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408B1 -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408B1
KR101462408B1 KR1020140003471A KR20140003471A KR101462408B1 KR 101462408 B1 KR101462408 B1 KR 101462408B1 KR 1020140003471 A KR1020140003471 A KR 1020140003471A KR 20140003471 A KR20140003471 A KR 20140003471A KR 101462408 B1 KR101462408 B1 KR 10146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generator
power plant
frequency
sig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우
김성호
최재혁
홍성진
황재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86Tensioned flexible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소의 터빈 발전기의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속도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터빈 속도 감지부;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주파수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주파수 비교부; 전력계통의 전압값과 발전소의 전압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전압차 비교부; 및 상기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주파수 비교 결과와 상기 전압차 비교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고,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입용 차단기에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터빈의 운전 상태에 따른 전압, 속도 신호의 건전성을 감지하여 자동 병입 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PLANT AUTOMATIC SYNCHRONIZ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의 운전 상태에 따른 전압, 속도 신호의 건전성을 감지하여 자동 병입 시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에 연계된 대용량 발전소 기기들의 고장으로 인해 발전기가 전력계통에서 탈락되는 경우 전력계통 주파수가 급격히 저하된다. 이에, 대기 기동 발전소인 양수 발전기 또는 가스터빈 발전기 등을 긴급으로 기동하여 전력계통에 신속하게 병렬 투입(이하 "병입"이라 함)하면 부족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계통 주파수를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발전소를 병입시키고자 하는 경우 운전중인 전력계통과 병입하고자 하는 발전소 간의 전압 및 주파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양 시스템 간에 전기적 충돌 현상이 발생되거나 의도치 않은 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관련 설비가 파손될 수 있으며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자동 병입 장치는 발전소 측과 전력망의 전압크기와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값들이 정해진 기준치 이내에 들어오면 계통 병입용 차단기를 투입하라는 명령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전력망에 발전소 기기를 병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병입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병입 장치는 계통 병입용 차단기(122)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차단기 상태 감지부(110), 전력계통의 전력 상태를 감지하는 전력계통 상태 감지부(112), 발전소의 전력 상태를 감지하는 발전소 상태 감지부(114), 전력계통 상태 감지부(112)의 감지값과 발전소 상태 감지부(114)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전력계통과 발전소 간 주파수를 비교하는 주파수 비교부(116) 빛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차 비교부(118), 주파수 비교 결과와 전압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된 경우 계통 병합용 차단기(122)를 동작시키라는 차단기(122)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120)를 포함한다.
차단기 상태 감지부(110)는 계통 병입용 차단기(122)가 현재 동작상태인지 여부와, 현재 전압이 정상 상태인지, 차단동작이 가능한지 등의 상태감지 신호를 논리 회로(120)로 출력한다.
주파수 비교부(116)는 전력계통 상태 감지부(112)의 감지값과 발전소 상태 감지부(114)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양측의 주파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논리 회로(120)로 출력한다.
전압차 비교부(118)는 전력계통 상태 감지부(112)의 전압 감지값과 발전소 상태 감지부(114)의 전압 감지값에 기초하여 양측의 전압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논리 회로(120)로 출력한다.
논리 회로(120)에서는 차단기(122)가 투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파수 비교 결과와 전압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된 경우 계통 병합용 차단기(122)를 동작시키라는 차단기(122)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자동 병입 장치는 주파수 및 전압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계통 병입을 보류하였다가, 주파수 및 전압 조건이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면 자동으로 계통 병입이 수행된다.
한편, 발전소의 전력 상태의 경우 전력계통에 투입되어 병렬 운전되는 터빈 발전기의 동작 성능에 따라 급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터빈 운전 상태의 건전성은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터빈 발전기의 동작 상태 변화로 인해 자동 병입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병입 실행 시 발전소의 전압 및 주파수뿐 아니라, 터빈 발전기의 동작 상태도 고려하여 자동 병입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5196호: 비상발전기 계통병입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빈의 운전 상태에 따른 전압, 속도 신호의 건전성을 감지하여 자동 병입 시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전소의 터빈 발전기의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속도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터빈 속도 감지부;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주파수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주파수 비교부; 전력계통의 전압값과 발전소의 전압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전압차 비교부; 및 상기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주파수 비교 결과와 상기 전압차 비교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고,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입용 차단기에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자동 계통 병입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계통 병입용 차단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논리 회로에 상기 차단기의 상태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차단기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 하고,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상태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기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전압값에 따른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 전력계통의 상태감지 신호 및 발전소 상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주파수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전압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비교 결과와 상기 전압차 비교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고,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입용 차단기에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계통 병입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전압값에 따른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 전력계통의 상태감지 신호 및 발전소 상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주파수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전압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비교 결과와 상기 전압차 비교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고,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입용 차단기에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계통 병입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터빈의 운전 상태에 따른 전압, 속도 신호의 건전성을 감지하여 병입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자동 병입 시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전압, 주파수 등의 건전성을 감지하여 병입을 차단한 후에는 시스템 관리자가 직접 조치 및 확인 후 자동 계통 병입 장치를 리셋하여 재가동 시키도록 함으로써 자동 계통 병입 장치에 계통 병입을 차단하는 잠금 장치의 기능을 부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발전소 자동 병입 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자동 병입 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자동 병입 장치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자동 병입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병입 장치는, 터빈 발전기의 속도를 감지하여 속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터빈 속도 감지부(216)와, 차단기 상태 감지부(210), 전력계통 상태 감지부(212), 발전소 상태 감지부(214), 주파수 비교부(218), 전압차 비교부(220) 및 발전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여자기 신호가 입력된 경우, 터빈 속도 감지부(216)의 감지값과 주파수 비교부(218) 및 전압차 비교부(220)의 입력 값들을 확인하여 계통 병합용 차단기(226)를 동작시키라는 차단기(226)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222)를 포함한다.
