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197A -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197A
KR20120033197A KR1020100094843A KR20100094843A KR20120033197A KR 20120033197 A KR20120033197 A KR 20120033197A KR 1020100094843 A KR1020100094843 A KR 1020100094843A KR 20100094843 A KR20100094843 A KR 20100094843A KR 20120033197 A KR20120033197 A KR 20120033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measured
value
reference valu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316B1 (ko
Inventor
임익헌
이주현
류호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9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3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8Provision in measuring instruments for reference values, e.g. standard voltage, standard wave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 자동전압조장장치 및 주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정보에 따른 저항, 전압, 전류, 절연저항, 고조파, 공급 전원,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실측치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정상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산출된 실측치 또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generator excitation control device and surrounding equipment diagnosis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동 전 상태진단과 기동운전 및 정상운전 중에 이상을 진단하는 방식, 그리고 동기 발전기를 계통에 병입하기 전에 진단장치의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 제어계 응답특성 시험을 해서 그 결과로 건전성을 진단하는 기술이다.
종래에는 발전기 전압제어시스템에서 출력되는 고전압/대전류가 흘러갈 전기도체(BUS), 브러시, 집전환(슬립링) 발전기 계자코일 전기적 건전성을 확인하는 장치가 없거나, 시스템 운전이 시작되면 그때야 측정을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문제발생 이후에야 이를 발견함으로써 정지 원인규명을 위해서 전기공급 계약시간을 연기하고, 새로운 정비시간이 소요될 것이며, 때로는 전기적 손상이 발생 되어 복구시간이 상당기간 길어지면서 발전소 운전 이용률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기여자전원 전압과 초기여자전류를 감시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초기여자전류를 공급하는 장치에 운전원의 조작 미 수행이나 기기결함으로 전원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발전기는 전압을 확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상제어정류기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계자전류, 계자전압에 대한 상관 관계 속에서의 위상제어정류기의 건전성을 감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전기 전압조정시스템의 무부하 동특성시험을 별도의 시험 장치를 설치하여 시험을 실시하고, 그 시험결과에 대한 분석을 별도의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거나 기록계(Recorder) 출력물 등을 검토해서 전문가가 별도로 분석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 진단을 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처리 기반의 진단장치를 설치하여 정해진 운전방법과 주기에 따라서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 본체 및 그 주변설비의 전기적 특성과 제어성의 건전성을 계측해서 진단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계측기능, 신호변환, 신호저장, 신호연산을 통한 신호들 간의 상호비교, 자동 시험기능, 신호분석, 과거 운전 저장기록과 현재의 운전기록과의 비교연산 후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는, 발전기 자동전압조장장치 및 주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정보에 따른 저항, 전압, 전류, 절연저항, 고조파, 공급 전원,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실측치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정상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산출된 실측치 또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측정부는 교류전원 차단기, 계자 차단기, 초기여자 전원공급 접촉기가 투입되기 전에 계자권선과 브러시,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를 저항 측정기 및 절연저항 측정기를 동작시켜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들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부는 계자권선의 대지 지락, 상기 계자권선 층간 단락, 상기 계자권선 회로개방, 위상제어정류기 입력단 교류버스의 지락/단락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부는 상기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공급 전원의 정상공급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복수의 공급 전원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가 기준치 미달하거나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부는 초기여자전원, 송풍기 구동 전동기 전원, 제어기 공급전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부는 상기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위상제어정류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교류버스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판단부는 직류전압의 기준치를 산출하여,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출력단에서 직접 측정한 직류전압값인 실측치를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측치가 상기 기춘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어신호 및 교류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부는 정상상태에서의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정기정비 정지 후 새로운 기동 시에 취득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측정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변화된 특성이 발견되면 보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부는 발전기 전압 확립 상승시간, 발전기 전압 크기 대비 발전기 계자전류 특성, 발전기 전압 설정치 초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를 기동 후 전력계통 병입 직전에 발전기 전압설정 목표치가 기준영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상기 발전기 출력전압제어 응답특성을 상기 기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비교하여 변화된 특성이 있는지를 자동으로 진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부는 위상제어정류기 반도체 냉각용 히트싱크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인 온도 실측치 및 상기 측정된 온도의 상승율인 온도 상승율 실측치를 기 설정된 온도 기준치 및 온도 상승율 기준치와 비교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실측치가 상기 온도 기준치를 초과하고, 상기 온도 상승율 실측치가 상기 온도 상승율 기준치를 초과하면 냉각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부는 위상제어정류기 전, 후단에 고조파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측치를 분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분석한 