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237B1 -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237B1
KR101446237B1 KR1020130026401A KR20130026401A KR101446237B1 KR 101446237 B1 KR101446237 B1 KR 101446237B1 KR 1020130026401 A KR1020130026401 A KR 1020130026401A KR 20130026401 A KR20130026401 A KR 20130026401A KR 101446237 B1 KR101446237 B1 KR 10144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drain
sink
cen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900A (ko
Inventor
신범수
Original Assignee
신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범수 filed Critical 신범수
Priority to KR102013002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2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원 없이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싱크대 배수물을 탈수할 수 있는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싱크대 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배수물이 수용되고 수분은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는 배수물 수용 하우징;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의 중앙에 수직하게 기립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부 외주연에 부착되어 구비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피동기어;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싱크대 배수구 전체를 상측에서 덮는 배수구 케이스;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중앙부를 포함하면서 원의 중심이 중앙에서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치우쳐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삽입축; 측벽 내주연에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을 덮는 구동 커버; 상기 구동커버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커버를 상기 배수구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 및 상기 구동 커버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THE DEHYD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싱크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 배수구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원 없이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싱크대 배수물을 탈수할 수 있는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설거지를 하는 과정에서는 식기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이 오수와 함께 버려지게 되는바, 이 경우 오수와 함께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가 그대로 배수통으로 유입될 경우 배수구가 막힐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싱크대 배수구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이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오수와 함께 버려지는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여과망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상기 여과망은 배수통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거지 후에는 여과망을 들어내어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를 버린 다음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유기물질로서 부패성이 매우 강하므로 하수구로 그대로 배출될 경우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되고, 수분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수거하여 처리하게 되면, 소각이 어렵고 침출수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최근에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안으로서, 각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만을 분리수거하고,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대규모 처리장에서 미생물 분해에 의한 소멸방법이나 건조시켜 가축의 사료로 재가공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분리수거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설거지를 할 때 오수와 함께 버려진 음식물 찌꺼기는 설거지를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하여 수분을 많이 흡수하게 되고, 자체 함수율보다 훨씬 높은 함수율을 갖는 반면,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여과망에 의해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 역시 그대로 다른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모아서 배출하는 상황이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싱크대 배수구의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싱크대 배수구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원 없이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싱크대 배수물을 탈수할 수 있는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싱크대 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배수물이 수용되고 수분은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는 배수물 수용 하우징;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의 중앙에 수직하게 기립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부 외주연에 부착되어 구비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피동기어;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싱크대 배수구 전체를 상측에서 덮는 배수구 케이스;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중앙부를 포함하면서 원의 중심이 중앙에서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치우쳐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삽입축; 측벽 내주연에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을 덮는 구동 커버; 상기 구동커버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커버를 상기 배수구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 및 상기 구동 커버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구 케이스에는, 상기 배수구 케이스 측벽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 케이스를 상기 싱크대 표면과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레버에는,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동작을 단속하는 라킹(locking)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에는, 측면과 하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싱크대 배수구 턱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는 기존의 싱크대를 변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싱크대 배수구에 그대로 올려놓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설치가 완료될 정도로 간단하게 싱크대에 탈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음식물 찌꺼기의 탈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물 수용 하우징(10), 회전축(20), 피동기어(30), 배수구 케이스(40), 삽입홈(50), 삽입축(60), 구동 커버(70), 연결축(80) 및 회전 레버(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싱크대에서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배수물이 수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크기를 가지며, 수용된 배수물에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세한 배수공(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축(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의 중앙에 수직하게 기립되어 구비되며, 배수물의 탈수를 위하여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의 회전 중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피동 기어(30)는 상기 회전축(20)의 상부 외주연에 부착되어 구비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공(22)이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물론 상기 피동기어(30)의 외면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는 후술하는 구동기어(72)와 맞물려서 회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구 케이스(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싱크대 배수구(2) 전체를 상측에서 덮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배수구 케이스(40)는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2)보다 넓은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구 케이스(40) 중 상기 싱크대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 즉, 하면에는 상기 싱크대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마찰력이 큰 물질로 이루어지는 밀착부재(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배수구 케이스(40)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케이스(40)의 미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구 케이스(40)는 배수물의 탈수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싱크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삽입홈(5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 