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535B1 -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535B1
KR101466535B1 KR1020140027929A KR20140027929A KR101466535B1 KR 101466535 B1 KR101466535 B1 KR 101466535B1 KR 1020140027929 A KR1020140027929 A KR 1020140027929A KR 20140027929 A KR20140027929 A KR 20140027929A KR 101466535 B1 KR101466535 B1 KR 10146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dia data
color
reproducing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연
Original Assignee
임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연 filed Critical 임재연
Priority to KR102014002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535B1/ko
Priority to PCT/KR2015/002241 priority patent/WO20151376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 웹캠 등과 같은 촬영기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사진 혹은 동영상)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입력 받은 사진에서 컬러데이터(색상, 광량 등)를 추출하고, 추출된 컬러데이터와 연관되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음원)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근육의 활동전위 변화에 따라 다양한 효과음들을 추가적으로 재생되도록 하여 이미지의 컬러가 나타내고자 하는 시각적 느낌이 청각 정보를 통해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data}
본 발명은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 웹캠 등과 같은 촬영기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사진 혹은 동영상)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입력 받은 사진에서 컬러데이터(색상, 광량 등)를 추출하고, 추출된 컬러데이터와 연관되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음원)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재생할 수 있어 이미지의 컬러가 나타내고자 하는 시각적 느낌이 청각 정보를 통해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오감(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을 통해 사물을 인지하고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특히나 시각을 많이 이용하게 된다.
대표적인 시각 정보로는 사진, 동영상 및 그림과 같은 이미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시각 정보는 다양한 컬러데이터(색상, 광량, RGB 데이터 등)를 통해 구현된다.
사람은 눈을 통해 이러한 시각 정보를 인지하여 사진, 동영상 및 이미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선천적으로 시력을 가지지 못하고 태어난 선천성 시각 장애인의 경우, 눈을 통해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타인이 사물, 사진, 동영상 및 이미지를 아무리 자세하게 설명하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인지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예를 들어, 선천성 시각 장애인에게 '빨간색(Red)의 느낌'에 대해 설명해보라고 한다면 이들은 '빨간색'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빨간색의 느낌'이 어떠한 것인지 매칭시킬 수 없으며 설명하지 못한다. 하지만 일반인에게 '빨간색의 느낌'에 대해 설명해보라고 한다면 '강렬한 느낌', '정열적인 느낌' 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런 점들은 자신이 시각을 통해 보았던 '빨간색'을 기억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한편, 이러한 시각 장애인들은 시각이 발달하지 못한 반면에 일반인들에 비해 청각이 매우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면 청각 정보를 통해 시각 정보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시각 장애인에게 '빨간색의 느낌' 혹은 '정열적인 느낌'에 대해 말로서 설명하기 어렵다면 '정열적인 느낌'이 드는 '투우사의 노래' 혹은 영화의 전쟁신에서 들려지는 음악 등을 시각 장애인들에게 들려주고 이러한 느낌이 '정열적이고 격동감있는 느낌'이며 이는 '빨간색의 느낌'과 매칭될 수 있다고 설명해준다면 시각 장애인들은 '빨간색의 느낌' 혹은 '정열적이고 격동감있는 느낌'이 어떠한 것인지 청각 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사물, 사진, 동영상 및 이미지 등의 색상과 광량을 통해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으며, 사진 또는 이미지에 표시되는 점, 선 등과 같은 패턴에 따라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색상과 광량이 아닌 패턴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컬러가 가지는 느낌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사진, 이미지 등의 패턴을 통해 음원을 재생하는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기기, 웹캠 등과 같은 촬영기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사진 혹은 동영상)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입력 받은 사진에서 컬러데이터(색상, 광량 등)를 추출하고, 추출된 컬러데이터와 연관되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음원)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근육의 활동전위 변화에 따라 다양한 효과음들을 추가적으로 재생되도록 하여 이미지의 컬러가 나타내고자 하는 시각적 느낌이 청각 정보를 통해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바일기기, 웹캠 등과 같은 촬영기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사진 혹은 동영상)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입력 받은 사진에서 컬러데이터(색상, 광량 등)를 추출하고, 추출된 컬러데이터와 연관되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음원)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재생할 수 있어 이미지의 컬러가 나타내고자 하는 시각적 느낌이 청각 정보를 통해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컬러 센서를 통해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를 통해 미디어데이터를 구성시켜 재생되도록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육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다양한 효과음들이 추가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육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 및 효과음들의 볼륨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는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컬러데이터 추출부; 복수의 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추출된 