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833B1 -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833B1
KR101461833B1 KR1020130163296A KR20130163296A KR101461833B1 KR 101461833 B1 KR101461833 B1 KR 101461833B1 KR 1020130163296 A KR1020130163296 A KR 1020130163296A KR 20130163296 A KR20130163296 A KR 20130163296A KR 101461833 B1 KR101461833 B1 KR 10146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eating
support
ro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빈
허시명
신점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하부금형이 장착되고 안착블록의 상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볼스터, 안착블록 내 하부에 위치되고 밑면에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안착판, 볼스터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하부는 안착판에 체결되는 지지봉을 구비한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봉의 하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삽입부와 이 삽입부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크게 형성된 확장부를 갖춘 핀부재가 설치되고, 안착판의 상부면에는 삽입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응한 깊이와 폭을 가진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안내홈의 개구부에는 확장부를 수용하여 안착시키도록 상응한 형상을 가진 복수의 안착부가 배열 형성되어 있어서, 금형만 분리하고 지그를 사용하여 안착블록 내에서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궁극적으로 금형을 교체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프레스 장치 {PRESS MACHINE}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만 분리하고 지그를 사용하여 안착블록 내에서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프레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프레스 장치는, 안착블록(1)의 상면에 하부금형(2)을 장착하고 안착블록(1)의 위에서 승강되는 승강블록(3)의 저면에 상부금형(4)을 장착한 후, 상부금형(4)과 하부금형(2) 사이에 소재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프레스수단에 의해 상부금형(4)을 하부금형(2)의 상면으로 가압시켜 원하는 형상으로 소재를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스 장치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상부금형(4)과 하부금형(2)을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금형의 교체작업은 상부금형(4)과 하부금형(2)을 승강블록(3)과 안착블록(1)으로부터 각각 인출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부금형(4)은 그에 결합된 승강블록(3)의 프레스수단으로부터 분리해 내고, 하부금형(2)은 그에 결합된 안착블록(1)의 볼스터(5)와 일체로 하여 인출하게 된다.
더구나, 금형을 교체하는 과정 중에, 제품의 성형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지지봉(1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때에는 프레스 장치의 외부로 하부금형(2)과 볼스터(5)를 인출한 후 하부금형(2)과 볼스터(5)를 분리하고, 프레스 장치의 내부로 금형이 없는 볼스터(5)를 다시 인입한다. 이어서 실린더(6)를 작동시켜 안착판(7)에 장착된 지지봉(10)들을 볼스터(5)의 상부로 올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지지봉(10)의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으로, 위치조정작업이 완료되면 실린더(6)에 의해 안착판(7)과 함께 지지봉(10)들을 하강시키고, 볼스터(5)를 프레스 장치의 외부로 재인출하여 새로운 하부금형을 볼스터(5)에 장착하며, 이 하부금형과 볼스터의 조립체를 프레스 장치의 내부에 설치한다.
이처럼 금형의 교체작업 및 지지봉의 위치조정작업은 공정이 과다하여 매우 번거롭고 이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성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금형만 분리하고 지그를 사용하여 안착블록 내에서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서,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궁극적으로 금형을 교체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상면에 금형이 장착되고 안착블록의 상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볼스터, 상기 안착블록 내 하부에 위치되고 밑면에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안착판, 상기 볼스터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안착판에 체결되는 지지봉을 구비한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크게 형성된 확장부를 갖춘 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응한 깊이와 폭을 가진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개구부에는 상기 확장부를 수용하여 안착시키도록 상응한 형상을 가진 복수의 안착부가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상기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할 때,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그를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만 분리하고 지그를 사용하여 안착블록 내에서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서,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궁극적으로 금형을 교체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프레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포함되는 안착블록 내에서 지그에 의해 지지봉이 이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안착판의 안착부에 지지봉이 체결된 상태를 안착블록이 생략된 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볼스터의 보유지지부에 지지봉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지그와 지지봉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지그와 지지봉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포함되는 안착블록 내에서 지그에 의해 지지봉이 이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안착판의 안착부에 지지봉이 체결된 상태를 안착블록이 생략된 채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상면에 금형이 장착되고 안착블록(1)의 상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관통홀(51)이 형성된 볼스터(5), 안착블록(1) 내 하부에 위치되고 밑면에 실린더(6; 도 1 참조)가 연결되어 안착블록(1) 내에서 승하강하는 안착판(7), 볼스터(5)의 관통홀(51)에 삽입되며 하부는 안착판(7)에 체결되는 지지봉(10)을 구비한다.
