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716Y1 -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716Y1
KR200175716Y1 KR2019990020951U KR19990020951U KR200175716Y1 KR 200175716 Y1 KR200175716 Y1 KR 200175716Y1 KR 2019990020951 U KR2019990020951 U KR 2019990020951U KR 19990020951 U KR19990020951 U KR 19990020951U KR 200175716 Y1 KR200175716 Y1 KR 200175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monostable
microwave oven
voltag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학
Original Assignee
이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2019990020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1Circuits comprising an inverter, a boost transformer and a magnetr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4Aspects rela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초단파 에너지를 발생시켜 전자레인지 내부의 대상물을 가열하는 MGT 수단과, 2차 전압을 발생시켜 MGT 수단에 제공하는 고압 트랜스포머, 고압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과 병렬로 접속된 공진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고압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을 고속으로 스위칭시킴으로써 고압 트랜스포머에 2차전압을 유도시키는 공진회로, 고압 트랜스포머의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의 스위칭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안정 발진수단, 단안정 발진수단을 통해 입수된 펄스파형에 따라 공진회로의 공진 캐패시터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스위칭 전력소자, 공진회로 양단으로부터 위상차 신호를 입수하여 자극신호로 변환한 다음, 단안정 발진수단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위상 검출수단, 고압 트랜스포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제어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스위칭 펄스신호의 펄스크기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수단 및 출력 제어수단과 스위칭 전력소자간을 연결하여 공진회로로부터 발생된 이상 과전압으로부터 스위칭 전력소자를 보호하는 과전압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출력, 즉 고압 트랜스포머의 2차 전력이 연속적으로 가변되게 함으로써, 조리 대상(음식물)의 열이 섬세하게 조절되어 맛좋은 음식을 요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과도한 공진 펄스전압에 의해 스위 칭 전력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INVERTER UNIT FOR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레인지 장치의 출력을 아날로그로 제어하고, 고출력을 실현하며, 공진회로의 이상 과전압으로부터 스위칭 전력소자가 보호되도록 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INVERTER)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 발진관의 음극 필라멘트를 가열하고, 양극에 약 4천 볼트의 고압을 가함으로써 마그네트론 발진관이 발진하여 초단파 에너지를 방사하도록 한다. 초단파 에너지는 일정한 공간 내에서 수분을 함유한 대상물(음식 재료)을 만나면 열로 변환되는 특성이 있는데, 전자레인지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때 발진을 위한 약 4천 볼트의 양극 전압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일반 철심 코어 형태의 승압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였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6)의 제어에 의하여 계전기(18)가 통전되어 고압 트랜스포머(5)에 상용 교류전류가 흐르면, 고압 트랜스포머(5) 2차측의 별도로 분리된 2개의 권선에 2차 전압이 유기되는데, 하나의 권선에는 마그네트론 발진관의 음(-)극 필라멘트를 가열하기 위한 수 볼트의 전압이 걸리고, 다른 하나의 권선에는 양(+)극에 가해질 수천 볼트의 교류 펄스 전압이 걸린다.
마그네트론 발진관의 양극에는 직류를 걸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MGT(Magnetron Tube) 수단(4)에서는 정류와 평활 작용을 수행하는 수단을 함께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 발진관의 음극 필라멘트를 가열하고 양극에 약 4천 볼트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마그네트론 발진관이 발진하여 초단파 에너지를 방사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한다.
그러나 철심 코어를 사용한 상기 상용 교류전원(60Hz)용 승압 트랜스포머(5)는 무게가 매우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고출력을 실현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일반적으로 800W정도의 출력이 거의 표준으로 정착되어 있다.
전자레인지의 출력은 고압 트랜스포머(5)의 2차 전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데, 2차 전압이 높으면 출력도 증가하는, 즉 출력은 2차 전압에 정비례한다. 일반 철심 코어 방식의 승압 트랜스포머(5)를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도,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역시 2차 전압을 높여줘야 한다.
