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457B1 -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457B1
KR102238457B1 KR1020190015559A KR20190015559A KR102238457B1 KR 102238457 B1 KR102238457 B1 KR 102238457B1 KR 1020190015559 A KR1020190015559 A KR 1020190015559A KR 20190015559 A KR20190015559 A KR 20190015559A KR 102238457 B1 KR102238457 B1 KR 102238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urge
level
signal
referen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011A (ko
Inventor
김영국
조상진
윤기범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01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4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of short duration, e.g. light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부와, 입력 교류(AC)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에 대한 정류 처리를 수행하여 정류 전압을 제공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의 워킹 코일에 공진 전류가 인가되도록 스위치 구동 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회로와, 상기 조리 기기 내의 일 노드의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일 노드의 전압에 기인하는 입력 전압의 레벨보다 일정 비율 높은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을 비교한 함에 기반하여 서지(surge) 발생 여부를 감지한 서지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서지 감지기 및 상기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서지 감지기로부터 서지 감지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서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서지 발생에 대응하는 후속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Cooker for performing surge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로서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화구의 가열부를 구동함으로써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기기이다. 전기 레인지는 용기가 놓이는 화구의 워킹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고주파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가 워킹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된 용기에 와전류를 발생시켜 용기가 가열되는 원리로 동작한다.
전기 레인지는 상용 전원을 정류하여 정류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류 전압에 대한 스위칭 제어를 통해 가열부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기 레인지에 구비되는 스위칭 소자(예컨대, 인버터)가 스위치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정류 전압을 스위칭하고, 스위칭 동작에 기반하여 가열부에 공진 전류가 흐름에 따라 가열부의 워킹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된 용기에 와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상용 전원을 수신함에 있어서, 상용 전원이 수신되는 입력 AC 라인에 서지(surge)가 발생될 수 있으며, 조리 기기에 인버터가 사용되는 경우 서지 발생으로 인한 소음이 증가될 수 있으며, 또한 통신 장애 및 전력 소자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서지 발생을 검출하는 정확도를 향상하고, 서지 발생을 검출한 결과에 따라 조리 기기 내의 내부 소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부와, 입력 교류(AC)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에 대한 정류 처리를 수행하여 정류 전압을 제공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의 워킹 코일에 공진 전류가 인가되도록 스위치 구동 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회로와, 상기 조리 기기 내의 일 노드의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일 노드의 전압에 기인하는 입력 전압의 레벨보다 일정 비율 높은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을 비교한 함에 기반하여 서지(surge) 발생 여부를 감지한 서지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서지 감지기 및 상기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서지 감지기로부터 서지 감지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서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서지 발생에 대응하는 후속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조리 기기 내의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1 처리하여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2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압 신호보다 일정 비율만큼 레벨이 큰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3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압 신호보다 일정 비율만큼 레벨이 작은 제2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압 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압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전압의 레벨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대한 연산 처리를 통해 서지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서지 감지 결과는,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타이밍과,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타이밍에서 서지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파형을 갖는 전압 신호의 파형 변화를 기초로 서지 검출을 수행하므로, 급격히 전압 레벨이 증가하는 형태의 서지와 전압 레벨이 감소하는 형태의 서지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의하면, 서지 발생에 의한 영향이 작은 구간이나 서지 검출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는 구간에서 서지 검출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으므로 그 검출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 회로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지 감지기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리 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의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직류 전원 생성부(110), 스위칭 회로(120), 가열부(130), 서지(surge) 감지기(140) 및 제어 회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50)는 서지 관리 모듈(1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지 관리 모듈(151)은 상용 전원을 수신하는 조리 기기(100)의 입력 AC 라인을 통한 서지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판단 결과에 따라 서지로 인한 회로 손상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후속 처리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리 기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동작들을 위해 추가의 구성 요소가 조리 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화구에 피가열체(101)가 놓여졌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통신부 등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화구(미도시)를 포함하고,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체(101)를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상기 화구라는 용어는 다양하게 정의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화구는 용기 등의 피가열체가 놓여지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가열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00)가 다수 개의 화구들을 포함할 때, 일부의 화구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전자기 유도 작용을 통해 피가열체(101)를 가열하는 인덕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다른 일부의 화구는 열선이 포함된 금속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하는 핫플레이트, 열선이 분포되어 세라믹 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하는 하이라이트 등 다른 종류의 화구일 수도 있다.
