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164Y1 -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164Y1
KR200453164Y1 KR2020090010093U KR20090010093U KR200453164Y1 KR 200453164 Y1 KR200453164 Y1 KR 200453164Y1 KR 2020090010093 U KR2020090010093 U KR 2020090010093U KR 20090010093 U KR20090010093 U KR 20090010093U KR 200453164 Y1 KR200453164 Y1 KR 200453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lange
pulley
couple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358U (ko
Inventor
편도명
김영정
손영달
Original Assignee
(주)일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일진에너지
Priority to KR2020090010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16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1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02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passages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lant; Coolant flow control devices
    • G21C15/12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passages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lant; Coolant flow control devices from pressure vessel; from containment ves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냉각수 수조의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채널과; 상기 가이드 채널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 트롤리와; 종동 트롤리; 및 상기 구동 트롤리의 작동시 상기 종동 트롤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 수평으로 평행 이동하면서 냉각수 수조안의 실험장비 등을 이송하는 후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수조의 상측에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냉각수 수조 안에 있는 내용물을 이용한 실험이나 계측 작업을 할 때 필요한 각 부분으로 장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실험의 정확성과 안전성 및 신속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원자력, 원자력 발전, 원자로, 냉각수, 수조

Description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Translating Device for Cooling Water Tank}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용기를 냉각시키기는 냉각수 수조의 상측에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냉각수 수조 안에 있는 내용물을 이용한 실험이나 계측 작업을 할 때 필요한 각 부분으로 장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실험의 정확성과 안전성 및 신속성을 얻게 되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原子力 發電所, Nuclear Power Plant)는 원자로의 핵에너지를 이용해 만든 열을 가지고 발전을 하는 발전양식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다른 발전소보다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으며 경제적이어서, 우리 나라에서는 전체 생산 전력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의 응용원리는 화력 발전소와 같으나 연료가 다르다. 원자력 발전은 우라늄 235를 분열시켜 열을 얻고 그 열로 증기를 만들어 터빈 발전기를 돌리는데 화력 발전은 석탄이나 기름을 사용한다는 것이 다르다. 연료로는 우라늄 235를 농축시킨 농축 우라늄과, 천연 우라늄 등을 사용하며, 현재는 플루토늄을 우라늄과 같이 혼합하는 MOX 연료가 시험중에 있기도 하다.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는 크게 중성자가 일으키는 연쇄반응으로 열을 내는 열반응로와, 플루토늄을 연료로 쓰는 증식로, 삼중수소 혹은 중수소를 연료로 쓰는 핵융합로 등의 3종류가 있다.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에는 필수적으로 원자로의 비정상운전 시 원자로 용기 외벽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원자로 용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원자로 냉각 시설이 있고, 이 중에는 냉각수 수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원자로 냉각 시설의 냉각수 수조는 수조안의 내용물을 이용한 실험이나 계측 작업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부분 냉각수 수조의 상측에 윈치(Winch)와 같은 임시 시설들을 이용하고 있어서 실험이나 이를 위한 이송 작업 등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원자로 냉각 시설의 냉각수 수조안에 있는 내용물들이나 계측 장비, 실험 장비 등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는 별도 장치의 개발 및 설치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수조의 상측에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냉각수 수조 안에 있는 내용물을 이용한 실험이나 계측 작업을 할 때 필요한 각 부분으로 장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실험의 정확성과 안전성 및 신속성을 얻을 수 있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드 플랜지와 제2가이드 플랜지의 중심부를 지지 플랜지로 연결한 빔 형상으로,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를 관통하는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풀리와 제2풀리가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채널과; 상기 가이드 채널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에 결합 고정되는 트롤리 바디와, 상기 트롤리 바디와 구동풀리축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1풀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회전하되 일측에는 풀리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풀리와, 상기 풀리기어와 치결합되는 축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구비되어 있는 구동 트롤리와; 상기 가이드 채널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2풀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 중심이 되는 종동풀리축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랜지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종동 트롤리; 및 일측은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된 와이어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풀리와 연결된 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채널을 평행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의 