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95B1 -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95B1
KR101448795B1 KR20130101696A KR20130101696A KR101448795B1 KR 101448795 B1 KR101448795 B1 KR 101448795B1 KR 20130101696 A KR20130101696 A KR 20130101696A KR 20130101696 A KR20130101696 A KR 20130101696A KR 101448795 B1 KR101448795 B1 KR 101448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am
pin
camshaf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영
신기욱
우수형
공진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95B1/ko
Priority to US14/107,634 priority patent/US901029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3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 F01L13/0042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with cams being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3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3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 F01L2013/0052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with cams provided on an axially slidable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02D13/0207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93Camshaft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간섭없이 효율적으로 작동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엔진의 운전에 의해 회전하는 캠 샤프트; 상기 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캠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하이 캠 및 로우 캠이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캠 형성부; 상기 캠 형성부에 형성된 상기 하이 캠 또는 상기 로우 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개폐 장치; 상기 2개 이상의 캠 형성부를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캠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을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핀; 및 상기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 샤프트 및 상기 상기 작동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핀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핀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MUTIPLE VARIABLE VALVE LIFT APPRATUS}
본 발명은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리프트의 변경 시 충격을 완화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 받아들인 연료와 공기를 연소시킴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여기서,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 샤프트(cam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 흡입된다. 또한,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캠 샤프트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서 배출된다.
한편, 최적의 흡기밸브 또는 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개폐 시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밸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캠 샤프트에는 밸브를 다른 리프트로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를 다른 리프트로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캠이 구비되는 경우, 밸브 리프트의 변경은 하이 캠 또는 로우 캠이 상황에 따라 선택되도록 상기 하이 캠 및 상기 로우 캠이 형성된 캠 형성부가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캠 형성부 또는 상기 캠 형성부를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선택적으로 핀이 삽입되며,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에 대한 상기 핀의 상대운동에 의해 상기 캠 형성부 또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밸브 리프트가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거나 접촉되는 순간에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충격은 소음을 발생시키고, 밸브 리프트 변경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07-0178731호(2007. 08. 0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리프트의 변경 시에 충격을 방지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엔진의 운전에 의해 회전하는 캠 샤프트; 상기 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캠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하이 캠 및 로우 캠이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캠 형성부; 상기 캠 형성부에 형성된 상기 하이 캠 또는 상기 로우 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개폐 장치; 상기 2개 이상의 캠 형성부를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캠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을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핀; 및 상기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 샤프트 및 상기 상기 작동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핀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핀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 제어부의 핀이 상기 작동부의 가이드 레일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핀과 접촉되는 충격이 방지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핀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연결구간; 상기 접촉된 핀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이동구간; 및 상기 접촉된 핀이 이탈되도록 형성된 이탈구간; 을 포함하되, 상기 핀의 폭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상기 핀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간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설정된 지점까지 상기 갭의 폭만큼 축방향 위상이 변경되며 완곡한 곡면으로 형성된 갭 축소구간; 상기 갭 축소구간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의 설정된 지점까지 축방향 위상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된 접촉 유지구간; 및 상기 접촉 유지구간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의 끝 지점까지 형성되며, 상기 핀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이동되도록 상기 작동부에 대한 상기 핀의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 상대운동을 가이드하는 핀 이동구간;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간의 형상을 가로축이 상기 캠 샤프트 및 작동부의 회전각이고, 세로축이 상기 이동구간의 상기 캠 샤프트 축방향 위상인 그래프로 표현하는 경우, 상기 갭 축소구간은 그래프의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유지구간은 그래프의 기울기가 0인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 이동구간은 상기 접촉 유지구간의 끝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속구간 및 상기 가속구간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의 끝 지점까지 연장되는 감속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가속구간은 그래프의 기울기가 점점 커지는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구간은 그래프의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속구간이 끝나면서 그래프의 기울기는 0에 수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탈구간은 상기 이동구간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과 핀의 접촉 시에 충격이 방지됨으로써 소음이 최소화되고, 밸브 리프트 변경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 및 연동유닛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 및 연동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형상을 회전각에 따른 경사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는 캠 샤프트(100), 캠 형성부(40, 60), 솔레노이드(10), 작동유닛(30, 50), 연동유닛(70), 및 핀 작동장치(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닛(30, 50) 및 연동유닛(70)은 밸브 리프트가 변경되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이고, 상기 솔레노이드(10) 및 핀 작동장치(20)는 상기 작동유닛(30, 50) 및 연동유닛(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이다.