피가열체(101)는 가열 장치(100)에 의해 가열되는 물체를 나타낼 수 있다. 피가열체(101)는 냄비, 프라이팬, 찜솥, 주전자 및 티포트 등과 같은 피가열 용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전기 레인지 이외의 다른 다양한 종류의 기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교류 전원(예컨대, 교류 전압 또는 교류 전류)을 생성하여 가열부를 구동하는 다른 다양한 종류의 가열 기기일 수도 있다.
직류 전원 생성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다이오드 브릿지 또는 브리지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전원 생성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정류 동작을 통해 정류 전압(또는, DC 링크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용 전원은 사용하는 국가 및/또는 지역에 따라 소정의 주파수(예컨대, 60 Hz 등)를 갖는 110V 교류 전원, 220V 교류 전원, 380V 교류 전원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전압 레벨을 갖는 교류 전원에 해당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120)는 생성된 정류 전압에 대한 고주파 스위칭 동작을 통해 가열부(130)의 워킹 코일로 고주파 교류 전원(예컨대, 교류 전류)이 흐르도록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워킹 코일에 교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워킹 코일은 화구 상에 놓여진 용기(101)와 전류 공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용기(101)가 발열되어 조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칭 회로(120)는 하나 이상의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위치 구동 신호(Ctrl_SW)에 응답하여 스위칭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인버터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IGB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인버터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MOS-FET 또는 IGCT(Integrated Gate-Commutated Thyristor) 등 다양한 종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스위칭 회로(120)는 하나의 IGBT를 포함함에 따라 싱글 엔디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또는, 스위칭 회로(120)는 두 개 이상의 IGBT들을 포함함에 따라 하프 브릿지 방식 또는 풀 브릿지 방식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서지 감지기(140)는 조리 기기(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의 변동에 대응하는 파형을 갖는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서지 감지기(140)는 직류 전원 생성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정류 전압을 입력 전압(Vol_I)으로서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Vol_I) 또는 상기 입력 전압(Vol_I)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내부 입력 전압(미도시)에 기반하여 서지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 AC 라인에 서지가 발생됨에 따라 입력 전압(Vol_I)의 파형에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동을 반영한(또는, 변동이 감지된)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지 감지기(140)는 조리 기기(100) 내의 다른 다양한 노드들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예로서, 서지 감지기(140)는 상용 전원이 전달되는 라인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서지가 발생됨에 따라 그 전압 레벨의 파형에 영향을 받는 다른 다양한 노드들에 연결되어 전술한 서지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서지 감지기(140)는 내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기준 전압을 입력 전압(Vol_I) 또는 내부 입력 전압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입력 전압(Vol_I)이 하나 이상의 기준 전압들과 비교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또는 입력 전압(Vol_I)의 레벨을 감소시킨 후 그 레벨이 감소된 내부 입력 전압과 하나 이상의 기준 전압들과 비교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입력 전압(Vol_I)은 서지 감지기(140)로 입력되는 전압 및 그 내부적으로 레벨이 감소된 전압을 총칭하는 용어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입력 전압(Vol_I)의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될 것이나, 상기 입력 전압(Vol_I)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서지 감지기(140)는 입력 전압(Vol_I)을 기준 전압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서지 감지기(140)는 입력 전압(Vol_I)을 기반으로 하여 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큰 제1 기준 전압(Ref_H)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 전압(Vol_I)을 기반으로 하여 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작은 제2 기준 전압(Ref_L)을 생성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서지는 순간적으로 전압 레벨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또는 급격히 감소하는 형태로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서지 입력에 따라 조리 기기(100)에 구비되는 회로 소자(예컨대, 저항 및 커패시터 등)의 임피던스 변동을 통해 서지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서지에 따른 전압 