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436B1 -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436B1
KR101463436B1 KR1020120053827A KR20120053827A KR101463436B1 KR 101463436 B1 KR101463436 B1 KR 101463436B1 KR 1020120053827 A KR1020120053827 A KR 1020120053827A KR 20120053827 A KR20120053827 A KR 20120053827A KR 101463436 B1 KR101463436 B1 KR 10146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rack
fuel carrier
roll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092A (ko
Inventor
박병택
박종연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79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18Apparatus for bringing fuel elements to the reactor charge area, e.g. from a storage pl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19Reactor parts specific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e.g. to facilitate charging or discharging of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조의 일 측벽에 상하로 배치되는 트랙; 상기 트랙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트랙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상기 수조에 배치되는 연료운반대; 및 상기 연료운반대에 구비되어 상기 트랙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연료운반대와 와이어로프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FUEL LIFTING APPARATUS FOR REACTOR}
본 발명은,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운반대의 승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원자로의 일 측에는 소위 "신연료"라고 하는 핵연료를 취급하기 위한 신연료승강기(이하, '연료승강장치'라고 표기함)가 구비될 수 있다.
원자로의 신연료 반입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신연료가 원자력발전소에 반입되면 신연료의 건전성을 확인한 후, 신연료저장대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신연료저장대에 저장된 신연료는 연료승강장치에 탑재되어 상기 신연료저장대의 하측에 형성된 사용후연료저장대로 이동되어 저장되었다가 사용후연료취급기를 거쳐 원자로에 장입될 수 있다.
상기 사용후연료취급기는 연료 이송시 연료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사용후연료 취급시 방사능을 차폐하기 위한 고정형 연료이송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자로의 연료운반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자로의 연료운반대(10)는, 대략 사각 통 형상을 구비하며, 수조(저장수조)의 일 측벽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의 일 측벽에는 상기 연료운반대(1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로프(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0)의 일 측 하부영역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45)가 연결될 수 있게 와이어로프연결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조의 일 측벽에는 상기 연료운반대(1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랙(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랙(50)의 양 측에는 가이드(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0)의 일 측에는 상기 가이드(55)를 감싸게 배치되는 브래킷(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에는 상기 가이드(145)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은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과 상기 가이드(55)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패드(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료운반대(10)의 승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패드(30)는 상기 브래킷(20)의 수용부(22)의 내부 3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운반대(10)와 상기 트랙(50)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 사용후연료취급기의 고정형 연료이송 구조물(미도시)이 상기 와이어 로프(45) 및 트랙(50)과 충돌 또는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상기 연료운반대(10)와 상기 와이어 로프(45)의 간격을 증대시킬 경우, 상기 연료운반대(10)의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편심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기인하여 상대적으로 무른 재질의 상기 슬라이딩 패드(30)의 강제 마모가 심화되어 상기 슬라이딩 패드(30)의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패드(30)의 교체는 연료 반입 공정을 지연시키고, 이는 결국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률을 저해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1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운반대와 와이어로프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패드의 사용을 배제하여 슬라이딩 패드의 교체에 기인한 연료 반입 공정의 지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수조의 일 측벽에 상하로 배치되는 트랙; 상기 트랙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트랙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상기 수조에 배치되는 연료운반대; 및 상기 연료운반대에 구비되어 상기 트랙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는 상기 연료운반대의 이격방향을 따라 상기 트랙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랙의 양 단부에는 가이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각 가이드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는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구름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단부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는 상기 트랙의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브래킷을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브래킷의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무급유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운반대에 롤러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운반대와 트랙 사이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후연료취급기의 고정형 연료이송 구조물이 와이어 로프 및/또는 트랙과 충돌 또는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패드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슬라이드 패드의 교체에 따른 연료 반입 공정의 지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료운반대의 승강 시 트랙과 롤러가 서로 구름접촉됨으로써 부품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어 부품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자로의 연료운반대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의 설치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연료운반대의 확대도,
도 7은 도 6의 롤러영역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의 롤러영역의 평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는, 수조(200)의 일 측벽(210)에 상하로 배치되는 트랙(140)(track); 상기 트랙(14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w)으로 이격되어 상기 트랙(14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상기 수조(200)에 배치되는 연료운반대(110)(fuel carriage); 및 상기 연료운반대(110)에 구비되어 상기 트랙(140)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1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200)(저장수조)의 일 측 상단에는 운전층(20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200)의 일 측벽(210)(상기 운전층(205)측 측벽)에는 연료운반대(110)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200)에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수조(200)의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신연료저장대 및 사용후연료저장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연료저장대는 상기 운전층(205)으로부터 대략 5.2m 정도 깊이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후연료저장대는 상기 운전층(205)으로부터 대략 12.8m 정도 깊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신연료저장대 및 상기 사용후연료저장대 간을 승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전층(205)에는 상기 연료운반대(110)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150)은, 예를 들면, 