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268Y1 -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268Y1
KR200388268Y1 KR20-2005-0009319U KR20050009319U KR200388268Y1 KR 200388268 Y1 KR200388268 Y1 KR 200388268Y1 KR 20050009319 U KR20050009319 U KR 20050009319U KR 200388268 Y1 KR200388268 Y1 KR 200388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overvoltage
gener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일휴
Original Assignee
성일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일휴 filed Critical 성일휴
Priority to KR20-2005-0009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generators; for synchronou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06Means for protecting the generator by us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전기용 AVR이 설정 전압 보다 감지 전압이 높아 졌을 때 출력을 차단하여 발전기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위해 본 고안은 설정 전압과 조정전압(VOLTAGE ADJUST)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와, 상기 에러검출부의 출력을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전원제어부에 출력하는 에러증폭부와, 상기 에러증폭부의 출력과 입력전원(POWER INPUT)을 공급받아 단상 또는 삼상으로 TCR 의 여자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전원제어부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회로부가 구비된 발전기용 자동 전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입력 감지전압(SENSING INPUT)이 과전압 상태인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부와, 상기 과전압 검출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제어부의 동작을 일정시간동안 온, 오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input over voltage detector in automatic voltage control circuit for generator}
본 고안은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이하, AVR 이라 약칭함)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기용 AVR이 설정 전압 보다 감지 전압이 높아 졌을 때 출력을 차단하여 발전기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발전기용 AVR의 기본기능은 발전기 전압을 감지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의 블록 구성도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상 또는 삼상의 전압을 TCR(Thyristor Control Rectifier) 방식으로 제어하여 발전기(1)의 여자기에 공급함으로서 발전기 출력전압을 조정 발전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즉, 설정 전압(3)과 조정전압(VOLTAGE ADJUST)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2)와, 상기 에러검출부(2)의 출력을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전원제어부(5)에 출력하는 에러증폭부(4)와, 상기 에러증폭부(4)의 출력과 입력전원(POWER INPUT)을 공급받아 단상 또는 삼상으로 TCR 의 여자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5)와, 상기 전원제어부(5)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회로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전기에서 과전압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경우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결선 오류 ( 전압 검출 라인 오결선 ), AVR 전압 검출 라인 단선, AVR 전압 검출 라인 휴즈 파손, 전압 안정도 조정 불량, 부하 단락 사고, 부하에 직축 과도 리액턴스(용량성 부하, 역률개선용 진상 캐패시터 연결), 전압 가변용 외부 가변저항 불량, 전압 가변용 외부 가변저항 접촉 불량, 편부하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는 발전기(1) 부하에 발전기 파형을 왜곡 시키는 부하 또는 상기 열거한 경우가 발생 되었을때 TCR(Thyristor Control Rectifier)의 제어각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어 발전기 전압을 원활히 제어 할 수 없고 발전기 전압을 높여 과전압을 발생 시킬 수 있다.
발전기 전압이 과전압이 되면 부하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들을 손상 시킬 수 있어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발전기 전압이 과전압 발생시에 과전압을 감지 일정 시간 후 AVR 출력을 오프시킴으로서 발전기 전압을 차단하여 발전기의 소손 방지 및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설정 전압과 조정전압(VOLTAGE ADJUST)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와, 상기 에러검출부의 출력을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전원제어부에 출력하는 에러증폭부와, 상기 에러증폭부의 출력과 입력전원(POWER INPUT)을 공급받아 단상 또는 삼상으로 TCR 의 여자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전원제어부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회로부가 구비된 발전기용 자동 전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입력 감지전압(SENSING INPUT)이 과전압 상태인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부와, 상기 과전압 검출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제어부의 동작을 일정시간동안 온, 오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전압 검출부는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검출회로부와, 상기 전압검출회로부에서 AVR 신호를 출력하는 AVR 출력회로부와,
상기 AVR 출력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출력제어회로부와, 상기 AVR 출력회로부에서 출력되는 과전압을 차단하는 출력차단회로부와, 상기 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 정류회로부와, 상기 과전압 검출 정류회로부로부터의 출력전압을 분압하는 과전압 검출 분압회로부와, 사용자가 과전압을 설정 및 분압전압과 설정전압을 상호 비교하는 과전압 설정 및 비교회로부와, AVR 출력을 차단 및 제어하는 출력차단 제어회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압 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전압(3)과 조정전압(VOLTAGE ADJUST)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2)와, 상기 에러검출부(2)의 출력을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전원제어부(5)에 출력하는 에러증폭부(4)와, 상기 에러증폭부(4)의 출력과 입력전원(POWER INPUT)을 공급받아 단상 또는 삼상으로 TCR 의 여자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5)와, 상기 전원제어부(5)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회로부(6)가 구비된 발전기용 자동 전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입력 감지전압(SENSING INPUT)이 과전압 상태인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부(7)와, 상기 과전압 검출부(7)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제어부(5)의 동작을 일정시간동안 온, 오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의 상세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과전압 검출부(7)는 발전기(1)에서 출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검출회로부(71)와, 상기 전압검출회로부(71)에서 AVR 신호를 출력하는 AVR 출력회로부(72)와, 상기 AVR 출력회로부(72)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출력제어회로부(73)와, 상기 AVR 출력회로부(72)에서 출력되는 과전압을 차단하는 출력차단회로부(74)와, 상기 발전기(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 정류회로부(75)와, 상기 과전압 검출 정류회로부(75)로부터의 출력전압을 분압하는 과전압 검출 분압회로부(76)와, 사용자가 과전압을 설정 및 분압전압과 설정전압을 상호 비교하는 과전압 설정 및 비교회로부(77)와, AVR 출력을 차단 및 제어하는 출력차단 제어회로부(7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전기(1)가 기동이 되면 발전기에 잔류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잔류 전압은 전원입력단자(③, ④)에 공급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R42)을 통하여 실리콘 제어정류소자(TR5)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실리콘 제어정류소자(TR5)는 도통이 되고 발생된 잔류전압 중 교류 전압 성분 중 양(+)의 부분만을 도통 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실리콘 제어정류소자(TR5)를 사용하여 교류 전압을 제어하는 방식을 위상제어 및 TCR (Thyristor Control Rectifier) 방식이라고 한다.