레벨의 변동이 임피던스를 크게 변동시킬 정도로 크지 않은 경우에는 서지의 감지 결과가 낮아지거나 서지가 감지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임피던스 변동을 통해 서지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전압 레벨이 급격히 감소하는 형태로 발생되는 서지가 감지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전술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서지 감지에 이용되는 입력 전압(Vol_I)을 기초로 하여 이보다 레벨이 큰 제1 기준 전압(Ref_H) 및 레벨이 작은 제2 기준 전압(Ref_L)을 생성하고, 이들에 대한 비교 동작에 기반하여 서지 감지 결과(Det_S)가 생성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임피던스 변동이 아닌 정류 전압(또는, 사인(sine)파 전압)의 파형 자체의 변형을 감지함으로써 서지 감지 결과(Det_S)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서지(예컨대, 전압 레벨이 감소하는 형태의 서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 회로(150)는 프로세서 또는 마이컴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함에 의해 조리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50)는 스위칭 회로(120)의 고주파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구동 신호(Ctrl_SW)를 생성하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50)는 스위치 구동 신호(Ctrl_SW)의 주파수 및/또는 듀티(duty)를 제어함으로써 가열 동작에서의 가열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서지 관리 모듈(151)은 서지 감지기(140)로부터의 서지 감지 결과(Det_S)에 기반하여 조리 기기(100)에서 서지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판단 결과에 따라 서지에 의한 소자 손상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후속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서지 관리 모듈(151)은 서지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제어 회로(150) 내의 각종 구성 요소들로 제공할 수 있다. 일 동작 예로서, 서지 발생에 의하여 스위칭 회로(120)의 인버터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 회로(150)는 서지 관리 모듈(15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스위치 구동 신호(Ctrl_SW)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서지 발생에 따른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다양한 후속 처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서지 발생에 따라 그 레벨이 변동된 전압이 조리 기기(100) 내부의 각종 회로 블록들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등의 후속 처리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200)는 직류 전원 생성부(210), 가열부(220), 스위칭 회로(230), 서지 감지기(240) 및 제어 회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스위칭 회로(23)가 하나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포함하는 싱글 엔디드 방식이 예시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위칭 회로(230)가 두 개 이상의 IGBT들을 포함하는 다른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직류 전원 생성부(210)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상용 전원에 대한 정류 동작을 수행하고, 정류된 전압을 가열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220)는 LC 공진 탱크를 구성하는 워킹 코일 및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회로(230)는 스위치 구동 신호(Ctrl_SW)에 응답하여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고주파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지 감지기(240)는 조리 기기(200) 내의 일 노드로부터의 입력 전압(Vol_I)을 수신하고, 서지 발생에 따라 입력 전압(Vol_I)의 파형이 변동될 때, 변동된 타이밍에서 활성화되는 펄스를 갖는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사인(sine)파 형태의 상용 전원을 정류한 정류 전압의 경우 양(+)의 값을 갖는 사인파 형태의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서지가 발생되는 타이밍에서 정류 전압의 레벨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서지 감지기(240)는 입력 전압(Vol_I)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입력 전압(Vol_I)보다 일정 비율 큰 제1 기준 전압(Ref_H)을 생성할 수 있다. 서지 감지기(240)는 입력 전압(Vol_I)과 제1 기준 전압(Ref_H)을 수신하고 그 레벨을 비교한 결과를 서지 감지 결과(Det_S)로서 출력하는 비교기(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동작 예로서, 비교기(241)로부터 출력되는 서지 감지 결과(Det_S)는 서지가 발생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입력 전압(Vol_I)이 제1 기준 전압(Ref_H)보다 작음을 나타내는 제1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서지가 발생되는 타이밍에서 입력 전압(Vol_I)이 제1 기준 전압(Ref_H)보다 큼에 따라 서지 감지 결과(Det_S)는 서지가 발생되는 타이밍에 대응하는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25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서지 감지 결과(Det_S)에 기반하여 서지 발생에 대응하여 조리 기기(200)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서지 발생에 따른 회로 소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칭 회로(230)를 일시적으로 턴 오프 시키거나, 조리 기기(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의 전원 제공 동작을 차단하는 등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지 감지기(240)는 입력 전압(Vol_I)과 이보다 일정 비율 작은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서지 감지 결과(Det_S)는 다수의 비교기들의 출력을 연산함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서지 감지기(240)는 다수의 비교기들의 출력을 연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직 회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 회로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회로(250)는 구동 신호 생성기(251), 인에이블 제어기(252), 서지 발생 판단기(253) 및 제어기(254)를 포함할 수 있다. 