컬러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미디어데이터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데이터 추출부는 컬러 센서(Color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센서를 통해 상기 컬러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여 전위데이터를 생성하는 근전도(Electromyogram) 감지 모듈; 및 복수의 보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와 함께 상기 결정된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근전도 감지 모듈을 통해 생성된 전위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의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전도 감지 모듈은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이 활동함에 따라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전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는 촬영 동작을 수행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이미지데이터, 복수의 미디어데이터 및 복수의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이미지데이터,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를 화면에 표시(display)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은 컬러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미디어데이터 결정부에서 복수의 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추출된 컬러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재생부에서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컬러 센서(Color sensor)를 통해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를 통해 미디어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근전도(Electromyogram) 감지 모듈을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제공하고,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결과에 따른 전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에서 복수의 보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와 함께 결정된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은 볼륨 제어부에서 상기 근전도 감지 모듈을 통해 생성된 전위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의 볼륨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이 활동함에 따라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전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은 카메라부에서 수행되는 촬영 동작을 통해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은 메모리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데이터, 복수의 미디어데이터 및 복수의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은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데이터,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를 화면에 표시(display)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컬러 센서를 통해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데이터의 컬러데이터를 직접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된 컬러데이터에 해당하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를 통해 미디어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 및 결정함으로써 별도의 매칭 과정을 배제하고도 컬러데이터와 이미지데이터를 매칭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근전도 감지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근육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다양한 효과음들을 추가적으로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악기를 연주하지 못하는 사용자도 쉽고 간편하게 자신만의 음원을 생성 및 연주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데이터를 바탕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자가 모바일기기 또는 웹캠을 이용하여 여러장의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여러장의 사진의 색상과 광량에 따라 서로 다른 음원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에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적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근전도 감지 모듈(14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에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적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근전도 감지 모듈(14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는 컬러데이터 추출부(110),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0) 및 재생부(130)를 포함한다.
도 1을 살펴보면, 컬러데이터 추출부(110)는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데이터라 함은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PC, 아이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촬영되는 사진, 동영상, 그림과 같은 이미지파일 또는 웹캠을 통해 촬영되는 사진, 동영상, 이미지파일 등을 모두 포괄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데이터는 JPEG, PSD, PSB, TIFF, BMP, GIF, EPS, FLM, PNG 등 다양한 확장자로 표현될 수 있으며, 빛의 삼원색(RGB) 합성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이미지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파일 형태에 해당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다양한 사물을 촬영 기기를 통해 촬영한 아날로그 형식의 사진을 디지털 형식의 사진으로 변환시킨 파일 형태에 해당될 수 있다.
컬러데이터 추출부(110)는 컬러 센서(Color sensor, 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데, 컬러 센서는 상술한 빛의 삼원색(RGB) 값을 필터링하거나 혹은 Clean 필터를 통해 가시광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컬러 센서는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서 추출한 컬러데이터는 RGB 색상표에 표기된 다양한 색상들의 색상 코드(Color Code)과 대응될 수 있도록 변환되는데, 예를 들어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서 추출한 컬러데이터가 빨간색에 해당하는 경우 컬러데이터 추출부(110)는 컬러데이터를 (255, 0, 0)으로 변환하고, 만약 추출한 컬러데이터가 검은색에 해당하는 경우 컬러데이터 추출부(110)는 컬러데이터를 (0, 0, 0)으로 변환한다.