결과값이 설정된 경보 설정 값을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필터들의 필터링 부품의 건정성 확인 요망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은, 발전기 자동전압조장장치 및 주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정보에 따른 저항, 전압, 전류, 절연저항, 고조파, 공급 전원,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실측치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정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실측치 또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측정단계는 교류전원 차단기, 계자 차단기, 초기여자 전원공급 접촉기가 투입되기 전에 계자권선과 브러시,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를 저항 측정기 및 절연저항 측정기를 동작시켜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들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하는 단계는 계자권선의 대지 지락, 상기 계자권선 층간 단락, 상기 계자권선 회로개방, 위상제어정류기 입력단 교류버스의 지락/단락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하는 단계는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공급 전원의 정상공급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복수의 공급 전원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결과가 기준치 미달이거나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하는 단계는 초기여자전원, 송풍기 구동 전동기 전원, 제어기 공급전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위상제어정류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교류버스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직류전압의 기준치를 산출하여,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출력단에서 직접 측정한 직류전압값인 실측치를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측치가 상기 기춘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제어신호 및 교류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하는 단계는 정상상태에서의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정기정비 정지 후 새로운 기동 시에 취득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측정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변화된 특성이 발견되면 보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하는 단계는 발전기 전압 확립 상승시간, 발전기 전압 크기 대비 발전기 계자전류 특성, 발전기 전압 설정치 초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기를 기동 후 전력계통 병입 직전에 발전기 전압설정 목표치가 기준영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상기 발전기 출력전압제어 응답특성을 상기 기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비교하여 변화된 특성이 있는지를 자동으로 진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하는 단계는 위상제어정류기 반도체 냉각용 히트싱크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온도인 온도 실측치 및 상기 측정된 온도의 상승율인 온도 상승율 실측치를 기 설정된 온도 기준치 및 온도 상승율 기준치와 비교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실측치가 상기 온도 기준치를 초과하고, 상기 온도 상승율 실측치가 상기 온도 상승율 기준치를 초과하면 냉각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하는 단계는 위상제어정류기 전, 후단에 고조파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실측치를 분석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결과값이 설정된 경보 설정 값을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필터들의 필터링 부품의 건정성 확인 요망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번째로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를 기동하기 전에 정지 상태에서 건전상태 또는 운전 준비사항을 미리 측정/진단하여 건전 유무를 알려줌으로써 운전 시작이 되면서 알게 될 고장 문제점을 미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수를 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의 문제점을 미리 발견함으로써, 기동이 시작되고 난 후에 일어날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여 발전기를 계획된 시각에 정시 기동할 수 있으며, 기동과 동시에 대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전기적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점을 미리 차단할 수 있으며, 사고복구나 고장원인 규명에 소요되는 발전소 정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번째로, 비정상 운전 변수 값을 조기에 인지하여 고장이 확대되기 이전에 사전에 보수할 수 방안을 수립함으로써, 설비의 운전 신뢰도를 높이고, 설비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번째로, 진단장치는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 의해서 전압이 정격치 부근에 도달해서 안정 영역에 도달하면, 바로 무부하계단 응답 시험 운전구간으로 진입시켜 바로 발전기를 계통병입 운전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줌으로써 동특성 계단응답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험을 위해서 별도 장치 설치에 대한 비용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 및 관련 주변장치와 고장진단장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전기적 건전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전원 공급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직류전압값 차이를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
도 7은 도 1에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
도 8은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고조파 측정분석을 위해 건전성을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 및 관련 주변장치와 고장진단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전기적 건전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전원 공급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직류전압값 차이를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냉각장치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고조파 측정분석을 위해 건전성을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 및 관련 주변장치와 고장진단장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500)에 속하는 위상제어정류기(510), 계자 차단기(520), 전기필터(530), 초기여자 전원공급 접촉기(540) 및 관련 주변설비에 속하는 동기발전기(100), 계자권선(110), 브러시 및 슬립링(120), 교류전원 차단기(230), 교류버스(240) 등을 포함한다.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500)는 동기발전기(100)의 출력전압을 제어할 목적으로 회전하는 전자석인 계자권선(110)에 브러시 및 슬립링(120)을 통해서 직류전류를 공급한다. 직류전류는 발전기 출력단에 연결된 여자변압기(220)에서 교류전원을 차단기(230)를 통과해서 반도체 위상제어정류기(510)에 공급되고 위상제어정류기는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500)에서 제어하는 신호크기에 따라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해서 계자차단기(520)를 통해 계자권선(110)에 공급한다.