상기 캠 샤프트(100)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축이다. 이러한 캠 샤프트(1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캠 형성부(40, 60)는 엔진의 흡기밸브(도시하지 않음) 또는 배기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캠(41, 42, 48, 49, 61, 62, 68, 69)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 샤프트(100)가 상기 캠 형성부(40, 60)의 중공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캠 형성부(40, 60)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캠 형성부(40, 60)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 된다. 여기서, 상기 캠 형성부(40, 60)의 중공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와 대응되는 원형일 수 있다. 즉, 상기 캠 형성부(40, 60)의 내주면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나아가, 상기 캠 형성부(40, 60)는 그 내주면이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캠 형성부(40, 60)는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캠 형성부(40, 60)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고, 상기 캠 형성부(40, 60)와 상기 캠 샤프트(100)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캠 형성부(40, 60)와 상기 캠 샤프트(10)가 결합되는 구성은 스플라인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캠 형성부(40, 60)는 제1 캠 형성부(40) 및 제2 캠 형성부(60)로 구분되는 2개의 캠 형성부(40, 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하나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다른 하나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하나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두 개의 밸브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다른 하나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두 개의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적어도 두 개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다기통 엔진의 2개의 실린더에서 밸브를 작동시키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밸브는 상기 흡기밸브 또는 상기 배기밸브이다.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제1 로우 캠(41), 제1 하이 캠(42), 제2 로우 캠(48), 제2 하이 캠(49), 및 제1 연결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우 캠(41), 제1 하이 캠(42), 제2 로우 캠(48), 및 제2 하이 캠(49)은 일단이 타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단면의 외주면이 계란형(oval shape)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캠(cam) 형상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캠의 일단은 캠 로브(cam lobe)라하고 타단은 캠 베이스(cam base)라 한다.
상기 캠 베이스는 캠의 외주 중 반경이 일정한 호의 형상을 갖는 캠의 기초 원(base circle)이다. 또한, 상기 캠 로브는 상기 캠들(41, 42, 48, 49)의 외주 중 상기 밸브가 상기 캠들(41, 42, 48, 49)의 회전에 의해 열리기 시작하여 완전히 닫힐 때까지 밸브 개폐 장치(5)를 밀고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밸브 개폐 장치(5)는 일단이 상기 캠들(41, 42, 48, 49)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캠들(41, 42, 48, 49)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도록 작동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밸브 개폐 장치(5)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로우 캠(41)과 상기 제1 하이 캠(42)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로우 캠(48)과 상기 제2 하이 캠(49)은 인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로우 캠(41)과 상기 제1 하이 캠(42)이 커플을 이루어 하나의 밸브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 로우 캠(48)과 제2 하이 캠(49)이 커플을 이루어 다른 하나의 밸브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1 연결부(45)는 상기 제1 로우 캠(41) 및 상기 제1 하이 캠(42)의 커플과 상기 제2 로우 캠(48) 및 상기 제2 하이 캠(49)의 커플을 연결한다. 즉, 상기 제1 연결부(45)는 상기 제1 로우 캠(41) 및 상기 제1 하이 캠(42)의 커플과 상기 제2 로우 캠(48) 및 상기 제2 하이 캠(49)의 커플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일체로 성형된다.
