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402B1 -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 Google Patents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402B1
KR101465402B1 KR20140079534A KR20140079534A KR101465402B1 KR 101465402 B1 KR101465402 B1 KR 101465402B1 KR 20140079534 A KR20140079534 A KR 20140079534A KR 20140079534 A KR20140079534 A KR 20140079534A KR 101465402 B1 KR101465402 B1 KR 10146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air
fixing plat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용
Original Assignee
박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용 filed Critical 박일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클립에 의해 차량의 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검사장비로 검사하는 경우, 상기 검사구에 장착되는 클립을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고정 및 해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장비를 이용한 차량 패널의 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검사구 일면에 고정되도록 양측 일면에 각각 제1고정구가 형성된 판상의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 중앙의 일면에 연장 돌출된 돌출판과 상기 연장된 돌출판의 전단과 후단에 상향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면에 한쌍의 제2고정구가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과 상기 돌출판 일면에서 제1고정판 저면으로 연통되면서 내주면 상부는 단차진 단턱부가 형성된 제1체결구로 이루어진 일몸체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 사이의 양측에 각각 가로질러 밀착되도록 한쌍이 구비되면서 각각의 제2고정판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제3회전구가 형성되어 힌지로 조립되며, 하부 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밀착편이 형성되며,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회전체와, 상기 지지부재의 제1고정판 하부에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제2체결구가 형성된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제2체결구에 체결되도록 나사몸체가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몸체의 상단에 상향 연장된 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상부 외주면에 경사진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단에 원판형의 작동판으로 구성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있어 상기 작동부재의 확관부 외측 일면이 수직으로 절개되어 평평한 형태의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돌출판 양측에 각각 “ㄴ”형태의 제1차단판이 체결 고정하되, 상기 돌출판 일측의 제1차단판은 “ㄱ”자형으로 고정되어 일측 회전체를 차단시키게 되며, 상기 돌출판 타측의 제1차단판은 “ㄴ”자형으로 고정되어 타측 회전체의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The clip bracket of inspection equipment for fixing to vehicle panel}
본 발명은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클립에 의해 차량의 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검사장비로 검사하는 경우, 상기 검사구에 장착되는 클립을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고정 및 해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장비를 이용한 차량 패널의 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각 부위별로 부품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생산되는데, 각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기 이전에 그 부품들이 정확한 치수와 형상으로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는 단위 부품에 대해서만 행해지는 것은 아니며, 몇 개의 부품이 결합된 어셈블리에 대해서도 이루어진다.
즉, 자동차는 20,000 가지 이상의 부품이 조립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단위 부품 또는 단위 어셈블리들의 형상과 치수가 허용 오차를 벗어나게 되며, 모든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아주 큰 오차가 발생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조립 자체가 불가능하여 자동차를 완성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자동차 부품에는 제조된 자동차 부품이 차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클립이 설치되는데, 이 클립의 위치가 차체에 결합되는 자동차 부품의 마운팅 포인트가 되는바, 그 설치위치의 정확도가 중요하다.
이에 종래에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된 측정지그와, 측정지그의 상부면에 클립의 마운팅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 부품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부품 검사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1810호와 등록특허 제10-1331911호와 같이 클립의 마운팅 포인트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홀이 클립의 형상에 맞게 측정지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검사완료된 자동차 부품을 검사장치로부터 탈거시 클립이 측정홀에 걸리게 되어 클립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클립이 측정홀에 걸림으로 인해 자동차 부품의 탈거시 검사자가 과도한 힘을 가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자동차 부품이 검사장치로부터 이탈되어 검사자가 자동차 부품에 부딪혀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검사구로 차량 패널을 검사하는 경우, 상기 차량 패널에 결합된 클립을 용이하게 고정 및 해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구를 이용한 차량 패널의 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검사구 일면에 고정되도록 양측 일면에 각각 제1고정구가 형성된 판상의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 중앙의 일면에 연장 돌출된 돌출판과 상기 연장된 돌출판의 전단과 후단에 상향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면에 한쌍의 제2고정구가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과 상기 돌출판 일면에서 제1고정판 저면으로 연통되면서 내주면 상부는 단차진 단턱부가 형성된 제1체결구로 이루어진 일몸체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 사이의 양측에 각각 가로질러 밀착되도록 한쌍이 구비되면서 각각의 제2고정판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제3회전구가 형성되어 힌지로 조립되며, 하부 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밀착편이 형성되며,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회전체와, 상기 지지부재의 제1고정판 하부에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제2체결구가 형성된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제2체결구에 체결되도록 나사몸체가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몸체의 상단에 상향 연장된 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상부 외주면에 경사진 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단에 원판형의 작동판으로 구성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확관부 외주면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되어 평평한 형태의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돌출판 양측에 각각 “ㄴ”형태의 제1차단판이 체결 고정하되, 상기 돌출판 일측의 제1차단판은 “ㄱ”자형으로 고정되어 일측 회전체를 차단시키게 되며, 상기 돌출판 타측의 제1차단판은 “ㄴ”자형으로 고정되어 타측 회전체의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고정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을 제공한다.