권상기(151)와, 상기 수조(2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가이드 휠(161)과, 일 단은 상기 권상기(151)에 권회되고 타 단은 상기 가이드 휠(161)을 경유하여 상기 측벽(210)에 하향 연장되는 와이어 로프(1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권상기(151)는, 예를 들면, 전기모터 및 감속기 등을 구비한 윈치(winch)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200)의 일 측벽(210)에는 상기 연료운반대(110)를 승강 안내할 수 있게 트랙(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랙(140)은,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두께 및 길이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랙(140)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랙(140)의 양 측에는 가이드(14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45)는, 예를 들면, 막대 형상을 구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45)는, 예를 들면, 상기 트랙(140)의 양 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연료가 일시 수용(저장)될 수 있게 사각 단면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는 상단에 외측으로 확장된 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측벽(210)과 상기 연료운반대(110) 사이에 하향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 로프(171)가 연결될 수 있게 와이어로프연결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연결부(130)는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트랙(140)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에는 상기 트랙(140)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브래킷(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0)은 상기 연료운반대(110)가 상기 와이어 로프(171)의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w)(예를 들면 450㎜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0)은, 예를 들면,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양 측면에서 상기 트랙(140)측으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0)은,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0)은, 예를 들면,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상부영역에 2개, 하부영역에 2개,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0)은, 예를 들면,"U" 또는 "ㄷ"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0)은, 예를 들면, 수직부(122)와, 상기 수직부(122)의 상단 및 하단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절곡(연장)된 수평부(12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브래킷(120)은 상기 수직부(122)가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측면에 접촉되고 각 수평부(124)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12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랙(140)과 구름 접촉 가능한 롤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승강시 상기 트랙(140)과 상기 롤러(180)가 구름 접촉되어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연료운반대(110)를 상기 트랙(140)으로부터 충분히(미리 설정된 간격(w))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18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180)는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180)상기 트랙(140)의 가이드(145)와 구름 접촉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롤러(180)는 상기 가이드(145)의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롤러(180)는 상기 트랙(140)과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이격방향을 따라 상기 각 가이드(145)의 양 측면(상기 가이드(145)의 상기 측벽(210)에 근접한 판면과, 상기 측벽(210)으로부터 먼 쪽 측면)에 각각 구름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상기 트랙(140)으로부터의 이격방향을 따라 전후로 유동(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 브래킷(120)에는, 예를 들면, 4개의 롤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브래킷(120)에는 상기 롤러(1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는, 예를 들면, 일 측 단부에 수나사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222)에는 너트(22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너트(224)의 일 측에는 와셔(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브래킷(120)의 수직부(122)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22)에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12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의 수나사부(222)는 상기 삽입공(125)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부(12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롤러(180)는 상기 각 브래킷(120)의 수직부(12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에는 상기 롤러(180)가 이격될 수 있게 스페이서(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3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수용될 수 있게 파이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30)의 일 단부는 상기 수직부(122)에 접촉되고 타 단부는 상기 롤러(180)의 일 측(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롤러(180)가 상기 브래킷(12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의 단부에는 상기 롤러(180)의 이탈을 억제하는 멈춤링(240)(리테이너링 또는 스냅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180)에는 상기 멈춤링(240)을 수용할 수 있게 수용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롤러(180)와 상기 지지부재(220) 사이에는, 예를 들면, 베어링(18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롤러(180)의 회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85)은, 예를 들면, 무급유베어링(oilless bea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일 급유를 배제할 수 있어 오일 급유에 기인한 수조(200)의 냉각수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85)은, 예를 들면, 튜브형상의 무급유저널베어링(185)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각 브래킷(120)에는 상기 가이드(145)의 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는, 예를 들면,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는 스테인레스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는 상기 가이드(145)의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승강시 양 측으로 상기 연료운반대(110)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가 상기 가이드(145)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는 상기 두 롤러(1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는, 예를 들면, 상하로 긴 길이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는 체결부재(250)에 의해 상기 브래킷(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50)는, 예를 들면, 볼트(252) 및 너트(254)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22)에는 상기 볼트(252)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126)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에는 상기 볼트(252)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19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에는 상기 볼트(252)의 머리부가 수용될 수 있게 확장된 수용부(19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브래킷(120)이 상기 트랙(140)의 가이드(145)의 양 측에 결합되면, 상기 롤러(180)는 상기 가이드(145)의 양 측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권상기(151)가 구동되면 상기 와이어 로프(171)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료운반대(110)가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가이드(145)의 양 측면에 각각 구름접촉되는 롤러(180)에 의해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승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0)는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기울어짐 발생 시 상기 가이드(145)의 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됨으로써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는, 