하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며 마주보는 제1후크 플랜지와 상기 제1후크 플랜지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를 양측에서 감싸는 제2후크 플랜지로 형성되는 후크 바디와, 상기 제2후크 플랜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맞물려 연동되며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제1후크 플랜지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후크가 구비되어 있는 후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수조의 상측에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냉각수 수조 안에 있는 내용물을 이용한 실험이나 계측 작업을 할 때 필요한 각 부분으로 장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실험의 정확성과 안전성 및 신속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단면 A와 단면 B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중 후크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 C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냉각수 수조의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1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드 플랜지(111)와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중심부를 지지 플랜지(113)로 연결한 빔 형상으로,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115)를 관통하는 핀(11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풀리(119)와 제2풀리(118)가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채널(110)과; 상기 가이드 채널(110)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115)에 결합 고정되는 트롤리 바디(121)와, 상기 트롤리 바디(121)와 구동풀리축(125)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1풀리(119)와 와이어(165)로 연결되어 회전하되 일측에는 풀리기어(124)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풀리(123)와, 상기 풀리기어(124)와 치결합되는 축기어(126)가 형성 되어 상기 구동풀리(12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27)이 구비되어 있는 구동 트롤리(120)와; 상기 가이드 채널(110)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2풀리(118)와 와이어(16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풀리(135)와, 상기 종동풀리(135)의 회전 중심이 되는 종동풀리축(133)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랜지(113)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131)가 구비되어 있는 종동 트롤리(130); 및 일측은 상기 제1풀리(119)와 연결된 와이어(165)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풀리(118)와 연결된 와이어(165)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채널(110)을 평행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하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며 마주보는 제1후크 플랜지(141)와 상기 제1후크 플랜지(141)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115)를 양측에서 감싸는 제2후크 플랜지(142)로 형성되는 후크 바디(143)와, 상기 제2후크 플랜지(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맞물려 연동되며 회전하는 롤러(147)와, 상기 제1후크 플랜지(141)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후크(150)가 구비되어 있는 후크 어셈블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는,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수조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조안의 내용물이나 계측장비, 실험장비 등을 필요한 곳을 평행으로 이동시키면서 실험과 계측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하는 이동장치이다.
냉각수 수조(160)의 상측에서 평행으로 이동하는 후크(150)의 레일 역할을 하는 가이드 채널(110)은, 각각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드 플랜지(111)와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중심부를 지지 플랜지(113)로 연결한 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채널(110)의 양단부에는 제1풀리(119)와 제2풀리(118)가 구비되는데, 이들 제1풀리(119)와 제2풀리(118)는 제2가이드 플랜지(115)를 관통하는 핀(11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채널(110)의 양단부 중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구동 트롤리(120)는, 크게 제2가이드 플랜지(115)에 결합되는 트롤리 바디(121)와, 구동풀리(123) 및, 구동축(127) 등으로 구성되어 후술할 후크 어셈블리(140)가 가이드 채널(110)을 따라서 이동하는 작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2가이드 플랜지(115)에 결합 고정되는 트롤리 바디(121)에는 구동풀리축(125)을 매개로 구동풀리(123)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구동풀리(123)는 제1풀리(119)와 와이어(165)로 연결되어 구동풀리축(125)을 회전하게 되고 일측 단부에는 풀리기어(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롤리 바디(121)에는 구동풀리(123)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동축(127)이 결합되며, 이 구동축(127)에는 풀리기어(124)와 치결합되는 축기어(126)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축(127)이 회전하면 구동풀리(123)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127)에는 구동축(127)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동축(127)의 상측 단부에 구동축암(128)을 연결하고 구동축암(128)의 단부에는 손잡이(129)를 결합할 수도 있다.
가이드 채널(110)의 양단부 중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종동 트롤리(130)는, 고정 플랜지(131)가 가이드 채널(110)의 지지 플랜지(113)에 직각으로 결합 고정되어 형성되며, 이 고정 플랜지(131)에 하측 직각 방향으로 종동풀리축(133)이 결합되고, 가이드 채널(110)의 제2풀리(118)와 와이어(16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풀리(135)가 종동풀리축(133)을 회전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 트롤리(120)와 종동 트롤리(130)의 사이에서 평행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후크 어셈블리(140)는, 일측은 상기 제1풀리(119)와 연결된 와이어(165)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풀리(118)와 연결된 와이어(165)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채널(110)을 평행으로 이동하게 된다.