그러나 2차 전압이 커져서 증가하는 출력만큼, 전력을 키워 주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승압 트랜스포머의 크기(용량)가 매우 비대해져, 원가상승과 취 급상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800W보다 큰 출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승압 트랜스포머의 크기(용량)를 키울 수 밖에 없는데, 이는 기술적인 어려움 외에도 취급상의 곤란함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고작 1KW 수준이 한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종래의 전자레인지가 가지고 있는 또 하나의 취약점은 출력을 조절함에 있어, 아날로그(Analog)적 연속 제어가 불가능하여 듀티 싸이클(Duty Cycle) 제어법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낮은 출력부터 높은 출력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서 제어하는 아날로그 제어법에 비해, 듀티 싸이클 제어법은 정격 최대출력의 파워를 온(ON) 시간과 오프(OFF) 시간의 비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이다. 즉, 온 시간을 짧게 주고 오프시간을 길게 주면 저출력이 되고, 반대로 온 시간을 길게 주고 오프 시간을 짧게 주면 고출력이 되도록 하는 이치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조리 대상의 온도변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조리 음식의 맛이 떨어지게 된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출력을 아날로그적으로 연속 가변하게 함으로서, 조리 대상(음식물)의 열이 섬세하게 조절되어 맛좋은 음식을 요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과도한 공진 펄스전압에 의해 스위칭 전력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내구성을 향상시킨,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블럭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상세 회로도.
도 4 는 스타트 신호에 의한 도 3 의 각부분 파형도.
도 5 는 PWM 변화에 의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간 저항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6 은 과다 펄스 전압에 의한 과전압 검출수단의 응답특성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용 교류전원 2 : 정류회로
3 : 필터(FILTER) 4 : MGT(Magnetron Tube)수단
5 : 고압 트랜스포머 6 : 공진 캐패시터
7 : 공진 회로 8 : 스위칭 전력소자
9 : 버퍼(BUFFER)수단 10 : 과전압 검출수단
11 : 위상 검출수단 12 : 단안정 발진수단
13 : 출력 제어수단
14 : 스타트 신호 발생수단 및 온/오프 제어수단
15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16 :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
17 : 전류 검출수단 18 : 계전기(RELAY) 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실시예는,
초단파 에너지를 발생시켜 전자레인지 내부의 대상물을 가열하는 MGT(Magnetron Tube) 수단, 2차 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MGT 수단에 제공하는 고압 트랜스포머,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과 병렬로 접속된 공진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을 고속으로 스위칭시킴으로써,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에 2차전압을 유도시키는 공진회로,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의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의 스위칭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안정 발진수단,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을 통해 입수된 펄스파형에 따라 상기 공진회로의 공진 캐패시터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스위칭 전력소자, 상기 공진회로 양단으로부터 위상차 신호를 입수하여 자극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위상 검출수단,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제어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의 펄스크기를 제어하 는 출력 제어수단 및 상기 출력 제어수단과 상기 스위칭 전력소자간을 연결하여, 상기 공진회로로부터 발생된 이상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스위칭 전력소자를 보호하는 과전압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는, 반도체를 통한 발진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마그네트론 발진관에 공급하는 2차 전압의 크기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다.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2차 전압의 가변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킴으로써 간단히 수행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승압(고압) 트랜스포머는 훼라이트 코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철심형 승압 트랜스포머에 비해 부피는 약 1/4 이하이고 무게는 약 1/100에 불과하여, 저출력(800W수준)용과 고출력(1.3KW수준)용에 있어서 외관과 원가차이가 거의 없는데 반해, 종래의 철심형 승압 트랜스포머는 고출력으로 갈수록 가격이 매우 비싸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압을 발생하는 고압 트랜스포머(5)와, 공진 캐패시터(6), 스위칭 전력소자(8), 위상 검출수단(11), 스위칭 펄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안정 발진수단(12),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15), 출력 제어수단(13) 및 이상 과전압으로부터 스위칭 전력소자를 보호하는 과전압 검출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에 대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기본 동작 원리는, 고압 트랜스포머(5)의 1차측을 고속(약 30Khz)으로 스위칭시켜, 2차측에 고압을 유기시키는 것인데, 이 부분에 있어서 종래의 전자레인지와 크게 다른 점은 취급하는 주파수가 매우 높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에 사용되는 고압 트랜스포머(5)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 사용하는 철심 코어에 비해 고주파 손실이 적은 훼라이트 코어를 사용해야 한다.
