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094B1 - 유도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094B1
KR101462094B1 KR1020130109485A KR20130109485A KR101462094B1 KR 101462094 B1 KR101462094 B1 KR 101462094B1 KR 1020130109485 A KR1020130109485 A KR 1020130109485A KR 20130109485 A KR20130109485 A KR 20130109485A KR 101462094 B1 KR101462094 B1 KR 10146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onance
switching
input
in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이의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쿠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쿠첸
Priority to KR102013010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워킹 코일과 공진 콘덴서를 구비한 가열부와, 워킹 코일의 전단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입력 전압 비교부와, 워킹 코일의 후단으로부터 공전 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공진 전압 비교부와, 가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와, 스위칭부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해 스위칭 턴온 신호 또는 스위칭 턴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구동부와, 구동 펄스를 생성하여 스위칭 구동부로 출력하고, 입력 전압 비교부 및 공진 전압 비교부의 출력 전압들 중 어느 하나라도 과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구동 펄스를 정지시키는 구동 펄스 생성부를 포함함으로써, 입력 전압과 공진 전압에 대한 피드백의 왜곡, 특히 공진 전압의 피드백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조리기{INDUCTION-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 전압과 공진 전압에 대한 피드백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면 워킹 코일에 강력한 자계가 생성되며, 이 자계가 워킹 코일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조리 용기에 와전류를 생성시킴으로써, 조리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기이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인버터 보호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유도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의 인버터 보호 회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버터 보호 회로는 공진 회로부(12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입력 전압 신호와 공진 전압 신호를 얻으며, 그리고 입력 전압 신호와 공진 전압 신호를 연결하여 하나의 공통 전압 신호를 얻어 전압 비교부(140)에 제공한다. 전압 비교부(140)는 공통 전압 신호와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공통 전압 신호가 소정의 기준 전압보다 크면, 스위칭 구동부(1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입력 전압 신호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120Hz 정도이고, 공진 전압 신호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25KHz 정도이기 때문에, 전압 비교부(140)의 회로 소자들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입력 전압 신호와 공진 전압 신호 중 어느 하나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했다.
이에 의해, 일반적으로 전압 비교부의 회로 소자들의 주파수 특성을 입력 전압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설계하는 경우, 특히 터보 모드를 구비한 전기 레인지에서 터보 모드의 사용시 공진 회로부(120)의 이상 동작에 따른 과전압에 의해 스위칭 소자가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 전압과 공진 전압에 대한 피드백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과 공진 콘덴서를 구비한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의 전단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입력 전압 비교부와, 상기 워킹 코일의 후단으로부터 공전 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공진 전압 비교부와, 상기 가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해 스위칭 턴온 신호 또는 스위칭 턴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구동부와, 구동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 구동부로 출력하고, 상기 입력 전압 비교부 및 상기 공진 전압 비교부의 출력 전압들 중 어느 하나라도 과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구동 펄스를 정지시키는 구동 펄스 생성부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 전압 비교부 및 상기 공진 전압 비교부의 출력 전압들 중 어느 하나라도 과전압 상태이면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 구동부로 출력하는 통합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신호 생성부는 비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통합 기준 전압이 제공되고, 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직류 전압이 분배된 디폴트 전압과 상기 입력 전압 비교부 및 상기 공진 전압 비교부의 출력 전압들이 통합된 하나의 전압이 제공되는 통합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펄스 생성부는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 펄스 출력과 관련된 두 군데에 정지 레벨을 제공하여 이중으로 구동 펄스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 전압 비교부는 입력 전압을 다운시키기 위한 입력 전압 배분 파트와 다운된 입력 전압과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입력 전압 비교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전압 