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747B1 -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 Google Patents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747B1
KR101463747B1 KR1020120098608A KR20120098608A KR101463747B1 KR 101463747 B1 KR101463747 B1 KR 101463747B1 KR 1020120098608 A KR1020120098608 A KR 1020120098608A KR 20120098608 A KR20120098608 A KR 20120098608A KR 101463747 B1 KR101463747 B1 KR 10146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mounting portion
bearing mounting
cylindrical body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136A (ko
Inventor
조상필
Original Assignee
조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필 filed Critical 조상필
Priority to KR102012009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7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leeves or bearing races
    • B25B27/06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leeves or bearing races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71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는 제 1 원통 바디부와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제 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1 베어링 장착부, 제 2 원통 바디부와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제 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2 베어링 장착부, 상기 제 1 플랜지부 및 제 2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이 자전거 브라켓에 얼라인 되도록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제 2 원통 바디부의 직경은 제 1 원통 바디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Tool For Insetting Bracket Bearing For Cycle}
본 출원은 베어링 장착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전거의 브라켓에 베어링을 가압하여 장착하기 위한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앞바퀴, 뒷바퀴, 안장 및 핸들이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자전거의 구동력은 크랭크축에 연결된 페달을 이용하여 뒷바퀴에 체인을 통해 전달되게 된다.
도 1은 자전거의 바텀 브라켓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바텀 브라켓(1)의 관통홀(2)을 통하여 크랭크축이 삽입되어 크랭크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바텀 브라켓에 바텀 브라켓 베어링(3)이 장착된다.
종래 바텀 브라켓 베어링은 나사산이 형성된 베어링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베어링으로 구분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베어링은 렌치를 이용하여 바텀 브라켓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베어링(3)은 바텀 브라켓의 양측에서 가압하며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한쌍의 베어링(3)은 바텀 브라켓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한쌍의 베어링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쌍의 베어링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게 되어 한쌍의 베어링을 따라 크랭크축의 장착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2-0072609 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41866 호
본 출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의 브라켓에 베어링을 장착할 수 있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전거의 브라켓에 설치되는 한쌍의 베어링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원통 바디부와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제 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1 베어링 장착부, 제 2 원통 바디부와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제 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2 베어링 장착부, 상기 제 1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이 자전거 브라켓에 얼라인 되도록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제 1 원통 바디부의 직경은 제 2 원통 바디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나사산이 외측에 형성된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면서 상기 로드의 일단에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관통부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 베어링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는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장되며,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 바텀브라켓 베어링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 또는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에 장착되는 보조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베어링을 가압하여 브라켓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베어링 장착부의 제 1 원통 바디부는 제 2 베어링 장착부의 제 2 원통 바디부에 삽입되어 가이드됨으로써, 한 쌍의 베어링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의 크랭크축이 중심축이 일치되는 베어링에 장착됨으로써, 크랭크축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어 크랭크축 및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착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베어링을 베어링 장착용 공구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자전거의 바텀 브라켓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베어링 장착용 공구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100)는 제 1 베어링 장착부(110), 제 2 베어링 장착부(140) 및 가압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은 제 1 원통 바디부(120)와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20)로부터 연장된 제 1 플랜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원통 바디부(120)는 자전거 브라켓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가 상기 자전거의 브라켓의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전거 브라켓은 자전거의 크랭크축이 삽입되는 바텀 브라켓(Bottom Bracket)일 수 있다.
제 1 플랜지부(130)는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2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랜지부(130)는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20)의 일측에서 삽입된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플랜지부(130)는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20)의 타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이 자전거 브라켓에 삽입될 경우 제 1 플랜지부(130)는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삽입되는 방향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는 제 2 원통 바디부(150)와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로부터 연장된 제 2 플랜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원통 바디부(110)의 직경은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의 직경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의 직경은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10)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는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10)에 삽입되는 가이드부(152) 및 상기 가이드부(152)에 연장되며,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이 안착되는 안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2)는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10)의 내측과 면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부(154)는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게 되어 한쌍의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제 2 플랜지부(160)는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랜지부(160)는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의 일측에서 삽입된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플랜지부(160)는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의 타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이 자전거 브라켓에 삽입될 경우 제 2 플랜지부(160)는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삽입되는 방향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가압수단(200)는 상기 제 1 플랜지부(130) 및 상기 제 2 플랜지부(160)에 장착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이 자전거 브라켓에 얼라인(Align) 되도록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에 장착된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은 상기 가압수단(200)을 이용하여 상기 자전거 브라켓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자전거 브라켓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200)는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의 중심축을 일치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수단(200)은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는 한쌍의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얼라인(Align)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200)은 로드(220) 및 손잡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220)는 나사산이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의 일측은 상기 가압수단(200)에 의해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22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는 도시된 바와 달리, 외측 전부에 나사산에 형성되지 않고, 일측에 일부분만 형성되어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의 일측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40)는 상기 로드(2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로드(220)의 일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수단(200)는 상기 손잡이부(240)를 회전시켜 상기 로드(220)가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의 일측에서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40)의 일단(242)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의 일측과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상기 자전거 브라켓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는 상기 손잡이부(240)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관통부 베어링(162)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 베어링(1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베어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240)와 면접촉하면서 상기 손잡이부(24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부 베어링(162)은 상기 손잡이부(240)와 면접촉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 전체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24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 베어링(162)는 상기 손잡이부(240) 회전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와 면접촉하는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 베어링(162)는 상기 손잡이부(240)의 일측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240)의 일측과 균일하게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가압수단(200)이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필요한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는 상기 손잡이부(240)의 일측과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164)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240)의 일측이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압수단(200)이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필요한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164)을 가지는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는 상기 손잡이부(240)가 일정한 중심축을 가지면서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100)는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에 장착된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에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3)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3)이 장착된 제 1 베어링 장착부(110)를 자전거 브라켓(1)의 일측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에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3)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3)이 장착된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자전거 브라켓(1)의 타측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의 제 2 원통 바디부(150)는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의 제 1 원통 바디부(120)에 수용된다.
즉,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의 외측과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20)의 내측이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20)는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120)와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150)의 중심축은 일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 및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에 장착된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3)은 얼라인(Align)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수단(200)을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에서부터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를 관통하여 삽입한다.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는 나사산의 형성된 로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수단(200)이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관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의 일측은 상기 가압수단(200)의 로드(220)의 나사산과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수단(200)의 손잡이부(2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드(220)와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가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를 상기 자전거 브라켓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40)를 계속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240)는 상기 자전거 브라켓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240)의 일측(242)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관통홀 베어링(162)는 상기 손잡이부(240)의 일측(242)과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2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242)과 대응되도록 내측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242)이 일정한 중심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에 장착된 브라켓 베어링(3)은 상기 자전거 브라켓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100)는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에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를 수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의 중심축이 일치될 수 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한쌍의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얼라인(Align)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자전거 브라켓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102)는 보조 장착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착부(170)는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 또는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장착부(170)는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110) 또는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140)의 외경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을 브라켓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제 1 베어링 장착부 120: 제 1 원통 바디부
130: 제 1 플랜지부 140: 제 2 베어링 장착부
150: 제 2 원통 바디부 160: 제 2 플랜지부
170: 보조 장착부 200: 가압수단
220: 로드 240: 손잡이부