도통된 교류 양(+)의 부분은 AVR 출력회로부(72)를 통하여 발전기(1)의 여자기(도시 생략됨)에 공급되어 발전기 전압을 증폭 시키게 된다.
발전기 전압이 상승하여 설정된 전압 이상이 되면 AVR은 출력 제어 입력에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공급된 전압은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공급이 되고, 트랜지스터(TR3)가 도통이 되면 실리콘 제어정류소자(TR5)를 턴 오프 시키게 된다.
실리콘 제어정류소자(TR5)가 턴 오프 상태가 되면 발전기(1)의 여자기에 전원 공급이 차단이 되고 발전기 전압은 낮아 지게된다.
이와 같이 AVR은 트랜지스터(TR3)의 동작을 제어하여 발전기 여자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발전기(1)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하게 된다.
그러나, 예로서 부하에 발전기 전압의 파형을 왜곡 시키는 부하가 연결 되었을 때 교류 전압을 분할하여 전압을 검출 하는 AVR은 발전기 전압을 잘못 판단할 수 가 있다.
발전기 전압파형이 왜곡이 되면 발전기 전압은 일정하지만 AVR은 발전기 전압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하여 발전기 전압을 상승시키게 된다.
발전기 전압이 상승하게 되면 과전압 검출 정류회로부(75)는 단자(③)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반파 정류하고, 다시 콘덴서(C5)를 통하여 직류 전압으로 평활하게 정류한다.
이와 같이 교류 전압을 정류하면 교류 전압의 파형이 왜곡이 되더라도 영향이 없이 정확한 전압을 측정 할 수가 있다.
직류 전압으로 정류된 전압은 저항(R16, R17)을 통하여 제어회로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레벨로 분압 된다. 이때 콘덴서(C18, C19)는 분압 된 전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리플전압의 평활에 사용된다.
사용자는 저항(R23)과 가변저항(VR4) 및 저항(R43, R44, R45, R46), 스위치(SW1)를 사용하여 과전압 기준을 설정할 수가 있다.
비교증폭기(U2B)는 사용자들이 설정한 과전압 레벨을 기준으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분압된 전압과 비교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하여 정류 분압된 전압이 설정 과전압 레벨보다 높아지면 비교증폭기(U2B)의 출력단에는 제어 전원 중 양(+)의 전압이 출력된다.
출력된 전압은 저항(R28)을 통하여 콘덴서(C10)에 충전되고, 출력측 전압을 상승시켜 일정시간 후 제너 다이오드(D12)의 항복 전압보다 충전 전압이 높아지면 제너 다이오드(D12)는 도통하고 제너 다이오드가 도통이 되면 ISO2 포토 커플러(ISO2)의 포토 다이오드에 전압이 인가된다.
제너 다이오드(D13)도 도통이 되면 과전압이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 의 베이스에 전압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1)가 동작하여 릴레이(K1)가 동작하므로 릴레이(K1)의 접점을 사용하여 동작표시용 및 기타 용도로 사용 될 수가 있다.
포토 커플러(ISO2)의 포토 다이오드에 전압이 인가되면 포토 커플러(ISO2)의 포토 트렌지스터가 도통된다.
포토 커플러(ISO2)의 포토 트렌지스터가 도통이 되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레벨은 트랜지스터(TR2)가 동작할 수 없는 전압으로 하강된다.