케이스(40)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음각되어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50)은, 상기 배수구 케이스(40)의 중앙부를 포함하면서 원의 중심이 중앙에서 상기 배수구 케이스(40)의 일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치우쳐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0)은 후술하는 구동커버(70)가 설치되고 구동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삽입축(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 케이스(40)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피동기어(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통공(32)에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삽입축(60)이 상기 피동기어(30)의 통공(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배수구 케이스(40)의 정확한 설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되며, 상기 배수구 케이스(40)가 작동과정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 커버(70)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5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50)을 덮는 구성요소이며, 그 측벽 내주연에 상기 피동기어(30)와 맞물리는 구동기어(72)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커버(70)가 상기 삽입홈(50)에 삽입되면서 상기 구동기어(72)는 상기 피동 기어(30)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구동기어(7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피동기어(30)도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축(80)은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커버(70)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커버(70)를 상기 배수구 케이스(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연결축(80)은 상기 구동커버(70)의 회전 중심을 이루며, 상기 구동커버(70)를 상기 배수구 케이스(4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레버(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커버(70)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며, 사용자가 상기 회전 레버(90)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커버(70), 구동기어(72) 피동기어(30) 및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레버(90)에는, 상기 구동 커버(70)의 회전 동작을 단속하는 라킹(locking) 수단(92)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킹 수단(92)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킹 핀(locking pin)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은 상기 싱크대 배수구(2)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싱크대 배수구 턱(3)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마찰력을 제거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이 싱크대 배수구 턱(3)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 회전 과정에서 하우징(10) 하면과 배수구(2) 등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마찰력이 아예 발생하지 않고 소음 발생 없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을 상기 싱크대 배수구 턱(3)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삽입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의 상부 걸림턱(12)에 원형으로 제1 자석(14)을 배치하고, 상기 싱크대 배수구 턱(3)에 상기 제1 자석(14)과 동일한 극성의 제2 자석(16)을 배치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런 구조를 가지면, 제1 자석(14)과 제2 자석(16)의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10)이 상기 싱크대 배수구(2)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10 : 배수물 수용 하우징 20 : 회전축
30 : 피동기어 40 : 배수구 케이스
50 : 삽입홈 60 : 삽입축
70 : 구동 커버 80 : 연결축
90 : 회전 레버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싱크대 배수구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배수물이 수용되고 수분은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는 배수물 수용 하우징;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의 중앙에 수직하게 기립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부 외주연에 부착되어 구비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피동기어;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싱크대 배수구 전체를 상측에서 덮는 배수구 케이스;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중앙부를 포함하면서 원의 중심이 중앙에서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치우쳐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배수구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삽입축;
    측벽 내주연에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을 덮는 구동 커버;
    상기 구동커버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커버를 상기 배수구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
    상기 구동 커버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 레버;
    상기 회전 레버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동작을 단속하는 라킹(locking) 수단; 및
    상기 배수구 케이스 측벽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 케이스를 상기 싱크대 표면과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싱크개 탈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은,
    측면과 하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물 수용 하우징은,
    상기 싱크대 배수구 턱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KR1020130026401A 2013-03-12 2013-03-12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KR10144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401A KR101446237B1 (ko) 2013-03-12 2013-03-12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401A KR101446237B1 (ko) 2013-03-12 2013-03-12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900A KR20140111900A (ko) 2014-09-22
KR101446237B1 true KR101446237B1 (ko) 2014-10-08

Family

ID=5175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401A KR101446237B1 (ko) 2013-03-12 2013-03-12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2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816U (ko) * 1997-05-29 1998-12-05 김종신 음식물 탈수장치
KR200383594Y1 (ko) 2005-02-16 2005-05-06 남도금형(주) 착탈식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100909343B1 (ko) 2009-04-30 2009-07-23 양동훈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100001710A (ko) * 2008-06-27 2010-01-06 신형두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816U (ko) * 1997-05-29 1998-12-05 김종신 음식물 탈수장치
KR200383594Y1 (ko) 2005-02-16 2005-05-06 남도금형(주) 착탈식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100001710A (ko) * 2008-06-27 2010-01-06 신형두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100909343B1 (ko) 2009-04-30 2009-07-23 양동훈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900A (ko)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090934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14456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9951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79211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1446237B1 (ko) 탈부착형 싱크대 탈수장치
KR10058636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086922B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20120035839A (ko) 나선축 회전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101312078B1 (ko) 싱크대 거름망 탈수 장치
KR101131226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1302348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5222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51553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 탈수장치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9990009121U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부설한 싱크대용 배수전
KR200443207Y1 (ko) 싱크대설치식 음식물 탈수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32499B1 (ko) 싱크대 배수구용 스프링 태엽식 음식물 탈수장치
KR200379976Y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81124Y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111815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200222231Y1 (ko) 수동식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100645881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