발전기(100)에 전압이 확립되기 전에는 초기여자전원공급선(540,550,560)을 통해서 초기계자전류를 공급해서 발전기(100) 전압을 정격치의 30%까지 발생을 하고, 이후에 여자변압기(220), 위상제어정류기(510)에서 공급된 계자전류로 전압을 발생시킨다.
발전기(100)는 계자권선(110)에 흐르는 계자전류의 크기에 비례해서 출력전압이 결정된다.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500)는 발전기 출력단에 전압변성기(210)와 전류변성기(200)를 통해서 출력전압과 전류를 검출해서 내부에서 적정신호로 변환하여 발전기 전압과 유효전력, 무효전력, 주파수 등의 신호를 만들고 이를 폐회로 제어에 이용한다.
발전기(100)의 전압발생을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전기 출력단 차단기(400)와 여자변압기 2차측 차단기(230), 그리고 계자차단기(520), 초기여자전자접촉기(560)는 개방되어 있다.
운전개시 기동명령이 발생하면 여자변압기 2차측 차단기(230), 그리고 계자차단기(520), 초기여자전자접촉기(560)가 순차적으로 투입되면서 발전기 전압확립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발전기 출력단 차단기(400)를 투입하여 발전기를 전력계통에 병렬운전시킨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단장치는(600)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 및 그 주변 설비와 연결되어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 및 그 주변설비의 전기적 건전성을 진단하는 디지털 신호처리 기반의 진단장치이다.
진단장치(600)의 구성은 측정부(610), 판단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 경보발생부(650), 표시부(660)를 포함한다.
측정부(610)는 발전기 자동전압조장장치 및 주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정보에 따른 저항, 전압, 전류, 절연저항, 고조파, 공급 전원,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신호를 측정한다.
판단부(620)는 측정된 복수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실측치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정상유무를 판단한다,
저장부(630) 진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함과 아울러 정상 데이터 즉, 기 설정된 기준치값이 저장된다.
제어부(640)는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경보발생부(650)는 비정상 판단시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표시부는 산출된 실측치 또는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된다.
그밖에,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매개 변수와 조건의 논리 처리를 수행하는 논리소자(미도시), 진단부위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수단(미도시)와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의 주 제어부분과 작업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단말(미도시)이 포함된다.
도 3은 도 1 따른 진단장치에서 전기적 건전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먼저, 도 2에 따른 진단장치(600)의 내부 구성인 측정부(610), 판단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 경보발생부(650)가 또 따른 실시예로 각 구성에 연계되는 추가 도면부호가 생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소의 측정지점인 A 및 D와 연결된다.
측정부(611)는 교류전원 차단기(230), 계자 차단기(520), 초기여자 전원공급 접촉기(540)가 투입되기 전에 계자권선(110)과 브러시 및 슬립링(120), 계자차단기(520)에서 계자권선(110)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를 진단장치(600)에서 저항 측정기 및 절연저항 측정기를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동작시켜 측정한다.
즉, 계자권선의 대지 지락, 계자권선 층간 단락, 계자권선 회로개방, 위상제어정류기(510) 입력단 교류버스의 지락/단락을 측정하는 것이다.
판단부(621)는 측정부(611)에서 측정된 실측치와 슬립링(120), 계자차단기(520)에서 계자권선(110)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들의 허용 기준값의 기준치를 비교한다.
저장부(631)는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한다.
제어부(641)는 판단부(621)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기준치를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발생부(651)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전원 공급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먼저, 도 2에 따른 진단장치(600)의 내부 구성인 측정부(610), 판단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 경보발생부(650)가 또 따른 실시예로 각 구성에 연계되는 추가 도면부호가 생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측정지점인 B, G, E, F와 연결된다.
측정부(612)는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공급 전원의 정상공급 상태를 측정한다.
즉, 초기여자전원, 송풍기 구동 전동기 전원, 제어기 공급전원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판단부(622)는 측정부(612)에서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복수의 공급 전원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한다.
저장부(632)는 판단부(622)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한다.