비교 파트는 반전 단자에는 다운된 입력 전압이 제공되고 비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이 제공되는 입력 전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전압 비교부는 공진 전압을 다운시키기 위한 공진 전압 배분 파트와 다운된 공진 전압과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공진 전압 비교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전압 비교 파트는 반전 단자에는 다운된 공진 전압이 제공되고 비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이 제공되는 공진 전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입력 전압과 공진 전압이 각각 비교됨으로써, 입력 전압과 공진 전압에 대한 피드백의 왜곡, 특히 공진 전압의 피드백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합 신호 생성부를 포함함으로써, 부품 수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합 신호 생성부의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는 입력 전압 비교부 및 공진 전압 비교부의 출력 전압들뿐만 아니라 직류 전압이 분배된 디폴트 전압도 제공됨으로써 안정화된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 펄스 출력과 관련된 두 군데에 정지 레벨을 제공하여 이중으로 구동 펄스 출력을 정지함으로써, 과전압에 대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의 인버터 보호 관련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력 전압 검출부, 발진 전압 생성부 및 구동 펄스 생성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입력 전압 비교부와 공진 전압 비교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전원 공급부(210), 가열부(220), 스위칭부(230), 스위칭 구동부(240), 입력 전압 검출부(250), 발진 전압 생성부(252), 구동 펄스 생성부(254), 입력 전압 비교부(260), 공진 전압 비교부(270), 입력 조작부(280), 디스플레이부(282)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210)는 상용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정류화된 교류 전압을 가열부(220)에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10)는 이를 위해 브리지 정류 회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 회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220)는 워킹 코일 WC(222)과 공진 콘덴서 C(224)로 구성되는 공진 회로로, 전원 공급부(210)에서 공급된 정류화된 교류 전압이 워킹 코일에 공급되면 고주파 전류가 흐르고 조리 용기(미도시됨)를 유도 가열한다.
스위칭부(230)는 스위칭 소자 IGBT(232)를 포함하며, 스위칭 소자(232)가 온되면 전원 공급부(210)에서 가열부(220)로 공급되는 정류화된 교류 전압으로 인해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흐른다.
스위칭 구동부(240)는 구동 펄스 생성부(254)에서 공급된 구동 펄스에 따라 스위칭부(230)의 스위칭 소자(232)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킨다.
입력 전압 검출부(250)는 입력된 상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 레벨에 따른 레벨 전압을 생성하여 발진 전압 생성부(252)로 출력한다.
발진 전압 생성부(252)는 입력 전압 검출부(25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된 레벨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펄스 생성부(254)에 공급될 발진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구동 펄스 생성부(254)는 발진 전압 생성부(252)에서 생성되어 출력된 발진 전압을 이용하여 스위칭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구동 펄스를 생성하다. 구동 펄스 생성부(254)는 제1 주파수 전력 단계의 경우, 워킹 코일을 구동시키기 위해 제1 구동 펄스 주파수를 생성하여 스위칭 구동부(240)로 출력한다. 그리고 구동 펄스 생성부(254)는 제2 주파수 전력 단계의 경우, 제1 구동 펄스 주파수보다 낮은 제2 구동 펄스 주파수를 생성하여 스위칭 구동부(240)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워킹 코일은 제1 주파수 소비 전력보다 더 높은 최대 소비 전력을 얻을 수 있다.
입력 전압 비교부(260)는 워킹 코일의 전단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과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 전압에 과전압이 걸리면, 스위칭 구동부(240)에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공진 전압 비교부(265)는 워킹 코일의 후단에 걸리는 공진 전압과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조리용기가 없어 워킹 코일에 과전압이 걸리면, 스위칭 구동부(240)에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조작부(280)는 사용자가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입력 조작부(280)를 통해 워킹 코일의 소비 전력 단계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부(282)는 입력 조작부(280)에서 입력된 워킹 코일의 소비 전력 단계를 표시하고, 또한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입력 조작부(280)에서 워킹 코일에 대한 동작이 입력되면 발진 전압 생성부(252)로 제1 주파수 전력 제어 신호 또는 제2 주파수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90)는 제1 주파수 전력 제어 신호 또는 제2 주파수 전력 제어 신호로 논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스위칭부(230)를 1 석식 공진형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스위칭부(230)에는 2 석식 하프-브리지형도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력 전압 검출부, 발진 전압 생성부 및 구동 펄스 생성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입력 전압 검출부(250)는 상용 전원에 연결된 다이오드 D1(302), 저항 R1(304), 저항 R2(306), 콘덴서 C1(308), 저항 R3(310), 12V 직류 전압에 연결된 저항 R4(312), 저항 R5(314), 연산 증폭기 OP1(316), 저항 R7(318), 저항 R6(320), 저항 R8(322) 및 콘덴서 C2(324)를 포함한다.
