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428B1 -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428B1
KR101463428B1 KR1020120131091A KR20120131091A KR101463428B1 KR 101463428 B1 KR101463428 B1 KR 101463428B1 KR 1020120131091 A KR1020120131091 A KR 1020120131091A KR 20120131091 A KR20120131091 A KR 20120131091A KR 101463428 B1 KR101463428 B1 KR 10146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disease
citrus
sitoster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124A (ko
Inventor
김진철
최경자
최용호
장경수
한병수
이재홍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주식회사동방아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주식회사동방아그로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4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4Oxygen or sulfur attached to an aliphatic side-chain of a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식물병에 대하여 높은 방제활성을 나타내므로 환경친화적인 천연물 살균제의 개발 및 고부가가치의 유기농산물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omprising mixture of β-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brassicasterol as active component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 재배시 많은 식물병원균, 해충 및 잡초들이 작물의 생장에 저해를 일으켜, 이들에 대한 방제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 작물에 따라서는 30 내지 100%의 수확량 감소가 야기된다. 이러한 유해 생물을 방제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합성농약들이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으나 식물병, 해충 및 잡초방제에 오·남용됨에 따라 인축에 대한 독성, 지하수 오염, 환경오염, 생태계 교란, 저항성 유해생물 증가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가입국들을 중심으로 합성농약의 사용량을 40% 감축하고자 하는 친환경농업정책을 시행 중에 있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합성농약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기술이 바로 생물농약이다.
생물농약에는 미생물농약과 생화학농약이 있으며, 생물농약은 환경친화적 작물보호제로서 합성농약과는 달리 인축 및 생태계에 안전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합성농약으로 방제하기 어려운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여 안전한 농작물의 생산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합성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미생물농약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등록된 미생물농약이 다수 있지만, 천연물을 이용한 생화학농약의 경우 2005년에 등록규정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등록된 생화학농약은 없는 실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물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상품화에 성공하여 시판되고 있는 살균제 제품은 2004년 현재 5개이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밀사나(Milsana™)이다. 이 제품은 왕호장근(Reynouria sachalinensis)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개발된 친환경살균제로서, 식물병원균을 직접 치사시키는 효과보다는 식물체에 저항성을 유도함으로써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천연물 살균제로서 등록되어 있는 신남알데하이드(cinnamaldehyde)는 카시아 식물체(Cassia tora)의 종자로부터 추출되는 오일로서 살충활성뿐만 아니라 버티실리엄(Verticillium ) 속, 리족토니아(Rhizoctonia ) 속, 피티엄(Pythium) 속 및 후사리움 모니리폼 (Fusarium moniliforme var. subglutinans)(근류병: canker disease) 등의 식물병원균들에 대해서도 살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호호바(jojoba) 종자로부터 추출되는 호호바 오일은 살충활성뿐만 아니라 흰가루병에 대하여 살균활성이 있다. 마클레아이아(Macleaya) 속 추출물은 죽자초(Macleaya cordata) 추출물로서 흰가루병과 알터나리아(Alternaria) 속 잎점무늬병과 셉토리아(Septoria) 속 잎점무늬병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올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산도 흰가루병에 효과가 있다.