후크 어셈블리(140)는 크게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1후크 플랜지(141)와 제2후크 플랜지(142)로 형성되는 후크 바디(143)와, 이에 결합되는 후크(150) 및, 후크 어셈블리(140)를 구름 이동시키는 롤러(14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크 바디(143)는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하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며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제1후크 플랜지(141)와, 제1후크 플랜지(141)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양단부를 양측에서 감싸는 제2후크 플랜지(142)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 바디(143)의 내측에는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맞물려 연동되며 제2후크 플랜지(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147)와, 제1후크 플랜지(141)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후크(150)가 구비되어 있다.
롤러(147)는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상측면을 구름 이동하는 제1롤러(145) 와,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하측면을 구름 이동하는 제2롤러(146)로 구성되어 이들 제1롤러(145)와 제2롤러(146)가 가이드 채널(110)을 따라서 후크 어셈블리(140)를 이송시킨다.
여기서, 제1롤러(145) 또는 제2롤러(146)의 외측 단부에는 제2가이드 플랜지(115)의 모서리에 지지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롤러 지지부(148)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후크(150)는 직선형의 단부와 곡선형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낚시 바늘과 같은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데, 제1후크 플랜지(141)에 결합되는 직선형의 단부는 제1후크 플랜지(141)의 중심부에 중공형의 후크지지관(149)을 형성하고, 후크(150)를 이에 삽입하여 후크(150)의 상측 단부를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결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후크(150)가 계측장비나 실험장비를 거치하고 이송할 때 후크지지관(149)에 후크(150)가 지지되면서 360°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후크지지관(149)에 삽입된 후크(150)의 하측 즉, 직선형의 단부와 곡선형의 단부가 만나는 후크(150)의 외주면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보울 형상의 낙하방지컵(151)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하는 후크(150)와 후크지지관(149) 및 체결부재 등과의 마모에 의한 이물질이나 그리스 등이 냉각수 수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이하, 도 6을 기준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가이드 채널(110)을 냉각수 수조(160)의 상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후크(15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트롤리(120)의 구동축(127)을 회전시키면, 구동축(127)의 축기어(126)와 구동풀리(123)의 풀리기어(124)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구동풀리(123)에 감긴 와이어(16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풀거나 감게 된다.
이렇게 구동풀리(123)가 와이어(165)를 풀거나 감게 되면, 와이어(165)가 제1풀리(119)와 제2풀리(118) 및 종동풀리(135)에 지지되어 이동하면서 후크 어셈블리(140)가 냉가수 수조(160)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평행 이동을 하면서 계측장비나 실험장비를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수조의 상측에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냉각수 수조 안에 있는 내용물을 이용한 실험이나 계측 작업을 할 때 필요한 각 부분으로 장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실험의 정확성과 안전성 및 신속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 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단면 A와 단면 B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중, 후크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 C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냉각수 수조의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가이드 채널 111: 제1가이드 플랜지
113: 지지 플랜지 115: 제2가이드 플랜지
117: 핀 119: 제1풀리
120: 구동 트롤리 121: 트롤리 바디
123: 구동풀리 124: 풀리기어
126: 축기어 127: 구동축
130: 종동 트롤리 133: 종동풀리축
135: 종동풀리 140: 후크 어셈블리
143: 후크 바디 145: 제1롤러
146: 제2롤러 150: 후크

Claims (5)

  1.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드 플랜지와 제2가이드 플랜지의 중심부를 지지 플랜지로 연결한 빔 형상으로,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를 관통하는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풀리와 제2풀리가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채널;
    상기 가이드 채널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에 결합 고정되는 트롤리 바디와, 상기 트롤리 바디와 구동풀리축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1풀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회전하되 일측에는 풀리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풀리와, 상기 풀리기어와 치결합되는 축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구비되어 있는 구동 트롤리;
    상기 가이드 채널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2풀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 중심이 되는 종동풀리축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랜지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종동 트롤리; 및