터빈 속도 감지부(216)는 발전소의 터빈 발전기의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속도 감지신호를 논리 회로(222)에 출력한다.
차단기 상태 감지부(210)는 계통 병입용 차단기(226)가 현재 동작상태인지 여부와, 현재 전압이 정상 상태인지, 차단동작이 가능한지 등의 상태감지 신호를 논리 회로(222)로 출력한다.
주파수 비교부(218)는 전력계통 상태 감지부(212)의 감지값과 발전소 상태 감지부(214)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양측의 주파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논리 회로(222)로 출력한다.
전압차 비교부(220)는 전력계통 상태 감지부(212)의 전압 감지값과 발전소 상태 감지부(214)의 전압 감지값에 기초하여 양측의 전압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논리 회로(222)로 출력한다.
여기서, 논리 회로(222)는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해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여자기 시스템(224)으로부터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논리 연산을 시작한다. 즉, 발전기가 구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해 차단기(226)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논리 회로(222)는 주파수 비교부(218)를 통해 감지된 전력계통과 발전소 간 주파수 비교 결과와 전압차 비교부(220)를 통해 감지된 전력계통과 발전소 간 전압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논리 회로(222)는 발전소 상태 감지부(214)의 전압값과 터빈 속도 감지부(216)의 속도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발전소의 터빈이 정상적으로 운전중인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논리 회로(222)는 발전소의 전압값에 따른 터빈 발전기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합용 차단기(226)를 동작시키라는 차단기(226)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병입 장치는 전력계통과 발전소의 전압과 주파수의 차이가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와 함께, 터빈 속도를 감지하여 발전소의 터빈이 정상적으로 운전중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계통 병입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압과 주파수의 불건전성으로 인해 병입이 차단된 이후에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터빈과 여자기 제어신호 등에 대한 점검이 진행될 수 있다. 관리자의 조치 및 확인 후 자동 병입 장치를 리셋(reset)하여 재기동 되도록 하는 경우 자동 병입 장치는 계통병입 기능뿐 아니라, 잠금 장치의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자동 병입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논리 회로(222)는 여자기 시스템(224)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10).
여자기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논리 회로(222)는 전력계통 및 발전소 전압이 오차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고(S112), 병입이 차단되도록 한다(S120).
S112 단계에서 전력계통 및 발전소 전압이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논리 회로(222)는 전력계통 및 발전소 주파수가 오차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고(S114), 병입이 차단되도록 한다(S120).
S114 단계에서 전력계통 및 발전소 주파수가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논리 회로(222)는 발전소 전압과 터빈 속도에 따른 발전소의 운전상태가 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고(S116), 병입이 차단되도록 한다(S120).
S112, S114, S116 단계에서 모든 값이 오차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논리 회로(222)는 계통 병합용 차단기(226)를 동작시키라는 차단기(226)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여 자동 병입이 실행되도록 한다(S118).
한편, 상술한 제어 과정에서 S112, S114, S116 단계는 각각 전압 비교과정, 주파수 비교과정 및 터빈 속도 비교과정을 수행하여 자동 병입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서 각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혹은, S112, S114, S116 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병입이 차단된 S120 단계 이후에, 관리자로부터 리셋신호를 입력받아 재가동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경우 자동 병입장치는 병입을 차단하는 잠금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 전력계통의 상태감지 신호 및 발전소 상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주파수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전압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비교 결과와 상기 전압차 비교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고,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입용 차단기에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계통 병입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계통 병입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자동 계통 병입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0 : 차단기 상태 감지부 212 : 전력계통 상태 감지부
214 : 발전소 상태 감지부 216 : 터빈 속도 감지부
218 : 주파수 비교부 220 : 전압차 비교부
222 : 논리 회로 224 : 여자기 시스템
226 : 차단기

Claims (6)

  1. 발전소의 터빈 발전기의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속도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터빈 속도 감지부;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주파수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주파수 비교부;
    전력계통의 전압값과 발전소의 전압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전압차 비교부; 및
    상기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주파수 비교 결과와 상기 전압차 비교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고,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입용 차단기에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자동 계통 병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병입용 차단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논리 회로에 상기 차단기의 상태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차단기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 하고,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상태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기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통 병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전압값에 따른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통 병입 장치.