한편, 식물스테롤은 β-sitosterol(베타-시토스테롤), campesterol(캄페스테롤) 및 stigmasterol(스티그마스테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과일, 채소, 견과류, 곡류, 옥수수, 콩과류 등을 포함하여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그 분자구조는 콜레스테롤과 매우 유사하다. 식물스테롤은 장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차단해 주고, 혈관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효능으로 인하여 식물스테롤은 현재 제약 및 화장품 분야뿐만 아니라 식품/음료 분야에 있어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식물스테롤의 시장 규모는 2005년 1억 8460만 달러에서 2012년 3억 952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식물스테롤과 관련해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특허 제2005-0069410호), 식물스테롤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대한민국특허 제2004-0098017호), 식물스테롤 또는 식물스테롤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식용유지의 제조 방법(대한민국특허 제2004-0019189호), 식물스테롤, 헤스페리딘 및 루틴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특허 제2003-0101482호) 등에 대한 특허가 우리나라에 출원되어 있다. 베타-시토스테롤의 항진균활성에 대한 보고는 몇몇 있고, 캄페스테롤과 스티그마스테롤의 항진균활성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베타-시토스테롤의 경우에도 대상 곰팡이에 따라 항진균활성이 매우 다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Kiprono 등(2000년)은 Senecio lyratus(Asteraceae)에서 분리한 베타-시토스테롤이 Fusarium속 균의 균사생육은 억제하나, Penicillium속 균의 생장은 억제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Z. Naturforsch. 55c:485-488). F. Kawamura 등(2004)은 Malaysian Gmelia arborea(Verbenaceae)로부터 4개의 리그난 물질과 베타-시토스테롤을 분리하였는데, 이들 중 4개의 리그난 물질들은 두 개의 담자균, 즉 Tramees versicolorFomitopsis palustris의 균사생육을 저해하지만, 베타-시토스테롤은 이들 두 개의 담자균에 대하여 전혀 활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Holzforschung 58:189-192). 그리고 Lall 등(2006)은 Euclea natalensis(Ebenaceae)에서 분리한 베타-시토스테롤이 Aspergillus niger , A. flavusCladosporium cladosporioides의 균사생육은 저해하지만, Phytophthora속 균의 균사생육은 거의 저해하지 못한다고 보고하였다(South African J. Bot. 72:579-583). 천연물질이든 합성화합물이든 많은 경우 시험관 내(in vitro)에서의 균사생육 저해효과와 생체 내(in vivo)에서의 식물병에 대한 방제활성은 상당히 다르다. 베타-시토스테롤의 경우 시험관 내에서 일부 진균에 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는 있지만, 식물병에 대한 생체 내 항진균활성은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한편,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의 항진균활성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것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및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하여 우수한 생체 내 항진균활성을 보이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의 합제가 식물병에 대하여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에, 식물 스테롤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이 다양한 식물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이를 식물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살균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스테롤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및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므로 환경친화적인 천연물 살균제의 개발 및 고부가가치의 유기농산물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합제 용액(Phytosterol Liquid)을 처리한 구, 무처리구 및 시판되는 식물병 방제제(베푸란+톱신엠) 처리에 따른 감귤 푸른곰팡이병의 방제효과를 감귤 수확 90일 이후에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합제 용액(Phytosterol Liquid)을 처리한 구, 무처리구 및 시판되는 식물병 방제제(베푸란+톱신엠) 처리에 따른 감귤 녹색곰팡이병의 방제효과를 감귤 수확 90일 이후에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베타-시토스테롤), 화학식 2(캄페스테롤), 화학식 3(스티그마스테롤) 및 화학식 4(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095137743-pat00001
Figure 112012095137743-pat00002
Figure 112012095137743-pat00003
Figure 112012095137743-pat0000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하여 다양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다양한 식물병에 대하여 높은 방제활성을 나타내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은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 조직을 유기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용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또는 이의 수용액,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다른 유기용매로 추가로 추출하여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데, 이때 사용가능한 유기용매로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에틸에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식물스테롤은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정제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식물스테롤의 화학적 합성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제활성을 갖는 상기 4종의 식물스테롤은 식물 조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분리·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사용가능한 컬럼은 실리카겔 컬럼, 역상실리카겔 컬럼 또는 세파덱스 컬럼 등이 있고, 용출액으로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저급알콜 등과 같은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식물진균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식물진균병은 바람직하게는 페니실리움(Penicillium) 속 병원균에 의해 유발되는 식물병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페니실리움 이탈리쿰(Penicillium italicum)에 의해 유발되는 