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644B1 -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644B1
KR101462644B1 KR1020130039611A KR20130039611A KR101462644B1 KR 101462644 B1 KR101462644 B1 KR 101462644B1 KR 1020130039611 A KR1020130039611 A KR 1020130039611A KR 20130039611 A KR20130039611 A KR 20130039611A KR 101462644 B1 KR101462644 B1 KR 10146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yproducts
separator
products
shell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150A (ko
Inventor
우중재
박종석
노달국
최원철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중재
박종석
노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중재, 박종석, 노달국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6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5Eviscerating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급되는 어패류 부산물이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개별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서 투입된 특정 어패류 부산물을 지정 방향으로 분류시키는 방향 전환부; 상기 방향 전환부를 통해 분류된 어패류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다수의 분리기; 상기 분리기에 연결되어 내부의 어패류 부산물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블로어(blower); 및 상기 블로어의 흡입력에 의해 이송된 어패류 부산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폐류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의 처리시 악취 발생을 억제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면서, 어패류 부산물의 신속한 처리로 어패류의 신선도 유지 가능, 자동화 시스템 구현에 따른 업무 생산성 향상, 작업의 능률화 및 생산성 증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특정 어류 부산물을 단순한 구조의 방향 전환부를 통해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용이하게 분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FISHES AND SHELLFISHES BYPRODUCTS CLASSIFICATION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패류 가공시 발생되는 부산물을 지정된 장소로 이송시켜 처리할 수 있게 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나 생선 등을 포함하는 어패류는 가공을 위해 몸통을 할복하고, 내장을 분리하는 해체 작업을 하게 되는데, 취식을 위해 분류되는 부분 이외에 눈이나 내장부위 등과 같은 부산물은 화장품, 비료나 사료제조용 원료 등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분류된다.
이러한 어패류 및 수산물 부산물 가공 분야와 관련된 기술이 공개특허 제2011-0052430호 및 특허등록 제0818700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2011-0052430호 및 특허등록 제0818700호에 개시된 오징어 가공기 및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공개특허 제2011-0052430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오징어 가공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오징어 가공기는 오징어 몸통을 할복하여 내장을 분리하고, 몸통과 분리된 내장과 다리를 절단하는 오징어 가공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체(2)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19)와, 상기 벨트컨베이어(19)의 측방에 설치되며 오징어 다리 부위를 투입시켜 이송할 수 있도록 케이지(3)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체인컨베이어(9)와, 상기 케이지(3)에 실려 이송되는 오징어 몸통을 할복하기 위해 모터(17)와 연결되어 회전구동 가능한 할복용 커터(12)는 할복가이드(14a)가 설치된 승강프레임(14)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14)은 기체(2)에 축핀(16)으로 설치되며 실린더(13)의 피스톤로드(15)와 연결되어 원호운동을 하며 승강이 가능토록 설치한 할복부(5)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오징어 가공기는 몸통에서 내장만 분리한 후, 내장과 다리를 자동으로 절단, 분리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분리된 내장은 별도의 수작업으로 처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특허등록 제0818700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은, 수산물 부산물을 파쇄하여 된 파쇄원료로부터 오일과 액상의 수분과 사료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메인탱크(11)와, 상기 메인탱크(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쇄원료를 저어주는 임펠러(12)와, 상기 메인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임펠러(12)를 회전시키는 임펠러모터(13)를 포함하는 원료분리탱크(10); 상기 원료분리탱크(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자켓(15); 상기 자켓(15)으로 스팀을 공급하고, 그 자켓(15)을 경유한 스팀을 회수하는 순환스팀발생부(20); 상기 파쇄원료가 저장되는 파쇄원료저장탱크(40); 상기 파쇄원료저장탱크(40)에 저장된 파쇄원료를 상기 원료분리탱크(10)로 압송하는 파쇄원료압송펌프(50); 상기 원료분리탱크(10) 내부의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부(60); 통형의 탱크(71)와, 탱크(7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료분리탱크로(10)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열전도파이프로 이루어진 열전도파이프군(72)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71)의 상,하부측중 일측이 상기 열전도파이프군(72)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라인(L3)과 연결되고, 상기 탱크(71)의 상,하부측중 타측이 상기 열전도파이프군(72)과 