2차 전압을 발생시키는 원천 에너지는, 공진 캐패시터(6)와 고압 트랜스포머(5)의 1차 코일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병렬 공진회로(7)에서 생성된 약 30kHz의 고주파 공진 펄스전압이다. 이 공진 펄스전압의 크기는 장치의 사용 전원전압 또는, 조리 내용물(부하)의 양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또한, 어떤 외부 요인에 의해 전원선을 타고 흘러 들어온 강한 서지(Surge)전압이 정상전원과 다름없이 정류 과정을 거쳐 공진회로(7)에 인가되면, 스위칭 전력소자(8)의 컬렉터(Collector)에는 매우 큰 역기전압(공진 펄스전압)이 발생한다. 이 역기전압이 스위칭 전력소자(8)의 절대정격 내전압보다 높으면, 스위칭 전력소자(8)는 곧바로 손상되어 더 이상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과도한 공진 펄스전압에 의해 스위칭 전력소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진 펄스전압이 스위칭 전력소자의 내전압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공진 펄스전압은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출력이 클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공진 펄스전압이 허용 임계수준(스위칭 전력소자의 내전압)에 근접하거나 넘을 징후가 보일 경우, 자동적으로 출력을 낮춰줌으로써 공진 펄스전압의 과도한 상승으로 인한 스위칭 전력소자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3 의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용 교류전원(1)은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전원 소스(SOURCE)이고, 정류회로(2)는 상기 교류전원(1)을 직류로 변환하며, 필터(3)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원 노이즈의 외부방출을 저지한다. MGT 수단(4)은 마그네트론 발진부로서 동작하며, 공진회로(7)는 2차 전압을 유도시키기 위한 공진 펄스를 생성한다.
스위칭 전력소자(8)는 버퍼수단(9)을 통해 입수한 펄스파형에 따라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간을 단속함으로서, 공진회로(7)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게 하여 유도 작용이 이뤄지도록 한다.
전류 검출수단(17)은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에 흐르는 전류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16)의 제어하에 들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교류전원(1)으로부터 감지된 전류값을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16)에 제공 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장치의 초기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에 전원을 투입하거나, 또는 사용 대기중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16)은 단안정 발진수단(12)의 발진작용을 정지시키기 위해 P1 단자에 로직 하이(LOGIC HIGH)를 출력하고, 동작 개시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SOFT START) 듀티 로우(DUTY LOW)비가 최대인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를 P6 단자를 통해 출력한다.(도 5 의 P6 참조)
상기와 같은 절차를 통해 초기화가 수행된 이후, 동작 개시를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16)이 P1 단자를 로직 로우(LOGIC LOW)로 바꾸면, 온/오프 제어수단(14)내 포토 트랜지스터(141)의 컬렉터(COLLECTOR)가 로직 하이가 되어 단안정 발진수단(12)을 활성화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스타트 신호 발생수단(14)내 풀업(PULL UP) 저항(143)과 캐패시터(144)를 통해 생성된 미분 펄스가 P2단자로 트리거 출력됨으로서 단안정 발진수단(12)을 발진개시 시킨다.
온/오프 제어수단(14)내의 다이오드(145)와 스타트 신호 발생수단(14)내의 다이오드(142)는, 스타트 신호의 발생과 온/오프의 제어가 트랜지스터(141)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14)은 외부(즉, 스타트 신호 발생수단)로부터 자극신호(트리거; TRIGGER)를 받아야만 발진을 하며, 자극신호의 공급을 중단하면 즉시 발진을 멈추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의 단안정 발진기로 끊임없이 연속된 발진 신호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매 발진 주기마다 자극신호를 넣어주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에서는, 공진회로(7) 양단으로부터 입수한 위상차 신호를 위상 검출수단(11)을 사용하여 자극신호로 변환한 뒤, 단안정 발진수단(12)에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본 고안은, 상시 스스로 발진하는 자려식 발진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 자극이 가해져야만 그때그때 한발씩 펄스를 출력하는 다소 불편한 단안정 발진수단을 적용하는데, 그 이유는 공진회로(7)의 공진 시정수와 발진수단(12)의 발진 타이밍을 동기시키기 위해서이다.