한편, 상기 제1, 2 하이 캠(42, 49)의 캠 로브는 상기 제1, 2 로우 캠(41, 48)의 캠 로브에 비하여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2 하이 캠(42, 49)은 상기 밸브의 하이 리프트(high lift)를 구현하고, 상기 제1, 2 로우 캠(41, 48)은 상기 밸브의 로우 리프트(low lift)를 구현한다. 다시 말해, 상기 밸브 개폐 장치(5)가 상기 하이 캠(42, 49)과 구름 접촉되도록 연결되면, 상기 밸브의 하이 리프트가 구현되고, 상기 밸브 개폐 장치(5)가 상기 로우 캠(41, 48)과 구름 접촉되도록 연결되면, 상기 밸브의 로우 리프트가 구현된다. 나아가, 상기 제1 캠 형성부(40)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상기 제1, 2 하이 캠(42, 49) 또는 상기 제1, 2 로우 캠(41, 48)이 선택된다.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제3 로우 캠(61), 제3 하이 캠(62), 제4 로우 캠(68), 제4 하이 캠(69), 및 제2 연결부(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로우 캠(61), 제3 하이 캠(62), 제4 로우 캠(68), 제4 하이 캠(69), 및 제2 연결부(65)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 로우 캠(41), 제1 하이 캠(42), 제2 로우 캠(48), 제2 하이 캠(49), 및 제1 연결부(45)에 대한 설명에 각각 대응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0)는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 운동을 상기 제1 캠 형성부(40) 또는 상기 제2 캠 형성부(60)의 직선 운동으로 바꾸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10)가 작동되면,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제1 캠 형성부(40) 또는 상기 제2 캠 형성부(60)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여기서,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작동되는 상기 솔레노이드(10)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작동유닛(30, 50)은 상기 제1, 2 캠 형성부(40, 60)와 같이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 샤프트(100)가 상기 작동유닛(30, 50)의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유닛(30, 50)의 중공은 상기 작동유닛(30, 50)의 내주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작동유닛(30, 50)의 외주는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작동유닛(30, 50)은 그 내주면이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0)는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 및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30, 50)은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및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은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함께 운동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은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상기 밸브의 로우 리프트가 구현된다. 도 1에는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이 상기 제1 로우 캠(41)의 일단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밸브의 로우 리프트가 구현되도록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이 움직이는 일방향을 정방향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은 상기 제2 캠 형성부(6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캠 형성부(60)와 함께 운동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은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타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상기 밸브의 하이 리프트가 구현된다. 도 1에는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이 상기 제3 하이 캠(62)의 일단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밸브의 하이 리프트가 구현되도록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이 움직이는 타방향을 역방향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작동유닛(30, 50) 및 상기 제1, 2 캠 형성부(40, 60)와 같이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 샤프트(100)가 상기 연동유닛(70)의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의 중공은 상기 연동유닛(70)의 내주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는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연동유닛(70)은 그 내주면이 상기 캠 샤프트(100)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캠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캠 형성부(60)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제2 캠 형성부(60)가 연동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이 정방향으로 움직이면, 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되면서 상기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캠 형성부(60)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정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이 역방향으로 움직이면, 역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이 역방향으로 움직이도독 작동되면서 상기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캠 형성부(40)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역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핀 작동장치(20)는 상기 연동유닛(70)을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핀 작동장치(20)는 하우징(21), 힌지유닛(22), 제1 핀(24), 제2 핀(25), 및 핀 고정유닛(27)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힌지유닛(22), 제1 핀(24), 제2 핀(25), 및 핀 고정유닛(27)이 장착되는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몸체이다.
상기 힌지유닛(22)은 상기 하우징(21)에 고정된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힌지운동 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핀(24) 및 제2 핀(25)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핀(24)은 상기 힌지유닛(22)의 힌지운동에 따라 상기 힌지유닛(22)에 의해 밀림으로써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제1 핀(24)이 원위치되면, 상기 힌지유닛(22)은 상기 제1 핀(24)에 의해 밀림으로써 반대로 힌지운동 한다. 나아가, 상기 힌지유닛(22)이 반대로 힌지운동 되면, 상기 제2 핀(24)은 상기 힌지유닛(22)에 의해 밀림으로써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상기 핀 작동장치(20)는 상기 제1 핀(24) 및 제2 핀(25)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원위치되면, 다른 하나가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유닛(22)에 의해 상기 제1, 2 핀(24, 25)을 연동시킨다.