감귤 푸른곰팡이병 또는 페니실리움 디기타툼(Penicillium digitatum)에 의해 유발되는 감귤 녹색곰팡이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또는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해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 살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의 합제를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지만, 식물진균병, 특히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또는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기존의 천연 화합물과 같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중의 베타-시토스테롤:캄페스테롤:스티그마스테롤:브라시카스테롤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35~45:22~26:22~26:1~3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24:24:2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살충제 또는 살균제에 함유되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성분 이외에 부형제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액체 희석제, 액화된 기체 희석제, 고체 희석제, 또는 기타 적당한 보조제, 예를 들면 유화제, 분산제 또는 기포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활성성분과 상기 부형제를 혼합한 방제용 조성물을 농약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제화를 위해서는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제화 방법을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상, 연막제, 캅셀형 및 젤상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제의 부력을 위해 도넛형과 같은 제형을 통한 접촉제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은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또는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유효성분인 합제를 0.1 ㎍/㎖ 내지 10 ㎍/㎖의 농도로, 바람직하게는 0.3 ㎍/㎖ 내지 0.5 ㎍/㎖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작물의 생육 정도, 경작지 환경, 식물병의 발병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형화된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을 방제가 필요한 식물체에 처리함으로써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또는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을 방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상기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병원균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적용하여 방제하는 것으로, 작물에 직접 분무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1차년도 시험방법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phytosterol liquid)이 감귤(궁천조생)의 저장병인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및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한 발병 억제 효과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시험은 2010~2011년 제주 서귀포의 화산회토에서 1차적으로 실시하였고,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40 중량%, 캄페스테롤(campesterol) 24 중량%,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24 중량%,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 2 중량% 및 기타 부형제 10 중량%를 혼합한 합제를 20%로 희석하여 식물스테롤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식물스테롤 용액의 처리 내용은 하기 표 1과 같다.
또한, 대상병해 발생은 무처리 이병과율이 60일 차에는 다소 낮았으나 90일 차에는 감귤의 저장병 두가지 병해 모두 15% 이상 발생하여 약효를 검토하기에 충분한 발병을 보였다.
식물스테롤 용액 처리내용
시험약제 주성분
함량
(%)
약효시험 약해시험 시험
년차
희석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기준량 배량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quid)
20 500배 수확 7일전 1회 과실 및 경엽처리(11.15) 500배
(11.15)
250배
(11.15)
1
무처리 - - - - - -
감귤 경종개요는 농가관행재배(노지재배, 궁천조생 14년생, 재식간격: 4×5 m, 감귤 수확 및 저장일: 11월 22일) 방법으로 시험구 배치는 완전임의배치법을 이용하였다.
시험구 배치 및 면적
구 분 처리수 반복수 총구수 구당주수 소요주수 총 소요주수
약 효 2 3 6 1 주 6 주 9주
액 해 3 3 9 1/3 주 3 주
약제처리 전후 기상상황은 약효 및 약해에 영향을 미칠만한 기상변화는 없었다.
약제처리 전후 기상 상황
월/일 강수량(mm)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 11/15 - 15.4 7.4 12.2
11/16 - 13.9 7.1 10.2
※약제살포일, 제주기상청 자료
또한, 구체적은 이병과율과 약해 유무 조사방법은 하기 표 4와 같다.
조사방법
구 분 조사항목 조사회수 조사일자 조사방법
약효시험 이병과율 1 1.21, 2.20 수확 60일, 90일 후 저장과실에 대한 이병과수 조사
약해시험 약해유무 3 11.18, 11.20, 11.22 경엽 및 과실에 대한 약해유무 달관조사
2. 2차년도 시험방법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phytosterol liquid)이 감귤(궁천조생)의 저장병인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및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한 발병 억제 효과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시험은 2011~2012년 제주시 오능농 1821-2번지의 화산회토에서 2차적으로 실시하였고,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40 중량%, 캄페스테롤(campesterol) 24 중량%,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24 중량%,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 2 중량% 및 기타 부형제 10 중량%를 혼합한 합제를 20%로 희석하여 식물스테롤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식물스테롤 용액의 처리 내용은 하기 표 5와 같다.
또한, 대상병해 발생은 저장 90일 차에는 감귤의 푸른곰팡이병과 녹색곰팡이병 두가지 병해 모두 15% 이상 발생하여 약효를 검토하기에 충분한 발병을 보였다.
식물스테롤 용액 처리내용
시험약제 주성분 함량 (%) 약효시험 약해시험 의뢰기관
희석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기준량 배량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quid)
20 500 배 수확 7일전 1회 과실 및 경엽처리(11/25) 500배
(11/25)
250배
(11/25)
동방
무처리 - - - - - -
감귤 경종개요는 농가관행재배(노지재배, 14년생, 재식간격: 4×5 m, 감귤 수확 및 저장일: 12월 2일, 저장고-철제콘테이너 간이창고) 방법으로 시험구 배치는 완전임의배치법으로 3 반복하였다(표 6).
