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499B1 -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 Google Patents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499B1
KR101466499B1 KR20130088829A KR20130088829A KR101466499B1 KR 101466499 B1 KR101466499 B1 KR 101466499B1 KR 20130088829 A KR20130088829 A KR 20130088829A KR 20130088829 A KR20130088829 A KR 20130088829A KR 101466499 B1 KR101466499 B1 KR 10146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body member
blast furnace
furnace body
thermal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순기
최원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96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involving simulation means, e.g. of the treating or charging st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27D2021/026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using a video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공간 내에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교대로 장입하고,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투명창의 전면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고로의 조업 시험을 통해 연화 융착대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연화 융착대를 실제 육안으로 확인한다.

Description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VISUALIZATION METHOD OF COHESIVE ZONE SHAPE IN A BLAST FURNACE}
본 발명은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로의 조업 조건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연화 융착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조업은 고로의 상부로 장입된 철광석 또는 소결광이 풍구를 통해 공급된 열풍에 의해 용융되어 용융물(용선과 슬래그)을 생성하게 되고, 노하부에 축적되어 있는 용융물이 출선구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공정이다.
고로 조업시 열원으로 코크스가 사용된다. 코크스는 고로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원료인 동시에 철광석을 환원시키는 환원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고로 조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코크스와 철광석 또는 소결광을 교대로 장입하고, 고로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용선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 선행 기술로는 국내 특허공개 제10-2001-0003436호(2001.01.15, 연화융착대 정위치 조정방법)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 선행 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7755호 '고로 장입물 분포 실험 장치’(2010.10.06.공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2065호 '고로 장입물 관찰용 실험장치'(2000.07.05. 공개), 국내 특허공개 제10-1997-0043078호 '고로연화융착대의 추정방법'(1997.07.26 공개)이 있다.
본 발명은 고로의 조업 시험을 통해 연화 융착대를 가시화하여 조업 조건 변동에 따른 연화 융착대의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투명창이고, 실제 고로를 축소한 형태를 가지며, 공간 내 바닥 중앙에 인공 노심부가 돌출되어 구비되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 및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 공기 공급기를 포함한 고로 조업 시험 장치를 이용한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이며,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공간을 기설정된 공간 이상으로 채우도록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공간 내에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교대로 장입하는 단계;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투명창의 전면에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내부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고로의 조업 시험을 통해 연화 융착대를 실질적으로 구현하여 연화 융착대를 실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로의 조업 시 광석의 용융 거동 및 연화 융착대의 최초 형성 거동을 파악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제 고로 내에서 고로 조업 조건에 따른 연화 융착대의 변화를 추정하고, 임계 조건 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내 불안정 조건들을 사전 시험을 통해 예측할 수 있으며, 실제 노황 불안정 발생 시 원인 분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노내 상황의 모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에 사용되는 고로 시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에서,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이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에 장입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찍은 영상.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노체 내의 상황은 상부로부터 괴상대(A), 연화융착대(B), 적하대(C), 연소대(D) 및 노상대(E)로 나누어진다.
실제 고로에서는 고체의 광석이 강하하는 과정에서 하부로부터의 고온가스와 만나 환원 및 열교환을 하여 액상으로 변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화 융착대라고 하는 고체와 액체의 공존 영역이 만들어 진다. 따라서 연화 융착대는 고온재와 저온재 사이의 열평형이 이루어지는 평형 등온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변태 구간은 가스의 흐름에 따라 노내 상황을 달리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연화 융착대의 형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풍구로부터 생성된 환원가스는 연화 융착대의 코크스 사이(Slit)를 통해 상승하기 때문에 반대로 연화 융착대의 형상은 가스의 흐름을 결정짓게 되며 노내 상황 또한 이러한 융착대 형상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고로 조업을 위해 연화 융착대 형상 변화 거동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본 발명에 따른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은 전,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투명창이고, 실제 고로를 축소한 형태를 가지며, 공간 내 바닥 중앙에 인공 노심부(40)가 돌출되어 구비되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 및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 공기 공급기를 포함한 고로 조업 시험 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는 실제 모사 대상의 고로를 일정 비율로 축소하여 제조하며, 1/20 ~ 1/50 축척으로 축소되어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는 양 측면과, 앞면과 뒷면 중 다른 한면의 내부에 단열재(10a)가 삽입되어 외부로 상기 공간부 내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공간부 내의 온도를 적정 온도 즉, 시험 조건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온도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의 온도가 영향을 받아 시험 조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창(11)은 전열 코일(10b)이 장착되어 상기 투명창(11)의 내측면에 용융된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이 응고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간부 내의 상황을 확인하는데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전열 코일(10b)은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어 상기 투명창(11)을 가열하고, 상기 투명창(11)의 내측면에 파라핀이 묻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시험자는 상기 투명창(11)을 통해 상기 공간부 내의 상황을 항상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공간 내에는 바닥 중앙부에 인공 노심부(40)가 배치되며, 상기 인공 노심은 삼각 형상으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최초 공급 시 가스의 중심류를 확보한다.