지지봉(10)은, 일단에 나사산홈(12; 도 8 및 도 9 참조)과 타단에 스프링홈(13)이 마련된 지지봉본체(11);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나사산부(16; 도 8 및 도 9 참조)가 나사산홈(12)에 체결되어 지지봉본체(11)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내주면에 소경부(17; 도 8 참조)와 대경부(19; 도 8 참조), 및 소경부(17)와 대경부(19)를 연결하는 경사부(18; 도 8 참조)가 형성된 연결마개(15); 스프링홈(13)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14); 이 스프링(14)에 접하여 탄성력을 받게 되며, 지지봉(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핀부재(20); 및 이 핀부재(20)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공(26)이 형성되며 핀부재(20)와 스프링(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봉본체(11)의 타단에 고정되는 접촉마개(25)를 포함한다.
지지봉본체(11)는 가늘고 긴 중실의 봉형상 부재 또는 중공의 관형상 부재로 될 수 있다.
스프링홈(13)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14)은 압축스프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탄성재질로 된 탄성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핀부재(20)는, 지지봉(10)의 길이방향 쪽으로 연장한 일정 직경 또는 폭을 가진 삽입부(21)와; 이 삽입부(21)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크게 형성된 확장부(22)를 구비한다. 확장부(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다면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확장부(22)의 일단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마개(25)는 지지봉본체(11)의 타단에 고정나사(27)로 장착된다. 핀부재(20)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공(26)의 일측 개구부에는 단턱(28)이 형성되어 있어, 핀부재(20)의 확장부(22)에 있는 걸림턱(23)이 단턱(28)에 걸리게 되면서 핀부재(20)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안착블록(1) 내 하부에 위치되는 안착판(7)은 그 밑면에 실린더가 연결되어 안착블록(1) 내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이 안착판(7)의 상부면에는 지지봉(10)의 삽입부(21)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응한 깊이와 폭을 가진 복수의 안내홈(7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봉(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를 매개로 하여 안내홈(71)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또, 이들 안내홈(71)의 개구부에는 지지봉(10)의 핀부재(20)에 있는 확장부(22)를 수용하여 안착시키도록 확장부(22)와 상응한 형상을 가진 복수의 안착부(72)가 배열 형성되어 있다. 지지봉(10)이 안내홈(71)을 따라가다 원하는 확장부(22)의 위치에 도달하면, 지지봉(10)의 핀부재(20)에 있는 확장부(22)가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안내홈(71)의 안착부(72) 내에 체결 안착되게 된다.
도 2는 각각의 안내홈(71)이 3개의 안착부(72), 즉 양단에 형성된 안착부(72)와 중간에 형성된 하나의 안착부(72)를 가진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각각의 안내홈(71)이 5개의 안착부(72), 즉 양단에 형성된 안착부(72)와 중간에 형성된 3개의 안착부(72)를 가진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블록(1)의 상부에 위치되는 볼스터(5)는, 역 T자의 단면형상을 복수의 클램핑수단 가이드용 레일(52); 이들 레일(52) 사이마다 위치하는 복수의 관통홀(51); 및 각 관통홀(51)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유지지부(50)를 포함하고 있다.