서지 발생 판단기(253)는 서지 감지기(240)로부터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기초로 서지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지 발생 판단기(253)는 서지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판단 결과(Det_G)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기(254)로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서지 감지 결과(Det_S)는 각종 신호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비교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전압(Vol_I)이 하나의 기준 전압으로서 제1 기준 전압(Ref_H)과 비교되는 경우에는 서지 감지 결과(Det_S)는 하나의 비교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전압(Vol_I)이 다수의 기준 전압으로서 제1 기준 전압(Ref_H) 및 입력 전압(Vol_I)보다 레벨이 작은 제2 기준 전압(미도시)과 각각 비교되는 경우에는 서지 감지 결과(Det_S)는 적어도 두 개의 비교 결과가 반영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서지 발생 판단기(253)는 서지 감지기(240)로부터의 서지 감지 결과(Det_S)에 기반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 서지 발생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인에이블 제어기(252)는 서지 발생 판단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ENA)를 생성하고 이를 서지 감지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인에이블 제어기(252)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ENA)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서지 발생을 감지하는 동작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술한 비교 결과에 따라 서지 감지 결과(Det_S)에 다수의 펄스들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인에이블 신호(ENA)가 비활성화되는 구간에서는 비교 결과에 무관하게 서지 감지 결과(Det_S)에서 펄스가 제거될 수 있다.
인에이블 신호(ENA)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소정 구간 동안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실제 서지 발생과 무관하게 조리 기기(200) 내에서 전압의 레벨이 급격히 변동될 수 있는 상황에서 인에이블 신호(ENA)를 비활성화하고, 이에 따라 서지가 발생된 것으로 잘못 감지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리 기기(200)의 초기 구동 시 용기를 감지하기 위해 스위칭 회로(230)로 소정의 펄스가 인가될 수 있으며, 인에이블 신호(ENA)는 용기 감지 구간 동안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예로서 조리 기기(200)의 동작 동안 스위칭 회로(230)를 즉시 턴 오프시키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상 상황에서 서지가 발생된 것으로 잘못 판단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인에이블 신호(ENA)가 비활성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의 예에서는, 인에이블 제어기(252)가 인에이블 신호(ENA)를 외부로 제공하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될 필요가 없다. 일 예로서, 인에이블 제어기(252)는 인에이블 신호(ENA)를 서지 발생 판단기(253)로 제공하고, 서지 발생 판단기(253)는 인에이블 신호(ENA)가 비활성화되는 구간에서 서지 감지 결과(Det_S)에 펄스가 존재하더라도, 서지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254)는 판단 결과(Det_G)에 기반하여 제어 회로(250) 내부 및 외부에 대한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기(254)는 판단 결과(Det_G)에 기반하여 스위치 구동 신호(Ctrl_SW)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정보(Ctrl_E)를 구동 신호 생성기(251)로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 신호 생성기(251)는 제어 정보(Ctrl_E)에 응답하여 스위치 구동 신호(Ctrl_SW)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54)는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제어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 회로(250)는 제어기(254)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지 발생에 따른 영향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지 감지기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입력 전압에 대한 처리를 통해 제1 전압 신호(예컨대, 내부 입력 전압)이 생성되고, 상기 제1 전압 신호를 이용한 비교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신호에 비해 그 레벨이 일정 비율 큰 전압에 해당하고,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전압 신호에 비해 그 레벨이 일정 비율 작은 전압에 해당할 수 있다.
