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906B1 -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906B1
KR101461906B1 KR1020130123452A KR20130123452A KR101461906B1 KR 101461906 B1 KR101461906 B1 KR 101461906B1 KR 1020130123452 A KR1020130123452 A KR 1020130123452A KR 20130123452 A KR20130123452 A KR 20130123452A KR 101461906 B1 KR101461906 B1 KR 101461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unit
units
interlocking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06B1/ko
Priority to US14/144,288 priority patent/US90040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02D13/0207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F02D13/0211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the change of valve timing is caused by the change in valve lift, i.e. both valve lift and timing are functionally re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13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composite camshafts, e.g. with cams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the cam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3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02D13/0207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2001/0471Assembled camshafts
    • F01L2001/0473Composite camshafts, e.g. with cams or cam sleeve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the inner camshaft or a cam adjusting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3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 F01L2013/0052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with cams provided on an axially slidable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2013/10Auxiliary actuators for variable valve timing
    • F01L2013/101Electromag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93Camshaft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간섭없이 효율적으로 작동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캠 샤프트; 상기 캠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하이 캠 및 로우 캠이 형성된 제1, 2 캠 형성부; 상기 하이 캠 또는 상기 로우 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개폐 장치; 상기 캠 샤프트가 삽입되며, 제1, 2 캠 형성부와 함께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2 이동유닛; 상기 제1, 2 이동유닛을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며, 장착부에 장착된 제1, 2 작동유닛; 상기 제1, 2 이동유닛과 각각 연결되며, 제1, 2 그루부가 형성된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2 그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2 캠 형성부를 정렬하는 스타퍼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MUTIPLE VARIABLE VALVE LIFT APPRATUS}
본 발명은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 받아들인 연료와 공기를 연소시킴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여기서,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 샤프트(cam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 흡입된다. 또한,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캠 샤프트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서 배출된다.
한편, 최적의 흡기밸브 또는 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개폐 시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밸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밸브가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다른 리프트(lift)로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variable valve lift; VVL)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번호 10-2008-0023552에 개시된 가변 밸브 리프트 등이 있다.
이러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중 캠 로브의 캠 샤프트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경우, 캠 로브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여야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캠 로브의 캠 샤프트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캠 로브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캠 샤프트; 상기 캠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하이 캠 및 로우 캠이 형성된 제1, 2 캠 형성부; 상기 하이 캠 또는 상기 로우 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개폐 장치; 상기 캠 샤프트가 삽입되며, 제1, 2 캠 형성부와 함께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2 이동유닛; 상기 제1, 2 이동유닛을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며, 장착부에 장착된 제1, 2 작동유닛; 상기 제1, 2 이동유닛과 각각 연결되며, 제1, 2 그루부가 형성된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2 그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2 캠 형성부를 정렬하는 스타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실린더 헤드 또는 실린더 헤드 커버일 수 있다.
상기 스타퍼 유닛은 상기 장착부에 결합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1, 2 그루브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타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상기 캠 샤프트가 삽입되며, 상기 제1, 2 캠 형성부 사이에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이동유닛에는 상기 연동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1, 2 이너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제1, 2 이너 가이드 상에서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2 이동유닛에는 상기 연동유닛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2 접촉벽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유닛의 내주에는 씨링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씨링 체결부에는 씨링이 삽입되며, 상기 제1, 2 이너 가이드에는 상기 씨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이 상기 제1, 2 접촉벽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도록 제1, 2 경사 그루부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작동유닛은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상기 제1, 2 캠 형성부와 상기 제1, 2 이동유닛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이동유닛과 상기 위치 결정부는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캠 형성부, 상기 제1, 2 이동유닛 및 상기 위치 결정부는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핀 작동장치 및 핀 작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연동유닛에 의해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린더에 배치되는 캠 형성부가 연동유닛에 의해 단계적으로 작동됨으로써 구성요소들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솔레노이드의 수가 최소화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이동유닛 및 연동유닛의 전개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이동유닛 및 연동유닛의 단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위치 결정부를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는 캠 샤프트(100), 캠 형성부(40, 60), 작동유닛, 이동유닛(30, 50)을 포함한다.