제어부(642)는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가 기준치 미달하거나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발생부(652)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직류전압값 차이를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먼저, 도 2에 따른 진단장치(600)의 내부 구성인 측정부(610), 판단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 경보발생부(650)가 또 따른 실시예로 각 구성에 연계되는 추가 도면부호가 생성된다.
측정부(613)는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위상제어정류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교류버스 신호를 측정한다.
판단부는(623) 측정부(613)에서 직류전압의 기준치를 산출하여, 위상제어정류기 출력단에서 직접 측정한 직류전압값인 실측치를 기준치와 비교한다.
이때, 기준치를 산출하는 방법은 교류버스 신호(VLL) 및 제어신호(Control Signal)의 연산으로 인하여 직류전압의 기준치(Vdc)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저장부(633)는 판단부(623)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한다.
제어부(643)는 판단부(623)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실측치가 기춘치를 초과하면 경보발생부(653)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먼저, 도 2에 따른 진단장치(600)의 내부 구성인 측정부(610), 판단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 경보발생부(650)가 또 따른 실시예로 각 구성에 연계되는 추가 도면부호가 생성된다.
저장부(634)는 정상상태에서의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먼저 저장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기 전압 확립 상승시간, 발전기 전압 크기 대비 발전기 계자전류 특성, 발전기 전압 설정치 초과량 등이 저장된다.
측정부(614)는 정기정비 정지 후 새로운 기동 시에 취득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측정한다.
판단부(624)는 저장부(634)에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측정부(614)에서 측정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비교한다.
제어부(644)는 판단부(624)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변화된 특성이 발견되면 보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다시말해, 발전기를 기동 후 전력계통 병입 직전에 발전기 전압설정 목표치가 기준영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상기 발전기 출력전압제어 응답특성을 기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비교하여 변화된 특성이 있는지를 자동으로 진단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초기 구동시 기 저장된 구동정보와 비교하여 변화점을 알려준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냉각장치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먼저, 도 2에 따른 진단장치(600)의 내부 구성인 측정부(610), 판단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 경보발생부(650)가 또 따른 실시예로 각 구성에 연계되는 추가 도면부호가 생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측정지점인 H와 연결된다.
측정부(615)는 위상제어정류기 반도체 냉각용 히트싱크의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히트싱크의 온도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하는게 바람직하다.
판단부(625)는 측정부(615)에서 측정된 온도인 온도 실측치 및 측정된 온도의 상승율인 온도 상승율 실측치를 기 설정된 온도 기준치 및 온도 상승율 기준치와 비교한다.
저장부(635)는 판단부(625)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한다.
제어부(645)는 온도 실측치가 온도 기준치를 초과하고, 온도 상승율 실측치가 온도 상승율 기준치를 초과하면 냉각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경보발생부(65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시키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히트싱크의 온도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종합 감시하여 온도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에서 온도에 따른 상승율이 설정 값 이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면 냉각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한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고조파 측정분석을 위해 건전성을 진단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먼저, 도 2에 따른 진단장치(600)의 내부 구성인 측정부(610), 판단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 경보발생부(650), 표시부(666)가 또 따른 실시예로 각 구성에 연계되는 추가 도면부호가 생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측정지점인 C, D와 연결된다.
측정부(616)는 위상제어정류기 전, 후단에 고조파를 측정한다.
판단부(626)는 측정부(6161)에서 측정된 실측치를 분석한다.
표시부(666)는 산출된 실측치 또는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636)는 판단부(626)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한다.
제어부(646)는 판단부(626)에서 분석한 결과값이 설정된 경보 설정 값을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필터들의 필터링 부품의 건정성 확인 요망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 및 관련 주변장치와 고장진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전기 자동전압조장장치 및 주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정보에 따른 저항, 전압, 전류, 절연저항, 고조파, 공급 전원,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신호를 측정한다(S100).
측정된 복수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실측치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정상유무를 판단한다(S200).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한다(S300).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S400).
산출된 실측치 또는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0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전기적 건전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교류전원 차단기, 계자 차단기, 초기여자 전원공급 접촉기가 투입되기 전에 계자권선과 브러시,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를 저항 측정기 및 절연저항 측정기를 동작시켜 측정한다(S110).
여기서, 측정대상은 계자권선의 대지 지락, 상기 계자권선 층간 단락, 상기 계자권선 회로개방, 위상제어정류기 입력단 교류버스의 지락/단락을 측정하게 된다.
