와 클러치레버(26b)는 드레인모터(도 1도시, 26e)에 의하여 일체로 조정되며, 탈수축(25)의 일측에는 탈수축(25)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일방향 베어링(26f)이 설치된다.
한편, 세탁축(24)은 펄세이터(13)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데, 세탁수의 부력에 의해 펄세이터(13)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펄세이터(13)는 나사(14)에 의하여 세탁축(24)에 체결되고, 세탁축(24)의 상단에는 펄세이터(13)와 맞물려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세레이션(24d)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세탁기는 마이콤에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제어하는데, 세탁이나 헹굼 행정시에는 클러치레버(26b)에 의해 클러치스프링(26a)이 탈수축(25)으로 부터 이탈됨에 따라 세탁축(24)과 탈수축(25)이 분리되고, 모터(21)의 회전력이 브레이크밴드(26c)의 긴축에 의해 유성기어부(24c)에서 감속되어 세탁축(24)으로만 전달됨으로써 펄세이터(13)가 정역회전된다. 그리고, 탈수행정시에는 드레인모터(26e)에 의한 작동으로 클러치레버(26b)와 브레이크레버(26d)에 의해 각각 클러치스프링(26a)이 복원해제되고, 브레이크밴드(26c)가 이완됨에 따라 세탁축(24)과 탈수축(25)이 함께 회전함으로써, 펄세이터(13)와 세탁조(12)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세탁물이 탈수진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에서 동력구분부에 의하여 각 행정에 따른 펄세이터와 세탁조의 선택적인 동작으로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완료되면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세탁조로부터 세탁물을 인출해내야 한다. 이 때, 세탁조는 소정의 깊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인출해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고 세탁조의 저면을 향해 손을 뻗어야 하므로 불편하며, 특히, 세탁조의 저면에 남아있는 소량의 세탁물을 인출해내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요즘에는 세탁기가 대용량화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세탁조의 깊이가 깊어져 세탁물의 인출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펄세이터를 승하강시켜 사용자가 세탁조로부터 세탁물을 인출해내기 용이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세탁기의 하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하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와 세탁축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헹굼행정시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행정시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완료후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케이스 101...수조 102...세탁조
110...펄세이터 111...결합홈 111a...기어부
112...걸림턱 200...동력구동부 220...세탁축
224...가이드 225...안착홈 225a...출입구
230...탈수축 240...나사부 241...펄세이터나사부
242...세탁축나사부 250...부력클러치 251...상면기어부
252...측면기어부 260...스토퍼 260a...걸림테
261...판상부재 262...탄성부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조를 수용하는 수조, 세탁조 저면에 설치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세탁조와 그 일단부가 결합된 중공의 탈수축, 펄세이터와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탈수축에 삽입된 세탁축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펄세이터는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상시에 세탁축에 체결되는 상시체결수단이 마련되고, 세탁, 헹굼 행정시에 펄세이터가 세탁축과 함께 정역회전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선택결합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100)가 마련되며, 케이스(100) 내부에는 세탁물이 담기는 세탁조(102)를 수용하는 수조(101)가 마련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수한다. 또한, 세탁조(102)의 저면에는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10)가 설치되고, 수조(101)의 외측 하부에는 필요한 동력을 펄세이터(110)나 세탁조(102)에 구분전달하는 동력구동부(200)가 마련되어 있다. 동력구동부(200)는 모터(201)와 모터(201)의 동력을 풀리(202)와 벨트(203)를 이용하여 펄세이터(110)와 세탁조(102)로 구분전달하는 동력구분부(210)를 구비하고, 동력구분부(210)내에는 수조(101)를 관통하여 세탁조(102)의 하부와 그 일단부가 결합된 중공의 탈수축(230)이 설치되고, 탈수축(230)내에는 그 일단부가 펄세이터(110)에 결합된 세탁축(220)이 삽입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하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축(220)은 상부세탁축(221)과 하부세탁축(222)으로 이분되며, 이 가운데 하부세탁축(222)의 하단부는 풀리(202)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분된 상부세탁축(221)과 하부세탁축(222)사이에는 유성기어부(223)가 개재되어 풀리(202)에 의해 전달된 모터(도 3도시,201)의 동력을 감속시켜 세탁, 헹굼행정시에 펄세이터(110)를 회전시키며, 이 유성기어부(223) 둘레의 탈수축(230) 부위는 확관되어 드럼역할을 한다.