상기 캠 샤프트(100)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축이다. 이러한 캠 샤프트(1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캠 형성부(40, 60)는 엔진의 흡기밸브 또는 배기밸브를 개폐하는 캠(41, 42, 48, 49, 61, 62, 68, 69)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 샤프트(100)가 상기 캠 형성부(40, 60)의 중공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캠 형성부(40, 60)의 중공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와 대응되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캠 형성부(40, 60)는 그 내주면이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캠 형성부(40, 60)는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캠 형성부(40, 60)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고, 상기 캠 형성부(40, 60)와 상기 캠 샤프트(100)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캠 샤프트(100)에는 캠 샤프트 스플라인(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형성부(40, 60)는 제1 캠 형성부(40) 및 제2 캠 형성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하나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다른 하나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하나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두 개의 밸브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다른 하나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두 개의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적어도 두 개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다기통 엔진의 2개의 실린더에서 밸브를 작동시키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밸브는 상기 흡기밸브 또는 상기 배기밸브이다.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제1 로우 캠(41), 제1 하이 캠(42), 제2 로우 캠(48), 제2 하이 캠(49), 및 제1 연결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우 캠(41), 제1 하이 캠(42), 제2 로우 캠(48), 및 제2 하이 캠(49)은 일단이 타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단면의 외주면이 계란형(oval shape)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캠 로브(cam lobe)와 캠 베이스(cam base)를 포함하고, 상기 캠들(41, 42, 48, 49)이 밸브 개폐 장치(5)를 밀어 밸브가 개폐된다.
상기 제1 로우 캠(41)과 상기 제1 하이 캠(42)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로우 캠(48)과 상기 제2 하이 캠(49)은 인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로우 캠(41)과 상기 제1 하이 캠(42)이 커플을 이루어 하나의 밸브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로우 캠(48)과 제2 하이 캠(49)이 커플을 이루어 다른 하나의 밸브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1 연결부(45)는 상기 제1 로우 캠(41) 및 상기 제1 하이 캠(42)의 커플과 상기 제2 로우 캠(48) 및 상기 제2 하이 캠(49)의 커플을 연결한다. 즉, 상기 제1 연결부(45)는 상기 제1 로우 캠(41) 및 상기 제1 하이 캠(42)의 커플과 상기 제2 로우 캠(48) 및 상기 제2 하이 캠(49)의 커플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2 하이 캠(42, 49)은 상기 밸브의 하이 리프트(high lift)를 구현하고, 상기 제1, 2 로우 캠(41, 48)은 상기 밸브의 로우 리프트(low lift)를 구현한다. 즉, 상기 제1 캠 형성부(40)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상기 제1, 2 하이 캠(42, 49) 또는 상기 제1, 2 로우 캠(41, 48)이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 개폐 장치(5)와 접촉한다.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제3 로우 캠(61), 제3 하이 캠(62), 제4 로우 캠(68), 제4 하이 캠(69), 및 제2 연결부(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로우 캠(61), 제3 하이 캠(62), 제4 로우 캠(68), 제4 하이 캠(69), 및 제2 연결부(65)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 로우 캠(41), 제1 하이 캠(42), 제2 로우 캠(48), 제2 하이 캠(49), 및 제1 연결부(45)에 대한 설명에 각각 대응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작동유닛은 솔레노이드(10) 일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10)는 상기 제1 캠 형성부(40) 또는 상기 제2 캠 형성부(60)를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여기서,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작동되는 상기 솔레노이드(10)의 구성 및 작동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유닛(30, 50)은 상기 제1, 2 캠 형성부(40, 60)와 함께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이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0)는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 및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30, 50)은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 및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캠 형성부(40)를 제1 캠 형성부(40)로 지칭하고,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캠 형성부(60)를 제2 캠 형성부(60)로 지칭한다.
또한, 도면의 좌측에 형성된 이동유닛(30)을 제1 이동유닛(30) 또는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으로 지칭하고, 도면의 우측에 형성된 이동유닛(50)을 제2 동유닛(50) 또는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으로 지칭한다.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은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함께 구동된다. 또한,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은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도면의 우측)으로 움직인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밸브의 로우 리프트가 구현되도록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이 움직이는 일방향을 정방향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은 상기 제2 캠 형성부(6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캠 형성부(60)와 함께 구동된다. 또한,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은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타방향(도면의 좌측)으로 움직인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솔레노이드(12)를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 또는 제1 솔레노이드(12)라 지칭하고,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솔레노이드(14)를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 또는 제2 솔레노이드(14)라 지칭한다.