상기 핀 고정유닛(27)은 상기 제1, 2 핀(24, 25) 중 원위치된 핀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2 핀(24, 25)에는 상기 제1 핀(24) 또는 제2 핀(25)이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핀 고정유닛(27)이 걸리도록 걸림홈(29)이 형성되고, 상기 핀 고정유닛(27)은 상기 제1 핀(24)과 제2 핀(25)의 사이에서 왕복운동 되면서 일부분이 상기 걸림홈(29)에 안착되어 원위치된 상기 제1 핀(24) 또는 제2 핀(25)을 고정시킨다.
상기 핀 고정유닛(27)은 스프링(28)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스프링(28)이 미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에 의해 상기 1, 2 핀(24, 25)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29)에 안착되고 상기 1, 2 핀(24, 25)이 작동되는 상대적으로 큰 힘에 의해 상기 걸림홈(29)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작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걸림홈(29) 및 상기 걸림홈(29)에 접촉되는 핀 고정유닛(27)의 일부분은 완곡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 및 연동유닛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은 가이드 레일(32, 52, 72)을 포함한다.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은 상기 핀 고정유닛(27)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21)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핀(24) 또는 제2 핀(25)과 접촉되어 상기 연동유닛(70)의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핀(24) 또는 제2 핀(25)이 상기 연동유닛(70)의 가이드 레일(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캠 샤프트(100)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72)은 상기 제1 핀(24) 또는 제2 핀(25)이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면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연동유닛(70)의 회전에 대한 상기 제1 핀(24) 또는 제2 핀(25)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는 바(bar)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핀(16)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16)은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은 상기 연결핀(16)에 접촉되어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핀(16)이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캠 샤프트(100)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32)은 상기 연결핀(16)이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외주면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회전에 대한 상기 연결핀(16)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 바(bar)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핀(18)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18)은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은 상기 연결핀(18)에 접촉되어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핀(18)이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캠 샤프트(100)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52)은 상기 연결핀(18)이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외주면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회전에 대한 상기 연결핀(18)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은 상기 작동유닛(30, 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홈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형상의 가이드 레일(32, 52, 72)은 상기 작동유닛(30, 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은 연결구간(34, 54, 74), 이동구간(36, 56, 76), 및 이탈구간(38, 58, 78)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간(34, 54, 74)은 상기 연결핀(16, 18) 및 제1, 2 핀(24, 25)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구간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간(34, 54, 74)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은 상기 연결구간(34, 54, 74)에서 접촉된 상기 연결핀(16, 18) 및 제1, 2 핀(24, 25)에 의해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상기 캠 샤프트(100) 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구간이다. 또한,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형상이며, 상기 연결구간(34, 54, 74)으로부터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은 상기 연결핀(16, 18) 및 제1, 2 핀(24, 25)이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된 구간이다. 즉,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은 상기 연결핀(16, 18) 및 제1, 2 핀(24, 25)과의 접촉이 끝나는 구간이다. 또한,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이동구간(36, 56, 76)으로부터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다.
도 2에는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에서 0도 선, 180도 선, 및 360도 선의 기준을 설정하고, 0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의 형상이 하나의 면에 가시적으로 도시되도록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의 전개도가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설정된 0도 선, 180도 선, 및 360도 선이 가상선으로 표시되었다. 여기서, 0도 선과 360도 선은 전개되지 않은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 및 상기 연동유닛(70)에서 동일한 선이다. 한편, 상기 연결구간(34, 54, 74)은 1점 쇄선으로,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은 2점 쇄선으로,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연결구간(34)은 0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이동구간(36)은 연결구간(34)과 180도 선에서 만나며, 180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역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된다. 나아가,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이탈구간(38)은 이동구간(36)과 0도 선(360도 선)에서 만나며, 0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간(36)이 역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이 정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연결구간(54)은 180 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이동구간(56)은 연결구간(54)과 0도 선(360도 선)에서 만나며, 0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정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된다. 나아가,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이탈구간(58)은 이동구간(56)과 180도 선에서 만나며, 180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간(56)이 정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이 역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동유닛(70)의 연결구간(74)은 상기 연동유닛(70) 외주의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의 이동구간(76)은 상기 연결구간(74)을 기준으로 역방향에 형성된 하나의 이동구간(76a)과 정방향에 형성된 다른 이동구간(76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유닛(70)의 이동구간(76)이 2개가 형성된 것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연동유닛(70)의 이동구간(76)이 2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70)의 이탈구간(78)도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연동유닛(70)의 연결구간(74)은 상기 연동유닛(70) 외주의 축방향 중심에서 0 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의 하나의 이동구간(76a)은 180도 선에서 상기 연결구간(74)으로부터 분기되어 180 도 선부터 360도 선(0도 선)까지 역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되고, 0도 선(360도 선)부터 180 도 선까지 역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계속 연장된다. 나아가, 상기 연동유닛(70)의 하나의 이탈구간(78a)은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과 180도 선에서 만나며 180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연장된다.
