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791B1 -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791B1
KR101463791B1 KR20130076687A KR20130076687A KR101463791B1 KR 101463791 B1 KR101463791 B1 KR 101463791B1 KR 20130076687 A KR20130076687 A KR 20130076687A KR 20130076687 A KR20130076687 A KR 20130076687A KR 101463791 B1 KR101463791 B1 KR 101463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tube
urea
injection tub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경
김기홍
채명근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20Reductants
    • B01D2251/206Ammonium compounds
    • B01D2251/2067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소수 저장부로 유입되는 요소수와 자성체의 접촉을 차단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의 요소수 저장부로 요소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외부의 공급노즐과 연결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는 공급노즐이 삽입되며 공급노즐로부터의 요소수를 요소수 저장부로 안내하는 주입튜브, 요소수가 요소수 저장부로 주입 또는 차단되도록 자력에 의해 공급노즐의 유로를 개폐하는 자성체 및 주입튜브와 요소수 저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주입튜브와 연통되며 내부에 자성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이송튜브를 포함하고, 주입튜브의 일단과 삽입부의 개방 영역은 열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요소수와 자성체의 접촉을 차단하여 자성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바, 제품의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UREA TUB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배치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소수는 디젤 차량에 배치되는 선택적 촉매 감소 시스템(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의 환원제로 사용된다. 선택적 촉매 감소 시스템은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NOx)과 요소수를 반응시켜 질소산화물을 저감한다.
여기서, 요소수는 차량의 내 외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저장부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갖는 요소수 필러 넥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요소수 저장부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05232호(디젤 차량용 요소수탱크, 2012.11.21)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 발명은 요소수 투입구가 마련되며 내부에 요소수가 저장되는 탱크 하우징을 포함하는 발명으로, 요소수 투입구는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요소수 투입구에는 주입혼용이 발생될 수 있음에 따라 주입혼용 방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혼용 방지기술은 요소수 필러넥 내측에 배치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공급노즐의 요소수 주입유로를 개폐하여 요소수가 주입 또는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튜브 조립체 내측에 배치된 자성체가 요소수와 접촉될 경우, 자성체는 산화되며 자력이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05232호(디젤 차량용 요소수탱크, 2012.11.21)
본 발명의 목적은 요소수 저장부로 유입되는 요소수와 자성체의 접촉을 차단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는 차량 내부의 요소수 저장부로 요소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외부의 공급노즐과 연결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이 삽입되며, 상기 공급노즐로부터의 요소수를 상기 요소수 저장부로 안내하는 주입튜브 및 상기 요소수가 상기 요소수 저장부로 주입 또는 차단되도록, 자력에 의해 상기 공급노즐의 유로를 개폐하는 자성체 및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요소수 저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튜브와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이송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튜브의 일단과 상기 삽입부의 개방 영역은 열 합착되어, 상기 요소수 저장부로 안내되는 상기 요소수로부터 상기 자성체를 차폐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송튜브의 외측부와 상기 요소수의 이송유로를 형성하는 내측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자성체를 지지하는 지지영역과,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며 상기 주입튜브와 열 합착되는 상기 개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튜브는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상기 내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1합착부 및 상기 외측부에서 상기 제 1합착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2합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튜브는 상기 제 1 및 제 2합착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합착부와 상호 열 합착되는 제 3 및 제 4합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소슈 튜브 조립체는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의 합착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플랜지 본체와, 상기 주입튜브의 외곽에서 상기 플랜지 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합착영역의 합착 강도를 보강하는 플랜지 커버를 갖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합착부는 상기 플랜지 본체의 판면에 대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2합착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 4합착부는 함몰 형성된 제 2합착부에 삽입되어 열 합착될 수 있다.