이때, 변환된 컬러데이터의 색상 코드는 후술되는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색상 코드(미도시)와 매칭될 수 있으며, 컬러데이터의 색상 코드와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색상 코드를 서로 비교 판단 및 매칭함으로써 해당 컬러데이터에 가장 어울리는 최적의 미디어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서 추출한 컬러데이터를 빨간색, 검은색으로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2가지 색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얼마든지 다양한 색상의 컬러데이터가 다양한 색상 코드를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0)는 후술되는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복수의 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술한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서 추출된 컬러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디어데이터라 함은 리듬데이터,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를 통해 형성되는 음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데이터는 후술되는 재생부(130)를 통해 기본 음원(Basic Music)으로서 재생될 수 있으며, 다양한 BPM(Beats per minute) 즉, 다양한 속도를 가지고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서 추출된 컬러데이터가 흰색에 해당하는 경우, 추출된 컬러데이터의 색상 코드는 (255, 255, 255)가 되고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는 이에 해당하는 경쾌하고 밝은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보통 속도의 BPM을 가지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서 추출된 컬러데이터가 빨간색에 해당하는 경우, 추출된 컬러데이터의 색상 코드는 (255, 0, 0)이 되고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0)는 이에 해당하는 정열적이고 역동적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매우 빠른 속도의 BPM을 가지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게 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서 추출된 컬러데이터가 검은색에 해당하는 경우, 추출된 컬러데이터의 색상 코드는 (0, 0, 0)이 되고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0)는 이에 해당하는 어둡고 침침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매우 느린 속도의 BPM을 가지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흰색, 빨간색, 검은색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3가지의 색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서 추출하는 컬러데이터의 색상 코드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재생부(130)는 상술한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0)를 통해 결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재생부(130)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Speaker)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스피커를 통해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게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재생부(130)는 후술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는 근전도(Electromyogram) 감지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전도 감지 모듈(140)은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신체부위의 내부에 위치하는 근육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값을 근거로 하여 전위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람의 근육은 단일 근섬유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수많은 근섬유들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기 때문에, 신체를 구성하는 근육의 종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근육은 수축 및 이완을 반복하면서 미세한 미소전류(예를 들어, 0V ~ 5V, 혹은 5V 이상 등)를 발생시키게 되고, 근전도 감지 모듈(140)은 이러한 근육의 미소전류의 전위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근육의 움직임은 아날로그 신호로 생성되고 근전도 감지 모듈(140)은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근거로 하여 전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는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통해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는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150)는 후술되는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복수의 보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조미디어데이터라 함은 다양한 효과음을 의미할 수 있는 있다.
예를 들어,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착용한 사용자가 손목을 내측으로 꺾는 행동을 취할 경우 팔뚝 부위의 근육의 활동전위가 변하면서 근전도 감지 모듈(140)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위데이터를 생성하고,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150)는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심벌즈 소리를 결정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착용한 사용자가 손목을 외측으로 꺾는 행동을 취할 경우 팔뚝 부위의 근육의 활동전위가 다르게 변하면서 근전도 감지 모듈(140)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위데이터를 생성하고,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150)는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북 소리를 결정하게 된다.
즉,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착용한 사용자가 근육을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보조미디어데이터들이 결정될 수 있으며, 근전도 감지 모듈(140)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더욱 다양한 보조미디어데이터들이 동시에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결정된 보조미디어데이터는 상술한 재생부(130)를 통해 미디어데이터와 함께 재생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재생부(130)를 통해 한꺼번에 재생되거나 혹은 복수의 재생부(130)를 통해 미디어데이터, 보조미디어데이터가 각각 따로 재생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는 메모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상술한 복수의 컬러데이터에 대한 색상 코드, 복수의 미디어데이터 및 복수의 보조미디어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컬러데이터 추출부(110),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미디어데이터, 보조미디어데이터 등을 재생부(13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는 촬영 동작을 통해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70)는 사물(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용한 옷 등)을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데이터를 상술한 컬러데이터 추출부(11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는 상술한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통해 생성된 전위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재생부(13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의 볼륨, 재생 횟수, 재생 속도, 재생 순서, 재생되는 구간 설정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볼륨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착용한 사용자는 자신의 근육을 다양하게 움직이면서 재생부(13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의 볼륨, 재생 횟수, 재생 속도, 재생 순서, 재생되는 구간 설정등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는 재생부(13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직접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는 표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8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모니터가 해당될 수 있으며, 현재 재생부(13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가 파형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와 사용자가 근육을 움직임에 따라 재생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카메라부(170)를 통해 사용자가 착용 중인 옷, 사진 혹은 사물을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컬러데이터 추출부(110)는 생성된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0)에서는 추출된 컬러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팔에 하나 이상의 근전도 감지 모듈(140)을 착용하여 팔을 움직이는 경우, 근전도 감지 모듈(140)은 근육의 움직임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여 전위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150)는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게 된다.