한편, 상기 연동유닛(70)의 다른 이동구간(76b)은 0도 선(360도 선)에서 상기 연결구간(74)으로부터 분기되어 0 도 선부터 360도 선까지 정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70)의 다른 이탈구간(78b)은 상기 다른 이동구간(76b)과 0도 선(360도 선)에서 만나며 0도 선부터 180도 선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역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동유닛(70)의 운동을 가이드하고, 정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다른 이동구간(76b)은 상기 캠 샤프트(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이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동유닛(70)의 운동을 가이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 및 연동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의 이탈구간(38, 58, 78)은 상기 이동구간(36, 56, 76)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작동유닛(30, 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핀(16, 18) 및 제1, 2 핀(24, 25)과 접촉되는 상기 이탈구간(38, 58, 78)의 면이 상기 작동유닛(30, 50) 및 상기 연동유닛(70)의 외주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홈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16, 18) 및 제1, 2 핀(24, 25)이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로부터 매끄럽게 이탈된다.
한편, 각 실린더에 배치되는 상기 캠 형성부들(40, 60)은 각각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타이밍이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캠들(41, 42, 48, 49, 61, 62, 68, 69)이 형성된 각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캠 형성부(40),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2 캠 형성부(60)의 순차적인 정방향 이동은 상기 제1 캠 형성부(40)가 배치된 실린더의 밸브타이밍을 기준으로 상기 로우 리프트 솔레노이드(12)의 연결핀(16)이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가이드 레일(32)에 삽입됨에 따라 시작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캠 형성부(40),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순차적으로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순차적인 이동은 상기 캠 베이스가 상기 밸브와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 리프트의 변경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캠 형성부(40, 60)와 상기 밸브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핀(16)이 상기 가이드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과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일체로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유닛(70)을 정방향으로 일정거리 민다. 여기서, 상기 연동유닛(70)이 밀리는 일정거리는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제1 핀(24)이 상기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연결구간(74)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에 진입되도록 하는 정도의 거리이다.
상기 제1 핀(24)이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에 진입된 후, 상기 연동유닛(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핀(24)이 상기 가이드 레일(72)의 하나의 이동구간(76a)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연동유닛(70)이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핀(24)이 상기 하나의 이동구간(76a)에 진입된 후의 상기 연동유닛(70)의 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제2 캠 형성부(60)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캠 형성부(60)를 정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연동유닛(70)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캠 형성부(60)와 상기 연동유닛(70)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항상 이격된다. 이러한 이격은 상기 연동유닛(70)이 상기 제1 캠 형성부(40)와 상기 제2 캠 형성부(60)의 사이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캠 형성부(40),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2 캠 형성부(60)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격과 상기 가이드 레일들(32, 52, 72)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캠 형성부(40)가 배치된 실린더 및 상기 제2 캠 형성부(60)가 배치된 실린더의 밸브 리프트의 변경 타이밍이 결정된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레일(72)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연동유닛(70)의 축방향 이동거리는 상기 가이드 레일(32)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축방향 이동거리보다 길다.