또한, 동력구분부(210)는 탈수시 세탁축(220)과 탈수축(23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세탁축(220)과 탈수축(230)의 하부에 개재된 클러치스프링(211)을 구비하고, 클러치스프링(211)의 외곽에는 클러치스프링(211)을 이완하여 세탁축(220)으로 부터 분리, 또는 복원해제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클러치레버(2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조(102)의 공회전을 방지하고, 탈수시 제동하는 역할을 하도록 유성기어부(223)를 감싸기 위해 확관된 탈수축(230) 외주면에는 브레이크 밴드(213)와 브레이크레버(214)가 마련되며, 이 브레이크레버(214)와 클러치레버(212)는 드레인모터(도 3도시,215)에 의하여 일체로 조정된다. 다시 설명하면, 드레인모터(215)가 작동될 때 클러치레버(212)는 세탁축(220)과 탈수축(230)이 일체가 되도록 클러치스프링(211)을 조정하고, 브레이크레버(214)는 브레이크밴드(213)가 탈수축(23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탈수축(230)의 일측에는 일방향 베어링(216)이 설치되어 탈수축(23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여 세탁시 브레이크밴드(213)와 협조하여 세탁조(102)의 공회전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펄세이터와 세탁축의 결합부위는 도 5를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으로 모든 행정완료후 건조를 위하여 세탁조(102)내의 세탁물을 인출함에 있어 세탁물 인출이 용이하도록 세탁물을 들어올릴 수 있게 펄세이터(110)를 상승시키고, 세탁시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시에는 세탁축(220)으로부터 펄세이터(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시키는 상시체결수단이 마련된다. 또한, 세탁축(220)에 의해 승강하는 펄세이터(110)가 세탁, 헹굼행정시에는 세탁축(220)과 함께 정역회전되도록 선택결합수단이 마련된다.
우선, 상시결합수단은 세탁축(220)의 상단외주면과 펄세이터(110)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240)를 구비하는데, 이 나사부(240)의 나사선은 탈수행정시에 세탁축(22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감겨올라가도록 형성되고, 이 나사부(240)로 인하여 별도의 체결부재없이 펄세이터(110)와 세탁축(220)이 결합되어 펄세이터(11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시체결수단은 탈수 행정완료후 탈수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세탁축(220)을 소정시간 회전시켰을 때, 펄세이터(110)의 자체무게때문에 유동하지 않지만 세탁축나사부(242)에 의한 펄세이터나사부(241)와의 반작용에 의해 펄세이터(110)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결합수단은 펄세이터(110)와 세탁축(220)이 나사부(240)에 의해 체결되어 세탁이나 헹굼 행정시 펄세이터(110)와 함께 정역회전하지 못하고 세탁축(220)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세탁이나 헹굼 행정시에 모터(201)에 의한 세탁축(220)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10)로 전달한다. 이 선택결합수단은 우선, 세탁조(102)저면의 세탁축(220)부위에서 펄세이터(110)하부 일측까지의 외주면에 기어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224), 이 가이드(224)의 외주면에는 이 가이드(224)를 따라 세탁수에 의한 부력으로 승강하여 펄세이터(110)와 착탈되도록 그 내주면에 가이드(224)에 상응하는 측면기어부(252)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상면기어부(251)가 설치된 부력클러치(2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세탁수에 의해 가이드(224)를 따라 부력클러치(250)가 떠오름에 따라 펄세이터(110)에 안착될 수 있게 펄세이터(110) 하부에 결합홈(111)이 형성되며, 이 결합홈(111)의 상면에는 부력클러치(250)의 상면기어부(251)와 맞물릴 수 있게 상응하는 기어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력클러치(250)가 펄세이터(110)에 결합되어 세탁을 진행하면 모터의 회전속도와 펄세이터(110)의 회전속도가 일치하여 펄세이터(110)와 상대운동이 없어져서 펄세이터(110)는 고정된 위치에서 세탁을 행하게 된다.