상기 제1, 2 솔레노이드(12, 14)는 장착부(12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120)는 실린더 헤드 또는 실린더 헤드 커버일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밸브의 하이 리프트가 구현되도록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이 움직이는 타방향을 역방향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는 연동유닛(70), 및 핀 작동장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유닛(70)은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 샤프트(100)가 상기 연동유닛(70)의 중공에 삽입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은 그 내주면이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캠 형성부(6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이 정방향으로 움직이면, 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되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을 밀게 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이 역방향으로 움직이면, 역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이 역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을 밀게 된다.
상기 핀 작동장치(20)는 상기 연동유닛(70)을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핀 작동장치(20)는 하우징(21), 힌지유닛(22), 제1 작동핀(24), 제2 작동핀(25), 및 핀 고정유닛(27)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힌지유닛(22), 제1 작동핀(24), 제2 작동핀(25), 및 핀 고정유닛(27)이 장착되는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몸체이다.
상기 힌지유닛(22)은 상기 하우징(21)에 고정된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힌지운동 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작동핀(24) 및 제2 작동핀(25)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핀(24)은 상기 힌지유닛(22)의 힌지운동에 따라 상기 힌지유닛(22)에 의해 밀림으로써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제1 작동핀(24)이 원위치되면, 상기 힌지유닛(22)은 상기 제1 작동핀(24)에 의해 밀림으로써 반대로 힌지운동 한다. 나아가, 상기 힌지유닛(22)이 반대로 힌지운동 되면, 상기 제2 작동핀(25)은 상기 힌지유닛(22)에 의해 밀림으로써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상기 핀 작동장치(20)는 상기 제1 작동핀(24) 및 제2 작동핀(25)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원위치되면, 다른 하나가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유닛(22)에 의해 상기 제1, 2 작동핀(24, 25)을 연동시킨다.
상기 핀 고정유닛(27)은 상기 제1, 2 작동핀(24, 25) 중 원위치된 핀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2 작동핀(24, 25)에는 상기 제1 작동핀(24) 또는 제2 작동핀(25)이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핀 고정유닛(27)이 걸리도록 걸림홈(29)이 형성된다.
상기 핀 고정유닛(27)은 스프링(28)과, 체크볼(28a)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28)이 미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에 의해 상기 1, 2 작동핀(24, 25)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29)에 상기 체크볼(28a)이 삽입되고 상기 1, 2 작동핀(24, 25)이 작동되는 상대적으로 큰 힘에 의해 상기 체크볼(28a)이 걸림홈(29)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 및 연동유닛의 전개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은 가이드 레일(32, 52, 72)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은 상기 핀 고정유닛(27)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21)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작동핀(24) 또는 제2 작동핀(25)과 접촉되어 상기 연동유닛(70)의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작동핀(24) 또는 제2 작동핀(25)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72)은 상기 제1 작동핀(24) 또는 제2 작동핀(25)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는 바(bar) 형상으로 돌출된 제1 연결핀(1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핀(16)은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의 작동에 따라 돌출되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은 상기 제1 연결핀(16)에 접촉되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연결핀(16)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에 삽입되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이 상기 제1 연결핀(16)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 바(bar) 형상으로 돌출된 제2 연결핀(18)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핀(18)이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에 따라 돌출되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은 상기 제2 연결핀(18)에 접촉되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연결핀(18)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52)이 상기 제2 연결핀(18)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은 상기 이동유닛(30, 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홈(groove)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은 연결구간(34, 54, 74), 이동구간(36, 56, 76), 및 이탈구간(38, 58, 78)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간(34, 54, 74)은 상기 제1, 2 연결핀(16, 18) 및 제1, 2 작동핀(24, 25)과의 접촉이 각각 시작되는 구간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간(34, 54, 74)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를 따라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은 상기 연결구간(34, 54, 74)에서 접촉된 상기 제1, 2 연결핀(16, 18) 및 제1, 2 작동핀(24, 25)에 의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상기 캠 샤프트(100) 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구간이다. 또한,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은 상기 제1, 2 연결핀(16, 18) 및 제1, 2 작동핀(24, 25)이 각각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된 구간이다. 즉,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은 상기 제1, 2 연결핀(16, 18) 및 제1, 2 작동핀(24, 25)과의 접촉이 끝나는 구간이다. 또한,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에 형성된다.