상기 제1 캠 형성부(40),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2 캠 형성부(60)의 순차적인 정방향 이동과는 반대로, 상기 제2 캠 형성부(60),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1 캠 형성부(40)의 순차적인 역방향 이동은 상기 제2 캠 형성부(60)가 배치된 실린더의 밸브타이밍을 기준으로 상기 하이 리프트 솔레노이드(14)의 연결핀(18)이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가이드 레일(52)에 삽입됨에 따라 시작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캠 형성부(60), 상기 연동유닛(70), 및 상기 제1 캠 형성부(40)는 순차적으로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순차적인 이동은 상기 캠 베이스가 상기 밸브와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 리프트의 변경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캠 형성부(40, 60)와 상기 밸브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핀(18)이 상기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과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일체로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 캠 형성부(60)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유닛(70)을 역방향으로 일정거리 민다. 여기서, 상기 연동유닛(70)이 밀리는 일정거리는 상기 핀 작동장치(20)의 제2 핀(25)이 상기 가이드 레일(72)의 상기 연결구간(74)으로부터 상기 다른 이동구간(76b)에 진입되도록 하는 정도의 거리이다.
상기 제2 핀(25)이 상기 다른 이동구간(76b)에 진입된 후, 상기 연동유닛(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핀(25)이 상기 가이드 레일(72)의 다른 이동구간(76b)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연동유닛(70)이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 핀(25)이 상기 다른 이동구간(76b)에 진입된 후의 상기 연동유닛(70)의 역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연동유닛(70)은 상기 제1 캠 형성부(40)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캠 형성부(40)를 역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72)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연동유닛(70)의 축방향 이동거리는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50)의 축방향 이동거리보다 길다.
상기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는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1, 2, 3 캠 형성부(40, 60, 80) 및 상기 연동유닛(70)과 같은 구성요소가 더 구비됨으로써 직렬 4기통 이상의 엔진에서 4개 이상의 실린더에 배치되는 각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직렬 4기통 이상의 엔진에 적용된 상기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도 2개의 솔레노이드(12, 14)만으로 작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의 작동은 상기 하나의 캠 형성부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시작되고, 일방향으로 상기 연동유닛들(70) 및 상기 캠 형성부들이 번갈아서 순차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수행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핀 작동장치(20) 및 핀 작동장치(20)의 작동에 따라 캠 샤프트(100)의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연동유닛(70)에 의해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린더에 배치되는 캠 형성부(40, 60, 80)가 연동유닛(70)에 의해 단계적으로 작동됨으로써 구성요소들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솔레노이드(10)의 수가 최소화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형상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형상을 회전각에 따른 경사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형상은 상기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1)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핀(16, 18, 24, 25)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32, 52, 72)이 형성된 모든 상기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16, 18, 24, 25)이 상기 연결구간(34, 54, 74)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핀(16, 18, 24, 25)의 폭은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의 연결구간(34, 54, 74)에 삽입된 핀(16, 18, 24, 25)과 상기 가이드 레일(32, 52, 72)의 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갭(GAP)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16, 18, 24, 25)이 상기 연결구간(34, 54, 74)의 측면과 상기 갭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캠 샤프트(100)가 회전되면, 상기 핀(16, 18, 24, 25)은 상기 이동구간(36, 56, 76)에 진입되고 상기 핀(16, 18, 24, 25)과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의 측면이 접촉된다. 나아가, 상기 핀(16, 18, 24, 25)과 상기 이동구간(36, 56, 76)의 측면이 접촉되는 순간에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충격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2)의 이동구간(36)이 그래프로 도시되었다. 여기서, 그래프의 가로축은 캠 샤프트(100) 및 작동유닛(30)의 회전각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기 이동구간(36)의 캠 샤프트(100) 축방향 위상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이동구간(36)의 캠 샤프트(100) 축방향 위상은 상기 이동구간(36)의 중심선 또는 측면의 위상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로 한 설명에서는 상기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30)의 이동구간(36)을 대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이동구간(36)의 형상은 밸브 리프트의 변경이 수행되는 다른 구성요소의 이동구간(56, 76)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구간(36)은 갭 축소구간(36a), 접촉 유지구간(36b), 가속구간(36c), 및 감속구간(36d)을 포함한다.