또한, 검사구 일면에 고정되도록 양측 일면에 각각 제1고정구가 형성된 판상의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의 전단과 후단에 상향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면에 한쌍의 제2고정구가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 상부 일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되면서 내주면 상부는 단차진 단턱부가 형성된 제1체결구로 이루어진 일몸체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 사이의 양측에 각각 가로질러 밀착되도록 한쌍이 구비되면서 각각의 제2고정판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제3회전구가 형성되어 힌지로 조립되며,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회전체와, 상기 지지부재의 제1고정판 하부에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제2체결구가 형성된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제2체결구에 체결되도록 나사몸체가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몸체의 상단에 상향 연장된 밀착부로 구성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2고정판 사이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작동부재의 밀착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중앙 일면에 형성된 체결홈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체결되며, 양단부에 각각 상향으로 연장된 밀착턱이 형성된 이동조절부와,
상기 한쌍의 회전체 사이의 내측에 양단이 각각 면접되어 수직으로 구비되는 팽창스프링이 포함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은 차량 패널에 결합된 클립이 끼워져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클립 브라켓으로서, 브라켓의 회전체에 의해 클립을 끼워 차량 패널이 검사구에 고정됨과 아울러 회전체의 확개 및 복구가 작동부재의 작동으로 쉽게 수행될 수 있어 차량 패널을 검사구에 원활하게 탈착 또는 장착 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구를 이용한 차량 패널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차량 패널을 탈 장착할 경우 상기 차량 패널의 클립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클립 브라켓에서 차량 패널의 클립을 원활하게 탈거할 수 있음으로 차량 패널의 클립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이 설치된 검사구 설치 구성도.
도 2는 차량패널에 형성된 클립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설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설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지지부재 구조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A-A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지지부재에 회전체가 조립되는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지지부재 양측에 제1차단판이 구비되는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지지부재 양측에 제2차단판이 구비되는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작동부재 구조도와 분리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을 이용하여 클립을 탈/부착하는 구조도(a)(b).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팽창스프링과 이동조절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지지부재에 이동조절부가 내속되어 밀착부에 체결되는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서 이동조절부와 팽창스프링의 작동으로 클립을 탈/부착하는 구조도(a)(b).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 패널(30)에 형성된 클립(31)을 검사구(2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10)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상기 클립(31)은 그 끝단에 화살표형의 양측으로 고정턱(32)이 형성되거나 일측에만 고정턱(3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클립(31)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턱(32)에 물려 클립(31)을 견고히 고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구성하는 양측 회전체(200)의 걸림편(240) 내측단에 형성된 걸림홈(241)에 상기 클립(31)의 고정턱(32)을 물려 고정하게 되는 데, 상술한 클립(31)의 고정턱(32) 형성위치에 따라 회전체(200) 모두 회전하거나 일측 회전체(200)만 회전하면서 타측 회전체(200)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를 가져야 함에 따라 본 발명의 구조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즉, 차량 패널(30)에 형성된 클립(31)의 고정턱(32) 형성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모든 클립(31)을 고정할 수 있는 1개의 본 발명 제품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 그리고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구(20) 일면에 고정되도록 양측 일면에 각각 제1고정구(111)가 형성된 판상의 제1고정판(110)과 상기 제1고정판(110) 중앙의 일면에 연장 돌출된 돌출판(120)과 상기 연장된 돌출판(120)의 전단과 후단에 상향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면에 한쌍의 제2고정구(131)가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과 상기 