수조(200)의 일 측벽(210)에 상하로 배치되는 트랙(140)(track); 상기 트랙(14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w)으로 이격되어 상기 트랙(14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상기 수조(200)에 배치되는 연료운반대(110)(fuel carriage); 및 상기 연료운반대(110)에 구비되어 상기 트랙(140)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1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랙(140)의 양 측에는 가이드(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는 상기 트랙(140)으로부터 이격되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에는 상기 트랙(140)측으로 돌출된 브래킷(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0)은 상기 가이드(145)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브래킷(120)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45)의 양 측면에 각각 구름접촉 가능하게 롤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롤러(180)는 상기 각 브래킷(120)으로부터 상기 트랙(140)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2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브래킷(120)에는 상기 가이드(145)의 단부와 구름접촉 가능하게 단부롤러(2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145)의 슬라이딩 접촉에 기인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단부롤러(260)는, 예를 들면, 상기 트랙(140)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이격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26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브래킷(120)에는 상기 단부롤러(2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2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270)은, 상기 단부롤러(26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지지유닛본체(271)와, 상기 지지유닛본체(27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120)에 결합되는 결합부(27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본체(271)에는 상기 단부롤러(260)의 일 영역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2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본체(271)는 상기 단부롤러(260)의 회전축(262)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단부롤러(260)는, 예를 들면, 내부에 무급유베어링(18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20)의 수직부(122)에는 상기 결합부(275)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12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75)에는 수나사부(2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75)는 상기 브래킷(120)의 수직부(122)를 관통하여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22)의 타 측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너트(277)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결합부(275)가 상기 브래킷(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권상기(151)가 구동되면 상기 와이어 로프(171)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료운반대(110)가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연료운반대(11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가이드(145)의 양 측면에 각각 구름접촉되는 롤러(180)에 의해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승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승강 도중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양 측 방향의 기울어짐 발생 시, 상기 단부롤러(260)는 상기 가이드(145)의 단부와 구름 접촉됨으로써 상기 연료운반대(110)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연료운반대 120 : 브래킷
130 : 와이어로프 연결부 140 : 트랙
145 : 가이드 150 : 승강유닛
151 : 권상기 161 : 가이드롤러
171 : 와이어 로프 180 : 롤러
190 : 슬라이드 플레이트 200 : 수조
210 : 측벽

Claims (8)

  1. 수조의 일 측벽에 상하로 배치되는 트랙;
    상기 트랙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트랙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상기 수조에 배치되는 연료운반대; 및
    상기 연료운반대에 구비되어 상기 트랙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연료운반대의 이격방향을 따라 상기 트랙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게 배치되며,
    상기 트랙의 양 단부에는 가이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각 가이드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게 배치되며,
    상기 연료운반대는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구름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단부롤러를 구비하는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운반대는 상기 트랙의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브래킷을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브래킷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무급유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KR1020120053827A 2011-12-30 2012-05-21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KR101463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37 2011-12-30
KR20110147837 2011-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92A KR20130079092A (ko) 2013-07-10
KR101463436B1 true KR101463436B1 (ko) 2014-11-21

Family

ID=4899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827A KR101463436B1 (ko) 2011-12-30 2012-05-21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53Y1 (ko) * 2018-02-13 2020-01-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연료교환기 분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323B1 (ko) 1999-12-16 2002-12-18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090116948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무진기연 원자로용 호이스트 구동장치
KR20110002220A (ko) * 2009-07-01 2011-01-07 (주)세계테크원 차단기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리프터
KR200453164Y1 (ko) * 2009-07-31 2011-04-15 (주)일진에너지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323B1 (ko) 1999-12-16 2002-12-18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090116948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무진기연 원자로용 호이스트 구동장치
KR20110002220A (ko) * 2009-07-01 2011-01-07 (주)세계테크원 차단기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리프터
KR200453164Y1 (ko) * 2009-07-31 2011-04-15 (주)일진에너지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92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30123A (zh) 一种电梯防落保护装置
CN101081683A (zh) 用于rh-设备中的钢处理桶的提升装置
JP2009149422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交換装置および交換方法
KR101463436B1 (ko)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KR101917433B1 (ko)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JP2009137695A (ja) エレベータ
KR101142640B1 (ko) 암 승강형 자동도금장치
CN212198194U (zh) 一种自卸起吊设备的润滑保养设备
CN214733332U (zh) 一种电力工程用电缆放线盘
JP4211524B2 (ja) 機械攪拌式脱硫装置
CN212640587U (zh) 倾翻式移动加锌小车及自动加锌锭系统
CN211109640U (zh) 一种用于铸管喷锌加工中的上下料机构
CN211870569U (zh) 一种放料机用放料小车
CN212050213U (zh) 一种防摇装置及管片吊机
CN208732434U (zh) 轧机牌坊吊装工具
KR101479442B1 (ko) 습식표면처리 라인용 캐리어
CN208616739U (zh) 一种自升降的输送装置
JP5031546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ガイドローラ
CN211465000U (zh) 能够平稳移动的剪切单元远程移动装置
CN214298905U (zh) 一种防止钢卷外圈吊装损伤的辅助装置
CN216070045U (zh) 一种轴承座搬运装置
KR102313061B1 (ko) 코일 인출장치
CN220008091U (zh) 可调节圆盘锯防护罩装置
JP2008062770A (ja) 天井走行台車の移載機位置決め装置
CN214767933U (zh) 一种铜卷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