한편, 탈수 행정완료후 상시결합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상승하는 펄세이터(110)가 세탁축(2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펄세이터(110)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제한수단이 마련된다. 그리고, 탈수시 회전방향은 펄세이터(110)가 하강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탈하는 문제는 없지만 만약을 위한 제한수단도 마련된다. 이것은 상승높이 제한과 같다. 이 제한수단은 세탁축나사부(242)로 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세탁축(220)의 하부 외주면에 돌출된 스토퍼(260), 이 스토퍼(260)에 걸려 펄세이터(110)의 상승이 제한되도록 펄세이터(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112)을 구비한다. 이 가운데 스토퍼(260)의 위치는 나사부(240)의 길이나 펄세이터(110)의 상승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세탁축(220)과 펄세이터(110)를 나사부(240)에 의해 조립시킬 때, 하강하는 펄세이터(110)의 걸림턱(112)이 세탁축(220)의 스토퍼(260)에 걸려 더 이상결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260)가 삽출되도록 구성한다. 스토퍼(260)가 삽출되도록 우선, 세탁축(220)의 외주면에 안착홈(225)을 형성시키는데, 이 안착홈(225)의 출입구(225a)는 십(十)자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는 스토퍼(260)를 안착홈(225)에 삽입시킬 때, 스토퍼(260)의 끝단에 안착홈(22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걸림테(260a)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시킨 것인데, 이 걸림테(260a)의 형상도 출입구(225a)에 상응하게 열십(十)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출입구(225a)에 삽입후, 스토퍼(26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안착홈(2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조립이 용이하다. 그리고, 도 6에 안착홈의 내부구조를 도시하였는데,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225)내에는 스토퍼(260)의 십(十)자형상의 걸림테(260a)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판상부재(261)와 이를 탄지하는 탄성부재(262)가 설치된다. 또한, 스토퍼(260)의 상면과 걸림테(260a)의 하면은 세탁축(220)과 펄세이터(110) 조립시 용이하도록 라운딩형성시킨다. 이렇게 구성된 스토퍼(260)는 세탁축(220)에 펄세이터(110)를 조립시킬 때, 나사부(240)에 의해 회전결합되다가 걸림턱(112)이 스토퍼(260)에 닿게 되면 라운딩면을 따라 스토퍼(260)를 압압하고, 스토퍼(260)가 압압됨에 따라 탄성부재(262)가 안착홈(225)에 삽입되었다가 걸림턱(112)이 이를 통과하면 다시 탄성부재(262)가 복원되어 다시 스토퍼(260)는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 및 그에 따른 효과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마이콤에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제어하는데, 우선, 세탁이나 헹굼 행정시에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레버(214)에 의해 브레이크밴드(213)는 긴축되어 탈수축(230) 확관부위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고, 클러치스프링(211)은 클러치레버(212)에 의해 이완되어 탈수축(230)과 세탁축(220)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때, 세탁조(102)로 세탁수가 유입되면 세탁수에 의한 부력에 의하여 부력클러치(250)가 가이드(224)를 따라 부상하여 펄세이터(110) 하부의 결합홈(111)에 기어부(111a)와 상면기어부(251)가 맞물려 결합된다. 그리고, 동력구동부(200)의 모터(201)가 구동되면 벨트(203)와 풀리(202)에 의해 감속된 회전력이 하부세탁축(222)으로 전달되며, 다시 유성기어부(223)에 의해 감속되어 상부세탁축(221)에 전달됨으로써, 부력클러치(250)와 함께 펄세이터(110)가 정역회전되어 형성된 수류 등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된다.