  4.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 전력계통의 상태감지 신호 및 발전소 상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주파수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전압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비교 결과와 상기 전압차 비교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고,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입용 차단기에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계통 병입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전압값에 따른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통 병입 방법.
  6.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여자기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 전력계통의 상태감지 신호 및 발전소 상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주파수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의 상태감지신호와 상기 발전소 상태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발전소의 전압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전소의 전압값과 상기 터빈 발전기의 속도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비교 결과와 상기 전압차 비교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로 감지되고, 상기 터빈 발전기가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통 병입용 차단기에 차단 동작명령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계통 병입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03471A 2014-01-10 2014-01-10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471A KR101462408B1 (ko) 2014-01-10 2014-01-10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471A KR101462408B1 (ko) 2014-01-10 2014-01-10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408B1 true KR101462408B1 (ko) 2014-11-19

Family

ID=5229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471A KR101462408B1 (ko) 2014-01-10 2014-01-10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4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1695A (zh) * 2017-12-22 2018-06-12 天津津航技术物理研究所 一种基于三角函数的高精度感应同步器测角误差补偿方法
KR20210135459A (ko) * 2019-09-16 2021-11-15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9894B1 (ko) * 2022-10-26 2023-06-05 주식회사 무원이앤씨 발전소 동기발전의 변전소 전력계통 연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044A (ko) * 2001-01-31 2002-08-07 한국전력공사 동기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기의 제어장치
JP2010035343A (ja) * 2008-07-29 2010-02-12 Nishishiba Electric Co Ltd 発電設備
KR20110014398A (ko) * 2009-08-05 2011-02-11 한국전력공사 속도 검출기 신호 상실시 터빈 발전기를 계속 운전하는 방법 및 운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33197A (ko) * 2010-09-29 2012-04-06 한국전력공사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044A (ko) * 2001-01-31 2002-08-07 한국전력공사 동기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기의 제어장치
JP2010035343A (ja) * 2008-07-29 2010-02-12 Nishishiba Electric Co Ltd 発電設備
KR20110014398A (ko) * 2009-08-05 2011-02-11 한국전력공사 속도 검출기 신호 상실시 터빈 발전기를 계속 운전하는 방법 및 운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33197A (ko) * 2010-09-29 2012-04-06 한국전력공사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1695A (zh) * 2017-12-22 2018-06-12 天津津航技术物理研究所 一种基于三角函数的高精度感应同步器测角误差补偿方法
KR20210135459A (ko) * 2019-09-16 2021-11-15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35456A (ko) * 2019-09-16 2021-11-15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35458A (ko) * 2019-09-16 2021-11-15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35457A (ko) * 2019-09-16 2021-11-15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1393B1 (ko) 2019-09-16 2023-03-17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0623B1 (ko) 2019-09-16 2023-03-20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0443B1 (ko) 2019-09-16 2023-04-12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3830B1 (ko) 2019-09-16 2023-04-21 한국전력공사 초기투입 무효전력 조정 기능을 구비한 동기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9894B1 (ko) * 2022-10-26 2023-06-05 주식회사 무원이앤씨 발전소 동기발전의 변전소 전력계통 연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7104B2 (en) Server cluster and control mechanism thereof
KR101462408B1 (ko)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444392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control system
CN106054852A (zh) 集成式故障沉默和故障运转系统中的可量容错的构造
KR20150009301A (ko) 인버터 시스템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823401A (zh) 用于在机组级自启停控制系统中报警的方法与装置
JP6268068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JP2016157364A (ja) 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782202B1 (en) Protec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2618419A2 (en) Over-current protection method for lithium battery and device thereof
KR20150129517A (ko) 메모리 데이터 백업 기능을 갖는 전자장치
JP5666067B1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システム
EP3240233A1 (en) Power fail safeguard method, device and system thereof
JP5297685B2 (ja) ソレノイド駆動装置
KR101779943B1 (ko) Mcu의 동작전압 검출 회로
CN109428387B (zh) 快速切换装置的防误起动方法、装置与机器可读存储介质
KR102342384B1 (ko) 직류전원 공급장치 및 방법
KR101693949B1 (ko) 연료전지차량의 이동식 전력변환장치 고장보호시스템
CN104979746B (zh) 激光加工装置
KR20160121639A (ko) 전자 제어 시스템의 고장신호 디바운스 장치
CN109359006B (zh) 控制器的监控方法、装置、控制芯片、控制器和空调
CN112039156B (zh) 过流保护方法、装置和作业设备
CN114423141B (zh) 一种强流超导加速器的机器保护方法和系统
JP7240820B2 (ja) 制御装置、発電設備、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42376A (ja) 感震保護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