서지 감지기(300)는 비교 회로(310)와 하나 이상의 로직 회로들로서 제1 로직 회로(321) 및 제2 로직 회로(3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로직 회로(321)가 NAND 게이트를 포함하고 제2 로직 회로(331)가 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지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로직 회로들(321, 331)은 다른 다양한 종류의 게이트 회로들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 회로(310)는 입력 전압(Vol_I)을 수신하고, 다양한 레벨들의 전압 신호들이 전달되는 다수의 경로들(예컨대, 제1 내지 제4 경로들(Path1 ~ Path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경로(Path1)는 소정의 시정수를 갖는 시정수 회로(예컨대, RC 회로)와 서지를 포함하는 각종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로우 패스 필터(LPF_1)를 포함할 수 있다. RC 회로의 시정수의 값에 따라 제1 경로(Path1)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그 전압 레벨이 제1 전압 신호(Vol_II)에 비해 소정 비율만큼 클 수 있으며, 이는 서지를 감지하기 위한 사인파의 상한치 기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로우 패스 필터(LPF_1)는 컷 오프 주파수(cut-off frequency) 및 스커트 특성을 높이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 경로(Path3)는 소정의 시정수를 갖는 RC 회로와 로우 패스 필터(LPF_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경로(Path3)의 RC 회로의 시정수의 값에 따라 제3 경로(Path3)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그 전압 레벨이 제1 전압 신호(Vol_II)에 비해 소정 비율만큼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경로(Path2)는 입력 전압(Vol_I)에 대한 전압 분배를 수행하는 저항 회로를 포함하고, 전압 분배를 통해 그 레벨이 낮아진 제1 전압 신호(Vol_II)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경로(Path1)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 신호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 기준 전압(Ref_H)에 상응할 수 있으며, 제3 경로(Path3)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 신호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2 기준 전압(Ref_L)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지 감지기(310)는 제1 비교기(311) 및 제2 비교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RC 회로, 전압 분배 회로 등의 배치에 의해 상기 다수의 경로들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 신호의 레벨이 비교기의 동작 레벨 범위의 이내로 낮아질 수 있다.
제1 비교기(311)는 제1 전압 신호(Vol_II)와 제1 기준 전압(Ref_H)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COM1)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비교기(312)는 제1 전압 신호(Vol_II)과 제2 기준 전압(Ref_L)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COM2)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압 신호(Vol_II)의 레벨이 제1 기준 전압(Ref_H)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서지 발생에 의하여 입력 전압(Vol_I)의 레벨이 순간적으로 커졌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제1 전압 신호(Vol_II)의 레벨이 제2 기준 전압(Ref_L)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에는 서지 발생에 의하여 입력 전압(Vol_I)의 레벨이 순간적으로 낮아졌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로직 회로(321)는 제1 비교기(311) 및 제2 비교기(312)로부터 비교 결과들(COM1, COM2)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NAND 연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로직 회로(321)는 제1 전압 신호(Vol_II)의 레벨이 제1 기준 전압(Ref_H)을 초과하는 타이밍과 제1 전압 신호(Vol_II)의 레벨이 제2 기준 전압(Ref_L) 미만으로 낮아지는 타이밍에서 펄스를 갖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2 로직 회로(331)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로직 회로(331)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인에이블 신호(ENA)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된 신호들에 대한 AND 연산 처리를 통해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서지 감지기(310)는 제4 경로(Path4) 및 제3 비교기(3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경로(Path4)는 로우 패스 필터(LPF_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경로(Path4)에서 입력 전압(Vol_I)은 로우 패스 필터(LPF_3)를 통과하고, 제3 비교기(313)의 입력단으로 제2 전압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압 신호는 전술한 제1 전압 신호(Vol_II)에 대응하는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제3 비교기(313)는 제4 경로(Path4)를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압 신호와 소정의 전압 신호의 레벨을 비교할 수 있다. 