상기 가열 공기 공급기(30)는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양 측에서 각각 가열 공기를 고르게 상기 공간부 내로 공급한다. 상기 가열 공기 공급기(30)는,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와 연결되어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 내로 공기를 공급시키는 공기 공급부(31);
상기 공기 공급부(31)와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를 연결하여 공기를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부(32);
상기 공기 공급관부(32)에 장착되며 상기 공간부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33);
상기 공기 공급관부(32)에 장착되어 상기 공간부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34);
상기 가열부(33)와 상기 온도 센서부(34)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부(33)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로 조업 시험 장치는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장입하는 시험용 장입 기기(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험용 장입 기기(20)는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교대로 장입한다.
또한, 상기 고로 조업 시험 장치는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 내로 장입된 장입물을 배출하는 장입물 배출 기기(50)를 더 포함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에서 투명창(11)의 전면에는 이격되게 열화상 카메라(60)가 배치되어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를 촬영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은,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공간을 기설정된 공간 이상으로 채우도록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공간 내에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교대로 장입하는 단계,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투명창의 전면에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은 실제 고로 조업 시 사용되는 원료인 철광석 또는 소결광을 대체하여 상기 공간부 내로 장입되는 것으로, 파라핀으로 제조된 펠릿(pellet)체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펠릿체는 실제 고로에 장입되는 철광석 또는 소결광의 입경에서 고로 조업의 모사 시험에 적합한 비율로 축소된 입경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는 실제 모사 대상의 고로와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형상 차이 및 축척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은 실제 고로 조업 시 사용되는 원료인 코크스를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로 사용되는 코크스는 실제 고로에 장입되는 코크스의 입경에서 고로 조업의 모사 시험에 적합한 비율로 축소된 입경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는 실제 모사 대상의 고로와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형상 차이 및 축척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됨을 밝혀둔다.
상기 파라핀은 고로 내 광석의 연화 용융을 모사하기 위해 저융점(45 ~ 65℃)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가열 공기는 50 ~ 30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장입하는 단계는 코크스와 파라핀으로 제조된 상기 펠릿체를 교대로 장입하여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를 기설정된 공간 이상으로 채우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상부에서 일부분 제외한 부분까지 채우도록 하며, 노하부에서부터 시험용 연료 장입물층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층 즉, 코크스층, 펠릿체층이 교대로 형성되게 장입한다. 즉, 상기 코크스층 사이에는 상기 펠릿체층이 형성되고, 노하부 및 노상부에는 각각 코크스층이 형성되게 장입한다. 상기 코크스와 상기 펠릿체가 채워지는 기설정된 공간은 실제 고로 조업 시 철광석과 코크스가 노정부분에서 장입되는 상한치에 해당되는 것을 실제 모사 대상의 고로와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형상 차이 및 축척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됨을 밝혀둔다.
상기 장입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가열 공기 공급기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은 상기 고로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고로 조업을 모사하여 시험하고, 고로 조업 시험 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를 열화상 카메라로 찍고, 열화상 카메라로 찍은 영상으로 열화 융착대의 형상을 가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에서 투명창의 전면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를 촬영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 방식의 IR카메라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용융된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상기 장입물 배출 기기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상부에서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교대로 연속 장입하면서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할 수도 있다. 이는 고로 조업 시 연화 융착대의 위치 및 형상의 변동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장입하는 단계는 시험용 연료 장입물층(12)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층(13)이 교대로 적층되게 형성한다. 상기 장입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노심부(40)의 상부에는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중앙에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이 쌓이는 중앙 연료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연료부(14)의 둘레로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층(12)과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층(13)을 교대로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층(12)과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층(13)은 안쪽에서 바깥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부분이 형성되도록 장입된다. 상기 인공 노심부(40)의 상부에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중앙에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 즉, 코크스로만 쌓인 중앙 연료부(14)를 형성하여 중심류형 연화 연화 융착대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열 공기의 송풍 조건 즉, 온도 및 풍량을 조절하면서 연화 융착대의 형상을 찍은 적외선 방식의 IR카메라로 찍은 사진이다. 이 경우,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용융된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상기 장입물 배출 기기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상부에서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교대로 연속 장입하면서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가열 공기의 송풍량과, 온도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기설정된 제 1 송풍량과 기설정된 온도에서 가열 공기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 및 기설정된 온도에서 상기 제 1 송풍량보다 큰 제 2 송풍량으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 공기를 상기 기설정된 온도보다 점차 높은 온도로 송풍하고, 상기 제 1 송풍량으로 감풍하여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가열 공기의 송풍량과, 온도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기설정된 제 1 송풍량과 기설정된 온도에서 가열 공기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기설정된 온도에서 상기 제 1 송풍량보다 큰 제 2 송풍량으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상기 가열 공기를 상기 기설정된 온도보다 점차 높은 온도로 송풍하고, 상기 제 1 송풍량으로 감풍하여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융착대의 형상은 대표적으로 역V형, W형, V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의 조업 조건에 따라 가스류 분포 및 노내 열류비 그리고 반응대 등이 변화하여 융착대 형상을 결정하게 된다. 본 시험에서는 반경방향 장입물 분포가 일정한 조건에서 풍온 및 풍량 등의 송풍조건 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연화 융착대의 변화를 IR카메라로 찍어 확인한다.