돌출판(120) 일면에서 제1고정판(110) 저면으로 연통되면서 내주면 상부는 단차진 단턱부(141)가 형성된 제1체결구(140)로 이루어진 일몸체의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 사이의 양측에 각각 가로질러 밀착되도록 한쌍이 구비되면서 각각의 제2고정판(130)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131)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회전구(210)가 형성되어 힌지(220)로 조립되며, 하부 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밀착편(230)이 형성되며,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걸림홈(241)이 형성된 걸림편(240)으로 구성되는 회전체(2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제1고정판(110) 하부에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제2체결구(311)가 형성된 그립부(310)와 상기 그립부(310)의 제2체결구(311)에 체결되도록 나사몸체(320)가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몸체(320)의 상단에 상향 연장된 밀착부(330)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330)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상부 외주면에 경사진 확관부(340)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340)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50) 상단에 원판형의 작동판(360)으로 구성되는 작동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00)의 확관부(340)는 외주면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되어 밀착부(330)의 외주면 일부로 연장되는 평평한 형태의 평면부(341)와 상기 확관부(340)의 평면부(341)를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은 외부로 돌출되어 경사진 외주를 가진 돌출부(342)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00)의 돌출판(120) 양측에 각각 “ㄴ”형태의 제1차단판(150a)이 체결 고정하되, 상기 돌출판(120) 일측의 제1차단판(150a)은 “ㄱ”자형으로 고정되어 일측 회전체(200)를 차단시키게 되며, 상기 돌출판(120) 타측의 제1차단판(150a)은 “ㄴ”자형으로 고정되어 타측 회전체(200)의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고정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10, 이하 ‘브라켓’으로 칭함.)을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검사구(20) 일면에 고정되도록 양측 일면에 각각 제1고정구(111)가 형성된 판상의 제1고정판(110)과 상기 제1고정판(110) 중앙의 일면에 연장 돌출된 돌출판(120)과 상기 연장된 돌출판(120)의 전단과 후단에 상향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면에 한쌍의 제2고정구(131)가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과 상기 돌출판(120) 일면에서 제1고정판(110) 저면으로 연통되면서 내주면 상부는 단차진 단턱부(141)가 형성된 제1체결구(140)로 이루어져 일몸체로 구성된다.
즉, 지지부재(100)는 하부의 베이스로 제1고정판(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판(110)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 돌출된 판형의 돌출판(120)이 제1고정판(110)과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연장된 돌출판(12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제2고정판(13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돌출판(120)의 일면에서 제1고정판(110)의 저면에까지 연통된 제1체결구(140)가 형성하되, 돌출판(120)의 제1체결구(140) 직경이 제1고정판(110)의 제1체결구(14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가져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체결구(140)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4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 사이의 양측에 각각 가로질러 밀착되도록 한쌍이 구비되면서 각각의 제2고정판(130)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131)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회전구(210)가 형성되어 힌지(220)로 조립되며, 하부 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밀착편(230)이 형성되며,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걸림홈(241)이 형성된 걸림편(240)으로 구성된다.
즉, 한쌍의 제2고정판(130)에서 일측 제2고정판(130)과 타측 제2고정판(130)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체(200) 중 일측 회전체(200)의 일측면이 일측 제2고정판(130)의 일단에 면접되면서 일측 회전체(200)의 타측면이 타측 제2고정판(130)의 일단에 면접되어 제공되며, 이에 타측 회전체(200)의 일/타측면도 일측 회전체(200)와 이격되게 일/타측 제2고정판(130) 타단에 면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판(130)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131)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회전체(200)의 회전구(210)가 형성되어 힌지(220)로 조립되어 힌지(220)를 중심으로 회전체(200)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30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제1고정판(110) 하부에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제2체결구(311)가 