시험구 배치 및 면적
구분 처리수 반복수 총구수 구당주수 소요주수 총소요주수
약효 2 3 6 1 주 6 주 9 주
약해 3 3 9 1/3 3
약제처리 전후 기상상황은 약효 및 약해에 영향을 미칠만한 기상변화는 없었다(표 7).
약제처리 전후 기상 상황
월/일 강우량(mm) 최고/최저기온 (℃) 평균기온 (℃)
11/25※ - 11.7/6.4 8.5
26 - 17.8/6.9 11.8
※약제살포일, 제주기상청 자료
또한, 구체적은 이병과율과 외관상 약해 유무 조사방법은 하기 표 8과 같다.
조사방법
구분 조사항목 조사회수 조사일자 조 사 방 법
약효 이병과율 2회 1/31, 3/1 약제처리 60일. 90일 후 저장과실에 대한 발병과수 조사
약해 외관상 약해 유무 3회 11/28, 11/30, 12/2 약제처리 3, 5, 7일 후 과실 및 경엽의 약해 유무를 달관조사
실시예 1: 식물스테롤 용액의 감귤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방제 효과(1차년도)
하기 표 9는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 처리에 따른 감귤의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에 대한 방제 효과를 수확 60일 후 측정한 결과이다. 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스테롤 혼합물 처리한 처리구가 감귤의 푸른곰팡이병을 64.3%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기 표 10은 수확 90일 후 방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로,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스테롤 혼합물 처리한 처리구가 감귤의 푸른곰팡이병을 78.7%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시험(수확 60일 후)
시험약제
이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puid)
0.4 1.8 2.2 1.5 a 64.3
무처리 3.4 5.2 4.0 4.2 b -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시험(수확 90일 후)
시험약제
이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puid)
6.8 5.4 5.8 6.0 a 78.7
무처리 28.3 25.7 30.5 28.2 b -
실시예 2: 식물스테롤 용액의 감귤 녹색곰팡이병에 대한 방제 효과(1차년도)
하기 표 11은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 처리에 따른 감귤의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한 방제 효과를 수확 60일 후 측정한 결과이다. 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스테롤 혼합물 처리한 처리구가 감귤의 녹색곰팡이병을 66.7%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기 표 12는 수확 90일 후 방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로,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스테롤 용액을 처리한 처리구가 감귤의 녹색곰팡이병을 78.7%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대한 약제방제 효과시험(수확 60일 후)
시험약제
이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puid)
0.8 0.4 0.8 0.7 a 66.7
무처리 2.6 1.8 2.0 2.1 b -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대한 약제방제 효과시험(수확 90일 후)
시험약제
이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puid)
7.9 10.5 9.1 10.4 a 78.7
무처리 60.3 49.3 38.6 49.4 b -
실시예 3: 약해 실험(1차년도)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 약제처리 3, 5, 7일 후 기준량 및 배량에서 모두 약해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표 13).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은 농가에 보급시 감귤 저장병 방제약제로 실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약해 실험
시험약제 시험작물 약해 정도 (0-5) 비고
기준량 배량
Phytosterol Liquid 감귤
(궁천조생)
0 0 약해없음
실시예 4: 식물스테롤 용액의 감귤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방제 효과(2차년도)
하기 표 14는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혼합물 처리에 따른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에 대한 방제 효과를 수확 60일 후 측정한 결과이다. 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스테롤 혼합물 처리한 처리구가 감귤의 푸른곰팡이병을 63.6%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기 표 15는 수확 90일 후 방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로,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스테롤 혼합물 처리한 처리구가 감귤의 푸른곰팡이병을 78.6%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에 대한 약제 방제 효과(수확 60일 후)
시험약제
이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puid)
0.2 0.2 0.8 0.4 a 63.6
무처리 0.8 0.8 1.6 1.1 b -
감귤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에 대한 약제 방제 효과(수확 90일 후)
시험약제
이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puid)
2.1 3.8 4.2 3.4 a 78.6
무처리 13.6 15.5 18.5 15.9 b -
실시예 5: 식물스테롤 용액의 감귤 녹색곰팡이병에 대한 방제 효과(2차년도)
하기 표 16은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 처리에 따른 감귤의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한 방제 효과를 수확 60일 후 측정한 결과이다. 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스테롤 용액을 처리한 처리구가 감귤의 녹색곰팡이병을 수확 60일 후에는 61.3%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기 표 17은 수확 90일 후 방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로,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스테롤 혼합물 처리한 처리구가 감귤의 녹색곰팡이병을 77.9%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한 약제 방제 효과(수확 60일 후)
시험약제
이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puid)