상기 요소수 튜브 조립체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성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는 진동 융착법에 의해 열 합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차량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은 차량 내부의 요소수 저장부로 요소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외부의 공급노즐과 연결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튜브 조립체는 상기 요소수 공급노즐과 연결되는 주입튜브, 상기 주입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요소수를 상기 요소수 저장부로 안내하는 이송튜브 및 상기 이송튜브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a) 상기 이송튜브의 외측부와 상기 요소수의 이송유로를 형성하는 내측부 사이에 상기 자성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주입튜브의 일단과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이송튜브의 삽입영역을 연결하여, 상기 이송유로로부터 상기 자성체를 폐쇄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입튜브의 일단과 상기 삽입영역을 열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이송튜브와 상기 주입튜브의 각각의 적어도 두개의 영역에서 상기 이송튜브와 상기 주입튜브를 열 합착할 수 있다.
상기 요소수 튜브 조립체는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의 합착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플랜지 본체와, 상기 주입튜브의 외곽에서 상기 플랜지 본체에 체결되는 플랜지 커버를 갖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d) 상기 플랜지 본체에 상기 플랜지 커버를 체결하여,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의 합착 강도를 보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소수 튜브 조립체는 상기 자성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자성체 상측에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를 진동 융착법에 의해 열 합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자성체의 자력 손실을 방지하여 자성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요소수 누수가 방지되어 차량의 구성요소가 요소수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제품의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필러 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를 도 2에 표기된 Ⅲ-Ⅲ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를 도 4에 표기된 Ⅴ-Ⅴ의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필러 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필러 넥(10)은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 요소수 필러 파이프(300) 및 요소수 가스 파이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는 차량(미도시)에 지지된다.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에는 외부에 배치되어 요소수 필러 넥(10)으로 요소수를 제공하는 요소수 공급노즐이 삽입된다.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는 요소수 공급노즐로부터 공급된 요소수를 요소수 저장부(미도시)로 안내한다.
요소수 필러 파이프(300)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와 요소수 저장부를 상호 연결하여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로 안내되는 요소수를 요소수 저장부로 제공한다. 그리고, 요소수 가스 파이프(500)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요소수 가스 파이프(500)는 요소수 주입 시 증발 가스를 배출한다.
여기서, 요소수 필러 넥(10)의 요소수 필러 파이프(300) 및 요소수 가스 파이프(500)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를 도 2에 표기된 Ⅲ-Ⅲ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는 주입튜브(110), 이송튜브(130), 자성체(150), 플랜지(170) 및 가스 가이드부(190)를 포함한다.
주입튜브(110)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의 상단에 구성된다. 주입튜브(110)는 요소수 공급노즐(미도시)이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로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주입튜브(110)는 요소수 주입노즐로부터의 요소수를 차량 내부에 배치된 요소수 저장부(미도시)로 안내하는 이송튜브(130)와 연결된다.
이송튜브(130)는 주입튜브(110)와 요소수 저장부(미도시) 사이에 배치된다. 이송튜브(130)의 상단은 주입튜브(110)와 연결되고, 이송튜브(130)의 하단은 요소수 저장부에 연결된 요소수 필러 파이프(300)에 연결된다. 이송튜브(130)는 요소수 주입노즐로부터 제공되는 요소수를 요소수 필러 파이프(300)로 제공하여 요소수를 요소수 저장부로 이송한다.
자성체(150)는 이송튜브(130)에 지지된다. 자성체(150)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요소수 공급노즐에 자력을 제공하여 요소수 공급노즐의 요소수 주입유로를 개폐한다. 이에, 요소수 공급노즐은 자성체(150)의 자력에 의해 요소수가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요소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한편, 자성체(150)는 이송튜브(130)의 내측에 마련되는 삽입부(131)에 삽입된다. 삽입부(131)는 이송튜브(130)의 외측부와 요소수의 이송유로(T)를 형성하는 내측부 사이에서 함몰 형성된다. 삽입부(131)에는 지지영역(131a)과 개방영역(131b)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영역(131a)은 삽입부(131)로 삽입되는 자성체(150)를 지지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그리고, 개방영역(131b)은 자성체(15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이송튜브(130)의 주입튜브(110)와 합착되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삽입부(131)에는 실링부재(S)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S)는 오-링(O-Ring)으로 마련되어 삽입부(131)의 내측에서 자성체(1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실링부재(S)는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의 연결에서 가압되며 자성체(150)를 실링한다.