입력 전압 검출부(250)는 다이오드 D1(302)를 통해 반파 정류된 상용 전원이 저항 R1(304)와 저항 R2(306)를 통해 배분되고 콘덴서 C1(308)에 의해 평활된다. 12V 전압은 저항 R4(312)와 저항 R5(314)에 의해 분배되고, 연산 증폭기 OP1(316)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며, 콘덴서 C1(308)의 평활 전압은 연산 증폭기 OP1(316)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입력된 상용 전압이 낮으면 낮을수록, 연산 증폭기 OP1(316)의 출력 단자의 출력 전압은 상승하고 콘덴서 C2(324)에 충전된다.
발진 전압 생성부(252)는 구동 펄스의 발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발진 전압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저항 R9(330), 저항 R10(332), 저항 R11(334), 트랜지스터 Q1(338) 및 트랜지스터 Q2(340)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Q1(338)이 오프 상태이고 트랜지스터 Q2(340)가 온 상태이면 콘덴서 C2(324)의 전압은 약 4.7V이고, 트랜지스터 Q1(338)이 온 상태이고 트랜지스터 Q2(340)가 오프 상태이면 콘덴서 C2(324)의 전압은 약 5.6V이며, 트랜지스터 Q1(338)이 온 상태이고 트랜지스터 Q2(340)가 온 상태이면 콘덴서 C2(324)의 전압은 약 7.6V이다.
구동 펄스 생성부(254)는 콘덴서 C2(324)의 전압에 따라 구동 펄스의 주파수를 변경한다. 구동 펄스 생성부(254)는 구동 펄스 생성 파트(350), 레벨 매칭 파트(360) 및 구동 펄스 강제 오프 파트(370)를 포함한다. 구동 펄스 생성 파트(350)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 회로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레벨 매칭 파트(360)는 전압 레벨을 매칭하기 위해 연산 증폭기 OP3(362)과 저항 R16(364)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펄스 강제 오프 파트(370)는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 펄스를 강제적으로 오프하기 위한 구성으로, 트랜지스터 Q3(372) 및 트랜지스터 Q4(374)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Q3(372)의 컬렉터는 연산 증폭기 OP3(362)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 Q4(374)의 컬렉터는 저항 R16(364)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 Q3(372)와 트랜지스터 Q4(374) 모두가 턴온되고 그라운드 전압이 연산 증폭기 OP3(362)의 비반전 단자와 저항 R16(364)의 후단 모두가 제공되므로, 이중으로 구동 펄스를 강제적으로 오프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입력 전압 비교부와 공진 전압 비교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 비교부(260)는 입력 전압 분배 파트(410)와 입력 전압 비교 파트(420)를 포함한다.
입력 전압 분배 파트(410)는 높은 입력 전압을 다운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항 R11(411), 저항 R12(412), 콘덴서 C11(413) 및 저항 R13(414)를 포함한다.
입력 전압 비교 파트(420)는 입력 전압 분배 파트(410)에 의해 감소된 입력 전압 신호와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오드 D11(421), 저항 R13(422), 콘덴서 C12(423), 콘덴서 C13(424), 저항 R14(425), 저항 R15(426) 및 연산 증폭기 OP11(427)를 포함한다.