0.8 1.4 1.4 1.2 a 61.3
무처리 2.2 4.0 3.0 3.1 b -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에 대한 약제 방제 효과(수확 90일 후)
시험약제
이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식물스테롤 용액
(Phytosterol Lipuid)
7.1 8.9 4.2 6.7 a 77.9
무처리 27.3 36.8 26.8 30.3 b -
실시예 3: 약해 실험(2차년도)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 약제처리 3, 5, 7일 후 기준량 및 배량에서 모두 약해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표 18).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스테롤 용액은 농가에 보급시 감귤 저장병 방제약제로 실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약해 실험
시험약제 시험작물 약해 정도 (0-5) 비고
기준량 배량
Phytosterol Liquid 감귤
(궁천조생)
0 0 약해없음

Claims (8)

  1.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및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을 35~45:22~26:22~26:1~3 중량비로 혼합한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페니실리움(Penicillium) 속 병원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귤 푸른곰팡이병 또는 감귤 녹색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따른 감귤 푸른곰팡이병 또는 감귤 녹색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을 감귤에 처리하여 감귤 푸른곰팡이병 또는 감귤 녹색곰팡이병을 방제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131091A 2012-11-19 2012-11-19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6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91A KR101463428B1 (ko) 2012-11-19 2012-11-19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91A KR101463428B1 (ko) 2012-11-19 2012-11-19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124A KR20140064124A (ko) 2014-05-28
KR101463428B1 true KR101463428B1 (ko) 2014-11-20

Family

ID=5089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91A KR101463428B1 (ko) 2012-11-19 2012-11-19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4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375A (ko) * 2009-01-06 2010-07-15 한국화학연구원 식물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375A (ko) * 2009-01-06 2010-07-15 한국화학연구원 식물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보고서:NO.KK-1204-B0-기술예고,고영관,(2012.07.27) *
보고서:NO.KK-1204-B0-기술예고,고영관,(2012.07.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124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218956A (en) Compositions containing anthraquinone derivatives as growth promoters and antifungal agents
JPH05139924A (ja) 天然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植物病害防除剤
KR101270628B1 (ko) 황벽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문화재 보존용 방충 및 살충용 조성물
US1072914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selectively control invasive species
CN104604939A (zh) 一种含苦参碱的农药组合物
CN1119930C (zh) 蛇床子素在农业上的应用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101170810B1 (ko) 베타-시토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63428B1 (ko)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161607B1 (ko) 식물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80056075A (ko) 알로에 베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잎응애 방제용 조성물
KR100498228B1 (ko) 은행잎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100634402B1 (ko) 울금 추출물 또는 데메톡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고추 탄저병 방제용 조성물
KR100688907B1 (ko) 울금 추출물 또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벼 도열병 방제용 조성물
KR100706297B1 (ko) 만수국 또는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식물 흰가루병 방제제
KR100713857B1 (ko) 여로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베라트라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농업용 살균제 조성물
KR101680854B1 (ko) 녹나무 및 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추역병 방제용 조성물
KR100583634B1 (ko) 해충 퇴치용 조성물
KR100832746B1 (ko)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엉겅퀴 뿌리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식물병 방제방법
KR20100066799A (ko)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116685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1170812B1 (ko) 스티그마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769669B1 (ko) 메틸 유제놀을 함유하는 잿빛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KR20050082403A (ko) 무화과 추출 액을 이용한 생물농약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