그 다음, 재생부(130)는 미디어데이터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미디어데이터와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150)에서 결정된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게 되며, 또한 표시부(180)에서는 재생부(13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 및 보조미디어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이미지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재생되는 기본 음원(미디어데이터)을 귀로 들을 수 있고 사용자가 팔, 다리 등과 같이 신체를 움직임으로써 다양한 효과음들을 귀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쉽고 간편하게 자신만의 음악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110 : 컬러데이터 추출부
120 : 미디어데이터 결정부
130 : 재생부
140 : 근전도 감지 모듈
150 :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
160 : 메모리부
170 : 카메라부
180 : 표시부

Claims (12)

  1.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컬러데이터 추출부;
    복수의 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추출된 컬러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미디어데이터 결정부;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여 전위데이터를 생성하는 근전도(Electromyogram) 감지 모듈; 및
    복수의 보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생부는,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와 함께 상기 결정된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데이터 추출부는,
    컬러 센서(Color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센서를 통해 상기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촬영 동작을 수행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데이터 및 복수의 미디어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데이터 및 미디어데이터를 화면에 표시(display)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7. 컬러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미디어데이터 결정부에서 복수의 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추출된 컬러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재생부에서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근전도(Electromyogram) 감지 모듈을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제공하고,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에 대한 활동전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결과에 따른 전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보조미디어데이터 결정부에서 복수의 보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생성된 전위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조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미디어데이터와 함께 결정된 보조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컬러 센서(Color sensor)를 통해 이미지데이터에서 컬러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멜로디데이터 및 템포데이터를 통해 미디어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카메라부에서 수행되는 촬영 동작을 통해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메모리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데이터 및 복수의 미디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데이터 및 미디어데이터를 화면에 표시(display)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KR1020140027929A 2014-03-10 2014-03-10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46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29A KR101466535B1 (ko) 2014-03-10 2014-03-10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PCT/KR2015/002241 WO2015137671A1 (ko) 2014-03-10 2015-03-09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29A KR101466535B1 (ko) 2014-03-10 2014-03-10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535B1 true KR101466535B1 (ko) 2014-11-27

Family

ID=5229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929A KR101466535B1 (ko) 2014-03-10 2014-03-10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6535B1 (ko)
WO (1) WO201513767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57B1 (ko) * 2005-12-28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정보와 색 정보를 상호 대응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100136642A (ko) * 2009-06-19 201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30092815A (ko) * 2012-02-13 2013-08-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및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40046249A (ko) * 2012-10-10 2014-04-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근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57B1 (ko) * 2005-12-28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정보와 색 정보를 상호 대응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100136642A (ko) * 2009-06-19 201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30092815A (ko) * 2012-02-13 2013-08-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및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40046249A (ko) * 2012-10-10 2014-04-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근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7671A1 (ko)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620B2 (en) Reflective video display apparatus for interactive training and demonstra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175935B2 (en) Method of virtual reality system and implementing such method
CN104076512B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以及头部佩戴型显示装置的控制方法
WO2014056000A1 (en) Augmented reality biofeedback display
CN109416562B (zh) 用于虚拟现实的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6830829B2 (ja) プログラム、表示装置、表示方法、放送システム及び放送方法
WO2017113869A1 (zh) 头戴显示器及其双目3d视频显示方法和装置
JP7364099B2 (ja)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31782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検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20137128A (ja) 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非一過性の記憶媒体、Webサーバ、及び、瞳孔間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2011152333A (ja) 身体技能習得支援装置および身体技能習得支援方法
CN109119057A (zh) 音乐创作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穿戴式设备
JP7066115B2 (ja) パブリックスピーキング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073299A (ja) 言語訓練装置
JP5909849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466535B1 (ko) 미디어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4143595A (ja) 画像記録装置
JP2015226754A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プログラム
US20220183580A1 (en) Method of providing spoken instructions for a device for determining a heartbeat
JP2007013783A (ja) 電子カメラ
JP2019049628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制作支援方法
CN108664082A (zh) 头戴式显示设备、电子设备、显示虚拟场景的方法及装置
JPWO2017141141A1 (ja) 測定システム、評価システム、測定方法、及び評価方法
US20230015732A1 (en) Head-mounta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KR10163824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심리안정 서비스 제공방법, 심리안정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심리안정 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