Claims (7)

  1. 제 1 원통 바디부와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제 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1 베어링 장착부;
    제 2 원통 바디부와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제 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2 베어링 장착부;
    상기 제 1 플랜지부 및 상기 제 2 플랜지부 각각에 장착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의 중심축이 자전거 브라켓의 중심축에 일치되도록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와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제 1 원통 바디부의 직경은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가 삽입되어 면접촉되도록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나사산이 외측에 형성된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면서 상기 로드의 일단에서 연장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관통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베어링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통 바디부는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장되며, 상기 제 1 원통 바디부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이 안착되는 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베어링 장착부 또는 상기 제 2 베어링 장착부에 장착되는 보조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KR1020120098608A 2012-09-06 2012-09-06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KR10146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08A KR101463747B1 (ko) 2012-09-06 2012-09-06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08A KR101463747B1 (ko) 2012-09-06 2012-09-06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36A KR20140032136A (ko) 2014-03-14
KR101463747B1 true KR101463747B1 (ko) 2014-11-21

Family

ID=5064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608A KR101463747B1 (ko) 2012-09-06 2012-09-06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8455A1 (es) * 2017-07-07 2019-01-10 Hernando Gutierrez Henao Herramienta de extraccion e instalacion de rodamientos en marcos sin impact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1708A2 (de) * 2005-04-28 2006-11-15 Klann Spezial-Werkzeugbau GmbH Vorrichtung mit einer Zugspindel zum Einziehen eines Radlagers
US7918003B2 (en) * 2007-10-31 2011-04-05 Acciardo Jr Andrew T Kingpin bushing installation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1708A2 (de) * 2005-04-28 2006-11-15 Klann Spezial-Werkzeugbau GmbH Vorrichtung mit einer Zugspindel zum Einziehen eines Radlagers
US7918003B2 (en) * 2007-10-31 2011-04-05 Acciardo Jr Andrew T Kingpin bushing installation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36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3027B (zh) 車軸組件
US6783140B1 (en) Bicycle front fork vibration-proof structure
EP2058218A3 (en) Device to mount control lever to bicycle
WO2006012694A1 (en) An adjustable bicycle crank arm assembly
EP1666350A3 (en) Bicycle derailleur mounting structure
US20110214269A1 (en) Bearing puller
TWI615306B (zh) 自行車座管之套管間隙補填結構
CA2454464A1 (en) Bicycle crank arm assembly
US20120055282A1 (en) Quick release device
CA2608288A1 (en) Securing device for head tube bearings, and method for securing head tube bearings
US9821884B2 (en) Bicycle operating device
CN100446915C (zh) 在曲轴上压装轴承的方法
TW201402390A (zh) 自行車鏈架樞軸總成
KR101463747B1 (ko)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EP2256021B1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s
CN211474597U (zh) 支撑杆调节机构
JP6254865B2 (ja) センサ収容体
EP2412620B1 (en) Connecting and adjusting structure for crank assembly
US20090199675A1 (en) Handle stem for a bicycle
CN210364236U (zh) 一种低自重高耐久的新型电动车中轴总成
US8523292B2 (en) Bicycle hub assembly whose length is adjustable
CN210499164U (zh) 电机与减速箱装配辅助装置
KR101748357B1 (ko) 자동차 캘리퍼로드 교체 공구.
KR101814156B1 (ko) 자전거의 크랭크 구조체
KR101050295B1 (ko) 무체인 자전거 동력전달장치의 연결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