트랜지스터(TR2)가 동작되지 못하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압 레벨은 트랜지스터(TR1)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으로 상승을 하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1)의 게이트에도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1)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이 공급된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1)가 동작을 하면 실리콘 제어정류소자(TR5)의 게이트레벨은 실리콘 제어정류소자(TR5)가 구동 할 수 없는 전압으로 하강되어 실리콘 제어정류소자(TR5)는 턴 오프되어 AVR의 출력 제어부(73)에는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발전기 전압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 장치에 의하면, 발전기 전압이 과전압이 발생 되면 부하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들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과전압 발생시에 과전압을 감지 일정 시간 후 AVR 출력을 오프시킴으로서 발전기 전압을 차단하여 발전기의 소손 방지 및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의 블록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의 상세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전기 7: 과전압 검출부
8: 출력 제어부 71: 전압 검출 회로부
72 : 자동전압조정조정장치(AVR) 출력회로부
73 : 출력 제어 회로부 74 : 출력차단 회로부
75 : 과전압 검출 정류회로부 76 : 과전압 검출 분압 회로부
77 : 과전압 설정 비교 회로부 78 : 출력차단 제어회로부

Claims (2)

  1. 설정 전압(3)과 조정전압(VOLTAGE ADJUST)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2)와, 상기 에러검출부(2)의 출력을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전원제어부(5)에 출력하는 에러증폭부(4)와, 상기 에러증폭부(4)의 출력과 입력전원(POWER INPUT)을 공급받아 단상 또는 삼상으로 TCR 의 여자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5)와, 상기 전원제어부(5)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회로부(6)가 구비된 발전기용 자동 전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발전기(1)에서 출력되는 입력 감지전압(SENSING INPUT)이 과전압 상태인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부(7)와,
    상기 과전압 검출부(7)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제어부(5)의 동작을 일정시간동안 온, 오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검출부(7)는 발전기(1)에서 출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검출회로부(71)와,
    상기 전압검출회로부(71)에서 AVR 신호를 출력하는 AVR 출력회로부(72)와,
    상기 AVR 출력회로부(72)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출력제어회로부(73)와,
    상기 AVR 출력회로부(72)에서 출력되는 과전압을 차단하는 출력차단회로부(74)와, 상기 발전기(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정류회로부(75)와,
    상기 과전압 검출 정류회로부(75)로부터의 출력전압을 분압하는 과전압 검출 분압회로부(76)와, 사용자가 과전압을 설정 및 분압전압과 설정전압을 상호 비교하는 과전압 설정 및 비교회로부(77)와,
    AVR 출력을 차단 및 제어하는 출력차단 제어회로부(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 장치.
KR20-2005-0009319U 2005-04-06 2005-04-06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 KR200388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19U KR200388268Y1 (ko) 2005-04-06 2005-04-06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19U KR200388268Y1 (ko) 2005-04-06 2005-04-06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268Y1 true KR200388268Y1 (ko) 2005-06-29

Family

ID=4368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19U KR200388268Y1 (ko) 2005-04-06 2005-04-06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2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682B1 (ko) 2007-03-14 2008-10-23 동일이에스디(주) 정전압조정기
KR101209316B1 (ko) 2010-09-29 2012-12-10 한국전력공사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682B1 (ko) 2007-03-14 2008-10-23 동일이에스디(주) 정전압조정기
KR101209316B1 (ko) 2010-09-29 2012-12-10 한국전력공사 발전기 자동전압 조정장치와 관련 주변설비의 고장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87895B (zh) 检测装置、检测方法和检测系统
US7633274B2 (en) Step-up switching power supply with open-circuit malfunction response
US8760832B2 (en) Load circuit protection device
US8547674B2 (en) Hardware overvoltage disconnecting circuit
KR101790134B1 (ko) 인버터의 고장진단 방법
US8780509B2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and protection method
KR20060019268A (ko) U자형 램프용 백라이트 인버터
KR200388268Y1 (ko) 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장치에서의 입력 과전압 검출장치
JP5106484B2 (ja) 可変電源装置とモータ駆動制御装置とそれらの保護回路動作方法
US5375032A (en) Trip control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0473486B1 (ko) 전원 자동 차단 장치
JP2010068660A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の過熱保護装置
JPH0785648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電源回路
KR100379163B1 (ko) 인버터 히트펌프의 전력소자 보호장치 및 방법
JP2005318700A (ja) 電源装置
KR940003085Y1 (ko) 전자조리기의 보호회로
JP3114251B2 (ja) 電源回路
TWM547207U (zh) 具有軟啟動及保護功能的電源供應裝置
JPH0323835Y2 (ko)
JP3616028B2 (ja) 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に用いられる立ち上がり制御回路
US202203208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vercurrent protection
KR0176818B1 (ko) 인버터 구동기기의 안정화회로
KR200145144Y1 (ko) 전원장치의 과도상태 안정화회로
KR0120963Y1 (ko) 스위치모드형 전원공급장치의 출력단락 보호회로
KR910004028Y1 (ko) 이상전압 검출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