공진회로(7)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는, AC전원을 곧바로 정류한 DC를 전류원으로 하기 때문에, 자칫 구동 타이밍이 조금이라도 흐트러지면 스위칭 전력소자(8)가 사정없이 파손된다.
공진회로(7)의 공진 시정수는 장치의 구조공차와 조리 내용물(부하)의 양과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는데, 발진 타이밍이 이러한 요인들에 선형적이고 능동적으로 적응하지 못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소자(8)의 빈번한 파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공진회로(7)와 발진회로 간에는 반드시 타이밍적 동기가 이뤄져야 하며, 이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공진회로(7)와 발진회로를 가장 손쉽게 동기시키기 위하여 단안정 발진수단(12)을 도입하였다.
단안정 발진수단(12)에 있어서, V12b는 컴페레이터(127)의 반전 입력단(-) 기준전압이고, V12a는 컴페레이터(127)의 비 반전 입력단(+) 기준전압이다. 상기 V12b와 V12a는 서로가 교류적으로 임피던스 0 이고, 직류적으로 항시 V12b > V12a 의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에, 컴페레이터(127)의 출력은 통상 로직 로우((LOGIC LOW)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단안정 발진수단(12)내의 저항(121)과 저항(122)은 미분회로의 방전통로와 비 반전 입력단(+)의 바이어스 공급을 겸하며, 저항(125)과 저항(126)은 정궤환 미분펄스의 펄스크기 제어용으로서 이들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는 스타트 신호에 의한 도 3 의 각 부분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동작 사이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 개시를 위해 도 4 의 P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6)의 P1 단자가 로직 하이(LOGIC HIGH)에서 로직 로우(LOGIC LOW)로 바뀌면, 온/오프 제어수단(14)의 포토 트랜지스터(141)의 컬렉터가 반전되어 로직 하이(LOGIC HIGH)가 되므로, 단안정 발진수단(12)의 컴페레이터(127)가 활성화된다.
동시에 도 4 의 P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2 단자로 입력된 미분 펄스는 아주 짧은 동안 다이오드(124)를 통해 컴페레이터(127)의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되어, 컴페레이터(127)의 출력이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바뀌게 한 후 바로 소멸된다.
이를 그대로 두면 출력 펄스폭이 매우 짧아(수 마이크로 초), 결국 스위칭 전력소자(8)를 구동시킬 수 없다. 스위칭 전력소자(8)가 정상적으로 도통되도록 하 기 위해서는 컴페레이터(127)의 출력을 적어도 수십 마이크로 초 정도동안 하이(HIGH)로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컴페레이터(127)의 출력을 일정기간(수십 마이크로초) 동안 하이(HIGH)로 묶어두기 위하여, 미분 펄스를 정궤환 시키는 펄스 궤환법을 적용하였다.