상기 갭 축소구간(36a), 상기 접촉 유지구간(36b), 상기 가속구간(36c), 및 상기 감속구간(36d)은 상기 이동구간(36)이 형성된 회전각 180도에 걸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갭 축소구간(36a)은 상기 연결구간(34)의 끝 지점과 상기 이동구간(36)이 만나는 상기 이동구간(36)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36)의 설정된 지점까지 상기 갭의 폭만큼 축방향 위상이 변경되며 완곡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갭 축소구간(36a)의 곡면은 상기 이동구간(36)의 형상을 회전각에 따른 경사도로 나타낸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감속 그래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 유지구간(36b)은 상기 갭 축소구간(36a)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36)의 설정된 지점까지 축방향 위상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 유지구간(36b)은 상기 이동구간(36)의 형상을 회전각에 따른 경사도로 나타낸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0인 등속 그래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16)은 상기 갭 축소구간(36a)의 끝 지점임과 동시에 상기 접촉 유지구간(36b)의 시작 지점인 지점에서 상기 이동구간(36)의 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이동구간(36)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접촉 유지구간(36b)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충격없이 상기 가이드 레일(32)의 이동구간(36)에 진입된다.
상기 가속구간(36c) 및 상기 감속구간(36d)은 상기 핀(16)에 의해 상기 작동유닛(30)이 실질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구간이다. 즉, 상기 가속구간(36c) 및 상기 감속구간(36d)은 상기 핀(16)의 상대운동을 실질적으로 가이드하는 핀 이동구간(36c, 36d)이다.
상기 가속구간(36c)은 상기 접촉 유지구간(36b)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36)의 설정된 지점까지 축방향 위상이 변경되며 완곡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속구간(36c)의 곡면은 상기 이동구간(36)의 형상을 회전각에 따른 경사도로 나타낸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점점 커지는 가속 그래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가속구간(36c)의 곡면이 가속 그래프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핀(16)이 상기 가속구간(36c)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된다.
상기 감속구간(36d)은 상기 가속구간(36c)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36)의 설정된 지점까지 축방향 위상이 변경되며 완곡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속구간(36d)의 곡면은 상기 이동구간(36)의 형상을 회전각에 따른 경사도로 나타낸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감속 그래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이동구간(36)의 형상을 회전각에 따른 경사도로 나타낸 그래프에서 상기 감속구간(36d)이 끝나면서 상기 이동구간(36)과 상기 이탈구간(38)이 만나는 지점은 기울기가 0에 가까워지거나 0이 된다. 즉, 상기 감속구간(36d)이 끝나는 지점의 기울기는 0에 수렴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16)은 충격없이 상기 가이드 레일(32)의 이탈구간(38)에 진입된다.
한편, 도 5에는 회전각 180도에 걸쳐 형성된 상기 이동구간(36)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180도보다 큰 회전각에 걸쳐 형성된 이동구간(36, 56, 76)에도 같은 방식으로 상기 갭 축소구간(36a), 접촉 유지구간(36b), 가속구간(36c), 및 감속구간(36d)을 포함하는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32, 52, 72)과 핀(16, 18, 24, 25)의 접촉 시에 충격이 방지됨으로써 소음이 최소화되고, 밸브 리프트 변경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2: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5: 밸브 개폐 장치
10: 솔레노이드 16, 18: 연결핀
20: 핀 작동장치 22: 힌지유닛
24: 제1 핀 25: 제2 핀
30: 로우 리프트 작동유닛
32, 52, 72: 가이드 레일 40, 60: 캠 형성부
41, 48, 61, 68: 로우 캠 42, 49, 62, 69: 하이 캠
50: 하이 리프트 작동유닛
70: 연동유닛 100: 캠 샤프트

Claims (8)

  1. 엔진의 운전에 의해 회전하는 캠 샤프트;
    상기 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캠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하이 캠 및 로우 캠이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캠 형성부;
    상기 캠 형성부에 형성된 상기 하이 캠 또는 상기 로우 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개폐 장치;
    상기 2개 이상의 캠 형성부를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캠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작동부;
    상기 작동부를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핀; 및
    상기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 샤프트 및 상기 상기 작동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핀의 상대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핀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 제어부의 핀이 상기 작동부의 가이드 레일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핀과 접촉되는 충격이 방지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핀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연결구간;
    상기 접촉된 핀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이동구간; 및
    상기 접촉된 핀이 이탈되도록 형성된 이탈구간;
    을 포함하되,
    상기 핀의 폭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상기 핀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간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설정된 지점까지 상기 갭의 폭만큼 축방향 위상이 변경되며 완곡한 곡면으로 형성된 갭 축소구간;
    상기 갭 축소구간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의 설정된 지점까지 축방향 위상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된 접촉 유지구간; 및
    상기 접촉 유지구간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의 끝 지점까지 형성되며, 상기 핀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이동되도록 상기 작동부에 대한 상기 핀의 상기 캠 샤프트의 축방향 상대운동을 가이드하는 핀 이동구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간의 형상을 가로축이 상기 캠 샤프트 및 작동부의 회전각이고, 세로축이 상기 이동구간의 상기 캠 샤프트 축방향 위상인 그래프로 표현하는 경우,