입력 전압 분배 파트(410)에 의해 다운된 입력 전압 신호 다이오드 D11(421)를 통해 연산 증폭기 OP11(427)의 반전 단자에 제공된다. 한편, 연산 증폭기 OP11(427)의 비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이 제공되는데, 이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은 소정의 직류 전압이 저항 R14(425) 및 저항 R15(426)의 저항값들에 따라 분배된 전압으로 얻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전압 비교부(270)는 공진 전압 분배 파트(430)와 공진 전압 비교 파트(440)를 포함한다.
공진 전압 분배 파트(430)는 높은 공진 전압을 다운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항 R21(431), 저항 R22(432) 및 콘덴서 C21(433)를 포함한다.
공진 전압 비교 파트(440)는 공진 전압 분배 파트(430)에 의해 감소된 공진 전압 신호와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오드 D21(441), 저항 R23(442), 저항 R24(443), 콘덴서 C22(444), 콘덴서 C23(445), 저항 R25(446), 저항 R26(447) 및 연산 증폭기 OP21(428)를 포함한다.
공진 전압 분배 파트(430)에 의해 다운된 공진 전압 신호 다이오드 D21(441)를 통해 연산 증폭기 OP21(428)의 반전 단자에 제공된다. 한편, 연산 증폭기 OP21(428)의 비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이 제공되는데, 이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은 소정의 직류 전압이 저항 R25(446) 및 저항 R26(447)의 저항값들에 따라 분배된 전압으로 얻는다. 이 경우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은 스위칭 소자의 내압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 전압 공진부(260)와 공진 전압 비교부(270) 각각의 출력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공통시키고 또한 이 공통 신호를 스위칭 강제 출력 신호를 반전하기 위한 통합 신호 생성부(450)를 더 포함한다.
통합 신호 생성부(450)는 이를 위해, 연산 증폭기 OP31(463)를 포함하는데, 연산 증폭기 OP31(463)의 반전 단자에는 저항 R31(451), 저항 R32(452), 저항 R33(453) 및 콘덴서 C31(454)이 연결되고, 연산 증폭기 OP31(463)의 비반전 단자에는 저항 R34(455), 저항 R35(456) 및 콘덴서 C32(457)이 연결된다. 그리고 연산 증폭기 OP31(463)의 출력 단자에는 저항 R36(458), 저항 R38(464) 및 콘덴서 C33(459)이 연결되어 있고, 콘덴서 C33(459)에는 다이오드 D31(460)과 다이오드 D31(460)를 통해 저항 R37(461)이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오드 D32(462)가 콘덴서 C33(459)과 연산 증폭기 OP31(463)의 비반전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연산 증폭기 OP31(463)는 정상적인 경우 소정의 직류 전압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들의 저항값들에 의해, 반전 단자의 입력 전압이 비반전 단자의 입력 전압보다 높다. 그러나 입력 전압 비교 파트(420) 또는 공진 전압 비교 파트(440) 각각의 출력 전압이 로우 레벨이 되면, 연산 증폭기 OP31(463)의 반전 단자의 전압이 비반전 단자의 전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연산 증폭기 OP31(463)는 하이 레벨, 즉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합 신호 생성부를 제공함으로써, 입력 전압 비교 파트(420) 또는 공진 전압 비교 파트(440) 각각의 출력 전압을 반전시키는 위해 필요한 각 회로들을 하나로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전원 공급부 220: 가열부
230: 스위칭부 240: 스위칭 구동부
250: 입력 전압 검출부 252: 발진 전압 생성부
254: 구동 펄스 생성부 260: 입력 전압 비교부
270: 공진 전압 비교부 280: 입력 조작부
282: 디스플레이부 290: 제어부
450: 통합 신호 생성부

Claims (8)

  1. 워킹 코일과 공진 콘덴서를 구비한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의 전단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입력 전압 비교부와,
    상기 워킹 코일의 후단으로부터 공전 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공진 전압 비교부와,
    상기 가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해 스위칭 턴온 신호 또는 스위칭 턴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구동부와,
    구동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 구동부로 출력하고, 상기 입력 전압 비교부 및 상기 공진 전압 비교부의 출력 전압들 중 어느 하나라도 과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구동 펄스를 정지시키는 구동 펄스 생성부와, 및