    일측은 상기 제1풀리와 연결된 와이어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풀리와 연결된 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채널을 평행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의 하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며 마주보는 제1후크 플랜지와 상기 제1후크 플랜지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를 양측에서 감싸는 제2후크 플랜지로 형성되는 후크 바디와, 상기 제2후크 플랜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맞물려 연동되며 회전하는 롤 러와, 상기 제1후크 플랜지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후크가 구비되어 있는 후크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직선형의 단부와 곡선형의 단부가 연결된 낚시 바늘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 플랜지의 중심부에는 중공형의 후크지지관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의 직선형의 단부가 상기 후크지지관에 삽입되어 상측 단부를 체결부재로 결합하고 상기 후크가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이 냉각수 수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보울 형상의 낙하방지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의 상측면을 구름 이동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의 하측면을 구름 이동하는 제2롤러로 구성되어 이들 제1롤러와 제2롤러가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를 따라서 후크 어셈블리를 이송시키되, 상 기 제1롤러 또는 제2롤러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제2가이드 플랜지의 모서리에 지지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롤러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구동축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동축의 상측 단부에 구동축암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축암의 단부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KR2020090010093U 2009-07-31 2009-07-31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KR200453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093U KR200453164Y1 (ko) 2009-07-31 2009-07-31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093U KR200453164Y1 (ko) 2009-07-31 2009-07-31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58U KR20110001358U (ko) 2011-02-09
KR200453164Y1 true KR200453164Y1 (ko) 2011-04-15

Family

ID=4420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093U KR200453164Y1 (ko) 2009-07-31 2009-07-31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1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36B1 (ko) * 2011-12-30 2014-1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US10847272B2 (en) 2016-12-30 2020-11-24 Nuscale Power, Ll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with remote disconnect mechanism
US11355252B2 (en) 2016-12-30 2022-06-07 Nuscale Power, Ll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with heat pipe cooling
US11631503B2 (en) 2016-12-30 2023-04-18 Nuscale Power, Llc Control rod damp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238A (ko) 2019-10-30 2021-05-10 박다은 도기 재질의 젖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700A (ko) * 1983-10-11 1985-06-26 로버트 제이. 에드워즈 증기발생기의 자동원격 조종장치
EP0178860A2 (en) 1984-10-15 1986-04-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tecting water in nuclear fuel rods
US4778645A (en) * 1985-12-09 1988-10-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essurized water reactor having disconnectable two-piece drive rod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of assembly and maintenance oper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700A (ko) * 1983-10-11 1985-06-26 로버트 제이. 에드워즈 증기발생기의 자동원격 조종장치
EP0178860A2 (en) 1984-10-15 1986-04-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tecting water in nuclear fuel rods
US4778645A (en) * 1985-12-09 1988-10-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essurized water reactor having disconnectable two-piece drive rod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of assembly and maintenance oper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36B1 (ko) * 2011-12-30 2014-1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의 연료승강장치
US10847272B2 (en) 2016-12-30 2020-11-24 Nuscale Power, Ll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with remote disconnect mechanism
US11355252B2 (en) 2016-12-30 2022-06-07 Nuscale Power, Ll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with heat pipe cooling
US11631503B2 (en) 2016-12-30 2023-04-18 Nuscale Power, Llc Control rod damp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58U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164Y1 (ko) 냉각수 수조용 평행 이동장치
RU2578172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тержнями в ядерном реакторе
RU2580820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тержнями в ядерном реакторе
US10982646B2 (en) Ocean tidal current energy power generating system
JP2016509157A (ja) 海軍技術を用いる発電するための風力タービン
EP2944935B1 (en) Water jet peening compressive residual stress test method, test device, and test facility
EP2469087A2 (en) Pre-stressed stiffening system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frame
KR101581336B1 (ko) 독립회전이 가능한 발전장치
US20180298875A1 (en) Buoyancy-driv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gravity body
KR101379727B1 (ko) 풍력발전기용 로터 회전장치
US20130199341A1 (en) Bolt tensioner
CN107165772A (zh) 一种海洋潮流能发电系统
EP2682946A1 (en) Guide device for neutron flux detector
CN101725460A (zh) 用于风力涡轮机的舱门止动件
US9914186B2 (en) Water jet peening device
CN104508299A (zh) 具有水平的转子轴且具有可旋转的塔架的风力发电设备
KR101323801B1 (ko) 풍력발전기용 로터 회전장치
KR20090119320A (ko) 조력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US20170328347A1 (en) Apparatus for amplifying rotating force of wind power generator
WO2014115812A1 (ja) ウォータジェットピーニング装置及びウォータジェットピーニング施工方法
KR200432267Y1 (ko) 핵 연료 제어봉 위치 전송기용 시험기
EP3642476B1 (en) A multirotor wind turbine with guy wires
KR100720947B1 (ko) 작동이 용이한 조류발전장치
CN107191315A (zh) 一种海洋潮流能发电系统
KR101624828B1 (ko) 배럴포머볼트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