접촉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배출라인(L4)과 연결되며, 상기 탱크(71)의 하단은 액화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드레인라인(Ld)과 연결되는 열교환기(70); 및 상기 냉각수공급라인(L3)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8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은,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하여 오일 및 사료를 생산하는데 주안점이 맞춰져 있으며, 수산물 부산물의 처리 및 분류 등은 별도의 수작업으로 처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렇게, 수산물 내장 등의 부산물은 일정량 모일 때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카트 등을 사용하여 외부로 반출하여 처리하였으나, 처리 전까지 부산물에서 악취가 많이 발생되고, 특히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게 되면 쉽게 썩게 되어 악취가 더욱 심하게 나면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발생되어 위생적이지 못하므로 빠른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KR 2011-0052430 A KR 081870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폐류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의 처리시 악취 발생을 억제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면서, 어패류 부산물의 신속한 처리로 어패류의 신선도 유지 가능, 자동화 시스템 구현에 따른 업무 생산성 향상, 작업의 능률화 및 생산성 증대를 구현할 수 있게 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어류 부산물을 단순한 구조의 방향 전환부를 통해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용이하게 분류시킬 수 있게 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급되는 어패류 부산물이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개별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서 투입된 특정 어패류 부산물을 지정 방향으로 분류시키는 방향 전환부; 상기 방향 전환부를 통해 분류된 어패류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다수의 분리기; 상기 분리기에 연결되어 내부의 어패류 부산물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블로어(blower); 및 상기 블로어의 흡입력에 의해 이송된 어패류 부산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을 통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입부 전에 유입된 어패류를 1차 가공한 후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각각의 분리기에 연결된 다수의 연결관 끝단이 중심에서 이격된 동심선 상에 연결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편심홀에 선단이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고정판의 축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투입부에 연결된 연결관의 끝단에서 회전되는 굴절형 회전관; 및 상기 회전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분리기는 원심분리를 통해 어패류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리기와 상기 저장탱크의 사이에 세정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폐류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의 처리시 악취 발생을 억제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면서, 어패류 부산물의 신속한 처리로 어패류의 신선도 유지 가능, 자동화 시스템 구현에 따른 업무 생산성 향상, 작업의 능률화 및 생산성 증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특정 어류 부산물을 단순한 구조의 방향 전환부를 통해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용이하게 분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오징어 가공기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의 투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의 방향 전환부의 측단면도 및 일부 구성을 발췌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에서 투입부와 분리기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의 분리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에서 분리기, 블로어 및 저장탱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의 투입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의 방향 전환부가 측단면도 및 일부 구성을 발췌한 부분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에서 투입부와 분리기와의 연결 상태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의 분리기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에서 분리기, 블로어 및 저장탱크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100)은 이송부(110), 투입부(120), 방향 전환부(130), 분리기(140), 블로어(150), 세정기(160) 및 저장탱크(170)를 포함한다.
이송부(110)는 부산물을 처리하기 전의 어패류가 운송 차량 등을 통해 반입된 후, 1차 가공을 거쳐 투입부(120)의 이웃한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컨베이어(conveyor)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이송부(110)는 외부 반입 위치와 연결되는 종방향 컨베이어(110a)와, 상기 종방향 컨베이어(110a)에서 다수 분기되는 분기 컨베이어(110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기 컨베이어(110b)는 제어를 통해 오징어나 생선 등을 포함하는 어패류의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구분되어 이송하도록 다수개가 분기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 컨베이어(110b)의 도중에는 반입된 어패류를 세척하는 세척조(112)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조(112)의 후방에서 세척 완료된 어패류의 할복, 절단 및 부산물 분리 등의 어패류 1차 가공이 작업자에 의해 수행된다.