측정된 실측치와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들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한다(S210).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기준치 초과여부를 판단(S310)하여 정상이면, 측정된 실측치를 저장(S410)하고,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S51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전원 공급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공급 전원의 정상공급 상태를 측정한다(S120).
측정대상은 초기여자전원, 송풍기 구동 전동기 전원, 제어기 공급전원 등이다.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복수의 공급 전원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한다(S220).
비교한 결과로 기준치 미달/초과 여부를 판단(S320)하여 정상이면, 측정된 실측치를 저장(S420)하고,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S52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직류전압값 차이를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위상제어정류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교류버스 신호를 측정한다(S130).
직류전압의 기준치를 산출하여, 위상제어정류기 출력단에서 직접 측정한 직류전압값인 실측치를 기준치와 비교한다(S230).
이때, 기준치를 산출하는 방법은 교류버스 신호(VLL) 및 제어신호(Control Signal)의 연산으로 인하여 직류전압의 기준치(Vdc)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2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기춘치 초과여부를 판단하여 실측치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정상 직류 전압값을 저장(S430)하고, 초과하면 하면 경보를 발생한다(S530).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신속한 제어를 목적으로 실제 신호들의 변화가 매우 빠르게 변화될 수도 있고, 연산 된 신호결과치와 실제 운전 값과의 시간불일치로 인한 편차과다가 발생하여 비교 알고리즘에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위시간 평균값을 보상해서 비교기에서 비교한다.
이 방법은 위상제어 정류기내의 반도체 소자, 전압검출 변성기, 점호신호발생용 신호용 변압기, 반도체소자 게이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 등의 결함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정상상태에서 취득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측정한다(S140).
정상상태에서의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시킨다(S240).
이때, 발전기 전압 확립 상승시간, 발전기 전압 크기 대비 발전기 계자전류 특성, 발전기 전압 설정치 초과량 등을 저장한다.
정기정비 정(S340)지 후 새로운 기동 시에 취득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측정한다(S440).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비교(S450)한다.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변화된 특성 발견 유무를 판단(S460)하여, 발견되면 작업자(운전자)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470).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발전기의 초기 전압확립 단계에서 발생하는 발전기의 무부하 포화특성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발전기를 기동 후 전력계통 병입직전에 발전기 전압설정 목표치를 3% 정도 계단(정격운전 전압의 97%에서 정격전압의 100% 상승시킨 후 10초 후에 97%로 원위치)으로 증가/감소해서 발전기 출력전압제어 응답특성을 과거 저장자료(지연시간, 이득, Over Shoot, 상승시간)와 비교해서 새롭게 변화된 특성이 있는지를 자동으로 진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냉각장치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위상제어정류기 반도체 냉각용 히트싱크의 온도를 측정(S150)하는데 온도 측정방법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된 온도인 온도 실측치 및 상기 측정된 온도의 상승율인 온도 상승율 실측치를 기 설정된 온도 기준치 및 온도 상승율 기준치와 비교한다(S250).
온도 실측치 및 온도 상승율 실측치가 기 설정된 온도 기준치 및 온도 상승율 기준치에 정상이면 정상온도 실측지를 저장(S450)하고, 온도 실측치가 상기 온도 기준치를 초과하고, 상기 온도 상승율 실측치가 상기 온도 상승율 기준치를 초과하면 냉각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S550).
다시 말해, 히트싱크의 온도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종합 감시하여 온도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에서 온도에 따른 상승율이 설정 값 이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면 냉각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에서 고조파 측정분석을 위해 건전성을 진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위상제어정류기 전, 후단에 고조파를 측정한다(S160).