도 2에는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에서 0도 선, 180도 선, 및 360도 선의 기준을 설정하고, 0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의 형상이 하나의 면에 가시적으로 도시되도록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의 전개도가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설정된 0도 선, 180도 선, 및 360도 선이 가상선으로 표시되었다. 한편, 상기 연결구간(34, 54, 74)은 1점 쇄선으로,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은 2점 쇄선으로,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연결구간(34)은 0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이동구간(36)은 연결구간(34)으로부터 역방향으로 기울어지며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이탈구간(38)은 이동구간(36)과 0도 선(360도 선)에서 만나며, 0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간(36)이 역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연결핀(16)이 삽입되면,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이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연결구간(54)은 180 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이동구간(56)은 연결구간(54)으로부터 180도 선까지 정방향으로 기울어지며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이탈구간(58)은 이동구간(56)과 180도 선에서 만나며, 180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간(56)이 정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2 연결핀(18)이 삽입되면,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이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의 이동구간(76)은 상기 연결구간(74)을 기준으로 역방향에 형성된 하나의 이동구간(76a)과 정방향에 형성된 다른 이동구간(76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유닛(70)의 이동구간(76)이 2개가 형성된 것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연동유닛(70)의 이동구간(76)이 2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70)의 이탈구간(78)도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의 연결구간(74)은 상기 연동유닛(70) 외주의 축방향 중심에서 0 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의 하나의 이동구간(76a)은 180도 선에서 상기 연결구간(74)으로부터 분기되어 다시 180 도 선까지 역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계속 연장된다. 나아가, 상기 연동유닛(70)의 하나의 이탈구간(78a)은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과 180도 선에서 만나며 180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연장된다.
한편, 상기 연동유닛(70)의 다른 이동구간(76b)은 0도 선(360도 선)에서 상기 연결구간(74)으로부터 분기되어 0 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정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의 다른 이탈구간(78b)은 상기 다른 이동구간(76b)과 0도 선(360도 선)에서 만나며 0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역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동유닛(70)의 운동을 가이드하고, 정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다른 이동구간(76b)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이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동유닛(70)의 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설명에서 0도 180도 및 360도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 및 연동유닛의 단면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의 이탈구간(38, 58, 78)은 상기 이동구간(36, 56, 76)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이동유닛(30, 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2 연결핀(16, 18) 및 제1, 2 작동핀(24, 25)과 접촉되는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의 면이 상기 이동유닛(30, 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홈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제1, 2 연결핀(16, 18) 및 제1, 2 작동핀(24, 25)이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로부터 매끄럽게 이탈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위치 결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상기 제1, 2 이동유닛(30, 50)과 각각 연결되며, 제1, 2 그루부(132, 134)가 형성된 위치 결정부(130) 및 상기 장착부(120)에 장착되며, 상기 제1, 2 그루부(132, 13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2 이동유닛(30, 50)을 정렬하는 스타퍼 유닛(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결정부(130)는 상기 제1, 2 이동유닛(30, 50)과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2 이동유닛(30, 50)과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130)는 상기 제1, 2 이동유닛(30, 50)과 상기 제1, 2 캠 형성부(40, 60)과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결정부(130), 상기 제1, 2 이동유닛(30, 50) 및 상기 제1, 2 캠 형성부(40, 60)가 일부 또는 전체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 공수와 제작 단가를 낮출 수도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실린더 헤드 또는 실린더 헤드 커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2 솔레노이드(12, 14)와 스타퍼 유닛(140)은 동일한 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타퍼 유닛(140)은 상기 장착부(120)에 결합하는 압축 스프링(142) 및 상기 압축 스프링(142)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1, 2 그루브(132, 13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타퍼 바디(1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에 삽입되는 상기 제1, 2 연결핀(16, 18) 및 제1, 2 작동핀(24, 25)과의 정밀한 위치 관리가 확보되어야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캠들(41, 42, 48, 49)과 상기 밸브 개폐 장치(5)간의 위치도 정확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각 부품의 가공 공차, 열팽창 등의 이유로 밸브 리프트의 가변 제어 후에 각 부품간의 위치간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타퍼 유닛(140)의 스타퍼 바디(144)가 상기 제1, 2 그루브(132, 13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밸브 리프트의 가변 제어 후에도 각 부품의 설정 위치에 정렬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 2 솔레노이드(12, 14)와 스타퍼 유닛(140)은 동일한 부재에 장착되므로, 위치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이동유닛(30, 50)에는 상기 