투입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패류의 1차 가공시 발생되는 어패류 부산물이 분기 컨베이어(110b)를 통해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수동 또는 자동 작업에 의해 개별 투입되도록 상기 분기 컨베이어(110b)의 끝단마다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120)는 어패류 부산물을 설정량씩 배출하는 호퍼(hopper)형 또는 플라스틱 바스켓 등에 1차 수집된 상기 어패류 부산물을 흡입력에 의해 흡입하여 공급하는 인렛 밸브(inlet valve)형 중 어느 하나가 접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형인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투입부(120)가 호퍼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호퍼(121)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립형 배출관(122)은 편심되게 일측으로 치우쳐 어패류 부산물이 적체되지 않게 하고, 상기 배출관(122)의 하단에 별도의 연결관(123)을 형성하면서 별도의 연결관(123)에는 공기공급관(124)이 연결되는 만곡관(124a)을 형성토록 한 후 상기 연결관(123)의 하단으로 부산물이 채워지게 되는 만곡관(125a)을 조임요소로 연결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만곡관(125a)에도 분기관(125)을 형성하여 부산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드레인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만곡관(125a)에 연결되는 이송유도관로(126)와 공기공급관(124)이 자바라관 형태로 형성되면 어류 부산물 처리시스템(100)을 실내 공간에서 설치할 경우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이송유도관로(126) 및 공기공급관(124)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이송유도관로(126) 및 공기공급관(124)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공기공급관(124)과 이송유도관로(126) 상에 개폐밸브를 형성하면 장시간 이송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블로어(15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개폐밸브를 닫아서 저장탱크(170)에 보관되어 있는 어패류 부산물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유도관로(126)에는 내부에 설치된 회전날개(도면에 미도시)가 로터리 방식으로 이루어져 축 회전하는 정량공급기(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이송유도관로(126)에 정량공급기가 설치되면, 호퍼(121)로 투입된 후 분리기(140)로 공급되는 어패류 부산물을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어 분리기(140) 안에서 부산물과 공기가 분리될 때 부산물이 과공급되어 상기 분리기(140)에 연결된 공기배출라인(141)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공기공급관(124)은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측으로 만곡 형성된 만곡관(124a)을 통해 지붕까지 연결하여 설치하면 호퍼(121)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블로워(150)를 통한 공기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공기의 유출 없이 상기 블로워(150)의 흡입력을 최대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공기공급관(124)은 직립되는 배출관(122)에서 만곡관(125a)을 통하여 이송유도관로(126)와 연결될 경우 부산물이 낙하된 상태에서 1차 체류하게 되는 부분의 후방에 T자형 연결관(도면에 미도시)으로 직접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후술할 방향 전환부(130)의 입구측에는 투입부(120)에서 이송되는 어패류 부산물의 무게, 크기 등을 센싱하여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센싱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센싱부의 신호를 통해 분류 항목마다 해당 연결관(126')으로 해당 어패류 부산물이 분류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에서 제어가 가능하다.
방향 전환부(13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20)에서 투입된 특정 어패류 부산물을 지정 위치 방향으로 분류시키는 기능을 하며, 몸체(131), 고정판(132), 회전판(133), 회전관(134) 및 구동수단(135)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31)는 상기 고정판(132), 회전판(133), 회전관(134) 및 구동수단(135)을 감싸 마감하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 고정판(132)은 각각의 분리기(140)에 선단이 연결된 다수(적어도 2개 이상,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연결관(126') 후단이 중심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동심선 상에 연통되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132)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26')이 연결되는 지점마다 홀(13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홀(132a)에 상기 연결관(126')의 후단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133)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32)의 후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판으로, 상기 고정판(132)의 홀(132a) 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편심홀(133a)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판(133)은 회전 과정에서 편심홀(133a)이 다수의 고정판(131) 홀(132a)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어 해당 홀(132a)과 연통된 연결관(126') 쪽으로 연통시킨 후 어패류 부산물을 이송시킨다.
즉, 상기 회전판(133)에 형성된 편심홀(133a)이 상기 고정판(132)의 홀(132a)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면, 연통되는 홀(132a)에 결합된 연결관(126')으로 어류 부산물을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회전판(133)은 상기 고정판(132)과의 중심을 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관(134)은 회전판(133)에 형성된 편심홀(133a)에 선단이 연통되고, 후단은 고정판(132)의 축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굴절되어 투입부(120)와 연결된 이송유도관로(126)의 선단에 연결된다.