도 4에는 조리 기기 내에서 이용되는 전원 전압(VDD)에 비해 소정의 비율을 갖는 1/6VDD, 2/6VDD, 3/6VDD, 4/6VDD 등의 전압이 제3 비교기(313)로 제공되는 전압 신호로서 예시되나, 제3 비교기(313)로 제공되는 전압의 레벨은 다양하게 변동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3 비교기(313)로 제공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 서지 감지 동작이 인이에블되는 구간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비교기(313)는 입력 전압(Vol_I)의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 이상인 구간에서 서지 감지 동작이 수행되도록 비교 결과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전압(Vol_I)이 소정의 사인파를 가지고, 그 레벨이 0 에 가까운 구간에서는 실질적으로 제1 전압 신호(Vol_II)와 제1 및 제2 기준 전압들(Ref_H, Ref_L)의 레벨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 때, 입력 전압(Vol_I)의 레벨이 0 에 가까운 구간에서는, 서지가 발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제1 전압 신호(Vol_II)의 레벨이 제1 기준 전압(Ref_H)보다 커지거나 제1 전압 신호(Vol_II)의 레벨이 제2 기준 전압(Ref_L)보다 작아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서지 감지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는 구간에서는 서지 감지 동작이 디스에이블되고, 제3 비교기(313)의 출력이 로직 하이가 되는 구간에서만 전술한 서지 감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 동작 예로서, 제2 로직 회로(331)는 제3 비교기(313)로부터의 출력을 더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로직 회로(331)는 제3 비교기(313)의 출력이 로직 하이를 유지하는 구간에서 서지가 발생된 타이밍에 대응하는 펄스를 갖는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 로직 회로(321) 및 제2 로직 회로(331)가 서지 감지기(30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될 필요가 없다. 일 예로서, 제1 로직 회로(321) 및 제2 로직 회로(331)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어 회로에 구비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만약, 제2 로직 회로(331)가 제어 회로에 구비되는 구성인 경우, 제어 회로는 제1 로직 회로(321)로부터의 출력을 서지 감지 결과(Det_S)로서 수신하고, 내부적으로 생성되는 인에이블 신호(ENA)와 제1 로직 회로(321)로부터의 서지 감지 결과(Det_S)를 연산함으로써 판단 결과(Det_G)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리 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의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Vol_I)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제1 전압 신호(Vol_II)는 양(+)의 레벨을 갖는 소정의 사인파를 가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회로 구성에 따라 제1 기준 전압(Ref_H)은 제1 전압 신호(Vol_II)에 비해 소정의 비율만큼 클 수 있으며, 제2 기준 전압(Ref_L)은 제1 전압 신호(Vol_II)에 비해 소정의 비율만큼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전압 신호(Vol_II)가 소정의 레벨 이하의 값을 갖는 구간(예컨대, a 구간)에서는 서지 감지 동작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비교기(313)의 출력(COM3)은 제1 전압 신호(Vol_II)가 소정의 레벨 이상을 갖는 구간에서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제1 비교기(311)의 출력은 서지가 발생됨에 따라 제1 전압 신호(Vol_II)가 제1 기준 전압(Ref_H)보다 큰 타이밍에서 펄스를 가지며, 또한 제2 비교기(312)의 출력은 서지가 발생됨에 따라 제1 전압 신호(Vol_II)가 제2 기준 전압(Ref_L)보다 작은 타이밍에서 펄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로직 회로(331)로부터의 서지 감지 결과(Det_S)는 제1 비교기(311)의 출력과 제2 비교기(312)의 출력에서의 펄스를 포함하는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비교기(313)의 출력(COM3)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서 제1 비교기(311)의 출력과 제2 비교기(312)의 출력에 펄스가 존재하더라도, 서지 감지 결과(Det_S)에서 제3 비교기(313)의 출력(COM3)이 비활성화되는 구간에서는 펄스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1 전압 신호(Vol_II)의 파형에서, 가장 오른쪽에 도시된 파형과 같이 제1 전압 신호(Vol_II)의 레벨이 정상적인 레벨보다 큰 이상 전압이 발생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제1 기준 전압(Ref_H) 및 제2 기준 전압(Ref_L)이 함께 그 레벨이 변동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상 전압 발생시에도 서지가 적절히 감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각종 신호들의 파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에서 제1 전압 신호(Vol_II), 제1 기준 전압(Ref_H) 및 제2 기준 전압(Ref_L)을 이용한 신호 처리는 다양하게 수행되고, 서지 발생이 검출될 수 있는 한에서 상기 파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전압 신호(Vol_II)는 입력 전압(Vol_I)에 대응하는 파형을 가질 수 있으며, 입력 전압(Vol_I)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기준 전압들(Ref_H, Ref_L)이 생성되고, 입력 전압(Vol_I)과 제1 및 제2 기준 전압들(Ref_H, Ref_L)이 비교되는 것으로 설명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상용 전원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정류 처리를 통해 정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류 전압은 다양한 파형의 직류 전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양(+)과 음(-)의 값을 교번하게 갖는 사인파 형태의 상용 전원에 대한 정류 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양(+)의 사인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정류 전압에 대한 평활화 동작을 통해 정류 전압은 그 형태가 완만하게 변동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리 기기는 정류 전압에 기반하여 그 레벨의 비교에 이용되는 입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S11).