연동유닛(7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1, 2 이너 가이드부(151, 15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제1, 2 이너 가이드(151, 153) 상에서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2 이동유닛(30, 50)에는 상기 연동유닛(70)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2 접촉벽(155, 15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의 내주에는 씨링(C??ring) 체결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씨링 체결부(160)에는 씨링(162)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2 이너 가이드(151, 153)에는 상기 씨링(16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이 상기 제1, 2 접촉벽(155, 157)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도록 제1, 2 경사 그루부(170, 172)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이 상기 제1 접촉벽(155) 또는 제2 접촉벽(157)에 인접하여 이동하게 되면, 상기 씨링(16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씨링(162)이 상기 제1 경사 그루부(170) 또는 제 2 경사 그루부(17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동유닛(70)이 상기 제1 접촉벽(155) 또는 제2 접촉벽(157)에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동유닛(70)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이 기대된다.
상기 제1, 2 솔레노이드(12, 14)와 스타퍼 유닛(140)은 동일한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연동유닛(70)이 상기 씨링(16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촉벽(155) 또는 제2 접촉벽(157)에 접촉하므로, 각 부품간 위치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을 작동시켜 상기 제1 연결핀(16)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과 상기 제1 캠 형성부(40)가 정방향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상기 연동유닛(70)을 민다.
이 때,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제1 작동핀(24)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연결구간(74)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있던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제1 작동핀(24)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에 진입한다.
상기 제1 연결핀(16)은 상기 이탈구간(38)을 지나며 상기 이탈구간(38)에서 분리되나, 상기 제1 작동핀(24)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은 정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된다.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된 연동유닛(70)은 상기 제2 캠 형성부(60)를 민다. 따라서, 상기 제2 캠 형성부(60)와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이 함께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2 캠 형성부(60)가 계속해서 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은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의 연결핀(18)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의 상기 연결구간(54)에 삽입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작동핀(24)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이탈구간(78a)을 지나며, 상기 제1 작동핀(24)의 이탈이 완료되면,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제2 작동핀(25)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연결구간(74)에 삽입된다.
한편, 각 실린더에 배치되는 상기 캠 형성부들(40, 60)은 각각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타이밍이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캠들(41, 42, 48, 49, 61, 62, 68, 69)이 형성된 각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제2 캠 형성부(60)이 동시에 이동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이동 가능 하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각각의 상기 캠 베이스가 상기 밸브 개폐 장치(5)와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 리프트의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캠 형성부(40, 60)와 상기 상기 밸브 개폐 장치(5)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핀(16)이 상기 가이드 레일(32)에 삽입되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과 상기 제1 캠 형성부(40)가 일체로 정방향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유닛(70)을 정방향으로 민다. 여기서, 상기 연동유닛(70)이 밀리는 일정거리는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제1 작동핀(24)이 상기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연결구간(74)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에 진입되도록 하는 정도의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핀(24)이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에 진입된 후, 상기 연동유닛(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작동핀(24)이 상기 가이드 레일(72)의 하나의 이동구간(76a)에 삽입되면,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작동핀(24)이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에 진입된 후의 상기 연동유닛(70)의 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제2 캠 형성부(60)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캠 형성부(60)를 정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연동유닛(70)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캠 형성부(60)와 상기 연동유닛(70)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항상 이격된다. 이러한 이격은 상기 연동유닛(70)이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제2 캠 형성부(60)의 사이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동시에 이동하지 않고, 항상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과 상기 가이드 레일들(32, 52, 72)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캠 형성부(40)가 배치된 실린더 및 상기 제2 캠 형성부(60)가 배치된 실린더의 밸브 리프트의 변경 타이밍이 결정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12는 상기 제1, 2, 3, 4 하이 캠(42, 49, 62, 69)에 의해 상기 밸브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1, 2 캠 형성부(40, 60)를 이동시키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의 작동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를 작동시켜, 상기 제2 연결핀(18)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의 상기 연결구간(54)에 삽입되도록 한다.