한편,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는 요소수 저장부로 안내되는 요소수로부터 자성체(150)를 차폐하기 위해 상호 열 합착된다. 예를 들어,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는 각각 복수 개의 합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합착부는 진동 융착법에 의해 상호 열 합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튜브(130)에는 제 1 및 제 2합착부(130a, 130b)가 형성되고, 주입튜브(110)에는 이송튜브(130)의 제 1 및 제 2합착부(130a, 130b)에 대응되는 제 3 및 제 4합착부(110a, 110b)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를 도 4에 표기된 Ⅴ-Ⅴ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튜브(13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합착부(130a, 130b)는 삽입부(131)를 사이에 두고 이송튜브(130)의 내측부와 외측부에서 이송유로(T)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주입튜브(110)에 형성되는 제 3 및 제 4합착부(110a, 110b)는 제 1 및 제 2합착부(130a, 130b)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합착부(110a)는 제 1합착부(130a)에 대응되도록 주입튜브(110)의 내측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 4합착부(110b)는 제 2합착부(130b)에 대응되도록 주입튜브(110)의 외곽에서 요소수 주입 방향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송튜브(13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합착부(130a)의 돌출 길이는 제 2합착부(130b)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 4합착부(110b)의 돌출 길이는 제 3합착부(110c)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합착부(130a, 130b)와 제 3 및 제 4합착부(110a, 110b)는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가 진동 융착법에 의해 상호 열 합착될 경우, 열에 의해 마모되며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가 상호 열 합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주입튜브와 이송튜브의 합착영역에서 요소수의 누수가 방지되고, 자성체(150) 및 차량의 구성요소가 요소수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플랜지(170)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를 차량에 지지한다. 플랜지(170)는 차량의 차체에 결합 지지, 예를 들어 연료 공급노즐이 삽입되는 주유구에 인접한 차체에 결합 지지된다. 그리고, 플랜지(170)는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의 합착 영역의 합착 강도를 보강한다. 예를 들어, 플랜지(170)는 플랜지 본체(171), 플랜지 커버(173) 및 체결부재(17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본체(171)는 이송튜브(130)의 외곽에서 요소수 이송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 본체(171)는 이송튜브(130)의 주입튜브(110)와 접하는 상단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 본체(171)는 이송튜브(130)의 제 2합착부(130b)가 플랜지 본체(171)의 판면에 대해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가 상호 열 합착될 경우,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의 합착영역이 플랜지 본체(171)의 내측에 수용된다.
플랜지 커버(173)는 주입튜브(110)의 외측에서 플랜지 본체(171)에 체결된다. 플랜지 커버(173)는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의 합착 영역을 가압하여 합착 영역의 합착 강도를 보강한다. 그리고, 플랜지 커버(173)에는 플랜지 본체(17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 홀(171a)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지지 핀(173a)이 마련된다. 복수 개의 지지 핀(173a)은 플랜지 본체(171)와 플랜지 커버(173)의 연결 시 복수 개의 지지 홀(171a)에 삽입되어 플랜지 본체(171)와 플랜지 커버(173)를 상호 연결한다.