구동수단(135)은 회전관(13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벨트 또는 체인 등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격된 상기 회전관(134)에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던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즉, 상기 구동수단(135)은 상기 회전관(134)의 후단 외주면에 종동 풀리(pulley)가 구비되고, 상기 종동 풀리와 이격되면서 상기 종동 풀리를 벨트로 동력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 풀리가 구동모터(M)의 구동축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M)는 몸체(131)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각 제어를 통해 다수 형성된 고정판(132)의 홀(132a) 각도만큼 회전관(134)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35)이 체인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상기 회전관(134)의 후단 외주면에 종동 스프라켓(sprocket)이 구비되고, 상기 종동 스프라켓과 이격되면서 상기 종동 스프라켓을 체인으로 동력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 스프라켓이 구동모터(M)의 구동축에 결합된다.
더욱이, 상기 방향 전환부(130)는 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에 설치된 버튼을 작업자가 작동시키면 해당 버튼의 입력 신호에 의해 구동수단(135)이 작동하면서 회전관(134)을 회전시켜 이송유도관로(126)를 해당 연결관(126')에 연통시켜 이송 위치에 연결된 상기 연결관(126')을 통해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어패류 부산물을 이송시키는 것이다.
분리기(1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부(130)에 연결된 연결관(126')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송되는 어패류 부산물과 공기를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하여 어패류 부산물만을 걸러내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분리기(140)는 내부에 형성된 와류날개(140a)에 의한 사이클론 구조로 구비되어 빠른 유속으로 연결관(126')을 통해 상기 분리기(140) 내부로 들어온 어패류 부산물이 상기 와류날개(140a)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유도되므로 상기 분리기(140) 내부에서 원심분리되어 하측으로 적체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낙하하게 되면서, 상면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기(140)는 몸체 둘레면 일측에 방향 전환부(130)에 연결된 연결관(126')이 연통되고, 몸체 둘레면 타측에 블로어(150)와 연통되는 공기배출라인(141)이 연통된다.
특히, 상기 공기배출라인(141)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라인(141)의 도중에 형성된 기수분리기(173)를 통해 분리기(140)에서 분리 되어진 공기가 공기배출라인(141)을 타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기수분리기(173)를 거치게 되면서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을 걸러주도록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블로어(150)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기기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기기가 손상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수분리기(173)에는 배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라인이 후술할 저장탱크(170)의 일단부에 연결되므로 기수분리기(173)에 모아진 수분을 저장탱크(170)로 재공급토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라인(141) 상에는 활성탄 등을 이용한 냄새제거장치(도면에 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로어(150)는 분리기(140)와 연통되는 공기배출라인(141)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블러워(150)가 작동함에 따라 공압에 의하여 이송유도관로(126)에 흡인력이 발생되게 한다.
세정기(160)는 분리기(140)와 후술할 저장탱크(170)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쪽에 설치된 워터 펌프(water pump: 도면에 미도시)와 배기기(exhauster: 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연결관(126')과 상기 분리기(140)와 상기 저장탱크(170)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내부의 어류 부산물 기름때를 세정하여 청결을 유지하게 한다.
저장탱크(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140)를 통과한 어패류 부산물이 포집되는 장소로, 하단에 부산물을 외부로 최종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어패류 부산물의 수거가 용이하다.