또한, 조리 기기의 서지 감지기는 정류 전압을 이용하여 실제 비교기에 의해 비교되는 입력 전압보다 큰 레벨의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S12), 또한 입력 전압보다 작은 레벨의 제2 기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S13).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전압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기 판단될 수 있으므로 정류 전압과 무관하게 생성되거나, 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정류 전압에 대한 각종 처리를 통해 상기 정류 전압으로부터 제1 및 제2 기준 전압이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서지 발생 시 정류 전압(또는, 입력 전압)의 레벨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으며, 입력 전압의 레벨을 상기 제1/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함에 의해 서지가 감지될 수 있다(S14). 일 예로서, 입력 전압의 레벨을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한 결과는 전압 레벨이 급격히 증가하는 서지가 발생되는 타이밍에 활성화되는 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 전압의 레벨을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한 결과는 전압 레벨이 급격히 감소하는 서지가 발생되는 타이밍에 활성화되는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조리 기기에 포함되는 제어 회로는 서지 발생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S15), 서지 발생에 대응하여 소자 손상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후속 처리 절차가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16).
도 7은 서지 감지 동작에 인에이블/디스에이블 구간이 적용된 경우에서의 동작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는 상용 전원을 처리하여 사인파 형태의 정류 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S21), 또한 조리 기기의 서지 감지기는 정류 전압에 기인하는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비교 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입력 전압보다 일정 비율 큰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함과 함께(S22), 입력 전압보다 일정 비율 작은 제2 기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S23).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입력 전압의 레벨은 제1 및 제2 기준 전압들의 레벨과 비교될 수 있다(S24).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를 통해 서지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으며(S25), 서지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현재 서지 감지가 인에이블 구간에 해당하는 지가 판단될 수 있다(S26). 또한, 서지 감지가 활성화된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구간에 포함되는 펄스의 존재에 따라 서지가 발생된 것으로 최종 판단될 수 있다(S27).
만약, 서지 감지 동작이 인에이블 구간에 해당하는 지의 판단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서지 감지기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서지 감지기는 조리 기기의 제어 회로로부터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고,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전술한 비교 결과가 서지 발생을 나타내더라도 서지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펄스가 서지 감지 결과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서지 감지 동작이 인에이블 구간에 해당하는 지의 판단이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제어 회로는 서지 발생기로부터 서지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다수의 펄스들을 포함하는 서지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전술한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구간에 상기 서지 감지 결과에 펄스가 존재하더라도 서지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조리 기기에 있어서,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부;
    입력 교류(AC)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에 대한 정류 처리를 수행하여 정류 전압을 제공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의 워킹 코일에 공진 전류가 인가되도록 스위치 구동 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조리 기기 내의 일 노드의 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일 노드의 전압에 기인하는 입력 전압의 레벨보다 일정 비율 높은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을 비교함에 기반하여 서지(surge) 발생 여부를 감지한 서지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서지 감지기; 및
    상기 스위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서지 감지기로부터 서지 감지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서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서지 발생에 대응하는 후속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전압은 상기 상용 전원에 대한 정류 처리에 따라 소정의 주기에 따른 파형을 가지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입력 전압의 파형에 대응하여 그 레벨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서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서지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위치 구동 신호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노드는 상기 정류 전압이 인가되는 노드에 해당하고,
    상기 서지 감지기는,
    상기 정류 전압을 수신하고, 제1 시정수 회로를 통해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보다 일정 비율 높게 생성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전달하는 제1 경로;
    전압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 전압을 분배한 전압을 상기 입력 전압으로서 전달하는 제2 경로; 및
    상기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서지 발생에 따른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 변동을 감소하기 위한 로우패스 필터(LPF)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감지기는,
    상기 정류 전압을 수신하고, 제2 시정수 회로를 통해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보다 일정 비율 낮게 생성되는 제2 기준 전압을 전달하는 제3 경로; 및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감지 결과는,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타이밍과, 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작은 타이밍에서 활성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감지기는,
    상기 정류 전압에 대한 로우 패스 필터링을 수행한 제1 전압 신호를 전달하는 제4 경로; 및
    상기 제1 전압 신호와 상기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2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그 레벨을 비교한 제3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3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2 전압 신호보다 작은 구간에서 상기 서지 감지기의 서지 감지 동작이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감지기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연산 처리를 통해 서지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1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로직 회로; 및