한편, 체결부재(175)는 연결된 플랜지 본체(171)와 플랜지 커버(173)의 체결 강도를 보강한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175)는 플랜지 본체(171)에 형성된 제 1체결 홀(H1)과, 제 1체결 홀(H1)에 대응되는 플랜지 커버(173)의 제 2체결 홀(H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체결부재(175)는 플랜지 본체(171)와 플랜지 커버(173)를 상호 밀착하여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의 합착 영역의 합착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가스 가이드부(190)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와 요소수 가스 파이프(500)를 상호 연결한다. 예를 들어, 가스 가이드부(190)는 이송튜브(130)의 일측에 연통될 수 있다. 가스 가이드부(190)는 요소수 주입 시 증발 가스를 요소수 가스 파이프(500)로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에서는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를 상호 열 합착하여 요소수 튜브 조립체(100)의 내측에 배치된 자성체(150)를 요소수 저장부로 이송되는 요소수로부터 폐쇄한다.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은 이송튜브(130)의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 마련된 삽입부(131)에 자성체(150)를 삽입한다(S100). 이때, 자성체(150)는 지지영역(131a)에 지지된다. 그리고, 자성체(150)의 상단 즉, 삽입부(131)의 개방영역(131b)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그리고 실링부재(S)는 삽입부(131)에 삽입될 수 있다(S200). 실링부재(S)는 자성체(1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자성체(150)가 실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S)는 오-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입부(131) 내측에서 자성체(150)의 상단 전체가 실링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입튜브(110)의 일단과 자성체(150)가 삽입되는 이송튜브(130)의 삽입영역은 상호 연결된다(S300).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는 각각의 적어도 두개의 영역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튜브(130)의 제 1 및 제 2합착부(130a, 130b)와 주입튜브(110)의 제 3 및 제 4합착부(110a, 110b)는 상호 대응되도록 연결되어 삽입부(131)에 삽입된 자성체(150)가 이송유로(T)부터 폐쇄되도록 한다. 그리고,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는 열 합착된다(S400). 이때 주입튜브(110)와 이송튜브(130)는 진동 융착법에 의해 열 합착될 수 있어 상호 연결된 제 1 및 제 3합착부(130a, 110a)와, 제 2 및 제 4합착부(130b, 110b)는 마모되며 합착된다.
마지막으로, 플랜지 본체(171)와 플랜지 커버(173)가 결합된다(S500). 플랜지 커버(173)에 마련된 지지 핀(173a)은 플랜지 본체(171)에 형성된 지지 홀(171a)에 억지 끼움되어 플랜지 본체(171)와 플랜지 커버(173)가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체결부재(175)는 상호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플랜지 본체(171)의 제 1체결 홀(H1)과 플랜지 커버(173)의 제 2체결 홀(H2)에 삽입되어 플랜지 본체(171)와 플랜지 커버(173)의 체결 강도가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170) 내측에 배치되는 이송튜브(130)와 주입튜브(110)의 합착영역은 플랜지(170)에 의해 합착 강도가 보강될 수 있는 이점에 있다.
이에,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자성체의 자력 손실을 방지하여 자성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요소수 누수가 방지되어 차량의 구성요소가 요소수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은 제품의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요소수 튜브 조립체 110 : 주입튜브
130 : 이송튜브 131 : 삽입부
150 : 자성체 170 : 플랜지
171 : 플랜지 본체 173 : 플랜지 커버
190 : 가스 가이드부

Claims (13)

  1. 차량 내부의 요소수 저장부로 요소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외부의 공급노즐과 연결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이 삽입되며, 상기 공급노즐로부터의 요소수를 상기 요소수 저장부로 안내하는 주입튜브;
    상기 요소수가 상기 요소수 저장부로 주입 또는 차단되도록, 자력에 의해 상기 공급노즐의 유로를 개폐하는 자성체; 및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요소수 저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튜브와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이송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튜브의 일단과 상기 삽입부의 개방 영역은 열 합착되어, 상기 요소수 저장부로 안내되는 상기 요소수로부터 상기 자성체를 차폐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송튜브의 외측부와 상기 요소수의 이송유로를 형성하는 내측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자성체를 지지하는 지지영역과,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며 상기 주입튜브와 열 합착되는 상기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튜브는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유로를 따라 상기 내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1합착부 및 상기 외측부에서 상기 제 1합착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2합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튜브는 상기 제 1 및 제 2합착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합착부와 상호 열 합착되는 제 3 및 제 4합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슈 튜브 조립체는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의 합착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플랜지 본체와, 상기 주입튜브의 외곽에서 상기 플랜지 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합착영역의 합착 강도를 보강하는 플랜지 커버를 갖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합착부는 상기 플랜지 본체의 판면에 대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2합착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 4합착부는 함몰 형성된 제 2합착부에 삽입되어 열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성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는 진동 융착법에 의해 열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차량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
  9. 차량 내부의 요소수 저장부로 요소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외부의 공급노즐과 연결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튜브 조립체는 상기 요소수 공급노즐과 연결되는 주입튜브, 상기 주입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요소수를 상기 요소수 저장부로 안내하는 이송튜브 및 상기 이송튜브에 배치되는 자성체 및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의 합착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플랜지 본체와 상기 주입튜브의 외곽에서 상기 플랜지 본체에 체결되는 플랜지 커버를 갖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a) 상기 이송튜브의 외측부와 상기 요소수의 이송유로를 형성하는 내측부 사이에 상기 자성체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주입튜브의 일단과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이송튜브의 삽입영역을 연결하여, 상기 이송유로로부터 상기 자성체를 폐쇄하는 단계;
    (c) 상기 주입튜브의 일단과 상기 삽입영역을 열 합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플랜지 본체와 상기 플랜지 커버를 체결하여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의 합착강도를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이송튜브와 상기 주입튜브의 각각의 적어도 두개의 영역에서 상기 이송튜브와 상기 주입튜브를 열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튜브 조립체는 상기 자성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자성체 상측에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주입튜브와 상기 이송튜브를 진동 융착법에 의해 열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튜브 조립체의 제작방법.