이때, 상기 드레인 밸브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퀵조인트(도면에 미도시)를 형성하여 부산물의 배출시 상기 퀵조인트를 이용하여 배출호스를 원터치로 연결시키므로 저장탱크(17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어패류 부산물을 차량으로 수거할 때 블로어 흡입이나 또는 진공압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70)는 수위가 끝까지 차게 될 경우 전체적인 작업공정을 중단하여야 하므로 상기 저장탱크(170) 내부에 감지센서(도면에 미도시)를 장착하여 외부로 수위 정도를 감지하거나, 또는 모니터(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170) 내부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저장탱크(170)는 일단에 보조탱크(180)를 연결설치하면 상기 저장탱크(170)에 어패류 부산물이 찰 경우 상기 보조탱크(180)로 드레인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170)에 어패류 부산물이 차서 이송라인이나 공기배출라인(141)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이송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100)은 처리시스템의 자동화와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어패류 부산물 유입/유출량 검출을 위한 감지센서와, 원격제어를 위한 자동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센서네트워크 구현과, 무선 데이터를 TCP/IP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RF to TCP/IP 컨버터와, 어패류 부산물의 유입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 시스템 및 PC 기반 소프트웨어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탱크(170)에 저장된 어패류 부산물의 유입/유출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저장탱크(170)에 저장되는 어패류 부산물의 높이를 센싱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내부 천장에 설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하여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어패류 부산물의 유입/유출량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거리 측정이 가능한 센서(초음파, 레이저 등)을 활용하여 부산물의 유입/유출량을 검출하고, 체적을 무게로 환산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여 적용함으로써 부산물의 유입/유출량에 따른 무게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또한, 검출 정보를 바탕으로 무선 통신을 활용하여 컨트롤러 배전함에 설치된 자동제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부산물이 보관 시스템의 용량을 넘지 않도록 자동으로 제어 신호를 차단한다. 그리고 PC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부산물 집진 시스템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100)은 부산물을 처리하기 전의 어패류가 차량에서 이송부(110)의 종방향 컨베이어(110a)를 통해 반입된 후, 상기 종방향 컨베이어(110a)에서 다수 분기되는 분기 컨베이어(110b)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종방향 컨베이어(110a)에서 이송되는 어패류는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구분된 상태로, 해당 분기 컨베이어(110b)로 이송된 후, 할복, 절단, 부산물 분리 등의 어패류 1차 가공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1차 가공을 마친 어패류는 취식을 위해 분류되는 부분 이외의 어패류 부산물이 투입부(120)의 호퍼(121)에 투입되게 하면서 배출관(122)을 통하여 낙하하게 되면 상기 배출관(122)의 하단에 형성된 만곡관(125a)에서 1차로 체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만곡관(125a)과 연결되는 이송유도관로(126)는 블로워(150)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블러워(150)가 작동함에 따라 공압에 의하여 이송유도관로(126) 내에 흡인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부산물이 체류하고 있는 만곡관(125a)의 후방에는 일단이 지붕의 내부로 연결된 공기공급관(124)이 또 다른 만곡관(124a)으로 연결되므로 공압에 의한 흡입력 발생 시 필요한 공기가 제공되어 흡입력 발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공기는 냉방처리된 실내의 공기가 아니라 지붕의 공기를 사용함으로써 냉방효율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공급관(124)으로 공급되는 공기로 인해 이송유도관로(126)에서의 흡입력 발생이 가능하게 되고, 흡입력 발생시 만곡관(125a)에 채워진 어패류 부산물은 상기 만곡관(125a)의 후방에 연결된 공기공급관(124)의 만곡관(124a)이 연결되므로 상기 공기공급관(124)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면서 작은 힘으로도 흡입력 발생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흡입된 어패류 부산물은 이송유도관로(126)를 따라 이송되다가 방향 전환부(130)에서 해당 분리기(140)로 분류된 후 상기 분리기(140)에서 하중을 갖는 부산물은 상기 분리기(140)의 하방으로 낙하되고, 공기는 다시 공기배출라인(141)을 통하여 배출된다. 즉, 상기 분리기(140)의 하방으로 낙하된 어패류 부산물은 상기 분리기(140)의 내부에 형성된 와류날개(140a)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유도되면서 상기 분리기(140) 내부에서 원심분리되어 하측으로 적체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기(140)와 후술할 저장탱크(170)의 사이에 설치된 세정기(160)를 통과하면서 양쪽에 설치된 워터 펌프와 배기기를 통해 연결관(126') 그리고 상기 분리기(140)와 상기 저장탱크(170)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내부를 세척한다.