상기 기설정된 온도와 상기 기설정된 제 1 송풍량은 장입 조건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연화 융착대의 향상을 형성하는 조건이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정상상태의 연화 융착대 형성을 위한 송풍 조건 확립을 위한 과정이다.
도 6에서, 최초 0.8Nm3/min와 83 ℃의 가열 공기를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공급하며, 83 ℃의 온도에서 0.8Nm3/min의 송풍량을 0.2 Nm3/min 증풍하여 10Nm3/min으로 공급하였고, 15Nm3/min로 증풍하여 공급한다. 그리고, 15Nm3/min로 송풍량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가열 공기의 온도를 높여 기설정된 온도(85 ℃)로 등온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하여 정상적인 연화 융착대의 형상을 확인한다. 최초 증풍 과정에서 1.0 Nm3/min 까지는 장시간 송풍에도 불구하고 연소대의 확보가 원활하지 않았으나 1.2 Nm3/min 이상에서 연소대 심도로 보이는 온도 프로파일이 반경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5 Nm3/min부터는 중심류형의 역 V형 연화 융착대 형상이 육안으로 확인되며 승온 후 약 20분 뒤에 정상상태의 연화 융착대를 관찰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도 7에서, 가열공기를 1.5Nm3/min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공급하다가 갑자기 2.0 Nm3/min로 증풍하여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공급하면, 갑작스러운 증풍에 의한 가스 압력 변동 폭이 커지면서 결국 융착대 상부 현체(Hanging)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초의 붕락 발생 시 연화 융착대 상부에서는 공동 형성에 이은 단층이 형성되었으며 이후 연속적인 붕락 현상과 발생 위치 직하부에 형성된 공동에서의 급격한 가스 유입에 따른 온도 상승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연화 융착대의 상부에서 현체(Hanging)현상의 발생으로 인해 정층 형상이 붕괴된 것으로 확인된다. 붕락 이후 가열공기를 다시 1.5Nm3/min로 감풍하여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10)의 내부로 공급하고, 하부에서 장입물을 배출함과 동시에 상부에서의 장입을 지속한 결과, 붕락 지점 이하에서의 장입물 프로파일은 혼합층 형성에 의한 불안정한 가스류가 형성되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한 중심류 확보를 통하여 붕락 지점 이후의 장입물 강하 및 안정된 연화 융착대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도 8에서, 송풍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열류비 변동이 연화 융착대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일정한 가스 유량 조건(1.5 Nm3/min)에서 가열 공기의 온도를 85℃ 에서 110℃로 점차 증가시키면서 가열 공기의 온도에 따른 융착대 형상 변화를 추가 확인한다. 가열 공기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류비의 저하는 연화 융착대의 윗면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킴을 확인한다. 이는 하부 고온의 가스가 갖고 있는 열량이 증가하면서 상부 장입물에 전달되는 열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현상으로 해석된다. 즉 일정한 송풍량 조건에서 가스 유속이 일정함을 가정할 때 전열 계수 상승분 만큼 고체 장입물 충진층(괴상대)에서의 열 교환 시간은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 가열 공기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높일 경우, 전체적인 연화 융착대 구역 상승이 예상되었으나 융착대 근부의 상승은 관찰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연화 융착대의 비대화가 확인되며, 이는 연화 융착대의 근부 상단의 경우 괴상대 온도 증가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거동을 보이며 이는 실고로 조업 시 노내 장입물 분포 및 공극률 변화에 따라 연화 융착대 근부의 두께가 변하는 현상으로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고로의 조업 시험을 통해 연화 융착대를 실질적으로 구현하여 연화 융착대를 실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로의 조업 시 광석의 용융 거동 및 연화 융착대의 최초 형성 거동을 파악한다. 본 발명은 실제 고로 내에서 고로 조업 조건에 따른 연화 융착대의 변화를 추정하고, 임계 조건 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내 불안정 조건들을 사전 시험을 통해 예측할 수 있으며, 실제 노황 불안정 발생 시 원인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 11 : 투명창
12 : 시험용 연료 장입물층 13 : 시험용 원료 장입물층

Claims (7)

  1. 전,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투명창이고, 실제 고로를 축소한 형태를 가지며, 공간 내 바닥 중앙에 인공 노심부가 돌출되어 구비되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 및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 공기 공급기를 포함한 고로 조업 시험 장치를 이용한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이며,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공간을 기설정된 공간 이상으로 채우도록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공간 내에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교대로 장입하는 단계;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투명창의 전면에서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내부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 방식의 IR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은 파라핀으로 제조된 펠릿(pellet)체이고,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은 코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입하는 단계는,
    시험용 연료 장입물층과 시험용 원료 장입물층이 교대로 적층되게 형성하며,