클램핑수단 가이드용 레일(52)은 금형을 볼스터(5)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핑수단(미도시)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관통홀(51)에는 안착판(7)에 체결된 지지봉(10)이 삽입되게 되는데, 안착판(7)이 실린더에 의해 그 최저높이로 하강하더라도 지지봉(10)의 상단, 즉 연결마개(15)는 관통홀(5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볼스터의 보유지지부에 지지봉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터(5)의 보유지지부(50)는, 관통홀(51)의 폭방향 양측에 쌍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개방된 수납홈(53); 이들 수납홈(53) 내에 나란히 쌍으로 위치된 회전축(54); 일측 단부가 각 회전축(54)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핑거부(55); 회전축(54)과 수납홈(53)의 벽부 사이에 위치되면서 각 회전축(54)에 인접하여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호형상 홈(57)을 구비한 지지단(56); 및 일단은 핑거부(55)의 일측면에 접하고 타단은 호형상 홈(57)의 내벽에 접하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58)를 포함한다.
탄성부재(58)는 대략 C자의 형상을 가진 클립이나 임의의 적절한 판스프링으로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핑거부(55)에 대하여 양측면에서 탄성부재(58)들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어서, 핑거부(55)는 수납홈(53)의 선단을 지나 관통홀(51)의 (가상의) 중심선 쪽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보유지지부(50)에서는 총 4개의 핑거부(55)가 서로 간 일정 간격을 두고서 소정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전후좌우로 배치된다.
지지봉(10)이 이동해서 핑거부(55)들 사이의 공간 내로 들어오거나 그 밖으로 나가게 될 때, 지지봉(10)과 접촉되는 해당 핑거부(55)는 지지봉(10)의 이동방향을 향해 회전축(54) 주위로 회동한 다음에,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또, 지지봉(10)이 이동해서 핑거부(55)들 사이의 공간 내로 들어오면, 핑거부(55)들이 모두 지지봉(10)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지지봉(10)이 관통홀(51) 내에서 관통홀(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각 핑거부(55)를 매개로 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보유지지부(50), 구체적으로는 핑거부(55)들 사이의 공간이 안착판(7)의 안착부(72)와 상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위치되면 지지봉(10)이 안착블록(1) 내에서 직립하여 보유지지될 수 있게 된다.
보유지지부(5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각 수납홈(53)에 삽입되면서 수납홈(53)을 덮어씌우는 덮개(5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서는 지지봉(10)의 위치를 조정할 때, 지지봉(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그(80)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지그(80)는, 관형상의 지그본체(81); 이 지그본체(81)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로드(82; 도 7 및 도 8 참조); 지그본체(81)의 일단에 장착되고, 연결로드(82)의 일단과 연결되어, 연결로드(82)가 지그본체(81)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게 작동력을 부여하는 손잡이(90); 연결로드(82)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그본체(81)의 타단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연결로드(82)의 직경 또는 폭보다 점차 증대되어 경사면(84)을 구비한 광대(廣大)부(83); 및 지그본체(81)의 타단에 설치된 힌지축(86; 도 7 및 도 8 참조)으로부터 뻗어 지그본체(81)의 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판(85)을 포함한다.
연결로드(82)는 지그본체(81)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손잡이(90)는, 연결로드(82)가 관통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92)을 갖춘 프레임(91); 이 프레임(91) 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연결로드(82)의 일단과 연결 고정되는 파지부(93); 및 연결로드(82)가 연결되는 파지부(93)의 측면 반대쪽에서 파지부(93)와 프레임(91)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94)을 포함하고 있다.
또, 손잡이(90)는 그 프레임(91) 내에서 스프링(94)의 탄성력에 의한 파지부(93)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95)가 설치될 수 있다.
파지부(93)의 일측면은 손가락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좋다.
파지부(93)와 프레임(91)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94)은 압축스프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탄성재질로 된 탄성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광대부(83)의 최대 직경 또는 최대 폭은 지그본체(81)의 외경 또는 외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그본체(81)의 내경보다 다소 크고 지그본체(81)의 외경 이하의 범위 내에 있어도 된다.
걸림판(85)의 외면은, 지그본체(81)가 직립하고 연결로드(82)가 지그본체(81)로부터 최대로 돌출할 때, 지그본체(81)의 외면과 일직선상에 있게 된다.