그리고, 이러한 세탁, 헹굼 행정이 완료되어 탈수행정이 진행될 때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모터(215)의 구동으로 미도시된 배수호스가 개방되어 세탁조(102)내의 세탁수가 배출되고, 세탁수가 배출되면서 부력클러치(250)는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드레인모터(215)에 의해 클러치레버(212)와 브레이크레버(214)가 당겨지면 클러치스프링(211)이 탈수축(230)을 긴축하여 세탁축(220)에 탈수축(230)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밴드(213)는 이완되어 탈수축(230)의 확관부위로부터 분리된다. 그리하여 모터(201)가 구동되면 풀리(202)와 벨트(203)에 의해 세탁축(220)으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클러치스프링(211)에 의해 탈수축(230)도 함께 회전된다. 이 때는 탈수축(230)에 의해 세탁조(102)뿐만 아니라, 세탁축나사부(242) 나사선이 감겨올라가는 방향으로 세탁축(220)이 회전하기 때문에 펄세이터(110)가 하강하면서 조여져서 펄세이터(110)가 함께 회전하여 세탁물의 탈수가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탈수 행정이 완료되면 다시 클러치레버(212)는 탈수축(230)으로 부터 클러치스프링(211)을 이탈시켜 탈수축(230)과 세탁축(220)을 분리하고, 브레이크레버(214)에 의해 브레이크밴드(213)는 탈수축(230) 확관부위에 밀착된다. 그리고, 마이콤에 미리 입력된 소정시간동안 모터(201)를 구동하여 탈수시 회전방향의 역방향, 즉, 세탁축나사부(242)의 나사선의 감겨올라가는 반대방향으로 세탁축(220)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 때, 펄세이터(110)는 자체의 무게 때문에 멈추어 있지만 세탁축(220)만 회전함에 따라 펄세이터나사부(241)와의 반작용에 의해 조여졌던 나사부(240)가 풀리면서 펄세이터(110)는 상승하다가 소정높이에 다다르면 나사부(240)사이의 분리를 막기위하여 설치된 스토퍼(250)에 펄세이터(110)의 걸림턱(112)이 걸려 상승이 제한된다. 이렇게 펄세이터(110)가 상승하면 함께 세탁조(102)내의 세탁물도 들어올려지므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세탁조 (102)저면으로부터 펄세이터(110)가 상승하여 세탁조(102)의 깊이가 얕아지기 때문에 세탁물의 인출이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세탁, 헹굼 행정시에 세탁축의 회전력을 펄세이터로 전달하는 부력클러치는 그 자체를 부력이 큰 재질로 제작할 수 있지만, 부상하는 힘을 키우기 위해 부력클러치에 별도의 부력주머니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탁축과 펄세이터사이에 탈수행정이 완료되면 펄세이터가 세탁조의 저면으로 부터 상승하여 세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상시체결수단이 마련되고, 세탁, 헹굼 행정시에 펄세이터와 세탁축이 함께 정역회전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선택결합수단이 마련된다.