    상기 인공 노심부의 상부에는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중앙에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이 쌓이는 중앙 연료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연료부의 둘레로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층과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층을 교대로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의 내부로 장입된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용융된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장입물 배출 기기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시험용 고로 몸체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시험용 연료 장입물과 상기 시험용 원료 장입물을 교대로 연속 장입하면서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가열 공기의 송풍량과, 온도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기설정된 제 1 송풍량과 기설정된 온도에서 가열 공기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 및
    기설정된 온도에서 상기 제 1 송풍량보다 큰 제 2 송풍량으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를 상기 기설정된 온도보다 점차 높은 온도로 송풍하고, 상기 제 1 송풍량으로 감풍하여 공급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KR20130088829A 2013-07-26 2013-07-26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KR10146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829A KR101466499B1 (ko) 2013-07-26 2013-07-26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829A KR101466499B1 (ko) 2013-07-26 2013-07-26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499B1 true KR101466499B1 (ko) 2014-11-28

Family

ID=5229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8829A KR101466499B1 (ko) 2013-07-26 2013-07-26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8423A (zh) * 2018-12-28 2019-03-15 青岛众志测控技术有限公司 高炉炉顶在线夜视热成像诊断系统
KR20190054794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송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028A (ja) * 1995-07-20 1997-02-07 Daido Steel Co Ltd 灰溶融炉
KR20000012065U (ko) * 1998-12-14 2000-07-05 신현준 고로 장입물 관찰용 실험장치
JP2006249501A (ja) 2005-03-10 2006-09-21 Sumitomo Metal Ind Ltd ガスサンプリング装置及び融着帯位置判定方法並びに高炉操業方法
KR20120087559A (ko) * 2011-01-28 2012-08-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화융착대 근부위치 추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028A (ja) * 1995-07-20 1997-02-07 Daido Steel Co Ltd 灰溶融炉
KR20000012065U (ko) * 1998-12-14 2000-07-05 신현준 고로 장입물 관찰용 실험장치
JP2006249501A (ja) 2005-03-10 2006-09-21 Sumitomo Metal Ind Ltd ガスサンプリング装置及び融着帯位置判定方法並びに高炉操業方法
KR20120087559A (ko) * 2011-01-28 2012-08-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화융착대 근부위치 추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94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송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9098484A1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송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2428B1 (ko) * 2017-11-14 2019-07-22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송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9468423A (zh) * 2018-12-28 2019-03-15 青岛众志测控技术有限公司 高炉炉顶在线夜视热成像诊断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836B2 (ja) 高炉用自溶性ペ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66499B1 (ko)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CN102213548B (zh) 一种测定铁矿石熔滴点的熔滴炉
JP6248550B2 (ja) 高炉操業条件の決定方法
CA26638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ranular metallic iron
CN107073658A (zh) 热交换器铝管焊接用焊料、以及使用它的热交换器铝管的接合方法和热交换器铝管的接合构造
KR101466500B1 (ko) 연화 융착대 가시화 방법
JPS6056003A (ja) 高炉へのコ−クス装入方法
CN104697337B (zh) 一种用于生产玄武岩连续纤维的窑炉加料装置
JP7180467B2 (ja) 高炉融着帯を模擬するための反応装置
JP6245042B2 (ja) 焼結層内の酸素濃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6179726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CN101311868B (zh) 解焊恒温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JP4949113B2 (ja) 二次元型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高炉の操業方法
CN101307386A (zh) 矿热炉冶炼钛渣的冶炼方法及其装置
KR101707375B1 (ko) 고로 내 연화 융착대의 코크스 입경 예측 방법
JP6885238B2 (ja) 高炉の操業方法
CN207059016U (zh) 一种管道生产用聚乙烯熔化控温装置
KR101424932B1 (ko) 고로 조업 시험 장치
KR102359242B1 (ko) 제철 공정 모사 장치 및 방법
KR102042698B1 (ko)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7243677B2 (ja) 炉底の昇温方法および高炉の立ち上げ方法
KR101412355B1 (ko) 고로 조업 시험 장치
KR101368533B1 (ko) 고로 조업 시험 장치
JP6743614B2 (ja) 高炉朝顔部構造および高炉の設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