    상기 갭 축소구간은 그래프의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지구간은 그래프의 기울기가 0인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 이동구간은 상기 접촉 유지구간의 끝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속구간 및 상기 가속구간의 끝 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구간의 끝 지점까지 연장되는 감속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가속구간은 그래프의 기울기가 점점 커지는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구간은 그래프의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구간이 끝나면서 그래프의 기울기는 0에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탈구간은 상기 이동구간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130101696A 2013-08-27 2013-08-27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44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696A KR101448795B1 (ko) 2013-08-27 2013-08-27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US14/107,634 US9010290B2 (en) 2013-08-27 2013-12-16 Multiple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696A KR101448795B1 (ko) 2013-08-27 2013-08-27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795B1 true KR101448795B1 (ko) 2014-10-10

Family

ID=5199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696A KR101448795B1 (ko) 2013-08-27 2013-08-27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10290B2 (ko)
KR (1) KR101448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3277A (zh) * 2015-10-29 2017-08-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可变气门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0104B2 (en) * 2014-09-30 2016-11-22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JP6233385B2 (ja) * 2015-10-29 2017-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変動弁機構
WO2017079383A1 (en) 2015-11-06 2017-05-11 Borgwarner Inc. Valve operating system providing variable valve lift and/or variable valve timing
JP6400040B2 (ja) * 2016-03-31 2018-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可変動弁装置
US10151223B2 (en) * 2016-06-09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lve deactivating system for an eng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672A (ja) 2001-05-31 2003-02-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3056322A (ja) 2001-08-16 2003-02-26 Suzuki Motor Corp 可変動弁機構
KR20120012478A (ko) * 2009-05-28 2012-02-09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기관용 가변밸브구동장치
JP2013060823A (ja) 2011-09-12 2013-04-04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8670B4 (de) 2004-02-21 2013-04-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ntiltrieb mit Nockenumschaltung für die Gaswechselventile eines 4-Takt-Verbrennungsmotors
WO2011043301A1 (ja) * 2009-10-06 2011-04-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動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672A (ja) 2001-05-31 2003-02-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3056322A (ja) 2001-08-16 2003-02-26 Suzuki Motor Corp 可変動弁機構
KR20120012478A (ko) * 2009-05-28 2012-02-09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기관용 가변밸브구동장치
JP2013060823A (ja) 2011-09-12 2013-04-04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3277A (zh) * 2015-10-29 2017-08-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可变气门机构
CN107013277B (zh) * 2015-10-29 2019-04-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可变气门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0290B2 (en) 2015-04-21
US20150059675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95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588763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378623B1 (ko)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용 밸브 구동 장치
US8418667B2 (en)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664079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1461906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연결 구조
KR101448778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448784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EP2693003A1 (en) Camshaft phase variable device
KR101734235B1 (ko)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1619251B1 (ko) Cda 구현이 가능한 엔진
KR101637296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1655234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US10539051B2 (en) Valve operating system providing variable valve lift and/or variable valve timing
US20140182531A1 (en)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WO2015182646A1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KR20190057585A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1526434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140080808A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KR102310415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2011144780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5907089B2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KR101461899B1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120000413A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160057768A (ko)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