도 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의 연결핀(18)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에 삽입되면, 상기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50)과 상기 제2 캠 형성부(60)가 함께 역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된 제2 캠 형성부(60)는 상기 연동유닛(70)을 민다.
이 때,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제2 작동핀(25)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연결구간(74)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있던 상기 연동유닛(70)이 역방향으로 밀리며, 상기 제2 작동핀(25)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다른 이동구간(76b)에 진입한다.
상기 제2 연결핀(18)은 상기 이탈구간(58)을 지나며 상기 이탈구간(58)에서 분리되나, 상기 제2 작동핀(25)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은 역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1 캠 형성부(40)가 계속해서 역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은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의 연결핀(16)이 상기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의 상기 연결구간(34)에 접촉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작동핀(25)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이탈구간(78b)을 지나며, 상기 제2 작동핀(25)의 이탈이 완료되면,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제1 작동핀(24)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연결구간(74)에 삽입된다.
즉,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의 구성요소들은 로우 리프트를 구현하기 위한 작동이 시작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9에는 상기 밸브 개폐 장치(5)가 모두 상기 하이 캠(43, 49, 62, 69)에 구름 접촉되도록 위치된 것이 도시되었다.
한편, 상기 제2 캠 형성부(60 및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동시에 이동하지 않고, 순차적인으로 이동한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캠 형성부(60),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순차적으로 역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순차적인 이동은 상기 캠 베이스가 상기 상기 밸브 개폐 장치(5)와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 리프트의 변경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캠 형성부(40, 60)와 상기 상기 밸브 개폐 장치(5)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핀 작동장치(20) 및 핀 작동장치(20)의 작동에 따라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연동유닛(70)에 의해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린더에 배치되는 캠 형성부(40, 60)가 연동유닛(70)에 의해 단계적으로 작동됨으로써 구성요소들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솔레노이드(10)의 수가 최소화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솔레노이드(12, 14)와 스타퍼 유닛(140)은 동일한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연동유닛(70)이 상기 씨링(16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촉벽(155) 또는 제2 접촉벽(157)에 접촉하므로, 각 부품간 위치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5: 밸브 개폐 장치
10: 솔레노이드 16, 18: 연결핀
20: 핀 작동장치 22: 힌지유닛
24: 제1 작동핀 25: 제2 작동핀
30: 로우 리프트 이동유닛 32, 52, 72: 가이드 레일
40, 60, 80: 캠 형성부 41, 48, 61, 68, 81, 88: 로우 캠
42, 49, 62, 69, 82, 89: 하이 캠 50: 하이 리프트 이동유닛
70: 연동유닛 100: 캠 샤프트
110: 캠 샤프트 스플라인 120: 실린더 헤드 or 실린더 헤드 커버
130: 위치 결정부 132: 제1 그루브
134: 제2 그루부 140: 스타퍼 유닛
142: 압축 스프링 144: 스타퍼 바디
151: 제1 이너 가이드 153: 제2 이너 가이드
155: 제1 접촉벽 157: 제2 접촉벽
160: 씨링 체결부 162: 씨링
170: 제1 경사 그루부 172: 제2 경사 그루부

Claims (10)

  1. 캠 샤프트;
    상기 캠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하이 캠 및 로우 캠이 형성된 제1, 2 캠 형성부;
    상기 하이 캠 또는 상기 로우 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개폐 장치;
    상기 캠 샤프트가 삽입되며, 제1, 2 캠 형성부와 함께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2 이동유닛;
    상기 제1, 2 이동유닛을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며, 장착부에 장착된 제1, 2 작동유닛;
    상기 제1, 2 이동유닛과 각각 연결되며, 제1, 2 그루부가 형성된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2 그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2 캠 형성부를 정렬하는 스타퍼 유닛;
    을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실린더 헤드 또는 실린더 헤드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퍼 유닛은
    상기 장착부에 결합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1, 2 그루브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타퍼 바디;
    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상기 캠 샤프트가 삽입되며, 상기 제1, 2 캠 형성부 사이에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이동유닛에는 상기 연동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1, 2 이너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제1, 2 이너 가이드 상에서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2 이동유닛에는 상기 연동유닛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2 접촉벽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의 내주에는 씨링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씨링 체결부에는 씨링이 삽입되며,
    상기 제1, 2 이너 가이드에는 상기 씨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이 상기 제1, 2 접촉벽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도록 제1, 2 경사 그루부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작동유닛은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캠 형성부와 상기 제1, 2 이동유닛은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이동유닛과 상기 위치 결정부는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캠 형성부, 상기 제1, 2 이동유닛 및 상기 위치 결정부는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20130123452A 2013-10-16 2013-10-16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 KR101461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452A KR101461906B1 (ko) 2013-10-16 2013-10-16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