측정된 실측치를 디스플레이(S260)함과 아울러 분석(S360)하며, 분석한 결과값(S460)이 설정된 경보 설정 값이 정상이면, 정상 고조파 값을 저장하고(S560), 을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S660)시켜 위상제어정류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필터들의 필터링 부품의 건정성 확인 요망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10: 계자권선 120: 슬립링
230: 교류전원 차단기 240: 교류버스
510: 위상제어정류기 520: 계자 차단기
600: 진단장치 610: 측정부
620: 판단부 630: 저장부
640: 제어부 650: 경보 발생부
660: 표시부

Claims (25)

  1. 발전기 자동전압조장장치 및 주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정보에 따른 저항, 전압, 전류, 절연저항, 고조파, 공급 전원,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실측치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정상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산출된 실측치 또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교류전원 차단기, 계자 차단기, 초기여자 전원공급 접촉기가 투입되기 전에 계자권선과 브러시,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를 저항 측정기 및 절연저항 측정기를 동작시켜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들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계자권선의 대지 지락, 상기 계자권선 층간 단락, 상기 계자권선 회로개방, 위상제어정류기 입력단 교류버스의 지락/단락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공급 전원의 정상공급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복수의 공급 전원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가 기준치 미달이거나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초기여자전원, 송풍기 구동 전동기 전원, 제어기 공급전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위상제어정류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교류버스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판단부는
    직류전압의 기준치를 산출하여,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출력단에서 직접 측정한 직류전압값인 실측치를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측치가 상기 기춘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어신호 및 교류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정상상태에서의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고,
    측정부는
    정기정비 정지 후 새로운 기동 시에 취득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측정하며,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비교하고,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변화된 특성이 발견되면 보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발전기 전압 확립 상승시간, 발전기 전압 크기 대비 발전기 계자전류 특성, 발전기 전압 설정치 초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를 기동 후 전력계통 병입 직전에 발전기 전압설정 목표치가 기준영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상기 발전기 출력전압제어 응답특성을 상기 기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비교하여 변화된 특성이 있는지를 자동으로 진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위상제어정류기 반도체 냉각용 히트싱크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인 온도 실측치 및 상기 측정된 온도의 상승율인 온도 상승율 실측치를 기 설정된 온도 기준치 및 온도 상승율 기준치와 비교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실측치가 상기 온도 기준치를 초과하고, 상기 온도 상승율 실측치가 상기 온도 상승율 기준치를 초과하면 냉각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위상제어정류기 전, 후단에 고조파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측치를 분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분석한 결과값이 설정된 경보 설정 값을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필터들의 필터링 부품의 건정성 확인 요망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14. 발전기 자동전압조장장치 및 주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정보에 따른 저항, 전압, 전류, 절연저항, 고조파, 공급 전원,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복수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실측치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정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의 실측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실측치 또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교류전원 차단기, 계자 차단기, 초기여자 전원공급 접촉기가 투입되기 전에 계자권선과 브러시,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를 저항 측정기 및 절연저항 측정기를 동작시켜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슬립링, 계자차단기에서 계자권선까지의 전기회로의 전기적 상태들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계자권선의 대지 지락, 상기 계자권선 층간 단락, 상기 계자권선 회로개방, 위상제어정류기 입력단 교류버스의 지락/단락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공급 전원의 정상공급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실측치와 상기 복수의 공급 전원의 허용 기준값인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결과가 기준치 미달이거나 초과한 비정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초기여자전원, 송풍기 구동 전동기 전원, 제어기 공급전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기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 위상제어정류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교류버스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직류전압의 기준치를 산출하여,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출력단에서 직접 측정한 직류전압값인 실측치를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실측치가 상기 기춘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제어신호 및 교류버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정상상태에서의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고,
    측정하는 단계는
    정기정비 정지 후 새로운 기동 시에 취득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측정하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을 비교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변화된 특성이 발견되면 보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발전기 전압 확립 상승시간, 발전기 전압 크기 대비 발전기 계자전류 특성, 발전기 전압 설정치 초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기를 기동 후 전력계통 병입 직전에 발전기 전압설정 목표치가 기준영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상기 발전기 출력전압제어 응답특성을 상기 기 저장된 발전기 전압확립 기동특성과 비교하여 변화된 특성이 있는지를 자동으로 진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24.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위상제어정류기 반도체 냉각용 히트싱크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온도인 온도 실측치 및 상기 측정된 온도의 상승율인 온도 상승율 실측치를 기 설정된 온도 기준치 및 온도 상승율 기준치와 비교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실측치가 상기 온도 기준치를 초과하고, 상기 온도 상승율 실측치가 상기 온도 상승율 기준치를 초과하면 냉각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2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위상제어정류기 전, 후단에 고조파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실측치를 분석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결과값이 설정된 경보 설정 값을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위상제어정류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필터들의 필터링 부품의 건정성 확인 요망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방법.