다음으로, 어패류 부산물은 그 하방에 설치된 저장탱크(170)로 자유 낙하되면서 상기 저장탱크(170)에 포집되며, 상기 저장탱크(170)의 하단에 설치된 드레인 밸브에 의해 외부로 배출한 후 수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110: 이송부
120: 투입부
130: 방향 전환부
140: 분리기
150: 블로어
160: 세정기
170: 저장탱크

Claims (5)

  1. 공급되는 어패류 부산물이 사이즈별 또는 종류별로 개별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서 투입된 특정 어패류 부산물을 지정 방향으로 분류시키는 방향 전환부;
    상기 방향 전환부를 통해 분류된 어패류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다수의 분리기;
    상기 분리기에 연결되어 내부의 어패류 부산물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블로어(blower); 및
    상기 블로어의 흡입력에 의해 이송된 어패류 부산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각각의 분리기에 연결된 다수의 연결관 끝단이 중심에서 이격된 동심선 상에 연결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편심홀에 선단이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고정판의 축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투입부에 연결된 연결관의 끝단에서 회전되는 굴절형 회전관; 및
    상기 회전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전에 유입된 어패류를 1차 가공한 후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더 구비되는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원심분리를 통해 어패류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와 상기 저장탱크의 사이에 세정기가 더 구비되는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KR1020130039611A 2013-04-11 2013-04-11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KR101462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11A KR101462644B1 (ko) 2013-04-11 2013-04-11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11A KR101462644B1 (ko) 2013-04-11 2013-04-11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150A KR20140123150A (ko) 2014-10-22
KR101462644B1 true KR101462644B1 (ko) 2014-11-21

Family

ID=5199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611A KR101462644B1 (ko) 2013-04-11 2013-04-11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060B1 (ko) * 2023-01-05 2023-07-06 이순재 닭고기 가공용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530A (ja) 2004-09-30 2006-04-1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粉粒体輸送装置
KR100918426B1 (ko) 2009-06-10 2009-09-24 (주)가람산업 분류 장치
KR20100079421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대우엔텍 관로전환시 차폐수단을 갖는 쓰레기의 분리 흡입장치
KR101036971B1 (ko) * 2010-08-23 2011-05-25 노대현 오징어 부산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530A (ja) 2004-09-30 2006-04-1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粉粒体輸送装置
KR20100079421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대우엔텍 관로전환시 차폐수단을 갖는 쓰레기의 분리 흡입장치
KR100918426B1 (ko) 2009-06-10 2009-09-24 (주)가람산업 분류 장치
KR101036971B1 (ko) * 2010-08-23 2011-05-25 노대현 오징어 부산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150A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0738A (en) Vacuum pneumatic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ood products
CN106269815A (zh) 餐厨垃圾预处理系统
US5300221A (en) Filter arrangement
CN103706618B (zh) 生活垃圾处理系统及利用其对生活垃圾进行处理的方法
CN104261151A (zh) 手推式晒场作物收集机的清扫方法及清扫装置和手推式晒场作物收集机
CN206747238U (zh) 一种固体废弃物回收处理装置
CN110015526A (zh) 一种气动循环垃圾收集装置及方法
KR100921159B1 (ko)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
JP2004154624A (ja) 防臭型異物分別機
KR101462644B1 (ko)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JP6489498B2 (ja) 穀類乾燥調製施設の乾式集塵装置
CN108209815A (zh) 一种餐具输送清洗分拣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557773B1 (ko) 어패류 부산물 파쇄 처리시스템
CN208377958U (zh) 一种分类垃圾用高效运输的输送装置
CN103802038A (zh) 滚筒式抛丸机
CN204914315U (zh) 一种高效废旧塑料瓶处理系统
CN106000876A (zh) 一种稻谷粗选除杂机及其除杂方法
CN203973409U (zh) 滚筒式抛丸机
CN104999594A (zh) 一种快速脱水的废旧塑料瓶处理系统及其方法
CN109772539A (zh) 一种用于垃圾处理的具有保护和除尘功能的破碎装置
KR101036971B1 (ko) 오징어 부산물 이송장치
TWI422322B (zh) Deforestation
JP2011244727A (ja) コンバイン
CN102489082B (zh) 用于锰系合金生产中尾尘烟气的收尘系统及收尘方法
CN206240917U (zh) 餐厨垃圾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