    상기 제1 처리 결과와 상기 제3 비교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연산 처리를 통해 상기 제1 전압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2 전압 신호보다 작은 구간에 존재하는 펄스가 제거된 상기 서지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제2 로직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서지 감지기의 서지 감지 동작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로직 회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되는 구간에서 상기 서지 감지 결과에서 펄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0.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 내의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1 처리하여 소정의 주기에 따른 전압 파형을 갖는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2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압 신호보다 일정 비율만큼 레벨이 크며 상기 제1 전압 신호의 파형에 대응하여 그 레벨이 변동되는 제1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3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압 신호보다 일정 비율만큼 레벨이 작으며 상기 제1 전압 신호의 파형에 대응하여 그 레벨이 변동되는 제2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압 신호와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압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전압의 레벨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대한 연산 처리를 통해 서지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서지 감지 결과는,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타이밍과, 상기 제1 전압 신호가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작은 타이밍에서 서지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 내의 일 노드는 상용 전원을 정류한 정류 전압이 인가되는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신호는 사인파 형태의 전압 파형을 가지며,
    상기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4 처리하여 상기 제1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파형을 갖는 제2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압 신호와 소정의 전압 레벨을 비교한 제3 비교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대한 연산 처리의 수행 결과와 상기 제3 비교 결과를 이용한 연산을 통해, 상기 제2 전압 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작은 구간에서는 서지를 감지하는 동작이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신호는 상기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한 전압 분배를 통해 생성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일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시정수 회로를 적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에 따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이 상기 제1 전압 신호보다 일정 비율만큼 레벨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190015559A 2019-02-11 2019-02-11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3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59A KR102238457B1 (ko) 2019-02-11 2019-02-11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59A KR102238457B1 (ko) 2019-02-11 2019-02-11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11A KR20200098011A (ko) 2020-08-20
KR102238457B1 true KR102238457B1 (ko) 2021-04-09

Family

ID=7224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59A KR102238457B1 (ko) 2019-02-11 2019-02-11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690B1 (ko) * 2022-03-18 2023-08-08 주식회사 에코위더스 스마트 인덕션 조리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833A (ja) * 2004-09-07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833A (ja) * 2004-09-07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11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121B1 (ko) 전자조리기
US8901466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associated operating and saucepan detection method
EP1667491B1 (en) Inverter circuit for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cooking appliance having such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EP1528839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238457B1 (ko) 서지 검출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6870144B2 (en) Inverter circuit of induction heating rice cooker
JP2004071444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102142412B1 (ko) Emi를 감소시킨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11464084B2 (en) Cooking vessel detection apparatus, cooking vessel detection method,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2175634B1 (ko) 동작 안정성을 향상한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42411B1 (ko) 주파수 간섭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킨 조리 기기
JP6839308B2 (ja) 電子レンジ回路、電子レンジ回路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と電子レンジ
CN112449451B (zh) 电磁炉与其操作方法
KR102201065B1 (ko) 공진 주파수 추종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61567B1 (ko)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CN110099469B (zh) 电磁感应加热装置及其保护控制电路
KR102261568B1 (ko)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가열 장치
EP3432683B1 (en) Induction cooker, method of operation and computer program
KR102418392B1 (ko) 전기레인지의 소음 저감 방법
KR20210081053A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구동 모듈
KR100712840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전류 제어방법
JP410308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70136869A (ko) 유도가열 인버터의 공진피크전압 저감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604754B1 (ko) 유도 가열 조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740317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공진전압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