KR1020100094843A 2010-09-29 2010-09-29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10120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843A KR101209316B1 (ko) 2010-09-29 2010-09-29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843A KR101209316B1 (ko) 2010-09-29 2010-09-29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97A true KR20120033197A (ko) 2012-04-06
KR101209316B1 KR101209316B1 (ko) 2012-12-10

Family

ID=4613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843A KR101209316B1 (ko) 2010-09-29 2010-09-29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31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686B1 (ko) * 2012-12-20 2013-03-06 (주)제스엔지니어링 발전소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24744B1 (ko) * 2012-09-13 2013-11-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상 앤피시 ac/dc 변환기의 개방 고장 검출 장치
KR101462408B1 (ko) * 2014-01-10 2014-11-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09619B1 (ko) * 2015-01-09 2015-04-07 삼화디에스피주식회사 모터 고장 시뮬레이션 실습장치
KR20160144013A (ko) * 2015-06-05 2016-12-15 손희원 전력손실 저감을 위한 인버터 및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60144537A (ko) * 2015-06-08 2016-12-19 한국전기연구원 불검출상황을 탐지할 수 있는 무순단 절체 전력계통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N109472972A (zh) * 2017-09-08 2019-03-15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电滑环故障检测方法及装置
KR20190141890A (ko) * 2018-06-15 2019-12-26 신재용 재난 대응용 발전 설비
KR102389897B1 (ko) * 2021-08-17 2022-04-25 주식회사 프로컴시스템 휴대용 변류기 시험기
KR20220056628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위드피에스 동기 발전기, 동기 발전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023A (en) 1986-12-23 1988-04-26 General Electric Company On-line test and diagnostic system for power system stabilizer
KR200388268Y1 (ko) 2005-04-06 2005-06-29 성일휴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
KR200429174Y1 (ko) 2006-07-24 2006-10-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자동전압조정기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44B1 (ko) * 2012-09-13 2013-11-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상 앤피시 ac/dc 변환기의 개방 고장 검출 장치
KR101239686B1 (ko) * 2012-12-20 2013-03-06 (주)제스엔지니어링 발전소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62408B1 (ko) * 2014-01-10 2014-11-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계통 병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09619B1 (ko) * 2015-01-09 2015-04-07 삼화디에스피주식회사 모터 고장 시뮬레이션 실습장치
KR20160144013A (ko) * 2015-06-05 2016-12-15 손희원 전력손실 저감을 위한 인버터 및 전력변환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60144537A (ko) * 2015-06-08 2016-12-19 한국전기연구원 불검출상황을 탐지할 수 있는 무순단 절체 전력계통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N109472972A (zh) * 2017-09-08 2019-03-15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电滑环故障检测方法及装置
KR20190141890A (ko) * 2018-06-15 2019-12-26 신재용 재난 대응용 발전 설비
KR20220056628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위드피에스 동기 발전기, 동기 발전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89897B1 (ko) * 2021-08-17 2022-04-25 주식회사 프로컴시스템 휴대용 변류기 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316B1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316B1 (ko)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20040029306A (ko) 필드 그라운드 검출용 시스템 및 필드 그라운드 고장 검출및 측정 방법
KR20180004189A (ko) 풍력 터빈 백업 전력 공급부 모니터링
KR101893174B1 (ko) 인버터의 다중 스위치 개방 고장부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497010B1 (ko) 직류전원계통 운전상태 원격감시시스템
KR101681922B1 (ko) 모터의 수명 및 고장예측 분석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0244A (ko) 배전자동화 기기 전원부 시험장치
CN117482443B (zh) 一种消防设备健康监测方法及系统
CN110749810A (zh) 一种调相机绝缘故障预测方法及系统
JPH1020930A (ja) 予防保全方法
CN107294063B (zh) 异步整流发电机励磁保护控制判断系统及实施方法
JP3908203B2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における変流器の異常検出装置
KR101389793B1 (ko) 전동기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RU12193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изоляци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CN106338689B (zh) 一种同步电机励磁系统运行状态自检方法
CN111624486A (zh) 一种双馈风电机组发电机在线绝缘检测方法及装置
RU9163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изоляци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US11081886B2 (en) Method for detecting formation of a separate system
CN107414271B (zh) 一种固定式钢轨闪光焊机用大功率直流焊接电源系统
EP3900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grid fault
CN212275908U (zh) 一种双馈风电机组发电机在线绝缘检测装置
KR101386109B1 (ko) 동기발전기의 회전자 권선 단락 감시방법
KR101376582B1 (ko) 절연저항 측정을 이용한 모터 보호 장치 및 방법
JP2001153934A (ja) 界磁巻線層間短絡試験装置
KR20040059527A (ko) 열동계전기 시험기 및 시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