형성된 그립부(310)와 상기 그립부(310)의 제2체결구(311)에 체결되도록 나사몸체(320)가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몸체(320)의 상단에 상향 연장된 밀착부(330)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330)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상부 외주면에 경사진 확관부(340)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340)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50) 상단에 원판형의 작동판(3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300)의 확관부(340)는 외주면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되어 평평한 형태의 평면부(341)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41)를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은 외부로 돌출되어 경사진 외주를 가진 돌출부(342)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확관부(340)에 평면부(341)의 평평한 형태가 밀착부(330)의 외주면 일부에도 연장되어 평평한 형태를 형성하여 한쌍의 회전체(200) 중 상기 확관부(340)의 평면부(341)에 대응하는 일측 회전체(200)에 간섭이 없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도 11과 같이 상기 작동부재(300)는 회전체(200)를 벌리고 오므리는 작동을 아래와 같이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먼저, 작동부재(300)의 그립부(310)는 지지부재(100)의 제1고정판(110)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그립부(310)의 상단에 위치하여 그립부(310) 내부로 나사체결된 돌출된 나사몸체(320)의 상부는 지지부재(100)의 제1고정판(110) 내부에 형성된 제1체결구(140)에 내속되며, 상기 나사몸체(320)의 상단에 연장 연결된 밀착부(330)는 돌출판(1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체결구(140)에 내속되며, 상기 밀착부(330)의 상단에 연장 연결되어 외주면에 각각 평면부(341)와 돌출부(342)로 형성된 확관부(340)에서 확관부(340)의 평면부(341)는 일측 회전체(200)의 하부에 절곡 형성된 밀착편(230)의 하면에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340)의 돌출부(342)는 타측 회전체(200)의 하부에 절곡 형성된 밀착편(230)의 하면에 대응하여 면접하며, 상기 확관부(340)의 중앙에서 연장된 연장부(350)는 한쌍의 회전체(200) 각각에 형성된 밀착편(230) 사이를 통과하여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연장부(350) 끝단에 원판형의 작동판(360)이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판(360)의 폭은 한쌍의 회전체(200) 각각에 형성된 밀착편(230) 사이의 폭에 비해 큰 폭으로 형성되어 제공된다.
다음은 상기 브라켓(10)을 이용하여 차량 패널의 클립을 부착 또는 탈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한쌍의 회전체(200)에 각각 형성된 걸림편(240) 내측의 걸림홈(241)에 클립(31)의 고정턱(32)을 위치시키고, 이때 회전체(200)는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도 11의 (a)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300)의 그립부(310)를 하향으로 당기면 나사몸체(320), 밀착부(330), 확관부(340), 연장부(350) 및 작동판(360) 일체가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때 작동판(360)의 하면이 회전체(200)의 밀착편(230) 상면을 밀착하면서 회전체(200)가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양측 각각의 회전체(200) 걸림편(240)이 밀착되어 걸림홈(241)에 클립(31)의 고정턱(32)을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도 11의 (b)와 같이 클립(31)을 탈착하기 위해 상기 작동부재(300)의 그립부(310)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면 나사몸체(320), 밀착부(330), 확관부(340), 연장부(350) 및 작동판(360) 일체가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때 확관부(340)의 타면에 형성된 돌출부(342) 상부 외주면이 타측 회전체(200)의 밀착편(230) 하면을 밀어 올리면서 작동부재(300)의 밀어 올리는 외압으로 타측 회전체(20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걸림편(240)의 걸림홈(241)에 밀착된 클립(31)이 분리되어 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확관부(340)의 일면에 형성된 평면부(341)는 일측 회전체(200)의 밀착편(230)에 대응하여 간섭없이 서로 면접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일측 회전체(200)는 회전없이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확관부(340)의 일면과 타면 각각에 평면부(341)와 돌출부(342)가 형성됨에 따라 확관부(340)의 이동에 의해 평면부(341)와 대응하는 일측 회전체(200)는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며, 반면 돌출부(342)에 대응하여 면접되는 타측 회전체(200)는 외측으로 회전하여 벌어짐에 따라 걸림편(240)의 걸림홈(241)에 밀착된 클립(31)이 분리되어 탈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회전체(200) 중 1개의 회전체(200)는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고 다른 1개의 회전체(200)는 회전함에 있어 클립(31)의 고정턱(32) 형상 또는 사용하는 용도에 맞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작동부재(300)를 회전하여 확관부(340)의 일면에 평면부(341)가 양측 