    상기 입력 전압 비교부 및 상기 공진 전압 비교부의 출력 전압들 중 어느 하나라도 과전압 상태이면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 구동부로 출력하는 통합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펄스 생성부는 스위칭 강제 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 펄스 출력과 관련된 두 군데에 정지 레벨을 제공하여 이중으로 구동 펄스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신호 생성부는 비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통합 기준 전압이 제공되고, 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직류 전압이 분배된 디폴트 전압과 상기 입력 전압 비교부 및 상기 공진 전압 비교부의 출력 전압들이 통합된 하나의 전압이 제공되는 통합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 비교부는 입력 전압을 다운시키기 위한 입력 전압 배분 파트와 다운된 입력 전압과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입력 전압 비교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 비교 파트는 반전 단자에는 다운된 입력 전압이 제공되고 비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입력 기준 전압이 제공되는 입력 전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전압 비교부는 공진 전압을 다운시키기 위한 공진 전압 배분 파트와 다운된 공진 전압과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공진 전압 비교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전압 비교 파트는 반전 단자에는 다운된 공진 전압이 제공되고 비반전 단자에는 소정의 공진 기준 전압이 제공되는 공진 전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KR1020130109485A 2013-09-12 2013-09-12 유도 가열 조리기 KR10146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85A KR101462094B1 (ko) 2013-09-12 2013-09-12 유도 가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85A KR101462094B1 (ko) 2013-09-12 2013-09-12 유도 가열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094B1 true KR101462094B1 (ko) 2014-11-17

Family

ID=5229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485A KR101462094B1 (ko) 2013-09-12 2013-09-12 유도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411B1 (ko) * 2019-01-31 2020-08-07 (주)쿠첸 주파수 간섭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킨 조리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074A (ko) * 2008-05-06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보호회로 및 보호회로를 포함하는유도가열 조리기기
KR20120098362A (ko) * 2011-02-25 2012-09-05 자원전자 주식회사 스위칭소자 보호 기능이 구비된 전압 공진형 유도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074A (ko) * 2008-05-06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보호회로 및 보호회로를 포함하는유도가열 조리기기
KR20120098362A (ko) * 2011-02-25 2012-09-05 자원전자 주식회사 스위칭소자 보호 기능이 구비된 전압 공진형 유도가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411B1 (ko) * 2019-01-31 2020-08-07 (주)쿠첸 주파수 간섭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킨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8720B1 (en) Circuit for driving an HID lamp
US5777864A (en) Resonant converter control system having resonant current phase detection
US9313830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circuit therefor
KR100629334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62093B1 (ko) 조리용기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
KR101462094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WO2018010785A1 (en) Ac power control
JP4301867B2 (ja) 高周波加熱装置のインバータ電源制御回路
EP2950620B1 (en) Universal digital dimmer
CN110099469B (zh) 电磁感应加热装置及其保护控制电路
KR102238457B1 (ko)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82549B1 (ko) 복합 전기 레인지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KR100904237B1 (ko) 유도 가열 회로의 오프 타임 제어 장치
JP320794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432710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410304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및 그를 구비한 전기 레인지
JP2003070641A (ja) 電磁誘導加熱式炊飯器
KR100206832B1 (ko) 전자조리기의 스위칭소자 보호회로
KR100712840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전류 제어방법
JP318695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175715Y1 (ko) 유도가열장치
KR950002893Y1 (ko) 인버터 전자레인지
KR200175716Y1 (ko)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KR200388619Y1 (ko) 고장 또는 작동 불량을 방지하는 전자압력밥솥
JP2008182831A (ja) 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