금형이 안착블록(1)의 볼스터(5)로부터 분리된 후 작업자가 지그(80)를 사용하여 지지봉(1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도 7은 지그와 지지봉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지그와 지지봉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80)는 직립한 상태로 볼스터(5)의 관통홀(51) 및 보유지지부(50)를 통해 지지봉(10)에 접근하게 된다. 걸림판(85)의 외면과 지그본체(81)의 외면이 동일 선 상에 있기 때문에, 이 상태로 작업자가 지그(80)의 광대부(83)와 걸림판(85)을 함께 지지봉(10)의 연결마개(15) 내에 삽입하면 광대부(83)와 걸림판(85)은 지그본체(81)의 외경보다 다소 큰 연결마개(15)의 소경부(17)를 통과하여 대경부(19)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가 손잡이(90)의 파지부(93)를 잡아당겨 연결로드(82)를 위로 이동시키면, 연결로드(82)에 연결된 광대부(83)가 지그본체(81) 쪽으로 이동되어 그 일부가 지그본체(81)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광대부(83)의 경사면(84)이 걸림판(85)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걸림판(85)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걸림판(85)의 자유단이 지그본체(81)에 대해 벌어지는 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지그(80)를 위로 들어올리면, 광대부(83)에 의해 경사지게 된 걸림판(85)이 연결마개(15)의 경사부(18)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광대부(83) 및 걸림판(85)이 연결마개(15)의 소경부(17)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결국, 지그(80)와 지지봉(10)이 체결되어 일체화된다.
한편, 작업자가 지그(80)를 위로 더 들어올리면, 지지봉(10)도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로써 지지봉(10)의 하부에 있는 핀부재(20)의 확장부(22)가 안내홈(71)의 안착부(72)로부터 빠져나온다.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핀부재(20)는 지지봉(10)의 접촉마개(25)로부터 하방으로 더 돌출하게 되지만, 삽입부(21)는 지속적으로 안내홈(71)에 삽입된 채로 그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봉(10)이 안내홈(71)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할 때, 지지봉(10)과 접촉되는 보유지지부(50)의 해당 핑거부(55)는 지지봉(10)의 이동방향 쪽으로 회동하고,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동된 지지봉(10)이 조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해당 보유지지부(50)의 일부 핑거부(55)들이 회동된 후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모든 핑거부(55)들이 지지봉(10)에 접촉하게 되고, 지지봉(10)이 관통홀(51) 내에서 관통홀(51)의 길이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각 핑거부(55)를 매개로 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응한 위치의 안착부(72)에는 지지봉(10)의 핀부재(20)에 있는 확장부(22)가 체결 안착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파지하고 있던 파지부(93)를 놓으면서 지그(80)를 아래로 내리면, 스프링(94)에 의해 연결로드(82)가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연결로드(82)에 연결된 광대부(83)가 지그본체(81) 밖으로 이동되어 걸림판(85)의 경사부(18)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이로써, 광대부(83) 및 걸림판(85)이 연결마개(15)의 소경부(17)를 빠져나오게 되며, 지그(80)와 지지봉(1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안착블록 5: 볼스터
7: 안착판 10: 지지봉
20: 핀부재 50: 보유지지부
80: 지그 90: 손잡이

Claims (11)

  1. 상면에 금형이 장착되고 안착블록의 상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볼스터, 상기 안착블록 내 하부에 위치되고 밑면에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안착판, 상기 볼스터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안착판에 체결되는 지지봉을 구비한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크게 형성된 확장부를 갖춘 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응한 깊이와 폭을 가진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개구부에는 상기 확장부를 수용하여 안착시키도록 상응한 형상을 가진 복수의 안착부가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일단에 나사산홈과 타단에 스프링홈이 마련된 지지봉본체;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나사산부가 상기 나사산홈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봉본체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내주면에 소경부와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를 연결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연결마개;
    상기 스프링홈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접하여 탄성력을 받게 되며,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핀부재; 및
    상기 핀부재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본체의 타단에 고정되는 접촉마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는,
    복수의 클램핑수단 가이드용 레일;
    상기 레일 사이마다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및
    상기 각 관통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유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관통홀의 폭방향 양측에 쌍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개방된 수납홈;
    상기 수납홈 내에 나란히 쌍으로 위치된 회전축;