도 4 의 P2에 나타낸 바와 같은 P2 트리거에 의해 컴페레이터(127) 출력이 일단 하이(HIGH)가 되면, 이와 동시에 궤환 캐패시터(129)가 충전된다. 캐패시터(129)의 충전 전압은 분압저항(125)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32)의 드레인(DRAIN)-소스(SOURCE)간 저항(Rds)에 의해 일부 감쇄된 후, 또 하나의 분압저항(126)을 통해 컴페레이터(127)의 비 반전 입력단(+)에 인가된다.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된 궤환 캐패시터(129)의 충전 전압은 인가 초기에는 V12b보다 높지만, 분압저항(125)과 Rds를 통해 서서히 방전되면서 V12b 이하로 낮아지는데, 컴페레이터(127)의 출력 P4가 하이(HIGH)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상기 궤환 캐패시터(129)의 충전전압이 V12b보다 높은 동안이다.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출력은 공진회로(7)에 흘려주는 펄스 전류량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는 결국 버퍼수단(9)을 통해 스위칭 전력소자(8)에 인가되는 구동펄스 P4'의 하이(HIGH) 폭에 따라 결정된다. 즉, 구동펄스의 하이(HIGH)폭을 늘려주면 출력이 증가하고, 반대로 하이(HIGH)폭을 줄여주면 출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컴페레이터(127)의 출력 P4는 버퍼수단(9)을 통해 결국 스위칭 전력소자(8)의 구동신호 P4'가 되므로, 분압저항(125)과 Rds의 변화에 의한 하이(HIGH) 폭 변경은 출력 제어의 기본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15)은 정전압 발생부(152)를 구비하여 안정화된 기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전압을 저항(154)을 통해 파이(π)형 필터(153,155,156,157)에 공급한다. 파이형 필터는 PWM 파를 안정화한다.
이와같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15)내에 정전압 발생부(152)를 구비한 이유는 이곳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결국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출력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가 되므로, 매우 정확한 기준 전압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도 5 는 PWM 변화에 의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32)의 Rds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16)의 P6 단자로부터 출력된 펄스폭 변조(PWM) 신호 P6는 저항(153)과 캐패시터(155), 저항(156)과 캐패시터(157)로 구성된 파이(π)형 필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출력 제어수단(13)으로 공급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15)으로부터 출력 제어수단(13)으로 입력된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저항(131)을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32)의 게이트(GATE)에 인가되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32)의 Rds 특성을 변화시킨다.
즉, 아날로그 신호전압이 높으면 Rds값이 낮아져 궤환 커패시터(129)에 충전된 펄스전압의 방전이 촉진되므로 결과적으로 출력이 감소되고, 역으로 아날로그 신호전압이 낮아지면 Rds값이 높아지므로 반대로 출력이 증가한다.
도 5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6)이 출력하는 PWM 파형 P6의 형상에 따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32)의 Rds 특성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은 과전압으로부터 스위칭 전력소자(8)를 보호하는 일이다. 여기에서 언급하는 과전압이라 함은 스위칭 전력소자(8)의 컬렉터에 걸리는 공진전압이 컬렉터와 에미터간 절대정격 내전압에 근접하거나 이를 넘는 과도한 전압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과전압으로부터 스위칭 전력소자(8)를 보호하기 위해 출력 제어수단(13)과 스위칭 전력소자(8)간을 연결하는 과전압 검출수단(10)을 구비한다.
도 6 은 과다 펄스전압에 의한 과전압 검출수단(10)의 응답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압 검출수단(10)내의 저항(101)과 저항(102)은 P5에 발생한 과전압을 제너전압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낮춰서 제너효과 다이오드(103)에 역방향으로 인가한다.
제너효과 다이오드(103)에 역방향으로 인가된 전압이 제너전압보다 높으면, 제너효과 다이오드(103)는 바이패스 저항(104)을 통해 통전된다. 이때 바이패스 저항(104) 양단에는 일정 수준의 전압강하가 발생하는데, 이는 임피던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에미터 폴로워 구동방식을 통해 임피던스를 낮춰서 출력 제어수단(13)에 인가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106)는 컬렉터가 VCC에 접속되고 베이스에 신호를 가한 후 에미터에서 출력을 얻는, 전형적인 에미터 폴로워 구동 방식을 사용한다.