회전체(20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회전체(200) 중 1개의 회전체(200)는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고 다른 1개의 회전체(200)는 회전함에 있어 상기 고정된 1개의 회전체(200)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하는 다른 1개의 회전체(200)는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00)의 돌출판(120) 양측에 각각 “ㄴ”형태의 제1차단판(150a)이 체결 고정하되, 상기 돌출판(120) 일측의 제1차단판(150a)은 “ㄱ”자형으로 고정되어 일측 회전체(200)를 차단시키게 되며, 상기 돌출판(120) 타측의 제1차단판(150a)은 “ㄴ”자형으로 고정되어 타측 회전체(200)의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고정되는 구조로 제1차단판(150a)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된 1개의 회전체(200)가 설치된 지지부재(100)의 돌출판(120) 일측에 “ㄱ”자형으로 체결 고정된 제1차단판(150a)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된 회전체(20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ㄱ”자형으로 체결 고정된 제1차단판(150a)이 돌출판(120) 양측단에 상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 사이의 공간 외측에 구비되어 제2고정판(130) 사이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동되는 회전체(200)가 외측으로 회전하여 벌어지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회전된 다른 1개의 회전체(200)가 설치된 지지부재(100)의 돌출판(120) 타측에 “ㄴ”자형으로 체결 고정된 제1차단판(150a)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ㄴ”자형으로 체결 고정된 제1차단판(150a)의 내측 전면(全面)이 돌출판(120)과 일측 제2고정판(130)에 면접되어 상기 회전체(200)가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회전에 간섭없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0)의 돌출판(12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차단판(150a) 대신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판(120) 타측에 면접되어 체결되는 수평부(151)와 상기 수평부(151)에 비해 상향으로 더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돌출판(120) 일측에 체결되는 수직부(152) 및 상기 수평부(151) 일단과 수직부(152) 일단 일면에 연결되는 이음부(153)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2차단판(150b)이 구비되어 제공되며, 상기 제2차단판(150b)의 수평부(151)는 돌출판(120) 타측의 전면에 면접되어 체결 고정되어 일측 회전체(200)가 외부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간섭없이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판(150b)의 수직부(152)는 돌출판(120) 일측에 체2차단판(150b) 내측 하부가 면접 체결되면서 상향으로 연장된 제2차단판(150b)이 제2고정판(130) 일측면을 커버하듯이 형성되어 타측 회전체(200)가 외부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게 된다.
이렇게 클립(31)의 고정턱(32)이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될 때 일측 또는 타측의 회전체(2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1개의 제2차단판(150b)을 지지부재(100)에 대칭으로 교환하여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구(20) 일면에 고정되도록 양측 일면에 각각 제1고정구(111)가 형성된 판상의 제1고정판(110)과 상기 제1고정판(110)의 전단과 후단에 상향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면에 한쌍의 제2고정구(131)가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과 상기 제1고정판(110) 상부 일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되면서 내주면 상부는 단차진 단턱부(141)가 형성된 제1체결구(140)로 이루어진 일몸체의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 사이의 양측에 각각 가로질러 밀착되도록 한쌍이 구비되면서 각각의 제2고정판(130)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131)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회전구(210)가 형성되어 힌지(220)로 조립되며,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걸림홈(241)이 형성된 걸림편(240)으로 구성되는 회전체(2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제1고정판(110) 하부에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제2체결구(311)가 형성된 그립부(310)와 상기 그립부(310)의 제2체결구(311)에 체결되도록 나사몸체(320)가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몸체(320)의 상단에 상향 연장된 밀착부(330)로 구성되는 작동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2고정판(130) 사이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작동부재(300)의 밀착부(33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중앙 일면에 형성된 체결홈(372)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체결되며, 양단부에 각각 상향으로 연장된 밀착턱(371)이 형성된 이동조절부(370)와,
상기 한쌍의 회전체(200) 사이의 내측에 양단이 각각 면접되어 수평으로 구비되는 팽창스프링(250)이 포함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10)을 제공한다.