US14/144,288 US9004031B1 (en) 2013-10-16 2013-12-30 Connecting structure of multiple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452A KR101461906B1 (ko) 2013-10-16 2013-10-16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906B1 true KR101461906B1 (ko) 2014-11-17

Family

ID=5229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452A KR101461906B1 (ko) 2013-10-16 2013-10-16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04031B1 (ko)
KR (1) KR101461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0104B2 (en) * 2014-09-30 2016-11-22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CN108138609B (zh) 2015-11-06 2022-01-14 博格华纳公司 提供可变阀升程和/或可变阀正时的阀操作系统
DE102016210979A1 (de) * 2016-06-20 2017-12-21 Mahle International Gmbh Ventil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6210976A1 (de) * 2016-06-20 2017-12-21 Mahle International Gmbh Ventil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10006323B2 (en) * 2016-10-12 2018-06-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step sliding cam actuato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sembly
DE112018000787B4 (de) 2017-02-13 2024-04-25 Honda Motor Co., Ltd. Variable Ventil-Betriebsvorrich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17205572A1 (de) * 2017-03-31 2018-10-04 Mahle International Gmbh Ventil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7214793A1 (de) * 2017-08-24 2019-0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ntil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10584647B1 (en) * 2018-09-06 2020-03-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Offset parallel valves with linkag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94B1 (ko) * 2006-09-11 2008-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2011202627A (ja) * 2010-03-26 2011-10-1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12163086A (ja) * 2011-02-09 2012-08-3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US20120222635A1 (en) * 2009-11-25 2012-09-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ariable valve opera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83A (ko)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차량용 캠 샤프트의 결합구조
DE10148243A1 (de) 2001-09-28 2003-04-10 Ina Schaeffler Kg Ventiltrieb mit Ventilhubumschaltung für die Gaswechselventile eines 4-Takt-Verbrennungsmotors
DE102004011586A1 (de) 2003-03-21 2004-10-07 Audi Ag Ventiltrieb einer einen Zylinderkopf aufweisenden Brennkraftmaschine
DE102004008670B4 (de) * 2004-02-21 2013-04-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ntiltrieb mit Nockenumschaltung für die Gaswechselventile eines 4-Takt-Verbrennungsmotors
DE102005062208B4 (de) 2005-12-24 2015-08-06 Mahle International Gmbh Nockenwelle
DE102006013813B4 (de) 2006-03-23 2011-05-12 Mahle International Gmbh Nockenwelle von insbesondere Kraftfahrzeugverbrennungsmotor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94B1 (ko) * 2006-09-11 2008-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US20120222635A1 (en) * 2009-11-25 2012-09-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ariable valve opera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1202627A (ja) * 2010-03-26 2011-10-1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12163086A (ja) * 2011-02-09 2012-08-3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1552A1 (en) 2015-04-16
US9004031B1 (en)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906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
KR101588763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484239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KR101483708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US9441510B2 (en) Valve system for a multi-cylinder engine
US9140147B2 (en) Multiple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JP2009236090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12007520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734235B1 (ko)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1448795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448784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US10047645B2 (en) Valve gear for engine
KR20160069787A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1209726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140080808A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2310415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US20170159515A1 (en) Valve gear for engine
JP5907089B2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KR101734261B1 (ko)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2119446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461899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2335326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160057761A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2014163315A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US11280229B2 (en) Actu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