저항(105)은 트랜지스터(106)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한하고, 캐패시 터(108)는 에미터에 흐르는 펄스 전류를 충전하여 연속된 직류신호로 만들며, 다이오드(107)는 캐패시터(108)에 모인 과전압 검출 신호를 출력 제어수단(13)으로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제어수단(13)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32) 게이트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32)의 Rds가 낮아져서 출력이 감소되므로, 결과적으로 스위칭 전력소자(8)의 파손이 예방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에 있어서, 개시되는 고안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PWM 파형을 사용하여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의 출력을 아날로그적으로 연속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조리 대상(음식물)의 열이 섬세하게 조절되어 맛좋은 요리가 실현되도록 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과전압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과도한 공진 펄스전압에 의해 스위칭 전력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출력화 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이에대한 원가상승 비중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초단파 에너지를 발생시켜 전자레인지 내부의 대상물을 가열하는 MGT(Magnetron Tube) 수단과;
    2차 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MGT 수단에 제공하는 고압 트랜스포머;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과 병렬로 접속된 공진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을 고속으로 스위칭시킴으로써,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에 2차전압을 유도시키는 공진회로;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의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의 스위칭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안정 발진수단;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을 통해 입수된 펄스파형에 따라 상기 공진회로의 공진 캐패시터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스위칭 전력소자;
    상기 공진회로 양단으로부터 위상차 신호를 입수하여 자극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위상 검출수단;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제어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의 펄스크기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수단; 및
    상기 출력 제어수단과 상기 스위칭 전력소자간을 연결하여, 상기 공진회로로부터 발생된 이상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스위칭 전력소자를 보호하는 과전압 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는,
    고주파 손실이 적은 훼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수단은,
    상기 공진회로의 공진 시정수와 상기 발진기의 발진 타이밍을 동기시키기 위하여, 매 발진주기마다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으로 상기 자극신호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은, 안정화된 기준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정전압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은,
    상기 스위칭 전력소자가 정상적으로 도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미분펄스를 정궤환시킴으로써 로직 하이(LOGIC HIGH) 출력을 유지하는 펄스 궤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형태의 디지털 제어값으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에 의하여,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스위칭 펄스신호의 펄스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전자레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PWM 형태의 디지털 제어값을, 상기 디지털 제어값에 해당하는 크기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파이(π)형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수단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의하여 드레인-소스간 저항(Rds)의 값이 변화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검출수단은, 상기 스위칭 전력소자에서 발생된 과전압을 입력받는 제너효과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검출수단은, 상기 제너효과 다이오드를 통해 제공된 신호의 임피던스를 낮춰서 상기 출력 제어수단으로 인가하는 에미터 폴로워로 구성된 출력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에 의하여,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을 활성화시키는 온/오프 제어수단과;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상기 단안정 발진수단의 발진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타트신호 발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KR2019990020951U 1999-09-30 1999-09-30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KR200175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51U KR200175716Y1 (ko) 1999-09-30 1999-09-30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51U KR200175716Y1 (ko) 1999-09-30 1999-09-30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716Y1 true KR200175716Y1 (ko) 2000-03-15

Family

ID=1959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951U KR200175716Y1 (ko) 1999-09-30 1999-09-30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7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226B2 (en) 2001-03-09 2003-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226B2 (en) 2001-03-09 2003-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3165A (en) Power supply for a microwave magnetron
US4112287A (en) Central oscillator for induction range using triac burner controls
US6335520B1 (en) Microwave ove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0115015Y1 (ko) 스위칭소자 구동회로
US5001318A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with abnormal condition detection
GB2367196A (en) Microwave oven having a switching power supply Microwave oven having a switching power supply
US5045658A (en) Magnetron with temperature probe isolation
GB2366100A (en) Microwave oven having a switching power supply
KR200175716Y1 (ko) 전자레인지용 인버터 장치
US4816986A (en) Power control device for the magnetron of microwave oven
KR200175715Y1 (ko) 유도가열장치
JPH05242962A (ja) 電子レンジ用高周波電源装置
JP200432710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00007139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 제어 방법
KR100361027B1 (ko) 전자렌지
JPH0528717Y2 (ko)
KR0182524B1 (ko) 복합조리기의 전력제어장치 및 그 전력제어방법
JPH0227029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415599B2 (ko)
KR100253548B1 (ko) 유도가열 조리기
JPH0234135B2 (ko)
KR0152775B1 (ko) 복합조리기의 제어회로
KR920007544B1 (ko) 인버터 구동 전자레인지의 보호 회로
KR930011807B1 (ko) 고주파 가열장치
JPH05287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