KR20130076687A 2013-07-01 2013-07-01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463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687A KR101463791B1 (ko) 2013-07-01 2013-07-01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687A KR101463791B1 (ko) 2013-07-01 2013-07-01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791B1 true KR101463791B1 (ko) 2014-12-05

Family

ID=5267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687A KR101463791B1 (ko) 2013-07-01 2013-07-01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7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031A (ko) * 2016-07-08 2018-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의 역류방지장치
KR20180094263A (ko) * 2017-02-15 2018-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요소수 충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610B1 (ko) * 1999-11-26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휠러 넥 어셈블리 구조
JP2005061624A (ja) * 2003-08-08 2005-03-10 Carl Freudenberg Kg 電磁弁
JP2013504466A (ja) * 2009-09-11 2013-02-07 エアハルト 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用の燃料および/または作動媒体の貯蔵用容器
KR20130066834A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화영 요소수센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610B1 (ko) * 1999-11-26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휠러 넥 어셈블리 구조
JP2005061624A (ja) * 2003-08-08 2005-03-10 Carl Freudenberg Kg 電磁弁
JP2013504466A (ja) * 2009-09-11 2013-02-07 エアハルト 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用の燃料および/または作動媒体の貯蔵用容器
KR20130066834A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화영 요소수센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031A (ko) * 2016-07-08 2018-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의 역류방지장치
KR102585745B1 (ko) 2016-07-08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의 역류방지장치
KR20180094263A (ko) * 2017-02-15 2018-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요소수 충진 장치
KR102261541B1 (ko) 2017-02-15 2021-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요소수 충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8231A1 (en) Mounting for an injector and injector device having an injector integrated in the mounting
CN103443522B (zh) 连接器元件
US6007145A (en) Floor structure of vehicle body
US20050029809A1 (en) Resinous connector
JP6001081B2 (ja) 調量弁を冷却する装置
KR101463791B1 (ko) 요소수 튜브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JP4306626B2 (ja) 3部材結合体のシール構造
CN103370507B (zh) 用于尿素水溶液的注入器
JP2008293978A (ja) インサートヒータ、およびこのような種類のインサートヒータを備える排ガス浄化触媒装置のための尿素供給システム
KR102617567B1 (ko) 유체 디바이스
US8443776B2 (en) Seal structure, chain case, and seal structure formation method
EP3051083A1 (en) Cover body attaching member
US9587542B2 (en) Metering module with high-temperature resistance
KR101876079B1 (ko) 하프셀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매니폴드, 하프셀 조인트방법
KR20080102206A (ko) 연료탱크용 커넥터
US10753252B2 (en) Thermally isolated reductant dosing unit with hermetic seal
JP4642536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流路処理装置
US10525822B2 (en) Venting nipple and tank device
EP3372433A1 (en) Structure of a vehicle with fuel and purifyin exhaust gas fluid inlets having sealing means
KR100876468B1 (ko) 피씨브이 밸브
JP2008522073A (ja) 連続なディーゼル燃料の回収面を含む自動車用の内燃エンジン
KR20140049556A (ko) 유동 매체 주입용 밸브
JP4379843B2 (ja) 分岐取出し継手
JPH0740130Y2 (ja) エア注入用バルブ装置
JP2002349344A (ja) 内燃機関の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