전술한 브라켓(10)에 형성된 작동부재(300)의 상부에 형성된 확관부(340), 연장부(350) 및 작동판(360)이 형성되지 않고 밀착부(330)의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밀착부(330)가 이동조절부(370)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체결홈(372)에 체결되며, 이때 체결홈(372)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밀착부(330)와 체결홈(372)이 상호 결합 체결되어 작동부재(300)의 상부에 이동조절부(370)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회전체(200) 사이의 내측에 양단이 각각 면접되어 수평으로 구비되는 팽창스프링(250)에 의해 회전체(200)가 작동부재(300)의 이동이 없을 때 항상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브라켓(10)의 작동과정을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4의 (a)와 같이 회전체(200) 내부에 구비된 팽창스프링(250)에 의해 양측 회전체가(200) 벌어진 상태에서 차량 패널(30) 클립(31)의 고정턱(32)을 회전체(200) 걸림편(240)의 걸림홈(241)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후 도 14의 (b)와 같이 작동부재(300)의 그립부(310)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작동부재(300) 상부에 위치한 밀착부(330)에 체결된 이동조절부(370)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이동조절부(370)의 양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밀착턱(371)이 각각의 회전체(200) 하부 외측면을 면접 밀착하여 이동조절부(370)의 양측 밀착턱(371) 사이의 공간에 의해 벌어진 회전체(200)를 오므려지도록 압박하여 회전체 사이의 팽창스프링(250)을 압축하여 벌어진 회전체(200)가 수직상태로 형성되면서 양측 회전체(200)의 사이에 형성된 클립(31)의 고정턱(32)을 회전체(200)의 걸림홈(241)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300)를 상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작동부재(300)의 상부에 형성된 이동조절부(370)의 양측 밀착턱(371) 사이에 양측 회전체(200)의 하부가 밀착되면서 회전체(200) 사이에 형성된 팽창스프링(250)을 압박하고 있어 강제로 작동부재(300)를 하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작동부재(300)가 하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양측 회전체(200)의 하부를 이동조절부(370)의 밀착턱(371)이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은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브라켓 : 10, 검사구 : 20, 차량 패널 : 30, 클립 : 31, 고정턱 : 32, 지지부재 : 100, 제1고정판 : 110, 제1고정구 : 111, 돌출판 : 120, 제2고정판 : 130, 제2고정구 : 131, 제1체결구 : 140, 단턱부 : 141, 제1차단판 : 150a, 제2차단판 : 150b, 수평부 : 151, 수직부 : 152, 이음부 : 153, 회전체 : 200, 회전구 : 210, 힌지 : 220, 밀착편 : 230, 걸림편 : 240, 걸림홈 : 241, 팽창스프링 : 250, 작동부재 : 300, 그립부 : 310, 제2체결구 : 311, 나사몸체 : 320, 밀착부 : 330, 확관부 : 340, 평면부 : 341, 돌출부 : 342, 연장부 : 350, 작동판 : 360, 이동조절부 : 370, 밀착턱 : 371, 체결홈 : 372

Claims (3)

  1. 검사구(20) 일면에 고정되도록 양측 일면에 각각 제1고정구(111)가 형성된 판상의 제1고정판(110)과 상기 제1고정판(110) 중앙의 일면에 연장 돌출된 돌출판(120)과 상기 연장된 돌출판(120)의 전단과 후단에 상향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면에 한쌍의 제2고정구(131)가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과 상기 돌출판(120) 일면에서 제1고정판(110) 저면으로 연통되면서 내주면 상부는 단차진 단턱부(141)가 형성된 제1체결구(140)로 이루어진 일몸체의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 사이의 양측에 각각 가로질러 밀착되도록 한쌍이 구비되면서 각각의 제2고정판(130)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131)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회전구(210)가 형성되어 힌지(220)로 조립되며, 하부 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밀착편(230)이 형성되며,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걸림홈(241)이 형성된 걸림편(240)으로 구성되는 회전체(2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제1고정판(110) 하부에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제2체결구(311)가 형성된 그립부(310)와 상기 그립부(310)의 제2체결구(311)에 체결되도록 나사몸체(320)가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몸체(320)의 상단에 상향 연장된 밀착부(330)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330)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상부 외주면에 경사진 확관부(340)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340)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50) 상단에 원판형의 작동판(360)으로 구성되는 작동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00)의 확관부(340)는 외주면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되어 평평한 형태의 평면부(341)와 상기 평면부(341)를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은 외부로 돌출되어 경사진 외주를 가진 돌출부(342)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00)의 돌출판(120) 양측에 각각 “ㄴ”형태의 제1차단판(150a)이 체결 고정하되, 상기 돌출판(120) 일측의 제1차단판(150a)은 “ㄱ”자형으로 고정되어 일측 회전체(200)를 차단시키게 되며, 상기 돌출판(120) 타측의 제1차단판(150a)은 “ㄴ”자형으로 고정되어 타측 회전체(200)의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0)의 돌출판(12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차단판(150a) 대신에 돌출판(120) 타측에 면접되어 체결되는 수평부(151)와 상기 수평부(151)에 비해 상향으로 더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돌출판(120) 일측에 체결되는 수직부(152) 및 상기 수평부(151) 일단과 수직부(152) 일단 일면에 연결되는 이음부(153)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2차단판(150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3. 