    일측 단부가 상기 각 회전축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핑거부;
    상기 회전축과 상기 수납홈의 벽부 사이에 위치되면서,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호형상 홈을 구비한 지지단; 및
    일단은 상기 핑거부의 일측면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호형상 홈의 내벽에 접하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 및 상기 핑거부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안착판의 안착부와 상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각 수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납홈을 덮어씌우는 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위치를 조정할 때,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관형상의 지그본체;
    상기 지그본체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로드;
    상기 지그본체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지그본체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게 작동력을 부여하는 손잡이;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결로드의 직경 또는 폭보다 점차 증대되어 경사면을 구비한 광대부; 및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에 설치된 힌지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그본체의 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연결로드의 일단과 연결 고정되는 파지부; 및
    상기 연결로드가 연결되는 상기 파지부의 측면 반대쪽에서 상기 파지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파지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부의 최대 직경 또는 최대 폭은 상기 지그본체의 내경을 초과하고 상기 지그본체의 외경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KR1020130163296A 2013-12-24 2013-12-24 프레스 장치 KR10146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296A KR101461833B1 (ko) 2013-12-24 2013-12-24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296A KR101461833B1 (ko) 2013-12-24 2013-12-24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833B1 true KR101461833B1 (ko) 2014-11-13

Family

ID=5229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296A KR101461833B1 (ko) 2013-12-24 2013-12-24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2511A (zh) * 2018-11-20 2019-01-25 深圳市冠群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盖拆卸夹具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799A (ja) * 1988-08-01 1990-02-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クッションピン選択装置
KR0164295B1 (ko) * 1995-07-26 1999-01-15 전성원 아이들 게이지 구조
KR200150783Y1 (ko) * 1995-07-21 1999-07-01 류정열 원형 및 방향성 블랭크 메거진
KR20120033700A (ko) * 2010-09-30 2012-04-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보조 다이를 포함한 하부 다이가 구비된 프레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799A (ja) * 1988-08-01 1990-02-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クッションピン選択装置
KR200150783Y1 (ko) * 1995-07-21 1999-07-01 류정열 원형 및 방향성 블랭크 메거진
KR0164295B1 (ko) * 1995-07-26 1999-01-15 전성원 아이들 게이지 구조
KR20120033700A (ko) * 2010-09-30 2012-04-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보조 다이를 포함한 하부 다이가 구비된 프레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2511A (zh) * 2018-11-20 2019-01-25 深圳市冠群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盖拆卸夹具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8567A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US9044093B1 (en) Height-adjustable handrest
KR101461833B1 (ko) 프레스 장치
KR20120002420U (ko) 도장 날인 장치
CN209918669U (zh) 一种精密模具用冲子
CN113699669B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针织大圆机的护网
CN210910291U (zh) 封面冲孔机构
EP3589460A1 (en) Gripping system
ITMI20120155A1 (it) Apparecchiatura perfezionata per taglio di log di carta in una pluralita' di rotoli
CN218638405U (zh) 一种折弯机挡料机构
CN212124635U (zh) 一种会计用凭证钻孔器
KR101555633B1 (ko) 사출 성형기의 금형 하중 지지장치
CN220093397U (zh) 一种可自动回弹的激光模组对焦机构
KR20160056421A (ko) 책상상판의 각도조절가능한 책상
CN208231610U (zh) 一种板材夹持装置
CN216266487U (zh) 一种体育训练用乒乓球打孔机
JP4643492B2 (ja) 手押しおにぎり成形装置
KR20140093471A (ko) 전지 케이스 제조용 임팩트 성형장치
CN209191465U (zh) 手印台装置
KR101431513B1 (ko) 선별 작업대
KR101565289B1 (ko) 금형 교체 가이드 부재
CN218875688U (zh) 一种吹膜机扎孔机构
CN111940553B (zh) 一种板材折弯机用折弯刀组件及液压板材折弯机
KR200473178Y1 (ko) 이중 컵 결합장치
CN211979163U (zh) 夹持装置及电芯短路测试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