따라서, 원래의 세탁조 저면보다 상승한 펄세이터에 의해 저면이 올라가기 때문에 세탁조의 깊이가 얕아져서 세탁조내의 세탁물 인출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탁물이 끌어올려지므로 세탁조의 깊이가 깊어 사용자가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인출해내지 못한 세탁물을 방치하는 일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조를 수용하는 수조, 상기 세탁조 저면에 설치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조와 그 일단부가 결합된 중공의 탈수축, 상기 펄세이터와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탈수축에 삽입된 세탁축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110)는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상시에 상기 세탁축(220)에 체결되는 상시체결수단이 마련되고, 세탁, 헹굼 행정시에 상기 펄세이터(110)가 상기 세탁축(220)과 함께 정역회전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선택결합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체결수단은 상기 세탁축(220)과 상기 펄세이터(110)의 체결부위에 탈수행정시에 상기 세탁축(22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감겨올라가는 나사선이 각각 형성되어 탈수행정완료시에는 반대방향으로 세탁축(220)이 공회전되어 상기 펄세이터(110)를 상승시키는 나사부(2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축(220)과 상기 펄세이터(110)사이에는 상기 펄세이터(110)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세탁축(2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260), 상기 펄세이터(110)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60)에 걸리는 걸림턱(1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60)가 삽출되도록 상기 세탁축(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260)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25)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25)에는 상기 스토퍼(260)를 탄지하는 탄성부재(26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 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결합수단은 상기 세탁축(220)의 외주면에 기어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224), 상기 펄세이터(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그 상부에 기어부(111a)가 설치된 결합홈(111), 상기 가이드(224)와 상기 결합홈(111)의 기어부(111a)에 상응하게 그 내주면과 그 상면에 각각 기어부(251,252)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조(102)로 유입되는 물에 의한 부력에 따라 상기 가이드(224)를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결합홈(111)에 맞물리는 부력클러치(2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60075659A 1996-12-28 1996-12-28 세탁기 KR100233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659A KR100233426B1 (ko) 1996-12-28 1996-12-28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659A KR100233426B1 (ko) 1996-12-28 1996-12-28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390A true KR19980056390A (ko) 1998-09-25
KR100233426B1 KR100233426B1 (ko) 1999-12-01

Family

ID=1949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659A KR100233426B1 (ko) 1996-12-28 1996-12-28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4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58B1 (ko) * 2006-06-30 2013-01-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세탁조 승하강 장치
CN104652083A (zh) * 2013-11-21 2015-05-27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具有衣物升降装置的全自动洗衣机
CN106835599A (zh) * 2017-02-28 2017-06-1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
CN109440392A (zh) * 2018-11-30 2019-03-0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09594277A (zh) * 2018-11-30 2019-04-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09652953A (zh) * 2018-11-30 2019-04-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58B1 (ko) * 2006-06-30 2013-01-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세탁조 승하강 장치
CN104652083A (zh) * 2013-11-21 2015-05-27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具有衣物升降装置的全自动洗衣机
KR20150059197A (ko) * 2013-11-21 2015-06-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을 꺼내기 쉬운 전자동 세탁기
US9499931B2 (en) 2013-11-21 2016-11-2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having a laundry lifting device
CN106835599A (zh) * 2017-02-28 2017-06-1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
CN106835599B (zh) * 2017-02-28 2023-09-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波轮洗衣机
CN109440392A (zh) * 2018-11-30 2019-03-0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09594277A (zh) * 2018-11-30 2019-04-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09652953A (zh) * 2018-11-30 2019-04-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09440392B (zh) * 2018-11-30 2021-04-2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09594277B (zh) * 2018-11-30 2021-05-2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3426B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6390A (ko) 세탁기
KR100229135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33427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950007850B1 (ko) 전자동 세탁기
KR950007854B1 (ko) 전자동 세탁기
KR100720540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9990005821U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KR0152794B1 (ko) 전자동 세탁기
KR100229659B1 (ko) 세탁기의 감속 장치
KR100261489B1 (ko) 세탁기의 배수호스 고정구조
KR100413463B1 (ko) 세탁기
KR19990004881U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KR100238649B1 (ko) 세탁기의 클러치 풀리 결합구조
KR0137669Y1 (ko) 펀치부착 펄세이터식 세탁기의 세탁물 분리 세탁장치
KR200205100Y1 (ko) 보조바스켓을 갖춘 세탁기
KR100425737B1 (ko) 전자동 세탁기
KR0122390Y1 (ko) 세탁기의 세탁물 이탈방지장치
KR0125620Y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144001Y1 (ko)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 세탁판
KR200141503Y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207080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0127339Y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200143518Y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20015006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0139356Y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