검사구(20) 일면에 고정되도록 양측 일면에 각각 제1고정구(111)가 형성된 판상의 제1고정판(110)과 상기 제1고정판(110)의 전단과 후단에 상향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면에 한쌍의 제2고정구(131)가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과 상기 제1고정판(110) 상부 일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되면서 내주면 상부는 단차진 단턱부(141)가 형성된 제1체결구(140)로 이루어진 일몸체의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판(130) 사이의 양측에 각각 가로질러 밀착되도록 한쌍이 구비되면서 각각의 제2고정판(130) 일면에 형성된 제2고정구(131)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면에 연통된 회전구(210)가 형성되어 힌지(220)로 조립되며,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걸림홈(241)이 형성된 걸림편(240)으로 구성되는 회전체(2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제1고정판(110) 하부에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제2체결구(311)가 형성된 그립부(310)와 상기 그립부(310)의 제2체결구(311)에 체결되도록 나사몸체(320)가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몸체(320)의 상단에 상향 연장된 밀착부(330)로 구성되는 작동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2고정판(130) 사이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작동부재(300)의 밀착부(33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중앙 일면에 형성된 체결홈(372)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체결되며, 양단부에 각각 상향으로 연장된 밀착턱(371)이 형성된 이동조절부(370)와,
    상기 한쌍의 회전체(200) 사이의 내측에 양단이 각각 면접되어 수평으로 구비되는 팽창스프링(25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KR20140079534A 2014-02-25 2014-06-27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KR101465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2257 2014-02-25
KR1020140022257 2014-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402B1 true KR101465402B1 (ko) 2014-11-25

Family

ID=5229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9534A KR101465402B1 (ko) 2014-02-25 2014-06-27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4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12B1 (ko) * 2018-09-06 2019-05-21 김동환 차량패널 등 검사지그의 클립장치
KR20210065004A (ko) * 2019-11-26 2021-06-03 성동훈 자동차 부품 클립 고정구 및 자동차 내장재 부품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823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후드 스테이 로드 고정클립
KR20090062001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휠허브 캡 장착지그
KR20100004131U (ko) * 2008-10-13 2010-04-22 박일용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JP2011005615A (ja) 2009-06-29 2011-01-13 Inaba Model Co Ltd クリップ保持具および同クリップ保持具を備えた成形精度検査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823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후드 스테이 로드 고정클립
KR20090062001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휠허브 캡 장착지그
KR20100004131U (ko) * 2008-10-13 2010-04-22 박일용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JP2011005615A (ja) 2009-06-29 2011-01-13 Inaba Model Co Ltd クリップ保持具および同クリップ保持具を備えた成形精度検査治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012B1 (ko) * 2018-09-06 2019-05-21 김동환 차량패널 등 검사지그의 클립장치
KR20210065004A (ko) * 2019-11-26 2021-06-03 성동훈 자동차 부품 클립 고정구 및 자동차 내장재 부품 검사장치
KR102363551B1 (ko) 2019-11-26 2022-02-17 성동훈 자동차 부품 클립 고정구 및 자동차 내장재 부품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5931C2 (ru) Магнитное крепежное средство и потолочный обивочный узел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20050225061A1 (en) Airbag assembly mounting system
US20170240121A1 (en) Retaining device, in particular for removably connecting vehicle body parts
US20080121032A1 (en) Stepless-adjustabl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housing assembly
KR101465402B1 (ko)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KR102110555B1 (ko) 전기자동차용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CN104937200A (zh) 具有可调节枢轴的铰接组件
KR200381810Y1 (ko) 자동차 도어트림 검사장비용 클립 고정 지그
JP2010525253A5 (ko)
KR101585826B1 (ko) 부품 검사용 고정장치
US7717227B2 (en) Speaker attaching construction and speaker
CN104220302A (zh) 用于面板的快速紧固装置
RU2010139294A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веерной перегородки
JPH09303657A (ja) 分岐管の接続装置
KR20090033527A (ko) 패스너 진동시험기
US7410276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trim frame to a recessed housing member and a method of making thereof
KR20160030040A (ko) 실링 플러그
KR101719055B1 (ko)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KR101418699B1 (ko) 차량 패널 고정용 검사구 클립 브라켓
KR101616539B1 (ko)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디스크 체결장치
RU2398086C2 (ru) Монтажная система фурнитурных частей, в частности петлевых частей, на раме или на створке
DK2659150T3 (en) Attachment system
US20030189834A1 (en) Apparatus for attaching light base to light cov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426206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CN105499409A (zh) 稳固冲压校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